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구예바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 슈마디야 지역의 중심 도시로, "검독수리의 둥지"라는 뜻의 지명을 가지고 있다. 이 도시는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1818년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로 지정되어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세기에는 군수 산업의 발달로 산업 도시로 성장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산업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도시 중 하나이며, 자동차, 무기 제조, 대학, 문화 시설 등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수보티차
수보티차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으며, 헝가리,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교통, 문화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크라구예바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역 | 슈마디야 서부 세르비아 |
행정 구역 | 슈마디야 구 |
시장 | 니콜라 다시치 |
지리 | |
면적 (도시) | 82.83 제곱킬로미터 |
면적 (행정 구역) | 835 제곱킬로미터 |
고도 | 173 미터 |
인구 | |
인구 (2022년) | 171186명 |
도시 인구 (2022년) | 146315명 |
역사 | |
설립 | 1476년 이전 |
행정 | |
우편 번호 | СРБ-34 000 |
지역 번호 | +381 34 |
차량 번호판 | KG |
기타 |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 | CEST (UTC+2) |
웹사이트 | 크라구예바츠 공식 웹사이트 |
ISO 코드 | SRB |
2. 역사
크라구예바츠(Kragujevac)라는 이름은 세르비아어로 검독수리를 뜻하는 '크라구이'(kraguj)에서 유래했다. 중세 시대에 이 새는 이 지역 숲에서 흔히 볼 수 있었고, 사냥에도 이용되었다. 도시 이름은 '크라구이의 탑'을 의미하며, 이 새는 도시의 문장에도 등장한다.[4]
==== 초기 역사 및 중세 ====
슈마디야 지역에는 200곳이 넘는 고고학 유적지가 있으며, 이 지역 최초의 인류 정착은 구석기 시대인 약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바토치나 방향 그라다츠 마을 근처 예리나 동굴은 약 3만 7천 년 전부터 2만 7천 년 전까지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5000년경의 움집은 그리바츠, 쿠소바츠, 디보스틴, 도녜 그르비체, 도브로보디차 등 도시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5] 이 유물들은 레페니차 강과 그루자 강 유역을 따라 퍼져나간 신석기 시대 스타르체보 문화에 속한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은 '디보스틴케'("디보스틴의 소녀들")라고 불리는 다산 여신상이다.[6]
서기 9년 로마 제국 정복 당시 이 지역에는 다르다니족을 포함한 일리리아인과 스코르디스키족을 포함한 켈트족이 주로 거주했다.[5] 6세기 후반과 7세기 초에는 훈족과 게르만족 부족의 침입과 함께 대규모 슬라브족의 습격과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불가리아 제국과 동로마 제국이 약화되자 통합된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대공 스테판 네마냐가 1198년에서 1199년 사이에 이 지역을 점령했다. 스테판 네마냐 정복 당시 이 지역이 밀집 지역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지만, 중세 세르비아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5]
도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76년 오스만 제국의 토지 조사(데프터(''defter''))에 등장하며, 당시 도시는 스메데레보 산자크에 편입되었다.[7] '크라구이포차'로 언급된 이 정착지는 오스만 정복 후, 이전에 시장으로 사용되었던 광장과 32채의 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주변 지역은 대부분 황폐했고, 한때 지역을 지배했던 숲조차 불에 탔다. 그러나 같은 세기 말 오스만 행정부는 도시 지역을 서서히 재정착하기 시작했고, 1536년 토지 조사에 따르면 도시에는 총 56채의 집이 있는 7개의 무슬림 마을(마할라(''mahalas''))과 29채의 집이 있는 기독교 공동체가 있었다. 레페니차 강 왼쪽 기슭에는 모스크가 세워졌다.[5][8]
도시 이름 크라구예바츠(Kragujevac)는 옛 세르비아어 "kraguj"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매와 같은 조류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매의 둥지가 있는 곳"을 의미한다. 오래된 지도에는 "Krakow"라는 명칭이 나타난다. 크라구예바츠는 15세기부터 터키 문서에 "크라구예브드자(Kragujevdza) 마을"로 언급되어 있다.
====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간 분쟁 ====
크라구예바츠는 터키 지배하에 통합된 직후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략적 국경 지대에 위치하여 근대에 빈번한 분쟁 지역이 되었다.[5] 대터키 전쟁 당시, 바덴-바덴 변경백 루이 휘하의 오스트리아군은 터키군을 도시 남쪽 멀리까지 밀어붙였다. 이 점령은 단명했지만, 이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통합된 지배는 끝을 고했다.[5] 1718년에 크라구예바츠는 사보이 공 에우제니오의 정복과 파사로비츠 조약의 체결에 따라 합스부르크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5]
오스트리아 점령하에 크라구예바츠는 요새화되었고, 무슬림 인구는 쫓겨났으며, 우스코크 도시가 되었다. 그곳에는 국민군 소속의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들과 그들의 가족들만이 거주했다. 또한 오스만 국경 바로 옆에 있는 지역 중 하나였기 때문에 우스코크 부대(국경을 지키는 14개 부대 중 하나)의 통제를 받았고, 군사 관할권 하에 있었다.[5] 따라서 그 지도자는 세르비아 군 장교이자 세르비아 민병대의 차석인 스타니샤 마르코비치 믈라티슈마였다. 1725년에 크라구예바츠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흡혈귀 사례가 발생했는데, 두 명의 흡혈귀로 의심되는 자들이 42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9] 합스부르크가 지배하는 세르비아 왕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한 후 세르비아어 단어 "vampir"가 독일어에, 나중에는 다른 세계 언어에 들어왔다.[10] 1739년에 오스만 제국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하고 1789년에 같은 적에게 다시 빼앗겼기 때문에, 이 도시는 새로운 지배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세르비아 반란군의 지배였다.[11]
==== 세르비아 혁명과 수도 시절 ====
크라구예바츠는 터키 지배하에 통합된 직후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략적 국경 지대에 위치하여 근대에 빈번한 분쟁 지역이 되었다.[5][11] 대터키 전쟁 당시, 바덴-바덴 변경백 루이 휘하의 오스트리아군이 터키군을 도시 남쪽 멀리까지 밀어붙였으나, 이 점령은 단명했다.[5][11] 1718년, 사보이 공 에우제니오의 정복과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에 따라 합스부르크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5][11]
오스트리아 점령하에 크라구예바츠는 요새화되었고, 무슬림 인구는 쫓겨났으며, 우스코크(우스코크) 도시가 되었다.[9] 1725년에는 크라구예바츠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흡혈귀 사례가 발생했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세르비아어 단어 "vampir"가 독일어를 거쳐 다른 세계 언어에 들어왔다.[10] 1739년 오스만 제국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가 1789년에 다시 빼앗겼다.[5][11]
오스만 제국의 스메데레보 산자크 중심지였던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 혁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1804년 4월 5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처음으로 해방되었고,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최종적으로 해방되었다. 1818년 5월 6일,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는 브라체프슈니차 수도원에서 크라구예바츠를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로 선포하고 레페니차 강 좌안에 왕궁을 건설했다. 아미자 코낙은 그 건물 단지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12] 세르비아 공국의 최초 기관들(최초의 법원, 제1김나지움, 세르비아 공국 극장)이 크라구예바츠에 설립되었다.[12] 1835년 9월 15일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헌법인 스레테네 헌법이 선포되었는데, 이는 당시 프랑스와 벨기에 헌법을 모델로 한 가장 자유로운 유럽 헌법 중 하나였다.
크라구예바츠는 수도로서 현대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세르비아의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김나지움과 같은 중등 학교, 최초의 약국, 인쇄소 등 중요한 기관들이 설립되었고, 많은 국제적인 학자, 교수, 과학자, 정치인들이 모여들었다.
==== 산업 발전 ====
1841년 수도가 베오그라드로 이전되었지만, 크라구예바츠는 19세기 후반 산업 도시로 성장하며 중요성이 커졌다.[13] 1835년 도시 주조 공장 단지 건설을 통해 세르비아 주요 군수품 제조업체인
VTZ 설립 이후, 1858년 최초의 전화 교환국이 설치되었고, 1868년에는 최초의 산업용 양조장이, 1870년에는 최초의 인쇄소가 설립되었다.[5][14] 1886년에는 베오그라드-니시 철도가 건설되어 군수 산업과 철제 쟁기 생산을 세르비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했다.[5][14] 산업 인구를 위해 세르비아 최초의 김나지움(고등학교), 도시 최초의 약국, 최초의 영화관 등이 건설되었다.[5][14] 1891년에는 최초의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다.[5][14] 도시의 산업화는 1876년 2월 27일 ''크르베니 바르야크''('붉은 깃발') 시위와 같은 노동자 시위를 동반했다.[13]
오늘날, VTZ는 세르비아 문화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151개의 개별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31개는 고유한 유산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구 주조 공장, 기계 작업장, 굴뚝, 망루, 레페니차 강 위의 철교,
==== 제1차 세계 대전 ====
제1차 세계 대전 중 크라구예바츠는 1914년부터 1915년까지 다시 세르비아의 수도가 되었고, 많은 국가 기관들이 이곳에 자리 잡았다. 최고 사령부는 법원 건물에 있었다.[5][15]
전쟁 중 크라구예바츠는 인구의 약 15%를 잃었다. 1918년 6월 2일 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71보병 연대 소속 슬로바키아 점령군 병사들이 시내 중심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빅토르 콜리빅(빅토르 콜리비크/Viktor Kolibíksk)이 이끄는 이 병사들은 최근 러시아 포로 수용소에서 돌아왔고, 즉시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반란은 실패했고, 반란자 44명이 처형되었다.[17]
==== 유고슬라비아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에 이 도시는 군둘리치 극장(Gundulić Theatre)과 크라구예바츠 학술 극장(Kragujevac Academic Theatre)의 설립과 여러 새로운 공장 건설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계속했다.[18]
나치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이 도시는 나치의 직접 점령하에 놓였다. 인근 고르니 밀라노바츠에서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체트니크 연합 공격 이후, ''빌헬름 카이텔''(Wilhelm Keitel) 원수는 독일군 부상 병사 1명당 50명, 사망 병사 1명당 100명을 사살할 것을 계산했다. 따라서 프란츠 뵈메(Franz Böhme)는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크라구예바츠 학살에서 19세에서 21세 사이의 남성과 소년 약 2,800명을 사살할 것을 명령했다.[19][20] 사망자들 중에는 도시의 제1 고등학교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고, 오늘날 처형된 학생들을 위한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21]
크라구예바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2,300명에서 5,000명에 달하는 세르비아인과 로마 시민들이 나치 병사들에 의해 학살당한 크라구예바츠 학살(10월 학살)이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발생했다.[72] 학예사 스타니샤 브르키치(Staniša Brkić)는 2007년에 출판한 책에서 2,796명의 희생자 이름을 기록했다.[73] 이 학살은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의 공격에 대한 보복이었다. 처형된 학생들의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이 학살은 데산카 마키시모비치(Desanka Maksimović)가 쓴 ''크르바바 바이카''(''피비린내 나는 동화'')라는 제목의 시에 영감을 주었다.[22] 이 도시는 1944년 10월 21일에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되었다.[5]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라구예바츠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에 이 도시는 군둘리치 극장(Gundulić Theatre)과 크라구예바츠 학술 극장(Kragujevac Academic Theatre)의 설립과 여러 새로운 공장 건설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계속했다.[18]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이 도시는 나치의 직접 점령하에 놓였다. 인근 고르니 밀라노바츠에서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체트니크 연합 공격 이후, 프란츠 뵈메(Franz Böhme)는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크라구예바츠 학살에서 19세에서 21세 사이의 남성과 소년 약 2,800명을 사살할 것을 명령했다.[19][20] 사망자들 중에는 도시의 제1 고등학교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고, 오늘날 처형된 학생들을 위한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21] 이 학살은 데산카 마키시모비치(Desanka Maksimović)가 쓴 ''크르바바 바이카''(''피비린내 나는 동화'')라는 제목의 시에 영감을 주었다.[22] 이 도시는 1944년 10월 21일에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되었다.[5]
전후 시대에 크라구예바츠는 계속해서 산업을 발전시켰다. 주요 생산품은 승용차, 트럭 및 산업용 차량, 사냥용 무기, 산업용 체인, 가죽 및 섬유였다. 가장 큰 산업은 한때 수만 명의 사람들을 고용했던 자스타바 자동차였다.[23] 자스타바 자동차 자동차 회사의 첫 번째 제품인 피아트 750(FIAT 750)은 피아트 자동차(현재 피아트 세르비아)(Fiat Automobiles (now Fiat Serbia))의 라이선스 하에 1955년에 제조되었다. 그 후 30년 동안 500만 대 이상의 승용차(피아트 750, 자스타바 1300, 자스타바 101, 자스타바 128, 자스타바 유고, 유고 플로리다, 피아트 500L)가 제조되어 전 세계 74개국에 판매되었다.[24]
이 도시의 산업은 1990년대 밀로셰비치 시대의 국제 경제 제재로 큰 타격을 입었고, 1999년 나토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일부 지역이 폐허가 되었다.[25] 크라구예바츠(Крагујевац)에서는 산업화가 더욱 진전되었고, 1990년대에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Слободан Милошевић)에 의한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문제로 인해 경제 제재가 가해졌고, 1999년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공습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쇠퇴하였다. 피아트(Fiat)와의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공장은 재개되었지만, 현재 크라구예바츠는 광범위한 실업 문제를 안고 있다. 1976년 이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는 의학, 공학, 법학, 경제학, 문헌학, 자연과학, 수학 등 많은 학부가 있다.
==== 현재 ====
오늘날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의 산업 중심지로 남아 있으며,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유입된 학생과 난민들로 인해 성장해왔다. 2010년 시 정부는 독일 국제협력단(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GIZ)과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2012년 시청은 2030년까지 완료될 중심 시가지의 도시 개발 전략을 채택했다.[13] 2017년 12월 기준으로, 단지 내 많은 시설물이 훼손되었고 레페니차 강(Lepenica)의 우안은 도시계획적으로 방치되어 있다.[13]
제2차 세계 대전 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산업화가 더욱 진전되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버스 등의 여객용 자동차, 트럭, 산업용 차량, 사냥용 총기, 산업용 체인, 가죽, 직물 등이 있다. 도시에서 가장 큰 기업은 자스타바(Застава)로, 1만 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의한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문제로 인해 경제 제재가 가해졌고,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공습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쇠퇴하였다. 피아트(Fiat)와의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공장은 재개되었지만, 현재 크라구예바츠는 광범위한 실업 문제를 안고 있다. 1976년 이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는 의학, 공학, 법학, 경제학, 문헌학, 자연과학, 수학 등 많은 학부가 있다.
2. 1. 초기 역사 및 중세
슈마디야 지역에는 200곳이 넘는 고고학 유적지가 있으며, 이 지역 최초의 인류 정착은 구석기 시대인 약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바토치나 방향 그라다츠 마을 근처 예리나 동굴은 약 3만 7천 년 전부터 2만 7천 년 전까지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5000년경의 움집은 그리바츠, 쿠소바츠, 디보스틴, 도녜 그르비체, 도브로보디차 등 도시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5] 이 유물들은 레페니차 강과 그루자 강 유역을 따라 퍼져나간 신석기 시대 스타르체보 문화에 속한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은 '디보스틴케'("디보스틴의 소녀들")라고 불리는 다산 여신상이다.[6]서기 9년 로마 제국 정복 당시 이 지역에는 다르다니족을 포함한 일리리아인과 스코르디스키족을 포함한 켈트족이 주로 거주했다.[5] 6세기 후반과 7세기 초에는 훈족과 게르만족 부족의 침입과 함께 대규모 슬라브족의 습격과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불가리아 제국과 동로마 제국이 약화되자 통합된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대공 스테판 네마냐가 1198년에서 1199년 사이에 이 지역을 점령했다. 스테판 네마냐 정복 당시 이 지역이 밀집 지역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지만, 중세 세르비아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5]
도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76년 오스만 제국의 토지 조사(데프터(''defter''))에 등장하며, 당시 도시는 스메데레보 산자크에 편입되었다.[7] '크라구이포차'로 언급된 이 정착지는 오스만 정복 후, 이전에 시장으로 사용되었던 광장과 32채의 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주변 지역은 대부분 황폐했고, 한때 지역을 지배했던 숲조차 불에 탔다. 그러나 같은 세기 말 오스만 행정부는 도시 지역을 서서히 재정착하기 시작했고, 1536년 토지 조사에 따르면 도시에는 총 56채의 집이 있는 7개의 무슬림 마을(마할라(''mahalas''))과 29채의 집이 있는 기독교 공동체가 있었다. 레페니차 강 왼쪽 기슭에는 모스크가 세워졌다.[5][8]
도시 이름 크라구예바츠(Kragujevac)는 옛 세르비아어 "kraguj"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매와 같은 조류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매의 둥지가 있는 곳"을 의미한다. 오래된 지도에는 "Krakow"라는 명칭이 나타난다. 크라구예바츠는 15세기부터 터키 문서에 "크라구예브드자(Kragujevdza) 마을"로 언급되어 있다.
2. 2.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간 분쟁
크라구예바츠는 터키 지배하에 통합된 직후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략적 국경 지대에 위치하여 근대에 빈번한 분쟁 지역이 되었다.[5] 대터키 전쟁 당시, 바덴-바덴 변경백 루이 휘하의 오스트리아군은 터키군을 도시 남쪽 멀리까지 밀어붙였다. 이 점령은 단명했지만, 이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통합된 지배는 끝을 고했다.[5] 1718년에 크라구예바츠는 사보이 공 에우제니오의 정복과 파사로비츠 조약의 체결에 따라 합스부르크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5]오스트리아 점령하에 크라구예바츠는 요새화되었고, 무슬림 인구는 쫓겨났으며, 우스코크 도시가 되었다. 그곳에는 국민군 소속의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들과 그들의 가족들만이 거주했다. 또한 오스만 국경 바로 옆에 있는 지역 중 하나였기 때문에 우스코크 부대(국경을 지키는 14개 부대 중 하나)의 통제를 받았고, 군사 관할권 하에 있었다.[5] 따라서 그 지도자는 세르비아 군 장교이자 세르비아 민병대의 차석인 스타니샤 마르코비치 믈라티슈마였다. 1725년에 크라구예바츠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흡혈귀 사례가 발생했는데, 두 명의 흡혈귀로 의심되는 자들이 42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9] 합스부르크가 지배하는 세르비아 왕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한 후 세르비아어 단어 "vampir"가 독일어에, 나중에는 다른 세계 언어에 들어왔다.[10] 1739년에 오스만 제국이 이 도시를 다시 점령하고 1789년에 같은 적에게 다시 빼앗겼기 때문에, 이 도시는 새로운 지배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세르비아 반란군의 지배였다.[11]
오스만 지배하에 있던 스메데레보 산자크의 중심지였던 크라구예바츠는 불안한 대부분 농촌 지역 세르비아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따라서 이곳은 대족장(vožd) 카라조르제가 이끄는 세르비아인들의 민족적 각성인 세르비아 혁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1804년 4월 5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처음으로 해방된 이 도시는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제국 지배에서 최종적으로 해방되었다.
1818년, 수 세기 동안의 분쟁으로 인해 인구가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라구예바츠는 1818년 5월 6일 밀로시 오브레노비치에 의해 브라체프슈니차 수도원에서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로 선포되었다. 이를 기념하여 그는 레페니차 강 좌안에 왕궁을 건설했다. 아미자 코낙은 그 건물 단지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도시에서 19세기 오스만 건축의 유일한 랜드마크이다.[12] 세르비아 공국의 최초 기관들은 크라구예바츠에 설립되었는데, 여기에는 최초의 법원, 제1김나지움(중등학교) 및 세르비아 공국 극장이 포함된다. 세르비아 최초의 헌법인 스레테네 헌법은 1835년 9월 15일에 이 도시에서 선포되었다. 이것은 당시 프랑스와 벨기에 헌법을 모델로 한 가장 자유로운 유럽 헌법 중 하나였다.
2. 3. 세르비아 혁명과 수도 시절
크라구예바츠는 터키 지배하에 통합된 직후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략적 국경 지대에 위치하여 근대에 빈번한 분쟁 지역이 되었다.[5][11] 대터키 전쟁 당시, 바덴-바덴 변경백 루이 휘하의 오스트리아군이 터키군을 도시 남쪽 멀리까지 밀어붙였으나, 이 점령은 단명했다.[5][11] 1718년, 사보이 공 에우제니오의 정복과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에 따라 합스부르크 세르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5][11]오스트리아 점령하에 크라구예바츠는 요새화되었고, 무슬림 인구는 쫓겨났으며, 우스코크(우스코크) 도시가 되었다.[9] 1725년에는 크라구예바츠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흡혈귀 사례가 발생했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세르비아어 단어 "vampir"가 독일어를 거쳐 다른 세계 언어에 들어왔다.[10] 1739년 오스만 제국이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가 1789년에 다시 빼앗겼다.[5][11]
오스만 제국의 스메데레보 산자크 중심지였던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 혁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1804년 4월 5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처음으로 해방되었고,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최종적으로 해방되었다. 1818년 5월 6일,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는 브라체프슈니차 수도원에서 크라구예바츠를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로 선포하고 레페니차 강 좌안에 왕궁을 건설했다. 아미자 코낙은 그 건물 단지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다.[12] 세르비아 공국의 최초 기관들(최초의 법원, 제1김나지움, 세르비아 공국 극장)이 크라구예바츠에 설립되었다.[12] 1835년 9월 15일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헌법인 스레테네 헌법이 선포되었는데, 이는 당시 프랑스와 벨기에 헌법을 모델로 한 가장 자유로운 유럽 헌법 중 하나였다.
크라구예바츠는 수도로서 현대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세르비아의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김나지움과 같은 중등 학교, 최초의 약국, 인쇄소 등 중요한 기관들이 설립되었고, 많은 국제적인 학자, 교수, 과학자, 정치인들이 모여들었다. 1841년 수도가 베오그라드로 옮겨진 후, 1851년 대포 공장이 설립되어 생산을 시작하면서 경제 개발의 새로운 시대에 들어섰다. 1886년에는 세르비아에서 가장 큰 수출 거점이 되었고, 베오그라드-니슈를 잇는 철도가 크라구예바츠를 통과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베오그라드가 파괴되자 1914년부터 1915년까지 크라구예바츠는 일시적으로 수도가 되었고, 많은 국가 기관들이 그곳을 근거지로 삼았으며 군 최고 사령부도 사법 기관 건물에 있었다. 전쟁 중 크라구예바츠는 인구의 15%를 잃었다.
2. 4. 산업 발전
1841년 수도가 베오그라드로 이전되었지만, 크라구예바츠는 19세기 후반 산업 도시로 성장하며 중요성이 커졌다.[13] 1835년 도시 주조 공장 단지 건설을 통해 세르비아 주요 군수품 제조업체인VTZ 설립 이후, 1858년 최초의 전화 교환국이 설치되었고, 1868년에는 최초의 산업용 양조장이, 1870년에는 최초의 인쇄소가 설립되었다.[5][14] 1886년에는 베오그라드-니시 철도가 건설되어 군수 산업과 철제 쟁기 생산을 세르비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했다.[5][14] 산업 인구를 위해 세르비아 최초의 김나지움(고등학교), 도시 최초의 약국, 최초의 영화관 등이 건설되었다.[5][14] 1891년에는 최초의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다.[5][14] 도시의 산업화는 1876년 2월 27일 ''크르베니 바르야크''('붉은 깃발') 시위와 같은 노동자 시위를 동반했다.[13]
오늘날, VTZ는 세르비아 문화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151개의 개별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31개는 고유한 유산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구 주조 공장, 기계 작업장, 굴뚝, 망루, 레페니차 강 위의 철교,
2. 5.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크라구예바츠는 1914년부터 1915년까지 다시 세르비아의 수도가 되었고, 많은 국가 기관들이 이곳에 자리 잡았다. 최고 사령부는 법원 건물에 있었다.[5][15]전쟁 중 크라구예바츠는 인구의 약 15%를 잃었다. 1918년 6월 2일 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71보병 연대 소속 슬로바키아 점령군 병사들이 시내 중심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빅토르 콜리빅(빅토르 콜리비크/Viktor Kolibíksk)이 이끄는 이 병사들은 최근 러시아 포로 수용소에서 돌아왔고, 즉시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반란은 실패했고, 반란자 44명이 처형되었다.[17]
2. 6. 유고슬라비아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에 이 도시는 군둘리치 극장(Gundulić Theatre)과 크라구예바츠 학술 극장(Kragujevac Academic Theatre)의 설립과 여러 새로운 공장 건설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계속했다.[18]나치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이 도시는 나치의 직접 점령하에 놓였다. 인근 고르니 밀라노바츠에서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체트니크 연합 공격 이후, ''빌헬름 카이텔''(Wilhelm Keitel) 원수는 독일군 부상 병사 1명당 50명, 사망 병사 1명당 100명을 사살할 것을 계산했다. 따라서 프란츠 뵈메(Franz Böhme)는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크라구예바츠 학살에서 19세에서 21세 사이의 남성과 소년 약 2,800명을 사살할 것을 명령했다.[19][20] 사망자들 중에는 도시의 제1 고등학교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고, 오늘날 처형된 학생들을 위한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21]
크라구예바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2,300명에서 5,000명에 달하는 세르비아인과 로마 시민들이 나치 병사들에 의해 학살당한 크라구예바츠 학살(10월 학살)이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발생했다.[72] 학예사 스타니샤 브르키치(Staniša Brkić)는 2007년에 출판한 책에서 2,796명의 희생자 이름을 기록했다.[73] 이 학살은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의 공격에 대한 보복이었다. 처형된 학생들의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이 학살은 데산카 마키시모비치(Desanka Maksimović)가 쓴 ''크르바바 바이카''(''피비린내 나는 동화'')라는 제목의 시에 영감을 주었다.[22] 이 도시는 1944년 10월 21일에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되었다.[5]
전후 시대에 크라구예바츠는 계속해서 산업을 발전시켰다. 주요 생산품은 승용차, 트럭 및 산업용 차량, 사냥용 무기, 산업용 체인, 가죽 및 섬유였다. 가장 큰 산업은 한때 수만 명의 사람들을 고용했던 자스타바 자동차였다.[23] 자스타바 자동차 자동차 회사의 첫 번째 제품인 피아트 750(FIAT 750)은 피아트 자동차(현재 피아트 세르비아)(Fiat Automobiles (now Fiat Serbia))의 라이선스 하에 1955년에 제조되었다. 그 후 30년 동안 500만 대 이상의 승용차(피아트 750, 자스타바 1300, 자스타바 101, 자스타바 128, 자스타바 유고, 유고 플로리다, 피아트 500L)가 제조되어 전 세계 74개국에 판매되었다.[24] 생산된 자동차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자스타바 코랄(Zastava Korral)로도 판매된 유고일 것이다.
이 도시의 산업은 1990년대 밀로셰비치 시대의 국제 경제 제재로 큰 타격을 입었고, 1999년 나토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일부 지역이 폐허가 되었다.[25] 사회 현상으로는 크라구예바츠 극장의 활동이 전간기에 활발해졌다. 최초의 문화 행사는 1918년 크라구예바츠가 해방된 이후였고, 귄두리츠 극장은 설립 후 한 시즌만 활동하고 베오그라드로 이전했다. 1924년에는 베오그라드 연극학교를 본받아 크라구예바츠에도 학교가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크라구예바츠에는 많은 문화 기관이 있었고 중앙 세르비아의 문화적, 산업적 집적지로 발전해 갔다.
2. 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라구예바츠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에 이 도시는 군둘리치 극장(Gundulić Theatre)과 크라구예바츠 학술 극장(Kragujevac Academic Theatre)의 설립과 여러 새로운 공장 건설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계속했다.[18]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이 도시는 나치의 직접 점령하에 놓였다. 인근 고르니 밀라노바츠에서 독일군에 대한 파르티잔-체트니크 연합 공격 이후, 프란츠 뵈메(Franz Böhme)는 194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크라구예바츠 학살에서 19세에서 21세 사이의 남성과 소년 약 2,800명을 사살할 것을 명령했다.[19][20] 사망자들 중에는 도시의 제1 고등학교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었고, 오늘날 처형된 학생들을 위한 기념비는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21] 이 학살은 데산카 마키시모비치(Desanka Maksimović)가 쓴 ''크르바바 바이카''(''피비린내 나는 동화'')라는 제목의 시에 영감을 주었다.[22] 이 도시는 1944년 10월 21일에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되었다.[5]
전후 시대에 크라구예바츠는 계속해서 산업을 발전시켰다. 주요 생산품은 승용차, 트럭 및 산업용 차량, 사냥용 무기, 산업용 체인, 가죽 및 섬유였다. 가장 큰 산업은 한때 수만 명의 사람들을 고용했던 자스타바 자동차였다.[23] 자스타바 자동차 자동차 회사의 첫 번째 제품인 피아트 750(FIAT 750)은 피아트 자동차(현재 피아트 세르비아)(Fiat Automobiles (now Fiat Serbia))의 라이선스 하에 1955년에 제조되었다. 그 후 30년 동안 500만 대 이상의 승용차(피아트 750, 자스타바 1300, 자스타바 101, 자스타바 128, 자스타바 유고, 유고 플로리다, 피아트 500L)가 제조되어 전 세계 74개국에 판매되었다.[24]
이 도시의 산업은 1990년대 밀로셰비치 시대의 국제 경제 제재로 큰 타격을 입었고, 1999년 나토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일부 지역이 폐허가 되었다.[25] 크라구예바츠(Крагујевац)에서는 산업화가 더욱 진전되었고, 1990년대에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Слободан Милошевић)에 의한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문제로 인해 경제 제재가 가해졌고, 1999년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공습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쇠퇴하였다. 이탈리아 자동차 제조업체 피아트(Fiat)와의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공장은 재개되었지만, 현재 크라구예바츠는 광범위한 실업 문제를 안고 있다. 1976년 이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대학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는 의학, 공학, 법학, 경제학, 문헌학, 자연과학, 수학 등 많은 학부가 있다.
2. 8. 현재
오늘날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의 산업 중심지로 남아 있으며,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유입된 학생과 난민들로 인해 성장해왔다. 2010년 시 정부는 독일 국제협력단(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GIZ)과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2012년 시청은 2030년까지 완료될 중심 시가지의 도시 개발 전략을 채택했다.[13] 2017년 12월 기준으로, 단지 내 많은 시설물이 훼손되었고 레페니차 강(Lepenica)의 우안은 도시계획적으로 방치되어 있다.[13]제2차 세계 대전 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산업화가 더욱 진전되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버스 등의 여객용 자동차, 트럭, 산업용 차량, 사냥용 총기, 산업용 체인, 가죽, 직물 등이 있다. 도시에서 가장 큰 기업은 자스타바(Застава)로, 1만 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의한 일련의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문제로 인해 경제 제재가 가해졌고,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공습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쇠퇴하였다. 피아트(Fiat)와의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공장은 재개되었지만, 현재 크라구예바츠는 광범위한 실업 문제를 안고 있다. 1976년 이후 크라구예바츠에서는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크라구예바츠 대학교는 의학, 공학, 법학, 경제학, 문헌학, 자연과학, 수학 등 많은 학부가 있다.
3. 지리 및 기반 시설
크라구예바츠는 해발 180m에 위치해 있다.[26] 도시의 좌표는 북위 44°00'36.3, 동경 20°55'01.9이다. 레페니차 강 계곡에 위치하며, 면적은 835km²이고, 루드니크 산, 츠르니 브르흐 산, 그리고 글레디치 산맥의 비탈로 둘러싸여 있다.[26] 크라구예바츠는 완만한 구릉과 비옥한 과수원으로 특징지어지는 슈마디야(Šumadija) 지역의 전통적인 중심지이다.[26]
3. 1. 지리
3. 2. 도시 경관
크라구예바츠의 건축 양식은 다양한 스타일이 융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건축 양식(현재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음)과 19세기 빈 분리파 양식 건축이 도시 경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7]보다 새로운 건축 양식은 브루탈리즘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크라구예바츠 학살 기념비에서 잘 나타난다.[28]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 지어진 전후 콘크리트 아파트 단지들이 눈에 띈다.[28] 오늘날 유리로 된 사무실 건물들은 도시의 야심찬 사업적 열망을 반영한다.
크라구예바츠의 중요 건축물에는 1818년 밀로시 공의 궁전의 일부로 지어진 "구"(또는 "프리드보리나") 성령 강림 교회,[29] 1859년 최초의 의회 회의가 열렸던 교회 궁전에 지어진 구 의회 건물, 밀로시 공이 주택으로 지은 아미자 코낙(현재 전시관),[30] 1860년에 지역 전통과 유럽 건축 개념을 결합하여 지어진 미하일로 공 코낙(현재 국립 박물관), 1885년부터 1887년 사이에 유럽 양식으로 지어진 문법학교(gimnazija) 등이 있다.
상부(대) 공원은 1898년에 조성되었으며, 10ha가 넘는 녹지와 수령이 오래된 나무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개조된 산책로와 벤치는 휴식, 산책, 휴식을 취하기에 좋은 곳이다.[28] 하부(소) 공원은 도시 중심부, 밀로시 화환 단지 내에 위치해 있으며, 중앙에는 슈마디야 전사 기념비가 있다. 일리나 보다 공원은 1900년에 조성되었으며, 면적은 7ha이다. 작은 폭포가 있는 분수, 작은 개울로 연결된 다섯 개의 미니 호수, 약 100마리의 동물이 있는 작은 동물원, 슈마디야 지역의 다양한 나무들이 있는 정원이 있다.[31]

3. 3. 교통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와 다양한 도로로 연결되는 발달된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고속도로 24번과 25번(세르비아 IB급 도로)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향후에는 판유럽 고속도로 10선 또는 세르비아의 A1 고속도로를 통해서도 접근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170번(바르(Bar), 몬테네그로 경유)과 176번(IIA급 도로)을 통해 인근 야고디나와 고르니밀라노바츠와도 연결된다.[32]크라구예바츠는 거의 모든 도시와 버스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오그라드로 가는 노선은 30분 간격으로 가장 자주 운행된다. 중앙 버스 정류장은 시내 중심부에서 약 1km 떨어져 있다. 크라구예바츠는 기차로도 갈 수 있다. 중앙 기차역은 중앙 버스 정류장 근처에 있다.[33]
크라구예바츠의 대중교통은 시 교통국(GSA)에서 담당한다. 통합 대중교통은 Arriva Litas와 Vulović Transport 두 회사에서 운영한다. 22개의 시내버스 노선과 인근 농촌 지역을 연결하는 14개의 노선이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운행된다.[34] 크라구예바츠에는 7개의 택시 회사와 3개의 렌터카 회사가 운영되고 있다.[35] 10개의 주차장과 구역별 거리 주차(4,244개의 주차 공간을 가진 3개 구역) 시스템은 공공 서비스 기업인 Parking Service Kragujevac에서 운영한다.[36]
3. 4. 기후
크라구예바츠는 습윤 아열대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를 가지고 있으며, 7월 평균 기온은 22.6°C이다.[38][39] 바람은 대부분 남서쪽과 북서쪽에서 불지만, 1월, 2월, 3월에는 남동쪽에서 부는 경우가 많다.[37]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5.7 | 8.2 | 13.1 | 18.4 | 23.0 | 26.9 | 29.3 | 29.6 | 24.3 | 18.8 | 12.7 | 6.5 | 18.0 |
평균 최저 기온 (°C) | -2.4 | -1.3 | 2.0 | 6.1 | 10.5 | 14.4 | 15.9 | 15.6 | 11.6 | 7.2 | 3.3 | -0.9 | 6.8 |
평균 강수량 (mm) | 42.1 | 40.1 | 46.6 | 54.3 | 70.3 | 77.2 | 65.8 | 56.0 | 53.6 | 54.2 | 44.6 | 47.0 | 651.8 |
평균 상대 습도 (%) | 79.5 | 74.9 | 68.5 | 66.6 | 69.4 | 67.7 | 64.2 | 65.3 | 70.7 | 75.4 | 76.7 | 80.8 | 71.6 |
4. 행정 구역
2002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크라구예바츠 시는 다음과 같은 시 자치구로 나뉘었다.
- 아에로드롬
- 피바라(Pivara)
- 스타노보(Stanovo)
- 스타리 그라드
- 스트라가리(Stragari)

크라구예바츠 시의 정주지 목록은 다음과 같다.
5. 인구
크라구예바츠의 인구는 1948년 85,468명에서 1991년 180,084명까지 꾸준히 증가했다.[74] 그러나 2002년에는 175,802명,[74] 2011년에는 179,417명으로 감소했다.[74] 2022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크라구예바츠 시 proper의 인구는 146,315명이며, 행정 구역 인구는 171,186명이다.[40]
2022년 기준, 인구의 약 70% (126,312명)가 15~64세의 생산 가능 인구이다. 2014년에는 42,148명이 취업했으며, 이 중 47.0%가 여성이었다. 취업 인구의 대부분은 금속 가공(22%) 및 의료 및 사회 서비스(13%) 분야에서 일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54.6%가 중등 교육을 받았고, 17.7%는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41]
도시 전체 면적의 약 93%가 상수도 시스템, 78%가 하수도 시스템, 72%가 천연가스 공급망, 92%가 휴대전화 네트워크로 덮여 있다.[42]
2011년과 2022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른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43][44]
민족 | 2011년 인구 | 2022년 인구 |
---|---|---|
세르비아인 | 172,052 | 159,305 |
로마인 | 1,482 | 1,444 |
유고슬라비아인 | 175 | 286 |
몬테네그로인 | 645 | 246 |
마케도니아인 | 297 | 189 |
크로아티아인 | 192 | 114 |
무슬림 | 97 | 58 |
러시아인 | - | 57 |
고라니인 | 101 | 51 |
기타 | 4,376 | 9,436 |
총계 | 179,417 | 171,186 |
6. 정치
크라구예바츠 지방 의회는 87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지방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45]
정당 | 의석 수 |
---|---|
슈마디야를 위한 함께하기-세르비아 연합 지역 | 37 |
세르비아 진보당-크라구예바츠를 움직이자 | 18 |
세르비아 민주당-세르비아 사회민주당 | 12 |
세르비아 사회당-세르비아 연금 수령자 연합당-세르비아 연합 | 10 |
세르비아 자유민주당-세르비아 갱신 운동 | 5 |
세르비아 민주당 | 5 |
7. 경제
크라구예바츠는 2세기 이상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및 무역 중심지였으며, 자동차 및 총기 산업으로 유명하다.[46] 자스타바 자동차(Zastava Automobiles)는 2008년 피아트(Fiat)에 인수되었고, FCA 세르비아(FCA Srbija)가 설립되었다.[46] 피아트에는 마그네티 마렐리(Magneti Marelli)(배기 시스템(exhaust systems) 및 제어판), 존슨 컨트롤즈(Johnson Controls)(자동차 시트 및 내장재), 시짓(열가소성 및 고무 부품), HTL(
크라구예바츠의 무기 제조는 1853년 VTZ 설립으로 시작되었으며,[47] 자스타바 무기(Zastava Arms) 기업을 통해 세르비아의 주요 화기(firearms) 공급업체로 성장했다.[47] 자스타바 무기는 생산품의 95% 이상을 전 세계 4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으며, 세르비아 국방부의 결정에 따라 2003년 세르비아 방위 산업의 일부가 되었다.
Rapp Marine Group(선박, 석유 플랫폼 및 기계 부품), 메글 AG(Meggle AG)(유제품(dairy products)), Unior Components(브로치, 용접 구조(welded construction), 열처리(thermal treatment)), 메트로 캐시 앤 캐리(Metro Cash and Carry), 메르카토르, 플라자 센터(
2016년 12월 기준 세르비아에는 30개의 상업 은행이 운영되었으며,[48] 그중 디렉트나 방카(Direktna Banka)의 본사가 크라구예바츠에 있다.[49] 크라구예바츠 박람회는 2005년에 설립되었으며 무역 및 전시에 1,600m²의 면적과 기타 활동에 1,000m²의 면적을 포함한다.[50] 2017년 9월 기준, 크라구예바츠에는 세르비아에 설립된 14개의 자유 경제 구역(free economic zone) 중 하나가 있다.[51]
2022년 기준 크라구예바츠의 핵심 활동별 법인에 등록된 고용 인원 수는 다음과 같다:[52]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190 |
광업 및 채석업 | 27 |
제조업 | 16,535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 | 760 |
상수도;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원 활동 | 1,030 |
건설업 | 2,411 |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8,322 |
운송 및 보관 | 2,410 |
숙박 및 음식 서비스 | 2,172 |
정보 및 통신 | 1,336 |
금융 및 보험 활동 | 828 |
부동산 활동 | 121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2,365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1,675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2,715 |
교육 | 4,847 |
인간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 | 5,220 |
예술, 오락 및 레크리에이션 | 984 |
기타 서비스 활동 | 866 |
개별 농업 노동자 | 722 |
총계 | 55,537 |
8. 사회와 문화
8. 1. 교육
크라구예바츠에는 초등학교 22개와 중등학교 8개가 있다.[53] 특수학교 3개도 있는데, 청각 장애 아동 학교,[54] "밀로예 밀로예비치 박사" 음악학교,[55] 그리고 장애 아동 학교 "부카신 마르코비치"가 있다.[56]크라구예바츠 대학교는 1976년 5월 21일에 설립되었다. 세르비아에서 네 번째로 큰 대학교이며, 12개의 학부와 2개의 연구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 6개 도시(크라구예바츠, 차차크, 크랄레보, 우지체, 야고디나, 브르냐츠카 바냐)에 분포되어 있다. 현재 약 16,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약 1,35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그중 900명은 교수 및 연구진이다.[57]
크라구예바츠 대학교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과학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주요 이용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이다. 면적은 1500 m2이며, 여러 개의 수장고, 열람실, 대학 갤러리가 있다. 도서관에는 약 10만 권의 책, 2,500편의 박사 및 석사 논문, 국내 학술지 450종, 국외 학술지 105종을 보유하고 있다.[58]

8. 2. 문화
크라구예바츠는 지역 및 국가적으로 예술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러 문화 기관이 있다.




- 크냐제프스코-스릅스키 극장: 1835년에 설립되었다.
- 국립도서관 "부크 카라지치(Vuk Karadžić)": 1866년에 설립되었다.
- 문화예술단체 "아브라세비치(Abrasević)": 1904년에 설립되었다.
- "10월의 크라구예바츠 추모공원": 슈마리체에 위치하며, 1941년 10월 21일의 비극적인 사건을 기념한다.
- 국립박물관: 고고학, 민족 다양성, 크라구예바츠와 슈마디야의 역사, 그리고 많은 그림을 포함한 다양한 전시물을 보유하고 있다. 고고학 부서는 10,000점 이상의 전시품과 100,000점 이상의 연구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림 부서는 1,000점이 넘는 뛰어난 가치의 저명한 세르비아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59]
- "구 주조 공장 박물관(Old Foundry Museum)": 구 무기 공장 내에 위치하며, 5,800점의 소장품(무기와 장비, 기계와 도구, 기록 자료, 사진, 그림, 트로피와 메달)을 통해 크라구예바츠와 세르비아의 산업 발전을 보여준다.[60]
- 슈마디야 역사 기록 보관소(Historical Archives of Šumadija): 슈마디야의 7개 시정촌의 기록 보관 및 발행을 담당하며, 780개의 등록부와 수십만 건의 원본 역사 문서를 포함하여 약 700m의 기록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크라구예바츠에는 아트 KG, 세르비아 화가 협회 ULUS 지부, 크라구예바츠 화가 협회 ULUK 등 세 개의 순수 및 응용 미술 협회가 있다.
주요 연례 및 격년제 문화 행사로는 국제 실내합창 음악 축제, 국제 실내악 축제, 국제 소극장 축제, 아르세날 페스트(Arsenal Fest), 국제 반전 만화 살롱, 국제 미술 워크숍 "발칸 브리지(Balkan Bridges)", 국제 재즈 페스티벌, 국제 인형극 축제 등이 있다.
8. 3. 스포츠
크라구예바츠에는 세르비아에서 세 번째로 큰 좌석 수를 가진 치카 다차 스타디움이 있다.
KK 라드니치 (KK Radnički)는 도시의 대표적인 농구팀이다. 라드니치 배구 클럽은 세르비아에서 가장 강력한 배구팀 중 하나이며, 수구 클럽 VK 라드니치 크라구예바츠 (VK Radnički Kragujevac)는 세르비아 수구 리그 A(Serbian Water polo League A)에서 활동하며 2013년 국내 리그와 LEN 트로피 (LEN Trophy)를 우승했다. 이 도시에는 크로스오버 농구 여름 캠프(CROSS OVER Basketball Summer Camp)와 세르비아 밴디 연맹(Bandy Federation of Serbia)이 있다.[62]

크라구예바츠 대학교 경제학부는 풋살 (futsal) 클럽인 KMF 에코노마츠 (KMF Ekonomac)의 창립자이다. 이 클럽은 2000년 11월 7일에 설립되었다. 이 클럽은 세르비아 프리마 풋살 리가(Prva Futsal Liga)에서 활동하며 세르비아 챔피언십에서 8회 우승하고 세르비아 풋살 컵(Serbian Futsal Cup)에서 2회 우승했다.
8. 4. 지역 미디어
크라구예바츠에는 라디오 방송국으로 라디오 크라구예바츠 (94.7), 라디오 9 (95.9), TDI 라디오 (97.9), 라디오 센터 (98.7), 라디오 브라보 (103.7), 라디오 스타리 그라드 (RSG) (104.3), 라디오 즐라토우스티 (90.50), 라디오 34 (88.9)가 있다. TV 방송국으로는 텔레비지야 크라구예바츠가 있으며, 신문은 크라구예바츠케 노비네가 있다.9. 국제 관계
크라구예바츠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도시 간 우호 관계를 통해 협력하고 있다.[64]
| | | |
크라구예바츠는 또한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프로그램과 유사한 형태의 협력 및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 | | |
10. 저명한 출신 인물
크라구예바츠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밀란 오브레노비치 2세, 세르비아 공왕 (1839년)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3세, 세르비아 공왕 (1839년–1842년, 1860년–1868년)
- 톰슬라프 니콜리치, 세르비아 대통령 (2012년–2017년)
- 필립 코스티치, 축구 선수
- 라도미르 푸트니크, 세르비아 최초의 원수(보이보드), 육군참모총장 (1890년–1892년, 1903년–1905년, 1908년–1915년), 국방부 장관 (1904년–1905년, 1906년–1908년, 1912년)
- 요반 리스티치, 세르비아 총리 (1867년, 1873년, 1878년–1880년, 1887년–1888년), 외무부 장관 (1867년, 1872년–1873년, 1875년, 1876년–1880년, 1887년),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 회장 (1899년)
- 두샨 시모비치, 육군참모총장 (1938년–1940년)
- [https://sr.wikipedia.org/sr-el/%D0%9D%D0%B8%D0%BA%D0%BE%D0%BB%D0%B0_%D0%88%D0%B0%D0%BD%D0%BA%D0%BE%D0%B2%D0%B8%D1%9B 니콜라 코카 얀코비치(Nikola Koka Janković)], 조각가,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 정회원
- 라도예 도마노비치, 작가 겸 교사
- 조란 스파소예비치, 작가
- 드라간 토도로비치, 작가 겸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 밀란 데디나츠, 시인
- 드라기냐 아다모비치, 시인
- 밀레 마르코비치, 권투 선수, 성인 클럽 주인, 유죄 판결을 받은 범죄자이자 갱스터[63]
- 드라기샤 네도비치, 작사가, 작곡가 겸 음악가
- 비도사브 스테바노비치, 소설가, 단편 소설가, 시인, 극작가 겸 언론인
- 드라고슬라브 스레요비치, 고고학자 겸 역사가
- 나타샤 칸디치, 인도주의법 센터 설립자
- [https://sr.wikipedia.org/sr-el/%D0%9C%D0%B8%D1%80%D0%BA%D0%BE_%D0%91%D0%B0%D0%B1%D0%B8%D1%9B 미르코 바비치(Mirko Babić)], 배우
- 드라고미르 보야니치 기드라, 배우
- 브라니슬라브 예리니치, 배우
- 고리차 포포비치, 배우
- 니콜라 라코체비치, 배우
- 밀로반 "미니막스" 일리치(Milovan "Minimaks" Ilić), 라디오 및 텔레비전 진행자
- 보라 두기치, 플루티스트
- 쿠네 고이코비치(Cune Gojković), 가수
- 류비차 마리치, 작곡가 (1909년–2003년)
- 마리야 셰리포비치, 가수, 200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자
- 옐레나 토마셰비치, 가수
- 베스나 데스포토비치, 세르비아 농구 선수, 1980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1980년), 1980년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1980년)
- 스테반 플레티코시치, 세르비아 사격 선수, 6회 올림픽 참가, 199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1992년), 2회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은메달 (1994년, 2006년), 유럽 사격 선수권 대회 은메달 (1995년)
- 니콜라 롱차르, 세르비아 농구 선수, 올림픽 은메달 (1996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98년), FIBA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97년)과 동메달 (1999년), 유로리그 챔피언 KK 파르티잔 (1992년)
- 카타리나 불라토비치, 몬테네그로 핸드볼 선수, 201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여자 토너먼트 은메달 (2012년), 유럽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12년)
- 마리야 로이푸르, 핸드볼 선수, 2013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은메달
- 옐레나 밀로바노비치, 농구 선수, 2016년 하계 올림픽 농구 동메달 (2016년), 2015년 유로바스켓 여자 금메달 (2015년)
- 프레드라그 죠르제비치, 축구 선수
- 단코 라조비치, 축구 선수
- 스테판 일리치, 축구 선수, U-20 월드컵 챔피언
- 알렉사 리스티치, 농구 선수 Fiba 3x3 Debrecen masters
- 죠르제 코스티치, 농구 선수 Fiba 3x3 Debrecen masters
- 이반 네델코비치, 농구 선수 Fiba 3x3 Debrecen masters
- 필립 포포비치, 농구 선수 Fiba 3x3 Debrecen masters
- 슬라브코 페로비치, 축구 선수
- 필립 홀렌더, 헝가리 축구 선수
- 스베토자르 안드레예비치, 상인 겸 자선가
- 네마냐 토미치, 축구 선수
- 라자르 로시치, 축구 선수
참조
[1]
문서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Насеља општине Крагујевац
https://web.archive.[...]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10-24
[3]
문서
Serbian census 2022
[4]
서적
Pet vekova Kragujevca
N.B. Vuk Karadzic Kragujevac
1972
[5]
뉴스
Kragujevac od paleolita do oslobođenja
http://www.politika.[...]
2017-08-22
[6]
뉴스
Neolit u srcu Šumadije
http://www.politika.[...]
2021-06-29
[7]
웹사이트
Tapu Tahrir Defteri 491: Ottoman government: Free Download & Streaming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015-08-12
[8]
웹사이트
Map of the Belgrade Pashaluk
https://web.archive.[...]
Terkepek.adatbank.transindex.ro
2015-08-12
[9]
논문
Analysis of a 1725 Report of Vampirism in Kragujevac
https://www.academia[...]
2021-01-01
[10]
웹사이트
Prvi i najkrvaviviji vampiri u istoriji bili su iz Kragujevca
http://www.glassumad[...]
2020-09-20
[11]
웹사이트
Kočina Krajina
http://www.rastko.rs[...]
Projekat Rastko
[12]
웹사이트
Photos of San Antonio – Images of San Antonio, Texas, USA
https://web.archive.[...]
Members.virtualtourist.com
[13]
뉴스
Kragujevac se seli na desnu obalu Lepenice
http://www.politika.[...]
2017-12-29
[14]
웹사이트
Kragujevac | Beautiful Serbia
http://voiceofserbia[...]
Voiceofserbia.org
[15]
웹사이트
Kragujevac (Stadt)
https://web.archive.[...]
En.europeonline-magazine.eu
1941-10-21
[16]
웹사이트
Scottish Women's Hospitals - Unit at Kraguievatz, Serbia
https://livesofthefi[...]
[17]
웹사이트
Kragujevac 1918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Knjaževsko-Srpski Teatar
https://web.archive.[...]
Joakimvujic.com
[19]
웹사이트
Blic Online: "Engleska krvava bajka" u Kragujevcu
https://archive.toda[...]
Blic.co.rs
[20]
서적
Hitler's new disorder: the Second World War in Yugoslav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Monument to the executed pupils (Kragujevac, Serbia): Address, Attraction Reviews
http://www.tripadvis[...]
TripAdvisor
[22]
웹사이트
Krvava Bajika profile
https://sites.google[...]
[23]
웹사이트
About Zastava Kragujevac
http://voiceofserbia[...]
Voice of Serbia
[24]
웹사이트
Welcome to Zastava-arms
http://www.zastava-a[...]
Zastava-arms.rs
[25]
웹사이트
"Collateral damage" and the workers of the Zastava factory
https://web.archive.[...]
Marxist.com
[26]
웹사이트
21 Oktobar Kragujevac
https://privatizacij[...]
Privatization Agency of the Republic of Serbia
[27]
웹사이트
Kragujevac-City Tour – Kuća Čolovića
https://web.archive.[...]
Kucacolovica.com
[28]
웹사이트
A Glimpse of Kragujevac (Photography & Impressions)
https://explanders.c[...]
2020-10-29
[29]
웹사이트
How Prince Milos' sharp wit allowed him to build the first church in the dukedom of Serbia
https://www.381info.[...]
2020-06-17
[30]
서적
Serbie
La Presse Touristique
1956
[31]
웹사이트
Parks in Kragujevac
http://gtokg.org.rs/[...]
Tourist Organization of Kragujevac
[32]
웹사이트
How to Arrive to Kragujevac?
http://gtokg.org.rs/[...]
Tourist Organization of Kragujevac
[33]
웹사이트
How to arrive to Kragujevac
http://gtokg.org.rs/[...]
Tourist Organization of Kragujevac
[34]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ation in Kragujevac
https://www.kgbus.rs[...]
City Traffic Agency
[35]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ation in Kragujevac
http://gtokg.org.rs/[...]
Tourist Organization of Kragujevac
2016-12-17
[36]
웹사이트
Parking in Kragujevac
https://web.archive.[...]
Parking Service Kragujevac
2016-12-17
[37]
웹사이트
Statistical data for Kragujevac
https://web.archive.[...]
City of Kragujevac
2016-12-17
[38]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91–2020
https://www.hidmet.g[...]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22-04-20
[39]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40]
웹사이트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2011. and 2022
https://popis2022.st[...]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41]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6-12-17
[42]
웹사이트
Инфраструктура: Званичан сајт града Крагујевца
https://web.archive.[...]
Kragujevac.rs
2015-08-12
[43]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s://web.archive.[...]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6-12-16
[44]
웹사이트
ETHNICITY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s://publikacije.[...]
2024-01-15
[45]
웹사이트
24. седница ГИК-а – Седнице: Званичан сајт града Крагујевца
http://www.kragujeva[...]
Kragujevac.rs
2012-05-28
[46]
서적
The Automotive Industry and European Integration: The Divergent Paths of Belgium and Spai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47]
웹사이트
About Zastava Arms
http://www.zastava-a[...]
Zastava Arms
2016-12-16
[48]
웹사이트
List of Bank in Serbia
https://web.archive.[...]
National Bank of Serbia
2016-12-16
[49]
웹사이트
About Direktna Banka
https://web.archive.[...]
Direktna Banka Kragujevac
2016-12-16
[50]
웹사이트
About Šumadija Sajam
http://www.sumadijas[...]
Šumadija Sajam
2016-12-16
[51]
뉴스
Slobodne zone mamac za investitore
http://www.politika.[...]
2017-09-03
[52]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53]
웹사이트
Образовање: Званичан сајт града Крагујевца
https://web.archive.[...]
Kragujevac.rs
2015-08-12
[54]
웹사이트
Dobrodošli na skolazagluve.edu.rs – Škola za gluve Kragujevac
https://web.archive.[...]
Skolazagluve.edu.rs
2015-01-27
[55]
웹사이트
Музичка школа "др Милоје Милојевић"
https://web.archive.[...]
Muzicka-kg.com
2015-08-12
[56]
웹사이트
Škola Vukašin Marković
http://www.sosovukas[...]
Sosovukasinmarkovickg.edu.rs
2015-08-12
[57]
웹사이트
University of Kragujevac
http://www.kg.ac.rs/[...]
Kg.ac.rs
1976-05-21
[58]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Ub.kg.ac.rs
1985-06-05
[59]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of Kragujevac
https://web.archive.[...]
2016-01-06
[60]
웹사이트
Old Foundry Museum
http://www.muzej-top[...]
2016-01-06
[61]
웹사이트
History of Football Association of Serbia
http://www.fss.rs/in[...]
Football Association of Serbia
2016-12-17
[62]
웹사이트
Federation of International Bandy-About-About FIB-National Federations-Serbia-Serbia
https://web.archive.[...]
[63]
문서
Mille Marković
[64]
웹사이트
Kragujevac Twin Cities
https://web.archive.[...]
Information service of Kragujevac City
2015-12-24
[65]
웹사이트
Bielsko-Biała – Partner Cities
http://www.um.bielsk[...]
2008 Urzędu Miejskiego w Bielsku-Białej
2008-12-10
[66]
뉴스
Serbia's Kragujevac sees new chapter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Milwaukee as a Sister City
https://www.milwauke[...]
2024-01-29
[67]
웹사이트
Mostar Gradovi prijatelji
http://www.mostar.ba[...]
2013-12-19
[68]
웹사이트
Opole Official Website – Twin Towns
https://web.archive.[...]
Urząd Miasta Opola
2009-06-18
[69]
웹사이트
Comune di Napoli-Gemellaggi
http://www.comune.na[...]
2013-08-08
[70]
웹사이트
Gradovi pobratimi
https://kragujevac.l[...]
[71]
문서
http://pod2.stat.gov[...]
[72]
웹사이트
German Occupation of Serbia and the Kragujevac Massacre
http://www.antiwar.c[...]
Antiwar.com
2011-09-16
[73]
웹사이트
Blic Online | Srbija | "Engleska krvava bajka" u Kragujevcu
http://www.blic.co.r[...]
Blic.co.rs
2011-09-16
[74]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75]
웹인용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