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 독립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퀘벡 독립 운동은 퀘벡이 캐나다로부터 독립하려는 정치적 운동이다. 1534년 자크 카르티에의 캐나다 선언과 1608년 사뮈엘 드 샹플랭의 퀘벡 시티 건설을 시작으로, 뉴 프랑스 정복 이후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권리 회복을 위한 운동, 파트리오트 운동, 그리고 1960년대 조용한 혁명을 거치며 퀘벡 독립에 대한 지지가 성장했다. 퀘벡 독립 운동은 언어와 문화의 보존, 정치적 자결권, 경제적 문제 등을 주요 쟁점으로 다루며, 1980년과 1995년 두 차례의 주민 투표를 통해 독립 여부를 결정하려 했다. 프랑스는 퀘벡 독립 운동을 지지해 왔지만, 미국은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 독립운동 | |
|---|---|
| 개요 | |
| 이름 | 퀘벡 독립운동 | 
| 프랑스어 이름 | mouvement souverainiste du Québec | 
| 로마자 표기 | Mouvement Souverainiste du Québec | 
| 영어 이름 | Quebec sovereignty movement | 
| 지지 목표 | 퀘벡의 주권 확보 | 
| 주요 활동 | 선거 참여 국민투표 추진 대중 캠페인  | 
| 관련 이념 | 퀘벡 민족주의 사회민주주의 좌익 민족주의  | 
| 역사적 배경 | |
| 주요 사건 | 1960년대: 조용한 혁명 1970년: 10월 위기 1976년: 퀘벡당 집권 1980년: 첫 번째 독립 국민투표 패배 1995년: 두 번째 독립 국민투표 근소한 차이로 패배  | 
| 주요 정당 및 단체 | |
| 주요 정당 | 퀘벡당 퀘벡 연대 퀘벡인 블록 (연방 정당)  | 
| 과거 정당 | 옵션 나시오날 | 
| 지지 세력 | |
| 지지 기반 | 프랑스어 사용 인구 노동조합 지식인 학생  | 
| 여론 조사 | 독립 지지율: 30% ~ 40% (변동) | 
| 반대 세력 | |
| 반대 정당 | 퀘벡 자유당 퀘벡 미래 연합  | 
| 반대 논리 | 경제적 불확실성 캐나다 연방의 이점 소수 민족 권리 문제  | 
| 국민투표 | |
| 1980년 퀘벡 독립 국민투표 | 결과: 반대 59.56%, 찬성 40.44% | 
| 1995년 퀘벡 독립 국민투표 | 결과: 반대 50.58%, 찬성 49.42% | 
| 주요 인물 | |
| 주요 인물 | 르네 레베크 자크 파리조 뤼시앙 부샤르 폴린 마루아 피에르 칼데롱  | 
| 관련 문서 | |
| 관련 문서 | 퀘벡 민족주의 캐나다 연방주의 주권-연합 구상(Souveraineté-Association) 캐나다 권리 자유 헌장  | 
2. 역사적 배경
퀘벡 독립 운동은 퀘벡을 독립 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운동이다. '독립주의자', '주권주의자', '분리주의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주권주의자'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이는 퀘벡 주권 프로젝트가 캐나다와의 경제적 연계를 유지하면서 정치적 독립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주권주의는 퀘벡인들이 정치적 독립을 통해 주권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이를 통해 퀘벡은 자체적인 정치 제도를 갖고, 캐나다 연방 정부의 간섭 없이 외교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고 본다.
현재 퀘벡은 캐나다 연방 내에서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고 있지만, 주권주의자들은 퀘벡이 완전한 국가 정부의 권한을 갖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퀘벡과 연방 정부 간의 정책 충돌, 미치 호수 협정 및 샬럿타운 협정 실패 등은 연방 시스템 개혁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퀘벡 독립 운동은 정치 운동인 동시에, 퀘벡인들의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과도 관련이 깊다. 주권주의자들은 독립을 통해 퀘벡 문화를 보호하고, 프랑스어의 지위를 확고히 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하위 섹션에서는 퀘벡 독립 운동의 구체적인 역사적 전개 과정을 다룬다.
2. 1. 1960년대 이전
'''주권'''과 '''주권주의'''는 1960년대 조용한 혁명 기간에 시작된 현대 독립 운동에서 파생된 용어이지만, 퀘벡인들의 정치적 자율성에 대한 열망은 그보다 훨씬 오래되었다.북미 지역의 프랑스어 사용 민족주의는 1534년 자크 카르티에가 미크마키족의 가스페지 지역에 상륙하여 프랑스를 위한 캐나다를 선언한 해로 거슬러 올라가며, 특히 1608년 사뮈엘 드 샹플랭이 퀘벡 시티를 세운 해로 거슬러 올라간다. 샹플랭은 뉴 프랑스에 정착한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과 그 후손들(Canadiens, Canayens 또는 Habitants라고 불림)의 최초의 영구적인 정착지였다. 영국의 뉴 프랑스 정복 이후, 1760년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고 영국의 1763년 왕립 선언으로 폐지된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전통적인 권리를 회복하려 했던 ''Canadien|카나디앵프랑스어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기간 동안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북미에서 오랫동안 거주해 온 것을 강조하는 토착적 형태의 민족주의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프랑스계 캐나다인에게 캐나다인은 뉴 프랑스의 프랑스 정착민의 후손뿐이었으며,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은 영국의 확장으로 여겨졌다. 이 기간은 Canadiens|카나디앵프랑스어에게 특정 권리를 부여했지만 그들을 진정으로 만족시키지 못한 1774년 퀘벡 법과 퀘벡의 일부를 미국에 할양한 1783년 파리 조약,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확립한 1791년 헌법에 의해 악화되었다.
''파트리오트 운동''은 19세기 초부터 파트리오트 전쟁의 마지막 전투인 1837년 생테스타슈 전투에서 파트리오트가 패배할 때까지 지속된 기간이다. 이 운동은 Canadiens|카나디앵프랑스어에 의해 파르티 카나디앵의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19세기 초 로어 캐나다의 부유한 가문들로 구성된 샤토 클리크의 영향에 대한 악명 높은 저항으로 두드러졌는데, 샤토 클리크는 어퍼 캐나다의 패밀리 콤팩트와 로어 캐나다의 동등한 존재였다.
La Survivance|라 쉬르비방스프랑스어는 1837-1838년 반란에서 파트리오트의 패배 이후 시작되어 조용한 혁명까지 지속된 기간이다. 이 기간은 프랑스계 캐나다 국가와 1840년 연합법의 제정 이후 가톨릭 교회의 울트라몽탄이 프랑스계 캐나다인을 잉글리시-캐나다 문화에 강제로 동화시키려는 시스템을 시행하기 위해 고용된 생존 전략에 관한 것이다. la Revanche des berceaux|라 르방슈 데 베르소프랑스어 외에도 영어 사용 이민자들의 대량 이민에 대응하여 냉담한 성격이 채택되었다. 일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일자리 안정과 문화 보호를 위해 이 기간 동안 퀘벡을 떠났는데, 이 현상은 로 알려졌으며, 다른 지역과 함께 뉴잉글랜드와 노스이스턴 온타리오에 있는 퀘벡 디아스포라의 기원이다. 이는 이 새로운 지역에서 영구적인 저항 운동을 창출하는 결과를 낳았다. 퀘벡 외부의 민족주의 단체들은 그 이후로 퀘벡의 문화적 정체성을 홍보해 왔으며, 해양주와 루이지애나의 아카디아인과 함께 1881년 이후로 아카디아 전국 협회|아카디아 전국 협회프랑스어에 의해 대표된다. 루이-알렉상드르 타슈로가 1920년에 권력을 잡으면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대부분 동안 프랑스계 캐나다 사회에 격변을 일으켰다. 정치적 의견의 대립과 불일치로 인해 모리스 뒤플레시와 1944년부터 1959년까지의 흑암기 동안 국민 연합 당에 의해 추진된 성직 민족주의라고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민족주의가 부상했다.
2. 2. 조용한 혁명 (1960년대-1970년대)
1960년대 퀘벡에서는 광범위한 변화와 함께 독립에 대한 지지가 형성되고 성장하기 시작했다. 1957년 1월 25일, 레이몽 바르보(Raymond Barbeau)가 퀘벡 독립을 위한 최초의 조직인 로렌시안 동맹(Alliance Laurentienne)을 설립했다.[1]1960년 9월 10일에는 퀘벡 독립을 위한 집회(Rassemblement pour l'indépendance nationale, RIN)가 설립되었고, 피에르 부르골트(Pierre Bourgault)가 빠르게 그 지도자가 되었다.[1] 같은 해 8월 9일, 라울 로이(Raoul Roy)는 퀘벡 독립을 위한 사회주의 행동(Action socialiste pour l'indépendance du Québec, ASIQ)을 결성했다. ASIQ의 "독립 + 사회주의" 프로젝트는 퀘벡 해방 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FLQ)의 정치적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었다.[1]
1962년 10월 31일, 퀘벡 해방 위원회(Comité de libération nationale)가 결성되었고, 같은 해 11월에는 저항 네트워크(Réseau de résistance)가 설립되었다. 이 두 단체는 RIN 회원들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파괴 행위와 시민 불복종과 같은 비폭력적이지만 불법적인 행위를 조직했다. 이 그룹에서 가장 극단적인 개인들은 FLQ를 결성하여 퀘벡 독립을 위해 폭력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 1962년 11월 14일 퀘벡 총선 직후, RIN 회원 마르셀 샤푸(Marcel Chaput)는 단명한 퀘벡 공화당(Parti républicain du Québec)을 창당했다.[1]
1963년 2월, 조르주 쇼이터(Georges Schoeters), 레이몽 빌뇌브(Raymond Villeneuve), 가브리엘 뤼동(Gabriel Hudon) 등 저항 네트워크의 일원이었던 퀘벡 독립을 위한 집회 회원 3명이 퀘벡 해방 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FLQ)을 창설했다.[1]
1964년, RIN은 주 차원의 정당이 되었다. 1965년에는 더 보수적인 국가 집결(Ralliement national, RN)도 정당이 되었다.[1]
이 기간 동안 프랑스계 캐나다 일반회(Estates General of French Canada)가 조직되었다. 이 회의의 목표는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의 헌법적 미래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이었다.[1]
당시 많은 구 유럽 식민지들이 독립하고 있었으며, 퀘벡 독립 지지자들은 퀘벡의 상황을 비슷한 관점에서 보았다. 많은 활동가들이 프란츠 파농(Frantz Fanon), 알베르 멤미(Albert Memmi), 카를 마르크스(Karl Marx)의 저술에 영향을 받았다.[1]
1967년 6월, 알제리에 독립을 부여한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은 캐나다 국빈 방문 중 몬트리올 시청 발코니에서 "자유 퀘벡 만세!프랑스어"를 외쳤다. 이는 연방 정부를 불쾌하게 했고, 잉글리쉬계 캐나다인들은 그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 전장에서 사망한 캐나다 군인들의 희생에 대한 경멸을 드러냈다고 느꼈다. 방문은 중단되었고 드골은 이 나라를 떠났다.[1]
1967년 10월, 전 자유당 각료 르네 레베크(René Lévesque)는 당 대의원 회의에서 주권 문제를 논의하는 것을 거부하자 당을 떠나 주권-연합 운동(Mouvement souveraineté-association)을 결성하고 친주권 세력을 통합하기 시작했다.[1]
1968년 10월, MSA는 퀘벡 시(Quebec City)에서 전국 대회를 개최했고, RN과 MSA는 합병하여 퀘벡 당(Parti Québécois, PQ)을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그달 말 RIN의 지도자 피에르 부르골트는 자신의 당을 해산하고 회원들에게 PQ에 합류하도록 초청했다.[1]
1969년, FLQ는 폭력 캠페인을 강화했고, 이는 10월 위기로 절정에 이르렀다. 이 단체는 몬트리올 증권 거래소 폭탄 테러의 책임을 주장했고, 1970년 FLQ는 영국 무역 위원 제임스 크로스(James Cross)와 퀘벡 노동부 장관 피에르 라포르트(Pierre Laporte)를 납치했으며, 라포르트는 나중에 살해된 채 발견되었다.[1]
자크 파리조(Jacques Parizeau)는 1969년 9월 19일 퀘벡 당에 합류했고, 유니온 나시오날의 제롬 프루(Jérôme Proulx)는 같은 해 11월 11일에 합류했다.[1]
1970년 주 의회 선거에서 PQ는 국회에서 처음으로 7석을 얻었다. 르네 레베크는 몬트 로열에서 자유당의 앙드레 마르샹(André Marchand (politician))에게 패했다.[1]
2. 3. 1980년 주민 투표
1976년 퀘벡 총선에서 퀘벡당(PQ)은 퀘벡 주의회에서 71석을 얻어 과반수를 차지했다. 높은 투표율 속에서 유권자의 41.4%가 퀘벡당에 투표했다. 선거 전 퀘벡당은 집권 시 주권 연합을 시행하겠다는 의도를 철회했다.[2]1977년 8월 26일, 퀘벡당은 두 가지 주요 법안을 통과시켰다. 첫째는 기업 및 노동조합의 기부를 금지하고 개인 기부 한도를 설정하는 정당 자금 지원법이었고, 둘째는 프랑스어 헌장이었다.
1979년 6월 1일부터 3일까지 열린 제7차 전국대회에서 주권주의자들은 다가오는 주민투표에 대한 전략을 채택했다. 퀘벡당은 캐나다와의 경제 관계에 캐나다와 퀘벡 간의 자유 무역, 수입에 대한 공동 관세, 그리고 공동 통화가 포함될 것이라는 세부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주권 연합을 홍보하기 위한 공격적인 노력을 시작했다. 또한 이러한 경제적 합의를 관리하기 위해 공동 정치 기구가 설립될 예정이었다.
주권 연합은 1980년 퀘벡 주민투표에서 퀘벡 주민들에게 제안되었으나, 퀘벡 유권자의 60%가 이 제안을 거부했다.
2. 4. 1995년 주민 투표
1995년 주민투표는 퀘벡이 독립을 선언하기 전에 캐나다에 새로운 경제 및 정치적 파트너십을 제안해야 한다고 명시했다.[3] 주권 법안의 일부 내용은 "우리 퀘벡 국민은 국가의 모든 권한을 완전히 소유하고, 모든 세금을 부과하고, 모든 법안에 투표하고, 모든 조약을 체결하며, 모든 권한 중 최고인 우리의 근본 법을 스스로 구상하고 통제하는 것이 우리의 의지임을 선언한다."라고 되어 있다.투표 결과는 찬성 49.4%, 반대 50.6%로, 470만 표 이상 중 53,498표 차이로 부결되었다.[3] 투표 후, 주권주의 진영은 투표 결과가 언어적 경계선을 따라 크게 갈린 것에 분노했다. 영어 사용자와 이방인(대부분 프랑스어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자와 1세대 퀘벡인) 퀘벡인의 약 90%가 국민투표에 반대 투표를 했고, 프랑스어 사용자의 거의 60%가 찬성 투표를 했다.[3] 자크 파리조 퀘벡 총리는 자신의 정부가 주권을 지지했으며, 결의안의 패배를 "돈과 민족 투표" 때문이라고 말했다.[3] 그의 이러한 발언은 영어 사용 퀘벡인들 사이에서 격렬한 비난을 불러일으켰고, 그는 국민투표 후 사임했다.[3]
선거 관리 책임자의 조사 결과 2007년에 연방주의 진영에서 퀘벡 선거법을 위반하여 최소 50만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법은 양측 캠프의 선거 운동 지출에 제한을 둔다. 파리조의 발언은 또한 새롭게 도착한 퀘벡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선택에 동의하도록 하는 데 실패했음을 인정한 것이기도 하다.
1995년 국민투표 이후, 비 프랑코폰 유권자가 많은 지역의 여러 투표소에서 조직적인 "선거 조작"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이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투표 용지가 무효 처리되었다. 그 후, 퀘벡당(PQ)이 임명한 투표소 직원의 증언에 따르면 그들은 퀘벡당이 임명한 감독관으로부터 선거법에 포함되지 않은 사소한 이유로 이러한 투표소에서 투표 용지를 거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주권 반대자들은 국민투표의 패배에 기뻐했지만, 대부분은 퀘벡 내부에 여전히 깊은 분열이 존재하고 퀘벡과 나머지 국가 간의 관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2. 5. 2000년대 이후
1995년 퀘벡 주민투표 이후, 주권 문제는 2000년대에도 퀘벡 정치의 주요 쟁점으로 남아있었다.1998년 퀘벡 총선에서 퀘벡당은 장 샤레와 퀘벡 자유당에게 일반 투표에서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주권에 대한 대중의 지지는 퀘벡당이 두 번째 임기 동안 또 다른 주민투표를 고려하기에는 너무 낮게 유지되었다.
1999년, 캐나다 국회는 장 크레티앵 당시 캐나다 총리의 주도로 ''명확성 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캐나다 연방에서 탈퇴하려는 주의 투표를 추밀원이 인정할 조건을 규정하는 등 여러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단순히 투표 다수결이 아니라, 탈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유권자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하며, 탈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명확한 탈퇴 질문을 요구했다. 이 법은 캐나다 하원에 제안된 국민투표 질문이 명확한지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하고, 어떠한 국민투표에서 명확한 다수가 의견을 표명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었다. 이 법은 주권론자들 사이에서 부당한 법률로 널리 여겨졌으며, 크레티앵은 이 법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여겼다.[8]
2003년, 퀘벡당은 퀘벡 주민들의 주권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공개 협의인 Saison des idées|아이디어의 계절프랑스어를 시작했다. 새로운 프로그램과 수정된 주권 프로젝트는 2005년 회의에서 채택되었다.
2003년 퀘벡 총선에서 퀘벡당은 자유당에 정권을 잃었다. 그러나 2004년 초, 폴 마틴의 자유당 정부는 인기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이는 연방 자유당 스폰서십 스캔들과 결합되어 퀘벡 블록의 부활에 기여했다. 2004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 퀘벡 블록은 하원에서 퀘벡의 75석 중 54석을 획득했다.[9] 그러나 2006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 퀘벡 블록은 3석을 잃었고, 2008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 2석을 더 잃어 총 49석으로 줄었지만, 2011년 캐나다 연방 선거까지 퀘벡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방 정당이었다. 2011년, 퀘벡 블록은 연방주의 신민주당에 의해 큰 타격을 입어 총 4석, 하원에서 공식 정당 지위 상실을 기록했다.[10]
2009년 6월 앵거스 레이드 여론조사에 따르면 퀘벡 분리 지지가 당시 약했고 가까운 시일 내에 분리주의가 일어날 가능성은 낮았다. 퀘벡 주민의 32%는 퀘벡이 충분한 주권을 가지고 캐나다의 일부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믿고, 28%는 분리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30%는 퀘벡이 더 큰 주권이 필요하지만 캐나다의 일부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퀘벡 주민의 과반수(79%)가 여전히 더 많은 자치를 달성하고 싶어했다.[9]
2011년은 주권주의 운동의 분수령이 되는 해로 여겨졌다. 2011년 연방 선거 이후, 레제 마케팅과 친 주권주의 신문 ''르 드부아''는 이 질문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했다.[10] 주민투표에서 찬성 또는 반대 투표를 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1%가 찬성표를 던질 것이라고 답했다. 2011년에는 주권주의 운동이 분열되어 불만을 품은 정치인들에 의해 여러 새로운 정당이 결성되었다.[11]
2021년, 퀘벡의 프랑수아 르고의 퀘벡 미래 연합 정부는 프랑스어 헌장과 퀘벡 헌법을 개정하여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더욱 강력하게 자리매김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응하여 퀘벡 블록은 르고의 이니셔티브의 합헌성을 지지하는 하원 동의안을 발의했고, 하원은 해당 동의안을 281–2로 통과시켰다.[12]
다음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퀘벡 독립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 조사 날짜 | 여론조사 기관/의뢰인 | 표본 크기 | 퀘벡이 독립 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 결과 | |||||||
|---|---|---|---|---|---|---|---|---|---|---|---|
| 찬성 | 반대 | 미정 | |||||||||
| 2024년 11월 10-11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4/11/11679-283-Politique-au-Quebec-novembre-2024-Version-media-12-novembre-2024.pdf Léger Marketing] | 1,010 | 37% | 55% | 8% | 18% | |||||
| 2024년 8월 23-25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4/08/11679-281-Politique-au-Quebec-aout-2024-VF.pdf Léger Marketing] | 1,041 | 35% | 56% | 9% | 21% | |||||
| 2024년 6월 8일 | [https://www.qc125.ca/p/souverainete-les-deux-camps-raffermissent Pallas] | 1,339 | 40% | 52% | 8% | 12% | |||||
| 2024년 4월 20-21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4/04/11679-275-Politique-Avril-2024-FINAL-23-avril.pdf Léger Marketing] | 1,026 | 36% | 53% | 11% | 17% | |||||
| 2024년 3월 16-18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4/03/Politique-Mars-2024-v2.pdf Léger Marketing] | 1,033 | 36% | 53% | 11% | 17% | |||||
| 2024년 2월 5-7일 | [https://www.qc125.ca/p/pallas-data-quatre-quebecois-sur Pallas] | 1,180 | 41% | 48% | 11% | 7% | |||||
| 2024년 2월 3-5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4/02/11679-272-Politique-Fev.-2024-Pour-publication-7-fevrier.pdf Léger Marketing] | 1,040 | 35% | 56% | 9% | 21% | |||||
| 2023년 12월 4-6일 | [https://leger360.com/wp-content/uploads/2023/12/Rapport-politique-Decembre-2023-pour-publication.pdf Léger Marketing] | 1,066 | 34% | 55% | 11% | 21% | |||||
| 2023년 11월 18-19일 | [https://qc125.com/proj/2023-12-07-pallas-souv.pdf Pallas] | 1,178 | 39% | 48% | 13% | 9% | |||||
| 2023년 11월 1일 | [https://legermarketing.wpenginepowered.com/wp-content/uploads/2023/10/Rapport-politique-Oct.-2023.pdf Léger Marketing] | 1,066 | 35% | 54% | 11% | 19% | |||||
| 2023년 9월 27-28일 | [https://qc125.com/proj/2023-10-11-pallas44.pdf Pallas] | 1,095 | 37% | 49% | 14% | 12% | |||||
| 2023년 8월 20-21일 | [https://legermarketing.wpenginepowered.com/wp-content/uploads/2023/08/Rapport-politique-Aout-2023-Volet-politique.pdf Léger Marketing] | 1,036 | 36% | 53% | 11% | 17% | |||||
| 2023년 6월 10-12일 | [https://legermarketing.wpenginepowered.com/wp-content/uploads/2023/06/Rapport-politique-Juin-2023-publication-14-juin.pdf Léger Marketing] | 1,042 | 37% | 52% | 11% | 15% | |||||
| 2023년 2월 24-26일 | [https://legermarketing.wpenginepowered.com/wp-content/uploads/2023/03/Rapport-politique-Fevrier-2023.pdf Léger Marketing/Le Devoir] | 1,000 | 38% | 51% | 10% | 13% | |||||
| 퀘벡 자유 연합 (CAQ)은 2022년 퀘벡 총선에서 2번째 임기를 역임 (2022년 10월 3일) | |||||||||||
| 2022년 6월 10일 | [https://qc125.com/proj/2022-06-16-ms.pdf Mainstreet Research] | 1,404 | 33% | 67% | ? | - | |||||
| 2021년 2월 8–9일 | [https://lactualite.com/politique/la-souverainete-tient-bon/ Mainstreet Research] | 1,012 | 32% | 56% | 12% | 24% | |||||
| 2020년 10월 2–4일 | [https://www.journaldequebec.com/2020/10/24/la-souverainete-toujours-vivante Léger Marketing/Le Journal de Québec] | 1,013 | 36% | 54% | 10% | 18% | |||||
| 퀘벡 자유 연합 (CAQ)은 2018년 퀘벡 총선에서 당선 (2018년 10월 1일) | |||||||||||
| 2018년 8월 | [https://amp.assets.huffpost.com/uploads/qc/5029579_sondage-leger-huffpost-identite-quebec_5ba9021b76c61.pdf Léger Marketing/Huffington Post] | 1,010 | 37% | 63% | ? | 26% | |||||
| 2018년 4월 29일–5월 2일 | [https://www.lapresse.ca/actualites/politique/politique-quebecoise/201805/02/01-5169359-sondage-ipsos-la-presse-la-caq-toujours-en-tete.php Ipsos] | 2,001 | 25% | 55% | 20% | 30% | |||||
| 2017년 1월 17–19일 | [https://web.archive.org/web/20170202015946/http://www.leger360.com/admin/upload/publi_pdf/SOFR20172301.pdf Léger] | 1,005 | 35% | 65% | ? | 30% | |||||
| 2017년 1월 12–15일 | [https://sondage.crop.ca/survey/start/cawi/Politique%20Quebec%20et%20Canada%20-%20Janvier%202017.pdf CROP] | 1,000 | 33% | 67% | ? | 34% | |||||
| 2016년 12월 7–12일 | [https://sondage.crop.ca/survey/start/cawi/Politique%20Quebec%20(Decembre%202016).pdf CROP/] | 1,000 | 30% | 70% | ? | 40% | |||||
| 2016년 11월 7–10일 | [https://www.ledevoir.com/documents/pdf/11-11-sondagepolqc.pdf Léger Marketing] | 999 | 37% | 63% | ? | 26% | |||||
| 2016년 5월 12–15일 | [https://www.lapresse.ca/actualites/politique/politique-quebecoise/201608/18/01-5011615-sondage-crop-la-presse-une-course-avec-le-oui-au-plus-bas.php CROP/La Presse] | 1,000 | 35% | 50% | 15% | 15% | |||||
| 2016년 2월 11–15일 | [https://sondage.crop.ca/survey/start/cawi/Rapport%20politique%20-%20F%C3%A9v%202016.pdf CROP/La Presse] | 1,005 | 37% | 63% | ? | 26% | |||||
| 2016년 2월 1–4일 | [https://www.ledevoir.com/documents/pdf/sondage020816_qc_pol.pdf Léger Marketing] | 1,005 | 32% | 59% | 9% | 27% | |||||
| 2015년 11월 | [https://www.ledevoir.com/documents/pdf/sondage020816_qc_pol.pdf Léger Marketing] | 1,005 | 39% | 61% | ? | 22% | |||||
| 2015년 9월 17–20일 | [https://web.archive.org/web/20151117030658/https://sondage.crop.ca/survey/start/cawi/Rapport%20politique%20-%20Sept%202015.pdf CROP] | 1,000 | 32% | 57% | 11% | 25% | |||||
| 퀘벡 자유당이 2014년 퀘벡 총선에서 당선 (2014년 4월 7일) | |||||||||||
| 퀘벡당이 2012년 퀘벡 총선에서 당선 (2012년 9월 4일) | |||||||||||
| 2011년 5월 9–11일 | [http://www.ledevoir.com/documents/pdf/sondage14mai.pdf Léger Marketing/Le Devoir] | 1,000 | 32% | 68% | ? | 36% | |||||
| 2011년 4월 13–20일 | [https://web.archive.org/web/20110428074456/http://www.crop.ca:80/sondages/pdf/2011/117250evolutionpolitiquecropavril2011.pdf CROP] | 1,000 | 36% | 49% | 14% | 13% | |||||
| 2009년 5월 23–25일 | [https://web.archive.org/web/20160317004941/http://www.leger360.com/admin/upload/publi_pdf/095251FR.pdf/ Léger Marketing] | 1,053 | 41% | 59% | ? | 18% | |||||
| 퀘벡 자유당이 2008년 퀘벡 총선에서 당선 (2008년 12월 8일) | |||||||||||
| 2006년 12월 4–5일 | [https://web.archive.org/web/20070605013731/http://legermarketing.com/documents/pol/061206fr.pdf/ Léger Marketing] | 602 | 46% | 54% | ? | 8% | |||||
| 2005년 4월 20–24일 | [https://www.ledevoir.com/non-classe/80417/souverainete-un-oui-a-54 Le Devoir/The Globe and Mail] | 1,008 | 54% | 46% | ? | 8% | |||||
퀘벡 독립 운동은 퀘벡을 독립 국가로 만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독립주의자', '주권주의자', '분리주의자' 등의 용어가 사용되지만, '주권주의자'는 퀘벡 주권 프로젝트가 캐나다와의 경제적 연계를 유지하면서 정치적 독립을 추구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영어권에서는 '분리주의자'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3. 주요 쟁점
퀘벡 주권의 개념은 퀘벡인의 민족주의적 비전과 역사적, 사회적 현실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한다. 2006년 캐나다 하원은 "퀘벡인들이 통합된 캐나다 내에서 국가를 형성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퀘벡 국회도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주권주의자들은 퀘벡인들의 발전이 정치적 독립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퀘벡이 주권 국가가 되어 독립적인 민주 정치 제도를 통해 스스로를 통치하고, 캐나다 연방 정부의 간섭 없이 대외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퀘벡 독립의 정당성은 퀘벡의 독특한 문화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다수(주 인구의 78%)가 영어를 사용하는 문화에 동화될 위협을 받기 때문에, 언어와 정체성, 문화를 보존하는 최선의 방법은 독립적인 정치 실체를 만드는 것이라는 역사적, 민족주의적 주장에 기반한다.[17][18]
퀘벡의 정치 지형은 좌우 스펙트럼을 아우르며, 사회 민주주의적 정치 의제에 대한 유보에도 불구하고 많은 보수적인 퀘벡인들이 주권 문제 때문에 퀘벡당을 지지한다.
크리족과 이누이트 등 다양한 퀘벡 원주민들은 퀘벡 독립에 반대해 왔다.[27][28][29]
3. 1. 언어와 문화
퀘벡 독립의 정당성은 역사적으로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퀘벡의 독특한 문화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다수(주 인구의 78%)가 나머지 캐나다 또는 프랑스 본토와 마찬가지로 영어를 사용하는 문화에 의해 동화될 위협을 받고 있으며, 언어, 정체성 및 문화를 보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를 창설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7][18] 퀘벡의 가톨릭교도 다수를 감안할 때, 종교적 차이와 같은 다른 구별되는 요소들도 퀘벡주의 당(Parti Québécois)이 옹호하는 분리 또는 민족주의적 사회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8개의 캐나다 주는 압도적으로(95% 이상) 영어를 사용하며, 뉴브런즈윅주는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구사 지역이며 약 3분의 1이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또 다른 근거는 반 퀘벡 정서에 대한 반감에 기반한다.[19]
2021년, 퀘벡의 프랑수아 르고의 퀘벡 미래 연합 정부는 프랑스어 헌장과 퀘벡 헌법을 개정하여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더욱 강력하게 자리매김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응하여 블록 퀘베쿠아는 르고의 이니셔티브의 합헌성을 지지하는 하원 동의안을 발의했다. 하원은 해당 동의안을 281–2로 통과시켰으며, 기권은 36건이었다.[12]
주권은 퀘벡의 영어 사용 공동체나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1995년 국민투표에서 프랑스어 사용자의 약 60%가 찬성표를 던졌으며, 아이티, 아랍 및 라틴 아메리카 커뮤니티에서 매우 미약한 지지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비 프랑스어 사용자는 압도적으로 반대표를 던졌다. (퀘벡의 언어 인구 통계 참조). 주권 운동의 반대자들은 이 프로젝트를 민족적으로 배타적이며, 비 프랑스어 사용자를 거부하고, 영어 사용을 억압하며, 퀘벡에 대한 역사적인 영어 사용자의 기여를 부정하려는 시도로 본다.
3. 2. 정치적 자결권
주권주의자들은 퀘벡인들의 집단적 발전이 정치적 독립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퀘벡이 주권 국가가 되어 주민들이 독립적인 민주적 정치 제도로 스스로를 통치하고, 캐나다 연방 정부의 관여 없이 대외 관계를 수립하며 국제 조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
퀘벡인들은 의회주의를 통해 현재 퀘벡 주에 대한 일정 수준의 민주적 통제권을 갖는다. 그러나 퀘벡은 캐나다 연방 내에서 완전한 국가 정부의 헌법적 권한을 갖지 못한다. 또한 퀘벡과 연방 정부의 정책은 종종 충돌한다. 퀘벡의 주권주의자 및 연방주의자 엘리트, 그리고 영국계 캐나다와의 상충된 이해관계는 캐나다 연방 시스템 개혁 시도를 번번이 실패시켰다(특히 미치 호수 협정 및 샬럿타운 협정 실패).[2]
3. 3. 경제적 문제
퀘벡이 독립하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뉴브런즈윅주, 노바스코샤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는 캐나다의 월경지가 된다. 원주민이 많은 노르뒤퀘벡과 코트노르(Côte-Nor)의 북부 지역을 캐나다에 잔류시키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는 나머지 캐나다와 연결된다.[2]
1980년 퀘벡 주민투표에서 퀘벡 주민들에게 주권 연합이 제안되었다. 당시 퀘벡은 캐나다와의 경제 관계에서 캐나다-퀘벡 간 자유 무역, 수입에 대한 공동 관세, 공동 통화를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주권 연합을 홍보했다. 또한 이러한 경제적 합의를 관리하기 위한 공동 정치 기구 설립도 제안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퀘벡 유권자의 60%가 반대하여 부결되었다.[2]
1995년 퀘벡 주민투표에서는 주권 옵션이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다. 당시 캐나다와의 어떤 형태의 경제적 연합(예: 캐나다 달러와 군대의 지속적인 사용)이 여전히 예상되었고, 이는 "주권-파트너십"(souveraineté-partenariat|주권-파트너십프랑스어)이라고 불렸다.[9]
한 연구에 따르면 퀘벡 분리주의 정부는 다른 국가의 독립 운동에서 때때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큰 경제적 악영향을 퀘벡에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폭력 사태가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30]
4. 관련 단체 및 인물
퀘벡 독립운동과 관련된 단체는 다음과 같다.
- '''퀘벡인 민족 운동(Mouvement national des Québécois et des Québécoises, MNQ)''': 19개 단체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퀘벡인의 정체성과 퀘벡의 언어, 역사, 문화 및 유산을 옹호하고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5][16]
 
| MNQ 소속 단체 | 
|---|
- '''노동 조합''':
 - * 퀘벡 전국 노조 연맹(Confédération des syndicats nationaux)
 - * 퀘벡 노조 연맹(Centrale des syndicats du Québec)
 - * 퀘벡 노동자 연맹(Fédération des travailleurs et travailleuses du Québec)
 - * 예술가 노동 연맹(Union des artistes)
 
- '''언론''':
 - * 퀘벡 코르(Québecor)
 - * 르 쥐르날 드 몽레알(Journal de Montréal)
 - * 르 쥐르날 드 퀘벡(Journal de Québec)
 - * 그루프 TVA(Groupe TVA)
 - * Le Devoir|르 드부아르프랑스어
 - * L'Action nationale|라크시옹 나시오날프랑스어
 - * L'aut'journal|로토르날프랑스어
 - * Le Couac|르 쿠악프랑스어
 - * Souverainete la solution|수베레니테 라 솔루시옹프랑스어
 - * La Gauche|라 고슈프랑스어
 - * Le Mouton noir|르 무통 노르프랑스어
 - * Le Québécois|르 퀘베쿠아프랑스어
 - * 퀘벡 라디오(Québec-Radio)
 - * Vigile|비질프랑스어
 
4. 1. 정당
- 퀘벡 블록(Bloc Québécois) - 연방 정당
 - 퀘벡당(Parti Québécois) - 주 정당
 - 퀘벡 연대(Québec solidaire) - 주 정당
 - 퀘벡 마르크스-레닌주의당(Marxist–Leninist Party of Quebec) - 주 정당
 
'''퀘벡 독립을 위한 네트워크 (RCI)'''는 여러 회원 단체[13][14]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며, 모두 초당파적이다. RCI는 퀘벡의 독립을 촉진하고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히고 있다. 회원 단체는 다음과 같다.
- 퀘벡 민족 독립 연합(Rassemblement pour l'indépendance nationale, RIN) (1960-1968) - 정치 운동
 - 퀘벡 해방 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FLQ) (1963-1972) - 무장 단체 네트워크
 - 기독교 민족주의당(Parti nationaliste chrétien, PNC) (1967-1969) - 종교적 성향의 지방 정당
 - Le Jour|르 주르프랑스어 (1974-1978) - 신문
 - 민중 연합(Union Populaire) (1979-1980) - 연방 정당
 - 퀘벡 민족주의당(Parti nationaliste du Québec) (1983-1987) - 연방 정당
 - 독립당 (1985-1990)(Parti indépendantiste) - 지방 정당
 - 퀘벡 민주 행동(Action démocratique du Québec) (1994-2012) – 퀘벡 자유당에서 분리된 지방 정당으로, 궁극적으로 퀘벡 미래 연합에 합병되었다. 원래 주권주의 정당이었으나, 이후 자치를 지지했다.
 - 퀘벡 민족 해방 운동(Mouvement de libération nationale du Québec) (1995-2000) - 독립 지지 시위 및 행사 조직 단체
 - SPQ 리브르(SPQ Libre) (2005-2010) - 한때 퀘벡당 내에서 활동했던 정치 클럽
 - 독립당(Parti indépendantiste) (2008-2018) - 지방 정당
 - 누벨 알리앙스 퀘벡-캐나다(Nouvelle Alliance Québec-Canada) (2009-2011) - 지방 정당
 - 옵시옹 나시오날(Option nationale) (2011-2018) - 지방 정당으로, 퀘벡 연대와 합병되었다.
 - 퀘벡 드부(Québec debout) (2018) - 의원 그룹
 
4. 2. 주요 인물
- 레이몽 바르보(Raymond Barbeau): 1957년 1월 25일, 퀘벡 독립을 위한 최초의 조직인 로렌시안 동맹(Alliance Laurentienne)을 설립했다.
 - 피에르 부르골트(Pierre Bourgault): 1960년 9월 10일에 설립된 퀘벡 독립을 위한 집회(Rassemblement pour l'indépendance nationale, RIN)의 지도자였다.
 - 라울 로이(Raoul Roy): 1960년 8월 9일, 퀘벡 독립을 위한 사회주의 행동(Action socialiste pour l'indépendance du Québec, ASIQ)을 결성했다. ASIQ의 "독립 + 사회주의" 프로젝트는 퀘벡 해방 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FLQ)의 정치적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었다.
 - 마르셀 샤푸(Marcel Chaput): RIN 회원으로, 1962년 퀘벡 총선 직후 단명한 퀘벡 공화당(Parti républicain du Québec)을 창당했다.
 - 조르주 쇼이터(Georges Schoeters), 레이몽 빌뇌브(Raymond Villeneuve), 가브리엘 뤼동(Gabriel Hudon): 저항 네트워크의 일원이었던 퀘벡 독립을 위한 집회 회원 3명으로, 1963년 2월 퀘벡 해방 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FLQ)을 창설했다.
 - 샤를 드골(Charles de Gaulle): 프랑스 대통령으로, 1967년 6월 캐나다 국빈 방문 중 몬트리올 시청 발코니에서 "자유 퀘벡 만세!프랑스어"를 외쳤다.
 - 르네 레베크(René Lévesque): 전 자유당 각료로, 1967년 10월 당 대의원 회의에서 주권 문제를 논의하는 것을 거부하자 당을 떠나 주권-연합 운동(Mouvement souveraineté-association)을 결성했다. 이후 1968년 퀘벡 당(Parti Québécois, PQ)을 창당했다.
 - 제임스 크로스(James Cross): 1970년 10월 위기 당시 FLQ에 의해 납치된 영국 무역 위원이었다.
 - 피에르 라포르트(Pierre Laporte): 1970년 10월 위기 당시 FLQ에 의해 납치되어 살해된 퀘벡 노동부 장관이었다.
 - 자크 파리조(Jacques Parizeau): 1969년 9월 19일 퀘벡 당에 합류했으며, 1994년 선거에서 퀘벡당을 이끌고 집권하여 1995년 퀘벡 주민투표를 추진했다.
 - 제롬 프루(Jérôme Proulx): 유니온 나시오날 소속이었으나, 1969년 11월 11일 퀘벡 당에 합류했다.
 - 앙드레 마르샹(André Marchand (politician)): 1970년 주 의회 선거에서 르네 레베크를 몬트 로열에서 이긴 자유당 소속 정치인이었다.
 - 루시앙 부샤르(Lucien Bouchard): 전 진보 보수당 연방 각료로, 미치 호수 협정 실패 이후 주권주의 연방 정당인 퀘벡 블록(BQ)을 결성했다.
 - 하디알 베인스(Hardial Bains): 캐나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 대표로, 1995년 퀘벡의 미래에 관한 왕립 위원회에서 퀘벡이 독립 공화국을 선언할 것을 권고했다.
 - 폴린 마로이스(Pauline Marois): 퀘벡당의 지도자로, 그녀의 리더십은 분열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 프랑수아 르고(François Legault): 2021년, 퀘벡의 프랑수아 르고의 퀘벡 미래 연합 정부는 프랑스어 헌장과 퀘벡 헌법을 개정하여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더욱 강력하게 자리매김할 것을 제안했다.
 
5. 국제 관계
퀘벡 독립 운동은 국제 관계에서도 중요한 쟁점이었다. 캐나다의 다른 주들은 대체로 퀘벡의 주권 주장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퀘벡 독립 운동과 관련하여, 이미 하위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만 제시한다.
- 프랑스는 퀘벡 독립 운동을 지지하고 격려해 왔다. 샤를 드 골 대통령은 "자유 퀘벡 만세!"를 외치며 퀘벡 독립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31]
 - 미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캐나다와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하여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5. 1. 프랑스와의 관계
퀘벡 독립 운동은 프랑스의 지원과 격려를 받아왔다."자유 퀘벡 만세!" 선언의 저자인 샤를 드 골 장군은 이 운동을 지지한 대표적인 인물이다.[31] 이 선언은 퀘벡의 독립을 지지하고, 프랑스가 캐나다를 잃은 역사적 영향에 민감했던 드 골 장군의 생각과 일치한다.
1965년 9월, 드 골 장군은 알랭 페이레피트에게 "프랑스계 캐나다의 미래는 독립입니다. 프랑스계 캐나다 공화국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알랭 페이레피트에 따르면, "퀘벡 주권이 어떤 형태를 취할지 미리 판단하지 않고, 프랑스를 구원한 역사적 감각을 지닌 드 골은 1967년 7월 몬트리올로 가서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에게 프랑스 정체성을 보존하도록 촉구했다. 루이 15세 치하에서 프랑스 엘리트들의 무관심은 이를 잃게 만들었다."[32]
오타와의 프랑스 대사가 프랑스를 캐나다의 100주년에 연관시키는 것을 제안했을 때, 드 골은 1966년 12월 6일자 부기에서 다음과 같이 답했다. "캐나다의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낼 생각은 없습니다. 현재 캐나다 전체와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프랑스계 캐나다와 훌륭한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그러나 과거의 패배와 프랑스인의 일부가 영국으로 통합된 것을 기반으로 한 '국가'의 창조에 대해 캐나다인이나 우리 스스로를 축하해서는 안 됩니다. 덧붙여, 이 전체가 매우 위태롭게 되었습니다."[33]
프랑스 외무부의 현재 모토는 퀘벡의 국가 문제에 대한 프랑스 국가의 공식 입장을 "''비간섭 및 무관심''" ("불간섭과 무관심")으로 표현한다. 즉, 퀘벡이 캐나다 내에 머무는 동안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현 상태의 캐나다 연방을 지지한다.[34]
전 프랑스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는 퀘벡이 캐나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35][36] 이 입장은 사르코지의 후임자인 프랑수아 올랑드 하에서 프랑스 외무부의 견해로 다시 바뀌었다.[37]
5. 2. 미국과의 관계
미국은 퀘벡 독립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상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미국과 캐나다의 관계가 여러 수준에서 특혜를 받기 때문에 현상 유지를 선호한다. 1995년 국민투표에서 독립이 승리할 경우 워싱턴은 "캐나다인들이 아직 미래의 헌법적 합의를 마련하지 않았으므로 퀘벡을 인정하는 문제는 시기상조"라고 밝힐 것이다.[38] 따라서 독립이 이루어질 경우 미국은 소극적으로 캐나다 자체가 퀘벡 주를 인정할 때까지 기다릴 것으로 여겨진다.르네 레베크가 이끌었던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주권주의자들은 퀘벡의 독립을 1776년 미국이 미국 독립 혁명을 통해 영국에 대항한 것과 동일시했기 때문에 미국의 동정을 쉽게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20세기 미국인들에게 퀘벡 분리주의는 그들의 역사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사건인 미국 남북 전쟁과 더 유사했다. 게다가 미국 용광로의 건국 신화는 그들을 주 내부의 민족주의에 대한 어떠한 생각에도 저항하게 만들었다.
장-프랑수아 리세|Jean-François Lisée프랑스어는 "용광로, 남북 전쟁. 퀘벡 민족주의자들을 미국의 사회, 심지어 좌파, 심지어 지식인들로부터 분리시키는 두 개의 이념적 장벽[39]." 이라고 언급하였다.
존 F. 케네디는 이러한 전망에 열린 유일한 미국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매사추세츠주 로웰의 교구 신부인 아르망 모리셋은 그에게 퀘벡에 독립 운동이 있다는 것을 알렸다. 케네디는 상원에 진출하기 위해 매사추세츠의 대규모 프랑스계 캐나다인 커뮤니티의 표를 얻고 싶어했고, 그래서 확신에 찬 독립주의자이기도 했던 모리셋 신부와 접촉했다. 케네디는 미국 독립이 아니라, 자신이 아일랜드계였기에 비교적 최근의 일이었던 (1922년) 아일랜드 독립과 유사성을 그렸다. 케네디 가문은 친프랑스적이었으며, 미래의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민족 자결주의를 위해 투쟁했다. 그러나 대통령 재임 기간(1960-1963) 동안 케네디는 이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었다.[40]
6. 문제점
퀘벡 독립 운동은 퀘벡을 독립 국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독립주의자', '주권주의자', '분리주의자'라고 부르지만, '분리주의자'라는 용어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퀘벡 주권의 개념은 퀘벡인들의 민족주의적 비전과 역사적, 사회적 현실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한다.
주권주의자들은 퀘벡이 주권 국가가 되어야 퀘벡인들이 스스로를 통치하고 국제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고 믿는다. 캐나다 연방 내에서 퀘벡은 완전한 헌법적 권한을 갖지 못하고, 퀘벡과 연방 정부의 정책이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충돌은 미치 호수 협정, 샬럿타운 협정 등 캐나다 연방 시스템 개혁 시도의 실패로 이어졌다.
퀘벡 독립 운동은 정치 운동인 동시에 문화적, 사회적 관심사이기도 하다. 주권주의자들은 독립을 통해 퀘벡인들이 북미 내에서 퀘벡 문화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고, 퀘벡 문화와 집단 기억을 문화 전유로부터 보호하며, 프랑스어를 보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es Patriotes de 1837@1838 – Adresse des Fils de la Liberté (1837). Présentation et annotation de M. Daniel Latouche (Le Manuel de la parole)
 
http://www.1837.qc.c[...] 
2021-03-19
 
[2] 
뉴스
 
Parti Québécois first elected 35 years ago today
 
http://montreal.ctvn[...] 
CTV News (Montreal)
 
2017-10-25
 
[3] 
서적
 
The Economics of the Common Market
 
[4] 
웹사이트
 
Brief to the Outaouais Commission on the Future of Quebec
 
http://www.mlpc.ca/b[...] 
Marxist-Leninist Party of Canada
 
2009-02-08
 
[5] 
웹사이트
 
I'm voting
 
http://www.elections[...] 
Le Directeur Général des Elections du Québec
 
2010-09-22
 
[6] 
간행물
 
L'année politique au Québec 1997–1998 Les tendances du vote 1985–1995 Université du Québec à Montréal
 
[7] 
웹사이트
 
I'm voting
 
http://www.dgeq.gouv[...] 
Le Directeur Général des Elections du Québec
 
2010-09-22
 
[8] 
뉴스
 
Provinces Brainstorm on Issue of Quebec Secession
 
https://www.latimes.[...] 
2019-07-08
 
[9] 
웹사이트
 
Separation from Canada Unlikely for a Majority of Quebecers
 
http://www.docstoc.c[...] 
Angus Reid
 
2009-06-09
 
[10] 
뉴스
 
Sondage Léger Marketing-Le Devoir – L'appui à la souveraineté ne fléchit pas
 
https://www.ledevoir[...] 
2011-03-24
 
[11] 
웹사이트
 
New Movement For Quebec: Prominent Sovereigntists Publish Manifesto, Slam PQ As Spent Force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7-10-25
 
[12] 
뉴스
 
Bloc Québécois motion acknowledging Quebec's Bill 96 passes 281–2
 
https://montrealgaze[...] 
2021-06-18
 
[13] 
웹사이트
 
L'organisation – Cap sur l'indépendance
 
https://capsurlindep[...] 
2024-08-24
 
[14] 
웹사이트
 
Membres du réseau - CAP SUR L'INDÉPENDANCE
 
https://www.capsurli[...] 
2024-08-24
 
[15] 
웹사이트
 
Mouvement national des Québécoises et Québécois – Fier coordonnateur de la Fête nationale depuis 1984
 
https://mnq.quebec/ 
2024-08-24
 
[16] 
웹사이트
 
Sociétés membres {{!}} Mouvement national des Québécoises et Québécois
 
https://mnq.quebec/s[...] 
2024-08-24
 
[17] 
웹사이트
 
Statistics on Official Languages in Quebec
 
http://www.ocol-clo.[...]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10-06-21
 
[18] 
웹사이트
 
Pourquoi faire la souveraineté?
 
http://pq.org/souver[...] 
Parti Québécois
 
2010-09-22
 
[19] 
서적
 
Is Quebec Nationalism Just?: Perspectives from Anglophone Canad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
 
http://www.pourunque[...] 
[21] 
저널
 
Then and Now, For the Land
 
[22] 
웹사이트
 
Claims to Identity in Determining Resources for Indigenous Social Movements in Canada
 
https://www.u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2011-03-05
 
[23] 
문서
 
ABORIGINAL PEOPLES AND THE 1995 QUEBEC REFERENDUM: A SURVEY OF THE ISSUES
 
http://www2.parl.gc.[...] 
Parliamentary Research Branch (PRB) of the Library of Parliament
 
2016-01-26
 
[24] 
문서
 
50 Percent Plus One Vote Insufficient
 
http://www.gcc.ca/ar[...] 
The Grand Council of the Crees
 
2018-02-25
 
[25] 
저널
 
Challenging the Citizenship Regime: The James Bay Cree and transnational action
 
[26] 
문서
 
Cree Legal Struggle Against the Great Whale Project
 
http://www.gcc.ca/ar[...] 
The Grand Council of Crees
 
2016-12-22
 
[27] 
뉴스
 
QUEBEC'S NATIVES ALMOST UNANIMOUS' IN OPPOSITION TO SECESSION FROM CANADA
 
https://www.washingt[...] 
2023-08-08
 
[28] 
웹사이트
 
First Nations weigh in on Quebec sovereignty debate
 
https://www.cbc.ca/n[...] 
2023-08-08
 
[29] 
뉴스
 
Quebec Mohawks likely to declare own independence if PQ wins sovereignty referendum: Grand Chief
 
https://nationalpost[...] 
2023-06-30
 
[30] 
저널
 
Love on the rocks: The causal effects of separatist governments in Quebec
 
https://www.scienced[...] 
2023-03-09
 
[31] 
뉴스
 
'Vive le Québec libre!'
 
http://www.cbc.ca/ar[...] 
CBC News
 
2012-07-24
 
[32] 
서적
 
" De Gaulle : Il y aura une République française du Canada "
 
Les cahiers d'histoire du Québec au XXe siècle
 
1997
 
[33] 
서적
 
Lettres, notes et carnets; Compléments 1908-1968
 
Plon
 
1969–1970
 
[34] 
저널
 
À la demande du Québec : la diplomatie québécoise de la France de 1969 à 1980 (Note)
 
[35] 
뉴스
 
Sarkozy répudie le "ni-ni" sans ambiguïté
 
https://www.ledevoir[...] 
2010-07-02
 
[36] 
뉴스
 
Sarkozy's sovereignty comments spark anger in Quebec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10-11-08
 
[37] 
웹사이트
 
France revives neutral policy on Quebec independence
 
http://www.cbc.ca/ne[...] 
The Canadian Press
 
2015-10-20
 
[38] 
뉴스
 
Washington n'aurait pas reconnu immédiatement un Québec indépendant en 1995
 
https://www.lapresse[...] 
2014-03-14
 
[39] 
서적
 
La tentation québécoise de John F. Kennedy
 
Carte blanche
 
2020-01-01
 
[40] 
서적
 
La tentation québécoise de John F. Kennedy
 
Carte blanche
 
2020-01-01
 
[41] 
문서
 
http://jacs.jp/modul[...] 
[42] 
문서
 
ケベック分離独立運動
 
https://kotobank.jp/[...] 
[43] 
문서
 
独立目指すケベックの背後にフランスの影
 
http://www.tanakanew[...] 
[44] 
문서
 
ケベック独立運動
 
http://bluejays.we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