맨위로가기

쿠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소는 일본의 "쿠소게"에서 유래하여 대만, 홍콩, 중국 등지에서 유행한 문화 현상으로, 원래는 "엉망인 게임"을 의미했으나 점차 "재미있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는 난센스, 패러디, ACG, 인터넷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며, 정치 풍자나 사회 비판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어고'라는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되며, 과도한 희화화, 저작권 침해, 사회적 갈등 조장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 .cn
    .cn은 중국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단체, 지역, 일반 2단계 도메인과 중국어 도메인 국제화 도메인 이름 등록이 가능하지만,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로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검열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검열은 중국 공산당이 정치적 이념 보호와 국가 안정을 위해 금 방패 프로젝트 등의 기술 시스템과 법률을 통해 인터넷 사용을 통제하는 정책이다.
  • 해학 - 파블리오
    파블리오는 12~13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하고 14세기 영국에서 인기를 얻은 8음절 위주의 짧은 운문 이야기로, 코믹하고 풍자적인 내용으로 불륜, 탐욕스러운 성직자, 어리석은 농민 등을 소재로 하며 후대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해학 - 문학적 비상식
    문학적 비상식은 언어와 논리의 형식적 요소와 의미를 부정하는 요소의 균형을 통해 구전 전통과 지적 유희에서 기원하여 영국에서 발전했으며, 20세기 이후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쿠소
용어
정의일본 인터넷 하위 문화에서 파생된 패러디 장르
어원일본어 속어 "쿠소"(똥)
특징
내용조잡하고 유머러스하거나 난센스적인 요소가 특징
표현기존 미디어나 문화 콘텐츠를 패러디하거나 재해석
의도진지함이나 권위에 대한 반항, 풍자, 해학, 단순한 재미 추구
역사 및 발전
기원1990년대 후반 일본 인터넷 커뮤니티
확산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전파
영향인터넷 밈, 패러디 문화, 실험적인 예술 형태 등에 영향
지역별 변형일본: '쿠소 동영상' (クソ動画)
중국: '에가오' (恶搞, ègǎo)
관련 용어
쿠소게 (クソゲー)형편없는 게임, 졸작 게임
시모네타 (下ネタ)저속한 농담, 성적인 농담
패러디기존 작품의 풍자적 모방
밈 (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이미지나 영상
참고
관련 문화인터넷 하위 문화, 패러디 문화, 밈 문화
국가별 특징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활발
유사 개념안티 유머, 부조리, 넌센스

2. 어원 및 역사

'''쿠소'''(KUSO)는 일본어 クソ|쿠소일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똥'을 의미한다. 일본에서 クソゲー|쿠소게일본어(糞|쿠소일본어와 ゲーム|게임일본어의 잘린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망한 게임'을 뜻하는 용어였다. 이 용어는 타이완으로 건너가면서 '쿠소'로 축약되었고, 게임뿐만 아니라 황당하고 웃긴 모든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초기에는 BBS에서 게임과 풍자적인 논평을 공유했으며, 문화 대혁명 관련 노래나 저우싱츠의 모레이토우중국어 영화 등이 쿠소의 대상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쿠소'가 '어고'(惡搞|ègǎo중국어)로 번역되는데, '악의적인 장난' 또는 '악의적인 조작'을 의미한다.[3] 2007년 당시에는 중국어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을 정도로 새로운 단어였다.[2] 크리스토퍼 리(Christopher Rea)는 어고가 "팬의 찬사-모방에서 통렬한 조롱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패러디"를 아우르며, "대중 문화 제품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작하여 코믹한 효과를 내고 인터넷을 통해 유통하는 행위"라고 설명한다.[3]

'''KUSO'''와 '''KUSO 문화'''라는 표현도 사용되며,[5] 庫索중국어라고 한자로 표기되기도 한다.[7]

대만 :zh:國家教育研究院教育資源及出版中心의 학교폭력 방지 교재에 따르면, "KUSO"는 2004년 대만에 들어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었다.[7]

2. 1. 일본의 쿠소게 문화

'쿠소게'는 '쿠소'(糞, 똥)와 '게임'(ゲーム)의 잘린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망한 게임'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일본에서 유래하여 서양으로 퍼져나가면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가치가 있는 나쁜 게임이나, 전체적으로 즐길 수 있는 형편없는 개발의 게임을 향한 애칭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타이완으로 퍼져나가 사람들이 BBS에서 게임과 풍자적인 논평을 공유하면서 더욱 확산되었다.[1] 타이완에서 '쿠소'로 분류되는 게임에는 ''홍콩 97''과 ''데스 크림슨'' 시리즈 등이 있다.[1]

'쿠소게'는 의도치 않게 웃기기 때문에, 타이완에서 '쿠소'의 정의는 "재미있는 모든 것"으로 바뀌었고 사람들은 황당하고 웃긴 모든 것을 '쿠소'로 칭하기 시작했다.[2] 일본 웹사이트에서 조롱받는 중국 로봇 선행자와 같은 패러디도 '쿠소'로 간주되었다.[2] 저우싱츠의 ''모레이토우'' 영화도 '쿠소'로 자주 언급된다.[2] 문화 대혁명도 종종 패러디의 대상이 되어, ''나는 베이징 천안문을 사랑해''와 같은 노래가 인터넷에 퍼져나가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2]

일부에서는 '쿠소'의 정의를 "홍콩 만화 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에 대한 유머로 제한된 것"으로 한정하기도 한다.[3]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쿠소'는 주로 동인지 또는 팬픽션이다.[3] 픽션 크로스오버는 '쿠소'의 일반적인 매체이며, 예를 들어 특정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북두의 권'' 스타일로 다시 그리거나, 두 가지 다른 요소를 함께 혼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덴샤 데 D''에서는 ''이니셜 D''와 ''전차로 GO!''가 모두 패러디되어, 타쿠미가 기차와 경주하고 여러 철길을 따라 그의 레일카를 드리프트한다.)[3]

2. 2. 대만의 쿠소 문화

쿠소게일본어 문화는 대만으로 전파되면서 '쿠소'라는 용어로 축약되었고, 게임뿐만 아니라 황당하고 웃긴 모든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었다.[5] 초기에는 BBS에서 게임과 풍자적인 논평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시작되었으며, 문화 대혁명 관련 노래나 저우싱츠의 모레이토우중국어 영화 등이 쿠소의 대상이 되었다.

타이완에서 일반적으로 ''쿠소''로 분류되는 게임에는 ''홍콩 97''과 ''데스 크림슨'' 시리즈 등이 있다. 일본 웹사이트에서 조롱받는 중국 로봇 선행자와 같은 패러디도 ''쿠소''로 간주되었다. 문화 대혁명도 종종 패러디의 대상이 되어, ''나는 베이징 천안문을 사랑해''와 같은 노래가 인터넷에 퍼져나가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쿠소''의 정의를 "홍콩 만화 또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에 대한 유머로 제한된 것"으로 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쿠소''는 주로 동인지 또는 팬픽션이다. 픽션 크로스오버는 ''쿠소''의 일반적인 매체이며, 예를 들어 특정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북두의 권'' 스타일로 다시 그리거나, 두 가지 다른 요소를 함께 혼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덴샤 데 D''에서는 ''이니셜 D''와 ''전차로 GO!''가 모두 패러디되어, 타쿠미가 기차와 경주하고 여러 철길을 따라 그의 레일카를 드리프트한다.)

대만의 :zh:國家教育研究院教育資源及出版中心가 제작한 학교폭력 방지 교재에 따르면, "KUSO"라는 단어는 2004년에 대만에 들어와 2006년부터 2008년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었다고 한다.[7]

2. 3. 중국의 어고 문화

중국어에서 '쿠소'는 '어고'(惡搞|ègǎo중국어)로 번역되는데, 이는 '악의적인 장난' 또는 '악의적인 조작'을 의미한다.[3] 어고는 단순한 패러디를 넘어 사회 비판이나 정치적 풍자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출생한 '80后' 세대의 독특한 인터넷 문화로 여겨지며, 산자이 문화와도 연관된다.

크리스토퍼 리(Christopher Rea)는 ''어고''의 "의미적 연관성은 [''쿠소''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어고''는 근본적으로 배설물과 관련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심지어 중국어 용어가 시사하는 것처럼 악의적이지도 않다"라고 설명한다. 그는 어고가 "광범위하게 사용될 때는 팬의 찬사-모방에서 통렬한 조롱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패러디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제한적인 의미에서 대중 문화 제품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작하여 코믹한 효과를 내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유통하는 행위를 가리킨다"라고 덧붙였다.[3]

후루하타 야스오는 중국어판 위키백과의 설명을 인용하며 어고를 "엄격한 테마를 해체하여 희극적, 풍자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장난스러운 오락 문화"라고 소개한다.[4]

3. 특징

2003년 11월, 중국 본토의 신화망에 게재된 기사에서는 "쿠소 문화"의 특징으로 "난센스(无厘头|무厘頭중국어)", "패러디(戏仿|희방중국어)", ACG (애니메이션·코믹·게임) (해당 기사에서는 일본뿐만 아니라 홍콩의 미디어 콘텐츠도 포함한다고 함)", "인터넷(网络|網絡중국어)"의 결합을 꼽았다[9]。 난센스한 웃음이라는 점에서는, 홍콩 영화 감독 주성치의 작품 《식신(1996년)》[9][7]과 《소림축구(2001년)》[9][7], 또한 패러디라는 점에서는 같은 주성치의 《국산 007(1994년, 《007》 시리즈의 패러디)》가 쿠소적인 표현 지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꼽힌다[9]

중국 본토에서의 "악搞"는 "80后"세대(1980년대생 세대)의 독특한 인터넷 문화로 여겨진다[4]。 본토에서는 정치 비판·사회 비판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4], "중국식 프로테스트"와 통한다고 볼 수 있다[4]。 게릴라적·반권력적인 모방이라는 의미에서의 "산자이 문화"와도 통한다[4]

인터넷 발전과 사용자 증가, 어도비 포토샵 등 간편한 도구 보급, 다양한 이미지·동영상 유통을 배경으로 다양한 패러디가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제작, 확산되고 있다[7]。 한편, "KUSO 무죄, 악搞 만세중국어"라는 경향이 현실에서의 괴롭힘이나 성희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7]

3. 1. 주요 특징

쿠소(KUSO)는 일본어 "쿠소게"에서 유래된 말로, "별 볼일 없는", "엉망인", "터무니없는" 것을 가리킨다.[5][6] 원래는 게임 용어였지만, 대만의 게임 마니아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면서[5][6] 점차 게임 외의 분야에도 퍼져나갔다.[5] 이후 홍콩과 중국 대륙으로까지 확산되어[5] 중국어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 되었다.[5][6]

2003년 11월, 중국 본토의 신화망 기사에서는 쿠소 문화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꼽았다.[9]

특징설명
난센스 (无厘头|무厘頭중국어)주성치의 작품 《식신(1996년)》,[9][7]소림축구(2001년)》[9][7] 등에서 나타나는 비상식적이고 엉뚱한 유머를 의미한다.
패러디 (戏仿|희방중국어)기존의 작품을 익살스럽게 모방하거나 변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성치의 《국산 007(1994년, 《007》 시리즈의 패러디)》[9]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ACG (애니메이션·코믹·게임)일본뿐만 아니라 홍콩의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의 하위문화를 지칭한다.[9]
인터넷 (网络|網絡중국어)인터넷 게시판, 블로그, SNS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발전하는 특성을 의미한다.[9]



중국 본토에서 악搞(쿠소와 비슷한 의미[8])는 "80后" 세대 (1980년대생)의 독특한 인터넷 문화로 여겨지며,[4] 정치·사회 비판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4] 이는 일종의 "중국식 프로테스트"이자[4] 게릴라적·반권력적인 모방이라는 점에서 "산자이 문화"와도 연결된다.[4]

어도비 포토샵과 같은 편리한 도구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전은 다양한 패러디 이미지 및 동영상의 제작과 확산을 가속화시켰다.[7] 그러나 이러한 경향이 현실에서의 괴롭힘이나 성희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7]

3. 2. 사용되는 기술 및 도구

쿠소 창작에는 다양한 기술과 도구가 사용된다.

  • 이미지 편집: 어도비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편집 도구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합성한다.[7]
  • 동영상 편집: 동영상 편집 도구를 사용하여 기존 영상을 패러디하거나 새로운 영상을 제작한다.[7]
  • 텍스트 기반 패러디: 인터넷 유행어나 신조어를 활용하여 텍스트 기반의 패러디를 생성한다.


이러한 기술과 도구들은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보급되어, 인터넷 사용자 누구나 쉽게 패러디 콘텐츠를 제작하고 확산시킬 수 있게 되었다.[7]

4. 주요 사례

=== 대만과 홍콩 ===


  • 철권무적손문 - 2000년대 초 대만의 집단 창작으로, 쑨원 등 '역사 속 위인'을 패러디한 만화이다.
  • 꺼져버려 죽어버려단|커져버려 죽어버려단중국어 (사네사네단) - 『가자! 이나중 탁구부』의 '러브 코미디 꺼져버려 죽어버려단'의 영향을 받은 대만홍콩의 젊은이들이 결성하여 발렌타인데이 등에 활동하고 있다.[10]
  • 버스 아저씨 - 2006년 홍콩에서 발생한 버스 안에서의 트러블 영상으로, 다양한 패러디가 제작되었다.[8]
  • 성룡 - 2009년 "중국인은 관리될 필요가 있다", "중국 제품은 폭발한다"는 발언으로 홍콩에서 물의를 일으켰고, 이를 조롱하는 입장에서 과거 출연 작품의 패러디가 제작되는 등 '악개(惡搞)의 총아'가 되었다.[8]


=== 중국 ===

  • 하나의 만두가 불러온 혈안중국어 - 2006년, 중국의 영상 작가 후거가 제작한 영화 『무극』(천카이거 감독)의 패러디 작품이다.[4] 주류 문화에 속하는 '거장' 천카이거의 대작 내용,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풍자하여 소송 문제로 발전할 뻔했다.[4]
  • 진커러(金坷垃) - 2007년에 발매된 화학 비료 첨가제. 텔레비전 CM의 과도한 과장 광고와 코미디 형식의 '진커러 3인조' 등 기발한 연출이 화제가 되어,[11] 패러디와 MAD 무비가 다수 제작되었다.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통해 홍콩과 대만에서도 유명해졌다.[12]
  • 그린 댐 탄(绿坝娘중국어) - 2009년에 당국이 도입을 의무화한 검열 소프트웨어 '녹색 댐·꽃다운 시절 호위중국어'를 모에 의인화한 캐릭터.
  • 중국의 인터넷 슬랭 (차오니마(草泥馬)[4][8], 허시에(河蟹)[4] 등)은 대부분 당국의 언사를 패러디한 것이다.

4. 1. 대만과 홍콩


  • 철권무적손문 - 2000년대 초 대만의 집단 창작으로, 쑨원 등 '역사 속 위인'을 패러디한 만화이다.
  • 꺼져버려 죽어버려단|커져버려 죽어버려단중국어 (사네사네단) - 『가자! 이나중 탁구부』의 '러브 코미디 꺼져버려 죽어버려단'의 영향을 받은 대만홍콩의 젊은이들이 결성하여 발렌타인데이 등에 활동하고 있다.[10]
  • 버스 아저씨 - 2006년 홍콩에서 발생한 버스 안에서의 트러블 영상으로, 다양한 패러디가 제작되었다.[8]
  • 성룡 - 2009년 "중국인은 관리될 필요가 있다", "중국 제품은 폭발한다"는 발언으로 홍콩에서 물의를 일으켰고, 이를 조롱하는 입장에서 과거 출연 작품의 패러디가 제작되는 등 '악개(惡搞)의 총아'가 되었다.[8]

4. 2. 중국


  • 하나의 만두가 불러온 혈안중국어 - 2006년, 중국의 영상 작가 후거가 제작한 영화 『무극』(천카이거 감독)의 패러디 작품이다.[4] 주류 문화에 속하는 '거장' 천카이거의 대작 내용,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풍자하여 소송 문제로 발전할 뻔했다.[4]
  • 진커러(金坷垃) - 2007년에 발매된 화학 비료 첨가제. 텔레비전 CM의 과도한 과장 광고와 코미디 형식의 '진커러 3인조' 등 기발한 연출이 화제가 되어,[11] 패러디와 MAD 무비가 다수 제작되었다.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통해 홍콩과 대만에서도 유명해졌다.[12]
  • 그린 댐 탄(绿坝娘중국어) - 2009년에 당국이 도입을 의무화한 검열 소프트웨어 '녹색 댐·꽃다운 시절 호위중국어'를 모에 의인화한 캐릭터.
  • 중국의 인터넷 슬랭 (차오니마(草泥馬)[4][8], 허시에(河蟹)[4] 등)은 대부분 당국의 언사를 패러디한 것이다.

5. 비판 및 논란

어고는 표현의 자유를 확장하고 사회 비판의 도구로 기능한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은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참조

[1] 문서 Meng p. 37
[2] 뉴스 E'gao: Art criticism or evil?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7-01-22
[3] 서적 Spoofing (e'gao) Culture on the Chinese Internet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3
[4] 웹사이트 ネット用語から読み解く中国(9)「悪搞」 https://www.toho-sho[...] 東方書店 2016-09-08
[5] 웹사이트 【闇の大人たち】第21回:台湾ルポ KUSO文化の謎 http://rocketnews24.[...] ロケットニュース 2016-09-08
[6] 웹사이트 青年出稼ぎ労働者の自撮りMV、日本人に衝撃与える―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6-09-08
[7] 웹사이트 請你不要太過份!—從KUSO到校園霸凌 http://3w.naer.edu.t[...] 教育資源及出版中心 2016-09-08
[8] 웹사이트 娃娃男慘遭草泥馬 http://hk.apple.next[...] 蘋果日報 2016-09-20
[9] 웹사이트 注意 KUSO文化到来了 http://news.xinhuane[...] 新華網 2016-09-08
[10] 웹사이트 【チャイナ網路】「死ね死ね団」の実態(琉球新報) http://ryukyushimpo.[...] 2016-09-08
[11] 뉴스 这广告太“焦人”(图) http://news.163.com/[...] 網易新聞 2017-11-26
[12] 뉴스 看過以下影片,代表你老了:CD Pro2、金坷垃... http://www.setn.com/[...] 三立新聞網 2017-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