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의 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푸타이어 및 타이 요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북서부 타이어군, 치앙센어군 등과 함께 남서부 타이어군에 속한다. 라오어는 라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과 이산 지역에서 사용되며,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라오스는 중국 남동부에서 이동해 온 타이족에서 기원했으며, 란쌍 왕국 시대에 라오 문자가 정립되고 상좌부 불교가 전파되면서 어휘와 문법에 큰 영향을 받았다. 라오어는 프랑스어와 베트남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대 라오어는 1975년 철자 개혁을 거쳐 음운적 표기를 채택했다. 라오어는 비엔티안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라오어는 라오 문자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하며, 태국어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어휘와 외래어 수용, 사회적 인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어 - 라오 문자
    라오 문자는 크메르 문자에서 파생되어 수코타이 문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라오어 표기에 주로 사용되고 자음과 모음 체계를 통해 성조를 나타내며, 유니코드 표준화로 정보 처리에도 활용된다.
  • 타이어파 - 좡어
    좡어는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며 태국어와 관련이 있고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타이어파 - 샨어
    샨어는 타이계 언어이자 샨족의 언어로서 미얀마, 태국, 라오스 등에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방언과 고립어적인 문법 체계를 갖는다.
  • 라오스의 언어 -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베트남의 공식 언어이자 킨족을 비롯한 다수 베트남인의 모국어로,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6성조를 사용하는 단음절 고립어이고,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를 사용하며 한자어와 외래어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 라오스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라오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라오어
고유 이름ພາສາລາວ, 파싸 라오
발음/pʰáː.sǎː láːw/
사용 국가라오스
태국 (이산)
캄보디아 (스퉁트렝, 프레아비히어, 라타나키리)
베트남 (디엔비엔, 라이쩌우, 선라)
중국 (시솽반나)
사용자제1 언어: 368만 5170명 (2015년)
제2 언어: 80만 3000명 (날짜 미상)
민족라오족
이산족
어족크라다이어족
타이어군
남서부 타이어군
라오-푸타이어군
문자라오 문자 (라오스)
태국 문자 (태국)
태국 및 라오 점자
공용 국가라오스
언어 관리 기관교육 과학 연구소, 교육 스포츠부
사회 과학 연구소, 예술학부, 라오스 국립 대학교
ISO 639-1lo
ISO 639-2lao
ISO 639-3lao
Glottologlaoo1244 (라오어)
nort2741 (북동 태국어)
소수 언어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방언
주요 방언북부 라오어 (루앙프라방 라오어)
북동부 라오어 (푸안)
중부 라오어
남부 라오어
서부 라오어 (이산)
언어학적 계통
어족타이어족
어파캄-타이어파
어군베-타이어군
타이-세크어군
타이 그룹남서 타이군
기타 정보
언어 코드47-AAA-c

2. 분류

크라다이어족 따이어파에 속하며, 순수 언어학적으로는 태국어와 방언연속체 혹은 동일 언어의 지역 변종 관계이다. 따라서 라오어를 쓰는 사람과 태국어를 쓰는 사람은 양쪽 언어의 공통 부분을 사용하여 상당 부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다만 라오스인의 상당수가 TV 등 미디어를 통해 태국어를 습득하고, 라오어 내부에도 태국어 요소가 혼합되어 있어, 라오어를 즉석에서 알아듣는 것은 대다수의 중부, 남부 태국인에게는 어렵다. 이 차이는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표준어와 지방 방언 간의 관계와 비슷하지만, 라오스가 독립국이고 라오스에서의 라오어가 태국에서의 태국어와 같은 국가 공용어 지위를 누리고 있어 태국어에 대한 대항 의식이 강하다.[24]

라오어는 푸타이어(Phu Thai)와 타이 요어를 포함한 라오-푸타이어군에 속하며, 이들과 가장 가까운 친족어이다. 북서부 타이어군(샨어, 아홈어, 중국 대부분의 다이족 언어 포함), 치앙센어군(표준 태국어, 코랏 태국어, 타이 란나어 포함) 및 남부 타이어와 함께 타이어족의 남서부 분파를 형성한다. 라오어(이산어 포함)와 태국어는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지만 상호 이해 가능하며, 접촉과 크메르어의 영향으로 더욱 가까워졌다. 하지만 모든 남서부 타이어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하다. 타이어족에는 장족의 언어도 포함되는데, 이는 타이어족의 북부 및 중부 분파로 나뉜다. 타이어족은 크라-다이어족 내의 주요 분파를 형성하며, 중국 남부의 다른 언어들, 예를 들어 하이난의 흘라이어와 베어, 그리고 중국 본토와 베트남 북부 인근 지역의 크라어족 및 캄-수이어족과는 먼 친척 관계이다.[24]

라오어는 순수 언어학적으로는 태국어와 동일 언어의 지역 변종 관계에 있다. 또한, 라오스인의 대부분은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를 통해 태국어를 습득하고, 라오어 일부에 태국어를 섞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라오어 화자와 태국어 화자는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태국인 중에서도 특히 중부에서 남부 지역의 태국인에게는 라오어를 즉시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라오스는 독립 국가이며, 라오어(태국어군에서 보는 라오 변종)는 태국어(태국 변종)와 정치적으로 동등한 "국가 공용어의 지위"에 있다. 따라서 라오어는 태국어와의 차이를 더욱 크게 하고 있다.[50]

크라-다이어족


3. 역사

라오스인의 조상들은 현재 중국 남동부, 특히 광시베트남 북부에서 기원했으며, 이 지역은 다양한 타이어의 다양성이 '어원(Urheimat)'을 시사하는 곳이다.[5] 이들은 남서 타이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 남서 타이어는 장족어로 덮여 있는 타이어의 북부와 중부 가지에서 기원후 112년경에 갈라지기 시작했지만, 6세기까지는 완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 한족 군인과 정착민의 유입, 베트남의 중국 점령 종식, 교지의 멸망, 당나라의 쇠퇴와 멸망과 관련된 혼란으로 인해 남서 타이어를 사용하는 일부 타이족이 동남아시아로 도망쳤고, 소규모 이주는 주로 8세기12세기 사이에 이루어졌다.[6] 타이족은 갈라져 주요 강줄기를 따라 이동했고, 조상 라오스인들은 메콩 강을 따라 이동한 타이 이주민에서 유래했다.[6]

중국 남동부의 원래 타이어계의 이동 패턴과 타이 민족 및 언어의 다양화를 보여주는 지도


남서부 타이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들이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갈라지면서, 그들의 방언은 오늘날 다양한 언어로 분화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메콩 강을 따라 발달한 라오-푸타이어 계열(라오어와 그 이산 방언 포함)과 중국어 방언(표준 태국어의 기반이 되는 중부 태국어 방언 포함)을 포함한 치앙센어 계열 등이 있다. 이들 언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음운론적 차이가 발생하여 언어들이 서로 달라졌다.[7][8][9]

라오어태국어변화
원시 남서부 타이어 *ml/m//l/ມື່ນ|므안lo / ลื่น|르안th: *mlɯn \rightarrow /mɯ̄ːn/ \rightarrow /lɯ̂ːn/ (미끄러운)
원시 남서부 타이어 *r (음절 첫머리)/h//r/ຮາກ|학lo / ราก|락th: *raːk \rightarrow /hâːk/ \rightarrow /râːk/ (토하다)
원시 남서부 타이어 *ɲ/ɲ//j/ຍູງ|늉lo / ยุง|융th: *ɲuŋ \rightarrow /ɲúːŋ/ \rightarrow /jūŋ/ (모기)



태국어와 라오어는 분리되었지만, 수세기 동안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크메르어 차용어는 두 언어에서 두드러지며, 많은 단어가 공유된다. 태국어와 라오어는 크메르식 신조어를 만들어 크메르어로 다시 수출했을 가능성이 있다.[10] 크메르어의 영향은 타이어 사용자의 유전자에도 나타난다. 라오계 태국인과 이산인의 샘플은 타이족의 이동뿐만 아니라 현지 인구와의 혼인과 동화의 증거를 보여준다.[11]

인도계 언어, 특히 산스크리트어팔리어 차용어는 태국어와 라오어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많은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크메르어를 통해 채택되었는데, 특히 점성술, 천문학, 의례, 과학, 왕권, 예술, 음악, 춤 및 신화와 관련된 인도 개념과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 산스크리트어 어근에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영어를 포함한 유럽 언어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그리스어라틴어 어근을 공유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13]

낙온파놈의 왓 프라탓 파놈. 16세기에 이전 크메르 유적 위에 건설되었으며, 이산 지역이 란쌍 왕국에 속했던 시대의 유물이다. 이 사원은 중요한 순례지이며, 라오스와 이산 지역의 라오인들이 사원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방문한다.


파 응음은 크메르 제국의 쇠퇴를 틈타 크메르를 패배시키고 현재 라오스와 이산 지역의 타이 무앙들을 통합하여 1354년 만달라 왕국인 란쌍 왕국을 건설했다. 란쌍 왕국은 수코타이 왕국과 후대의 아유타야 왕국을 기반으로 한 시암의 야망을 좌절시킬 만큼 강력했다.[14]

파 응움은 크메르 궁정에서 자랐고, 크메르 공주와 결혼했으며, 그의 궁정에는 많은 크메르 관리들이 있었기 때문에, ''라사쌉''(ຣາຊາສັບ|라사삽lo)이라고 알려진 왕과 고위 성직자에게 말하거나 논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 양식이 개발되었다. 1975년 라오스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라오어 ''라사쌉''은 사라졌지만, 태국은 여전히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태국어 ''라차쌉''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3]

16세기에는 현대 라오어의 많은 특징들이 확립되었다. 서기관들은 크메르어로 쓰여진 라오어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타이 노이 문자''로 알려진 단순화되고 필기체 형태의 문자를 채택했는데, 이 문자는 약간의 수정을 거쳐 라오 문자로 남아 있다.[15] 셋타티랏 (ໄຊເສດຖາທິຣາດ|사이셋타티랏lo)(1546~1551) 통치 기간 동안 란쌍과 란나의 잠시 통합은 라오 문학에 큰 도움을 주었다. 치앙마이의 도서관들이 복사되면서 ''타이탐 문자''(BGN/PCGN toua tham, RTGS tua tham) 또는 '다르마 문자'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란나의 몬 문자 영향을 받은 문자였지만, 라오스에서는 특히 종교 문학에 사용되었다.[15]

란쌍 왕국은 종교적으로 다양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이 민간 신앙을 믿었다. 하지만 지역 오스트로아시아계 애니미즘과 크메르인을 통해 전파된 브라만교 및 대승불교, 그리고 몬족에 의해 채택되고 전파된 상좌부 불교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 라오스에서는 란쌍 왕국 시기가 라오스인들에게 상좌부 불교 시대의 시작이었다고 믿지만, 이 종교가 지배적인 종교가 된 것은 16세기 중반이 되어서였다.[16]

상좌부 불교와 함께 그 의례어인 팔리어가 들어왔다. 상좌부 불교의 전파는 문해력을 확산시켰는데, 승려들이 교사 역할을 하여 마을 소년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가르쳤다. 타이 노이 문자는 개인 편지, 기록 보관, 표지판뿐만 아니라 짧은 이야기와 전통 민요에 종종 통합되는 ''클론'' (ກອນlo) 시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15]

상좌부 불교에서 공유하는 팔리어 차용어
팔리어이산어태국어라오어의미
पुञ्ञ|puññapiบุญ|bunttsบุญ|bunthບຸນ|bunlo공덕
दुक्ख|dukkhapiทุกข์|thukttsทุกข์|thukthທຸກ|thuklo고통
비참
पापकम्म|pāpakammapiบาปกรรม|bap kamttsบาปกรรม|bap kamthບາບກຳ/ບາບກັມ|bap kamlo
위반
अनुमोदना|anumōdanāpiอนุโมทนา|anumo thanattsอนุโมทนา|anumo thanathອະນຸໂມທະນາ|anoumo thanalo기쁨을 함께 나눔
सुख|sukhapiสุข|sukttsสุข|sukthສຸກ|suklo건강
행복
विज्जा|vijjapiวิชชา|witchattsวิชชา|witchathວິຊາ|wisalo지식
지혜
च‍क्कयुग|cakkayugapiจักรยาน|chakkrayanttsจักรยาน|chakkrayanthຈັກກະຍານ|chakkanyanlo자전거
धम्म|ḍhammapiธรรม|thamttsธรรม|thamthທຳ/ທັມ|thamlo다르마
도덕



코랏 고원은 앙코르 이후 시대 이후 13세기~15세기의 장기간 가뭄으로 인해 인구가 희박했다. 수리냐봉사 국왕 치하에서 라오스는 번영과 문화적 업적의 황금기를 누렸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시암의 개입으로 1707년에 루앙프라방, 비엔티안, 참파삭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1718년, 현재 로이엣 주에 있는 무엉 수완나품이 참파삭의 전초 기지로 설립되면서 라오스의 주요 거점이 처음으로 생겨났고, 시 강과 문 강을 따라 라오스 정착민들이 확장되기 시작했다.

1778년, 톤부리 시대의 시암 왕 탁신은 참파삭과 비엔티안을 정복하고 푸안 지역에서 노예를 잡아 에메랄드 불상과 프라방을 탈취했으며, 일부 라오스 사람들을 강 건너편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루앙프라방은 시암의 봉신이 되어 파괴를 피했다.[17] 시암은 왕국들의 명목상 자치권을 유지시켰지만, 공물과 세금을 요구하고 왕족을 인질로 잡았으며, 라오스 왕들은 매년 시암 왕을 알현해야 했다. 왕국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시암군은 마을을 포위하여 주민들에게 문신을 새겨 노예로 만들고, 이산 지역에 정착시켜 군인이나 노역에 동원했다. 1828년 차오 아누봉의 라오스 반란으로 아누봉과 그의 가족 대부분이 사망했고, 시암은 비엔티안과 그 주변 지역의 거의 모든 인구를 강제 이주시켰다. 이러한 인구 습격은 19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18]

프랑스 지배 시대에는 새로운 기술과 정치 현실을 나타내는 단어가 부족하여 프랑스어나 베트남어에서 차용하거나, 기존 라오어 어휘를 재활용하거나, 산스크리트어에서 만들어졌다. 이러한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신조어는 태국에서 발전한 것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동일했다.[19][20]

이전에는 독자나 저자에 따라 어원적 철자와 음운적 철자가 혼용되어 쓰였지만, 라오어는 순수한 음운적 철자로 나아가는 여러 개혁을 거쳤다. 프랑스령 라오스 말년에 루앙프라방 국왕이 라오스 국왕으로 복위하는 과정에서 정부는 라오어 표기를 표준화했는데,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프랑스어 차용어는 반어원적 철자를 유지하는 음운적 철자로 나아가고, 인도 문화와 불교와 관련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어원의 단어에는 고어 문자를 추가했다.

1975년 공산주의 라오스 정권 하에서는 철자 개혁이 더욱 급진적으로 이루어졌다. 묵음 문자가 제거되었고, 인도계 차용어에 대한 특수 문자가 사라졌으며, 모든 모음을 명시적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심지어 공식 발행물에서 '' (보통 /l/로 발음됨) 문자가 제거되거나 대체되는 등 반어원적 철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음운적 철자를 채택했다. 비록 나이든 사람들과 라오스 국외 거주자(디아스포라)들은 여전히 일부 구식 철자 규칙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라오어 표기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21]

3. 1. 타이족의 이동 (8~12세기)



라오스인의 조상들은 현재 중국 남동부, 특히 광시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다양한 타이어의 다양성이 '어원(Urheimat)'을 시사하는 곳에서 이동해 온 남서 타이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5] 남서 타이어는 주로 다양한 장족어로 덮여 있는 타이어의 북부와 중부 가지에서 기원후 112년경에 갈라지기 시작했지만, 6세기까지는 완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 한족 군인과 정착민의 유입, 베트남의 중국 점령 종식, 교지의 멸망, 그리고 당나라의 쇠퇴와 멸망과 관련된 혼란으로 인해 남서 타이어를 사용하는 일부 타이족이 동남아시아로 도망쳤고, 소규모 이주는 주로 8세기12세기 사이에 이루어졌다.[6] 타이족은 갈라져 주요 강줄기를 따라 이동했고, 조상 라오스인들은 메콩 강을 따라 이동한 타이 이주민에서 유래했다.[6]

3. 2. 분화와 수렴

남서부 타이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들이 수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갈라지면서, 그들의 방언은 오늘날 다양한 언어로 분화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메콩 강을 따라 발달한 라오-푸타이어 계열(라오어와 그 이산 방언 포함)과 중국어 방언(표준 태국어의 기반이 되는 중부 태국어 방언 포함)을 포함한 치앙센어 계열 등이 있다. 이들 언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음운론적 차이가 발생하여 언어들이 서로 달라졌다.[7][8][9]

라오어태국어변화
원시 남서부 타이어 *ml/m//l/ມື່ນ|므안lo / ลื่น|르안th: *mlɯn \rightarrow /mɯ̄ːn/ \rightarrow /lɯ̂ːn/ (미끄러운)
원시 남서부 타이어 *r (음절 첫머리)/h//r/ຮາກ|학lo / ราก|락th: *raːk \rightarrow /hâːk/ \rightarrow /râːk/ (토하다)
원시 남서부 타이어 *ɲ/ɲ//j/ຍູງ|늉lo / ยุง|융th: *ɲuŋ \rightarrow /ɲúːŋ/ \rightarrow /jūŋ/ (모기)



비슷한 영향과 근접성으로 인해 두 언어는 여러 면에서 수렴하기도 했다. 태국어와 라오어는 분리되었지만, 수세기 동안의 근접성으로 인해 서로 수동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예를 들어, 원시 남서부 타이어 *''mlɛːŋ''은 예상대로 라오어 /m/ 결과인 ''maeng'' (ແມງ|멩lo)과 예상대로 태국어 /l/ 결과인 ''laeng'' (แลง|랭th)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이것은 엄격한 학술 용어나 왕실 태국어에서만 사용되며, 일반적인 형태는 고어 형태인 ''malaeng'' (แมลง|말랭th)이다. 구어체나 편안한 말투에서는 라오어의 영향으로 태국어에서도 ''maeng'' (แมง|맹th)가 사용된다.[7]

태국어와 라오어는 또한 유사한 어원을 공유한다. 남서부 타이어의 진화 과정에서 중국어의 영향권 주변에서 다양한 시점에 채택된 많은 깊이 뿌리박힌 중국계 차용어 외에도, 동남아시아의 타이족은 크메르족과 접촉했다. 크메르어 차용어는 두 언어의 모든 영역과 레지스터에서 두드러지며, 많은 단어가 공유된다. 크메르어 차용어에는 신체 부위, 도시 생활, 도구, 행정 및 현지 식물 등이 포함된다. 태국어와 라오어는 크메르식 신조어를 만들어 크메르어로 다시 수출했을 가능성이 있다.[10] 크메르어의 강력한 영향은 타이어 사용자의 유전자에도 나타난다. 라오계 태국인과 이산인의 샘플은 타이족의 이동뿐만 아니라 현지 인구와의 혼인과 동화의 증거를 보여준다. Khanittanan과 같은 학자들은 고유 크메르족과 그들의 언어가 미친 깊은 유전적, 언어적 영향은 아유타야 왕국 초기에는 대부분 이중언어 사용 인구가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11] 라오어에 대한 증거와 연구가 부족하지만, 주요 라오 도시들은 기존의 크메르족 정착지 위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현지인들의 동화를 시사한다. 이산어와 라오어는 태국어에는 없는 크메르어 차용어인 ''khanong'' (ຂະໜົງ/ຂນົງ|카농lo)('문틀')을 사용하는데, 이는 크메르어 ''khnâng'' (ខ្នង|크낭km)('건물', '기초' 또는 '등뼈')를 의미한다.[10][12]

인도계 언어, 특히 산스크리트어팔리어 차용어는 태국어와 라오어를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많은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크메르어를 통해 채택되었는데, 특히 점성술, 천문학, 의례, 과학, 왕권, 예술, 음악, 춤 및 신화와 관련된 인도 개념과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 산스크리트어 어근에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영어를 포함한 유럽 언어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그리스어라틴어 어근을 공유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어근 τῆλε|텔레el(''tēle'', '먼')와 φωνή|포네el(''phōnē'', '소리')에서 유래한 '전화'는 태국어에서 ''thorasap'' (โทรศัพท์|토라삽th)로 도입되어 산스크리트어 ''dura'' (दूर|두라sa, '먼')와 ''śabda'' (शब्द|샤브다sa, '소리')에서 유래한 이산어 ''thorasap'' (ໂທຣະສັບ/ໂທລະສັບ|토라삽lo)로 퍼져나갔다. 인도의 영향은 팔리어( 불교 의례어 상좌부 불교의)를 통해서도 전해졌다.

크메르어와 인도계 어휘의 영향은 동남아시아의 모든 타이어에 동일하게 미치지 않았다. 베트남 북부의 타이담족은 크메르어와 그와 함께 온 인도 문화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았으며, 전통적으로 불교가 아닌 민족으로 남아 있다. 타이담어는 치앙센어이지만 라오어에 더 가까운 어휘와 음운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차용어가 없기 때문에 태국어와 라오어 사용자에게는 이해할 수 없다.[13]

크메르 제국의 급속한 쇠퇴를 이용하여, 파 짜오 파 응음(1316년 ~ 1374년, 재위: 1353년~1374년)은 크메르를 패배시키고 현재 라오스와 이산 지역의 타이 무앙들을 통합하여 1354년 만달라 왕국인 란쌍 왕국을 건설했다. 파 응움은 무앙 수아(오늘날 루앙프라방) 통치자의 손자였다. 란쌍 왕국은 수코타이 왕국과 후대의 아유타야 왕국을 기반으로 한 시암의 야망을 좌절시킬 만큼 강력했다.[14]

크메르어와 크메르어를 통해 유입된 산스크리트어는 라오어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 파 응움이 크메르 궁정에서 자랐고, 크메르 공주와 결혼했으며, 그의 궁정에는 많은 크메르 관리들이 있었기 때문에, ''라사쌉''(ຣາຊາສັບ|라사삽lo)이라고 알려진, 현재는 사멸된 언어 양식이 왕과 고위 성직자에게 말하거나 논의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크메르어와 산스크리트어는 많은 벨레뜨르와 수많은 기술적, 학문적, 문화적 어휘를 제공하여 라오어를 다른 타이 부족 언어와 구분했지만, 비슷한 과정을 거친 태국어와 더 가깝게 만들었다. 1975년 라오스 군주제의 종식은 라오어 ''라사쌉''을 쓸모없게 만들었지만, 태국은 여전히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태국어 ''라차쌉''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3]

16세기에는 현대 라오어의 많은 특징들이 확립되었다. 서기관들은 크메르어로 쓰여진 라오어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타이 노이 문자''로 알려진 단순화되고 필기체 형태의 문자를 채택했는데, 이 문자는 약간의 수정을 거쳐 라오 문자로 남아 있다.[15] 셋타티랏 (ໄຊເສດຖາທິຣາດ|사이셋타티랏lo)(1546~1551) 통치 기간 동안 란쌍과 란나의 잠시 통합은 라오 문학에 큰 도움을 주었다. 치앙마이의 도서관들이 복사되면서 ''타이탐 문자''(BGN/PCGN toua tham, RTGS tua tham) 또는 '다르마 문자'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란나의 몬 문자 영향을 받은 문자였지만, 라오스에서는 특히 종교 문학에 사용되었다.[15] 란나가 버마에 항복한 후 관련된 타이 란나어의 영향력은 강화되었고, 많은 신하들과 백성들이 란쌍으로 피난했다.

3. 3. 란쌍 왕국 (1354~1707)

란쌍 왕국은 종교적으로 다양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이 민간 신앙을 믿었다. 하지만 지역 오스트로아시아계 애니미즘과 크메르인을 통해 전파된 브라만교 및 대승불교, 그리고 몬족에 의해 채택되고 전파된 상좌부 불교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 라오스에서는 란쌍 왕국 시기가 라오스인들에게 상좌부 불교 시대의 시작이었다고 믿지만, 이 종교가 지배적인 종교가 된 것은 16세기 중반이 되어서였다.[16]

상좌부 불교와 함께 그 의례어인 팔리어가 들어왔는데, 팔리어는 프라크리트에서 유래한 인도어이다. 많은 팔리어 용어들이 이전의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와 함께 존재하거나 산스크리트화되었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maitri'' (ໄມຕີ/ໄມຕຣີlo)와 팔리어 ''metta'' (ເມດຕາ/ເມຕຕາlo)는 둘 다 '자애'를 의미하지만, 산스크리트어 용어는 일반적으로 '우정'을 위해 더 많이 사용되는 이중어를 만들어냈다. 상좌부 불교의 전파는 문해력을 확산시켰는데, 승려들이 교사 역할을 하여 마을 소년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비롯한 기본적인 기술들을 가르쳤다. 타이 노이 문자는 개인 편지, 기록 보관, 표지판뿐만 아니라 짧은 이야기와 전통 민요에 종종 통합되는 ''클론'' (ກອນlo) 시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15]

상좌부 불교에서 공유하는 팔리어 차용어
팔리어이산어태국어라오어의미
पुञ्ञ|puññapiบุญ|bunttsบุญ|bunthບຸນ|bunlo공덕
'덕'
दुक्ख|dukkhapiทุกข์|thukttsทุกข์|thukthທຸກ|thuklo고통
'비참'
पापकम्म|pāpakammapiบาปกรรม|bap kamttsบาปกรรม|bap kamthບາບກຳ/ບາບກັມ|bap kamlo
'위반'
अनुमोदना|anumōdanāpiอนุโมทนา|anumo thanattsอนุโมทนา|anumo thanathອະນຸໂມທະນາ|anoumo thanalo'기쁨을 함께 나눔'
सुख|sukhapiสุข|sukttsสุข|sukthສຸກ|suklo건강
'행복'
विज्जा|vijjapiวิชชา|witchattsวิชชา|witchathວິຊາ|wisalo지식
'지혜'
च‍क्कयुग|cakkayugapiจักรยาน|chakkrayanttsจักรยาน|chakkrayanthຈັກກະຍານ|chakkanyanlo'자전거'
धम्म|ḍhammapiธรรม|thamttsธรรม|thamthທຳ/ທັມ|thamlo다르마
'도덕'


3. 4. 라오 삼국 시대 (1713~1893)

코랏 고원은 앙코르 이후 시대 이후 13세기~15세기의 장기간 가뭄으로 인해 인구가 희박한 상태였다. 수리냐봉사 국왕 치하에서 라오스는 번영과 문화적 업적의 황금기를 누렸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시암의 개입으로 1707년에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이 과정에서 루앙프라방, 비엔티안, 참파삭 왕국이 세워졌다. 1718년, 현재 로이엣 주에 있는 무엉 수완나품이 참파삭의 전초 기지로 설립되면서 라오스의 주요 거점이 처음으로 생겨났고, 시 강과 문 강을 따라 라오스 정착민들이 확장되기 시작했다.

1778년, 톤부리 시대의 시암 왕 탁신은 참파삭과 비엔티안을 정복하고 푸안 지역에서 노예를 잡아 에메랄드 불상과 프라방을 탈취했으며, 일부 라오스 사람들을 강 건너편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루앙프라방은 시암의 봉신이 되어 파괴를 피했다.[17] 시암은 왕국들의 명목상 자치권을 유지시켰지만, 공물과 세금을 요구하고 왕족을 인질로 잡았으며, 라오스 왕들은 매년 시암 왕을 알현해야 했다. 왕국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시암군은 마을을 포위하여 주민들에게 문신을 새겨 노예로 만들고, 이산 지역에 정착시켜 군인이나 노역에 동원했다. 1828년 차오 아누봉의 라오스 반란으로 아누봉과 그의 가족 대부분이 사망했고, 시암은 비엔티안과 그 주변 지역의 거의 모든 인구를 강제 이주시켰다. 이러한 인구 습격은 19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18]

3. 5. 프랑스령 라오스 (1893~1953)

프랑스 지배 시대에는 새로운 기술과 정치 현실을 나타내는 단어가 부족하여 프랑스어나 베트남어에서 차용하거나, 기존 라오어 어휘를 재활용하거나, 산스크리트어에서 만들어졌다. 이러한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신조어는 태국에서 발전한 것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동일했다.[19][20]

이전에는 독자나 저자에 따라 어원적 철자와 음운적 철자가 혼용되어 쓰였지만, 라오어는 순수한 음운적 철자로 나아가는 여러 개혁을 거쳤다. 프랑스령 라오스 말년에 루앙프라방 국왕이 라오스 국왕으로 복위하는 과정에서 정부는 라오어 표기를 표준화했는데,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프랑스어 차용어는 반어원적 철자를 유지하는 음운적 철자로 나아가고, 인도 문화와 불교와 관련된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어원의 단어에는 고어 문자를 추가했다.

3. 6. 독립과 공산주의 통치 (1953~현재)

1975년 공산주의 라오스 정권 하에서는 철자 개혁이 더욱 급진적으로 이루어졌다. 묵음 문자가 제거되었고, 인도계 차용어에 대한 특수 문자가 사라졌으며, 모든 모음을 명시적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심지어 공식 발행물에서 '' (보통 /l/로 발음됨) 문자가 제거되거나 대체되는 등 반어원적 철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음운적 철자를 채택했다. 비록 나이든 사람들과 라오스 국외 거주자(디아스포라)들은 여전히 일부 구식 철자 규칙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라오어 표기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21]

4. 방언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따이어파에 속하며, 언어학적으로 타이어와 방언연속체 관계이다. 즉, 라오어 사용자와 타이어 사용자는 서로의 언어의 공통된 부분을 통해 상당 부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부, 남부 타이인들은 라오어를 즉석에서 이해하기 어렵다. 이는 대한민국의 표준어와 지방 방언 간의 관계와 유사하지만, 라오스는 독립국이고 라오어가 국가 공용어의 지위를 가지므로 타이어에 대한 대항 의식이 더 강하다.[24]

표준 라오어는 비엔티안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지역별 구어적 차이는 여전히 크지만 공식적인 상황이나 외부인과의 대화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한다.[22]

라오어의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라오어 방언
방언라오스 주태국 주
비엔티안 라오어비엔티안, 비엔티안 현, 볼리캄사이 및 남부 사이솜분농카이, 농부아람푸, 차이야품, 우돈타니, 일부 야소톤, 붕깐, 뢰이, 콘깬
북부 라오어
(루앙프라방 라오어)
루앙프라방, 사인야불리, 우돔사이, 퐁살리, 보케오, 루앙남타, 일부 후아판뢰이, 일부 우돈타니, 콘깬, 핏사누록, 펫차분, 웃타라딧 (이산 지역 제외)
북동부 라오어
(푸안 라오어)
시엥쿠앙, 일부 후아판사이솜분차이야품, 사콘나콘, 우돈타니, 붕깐, 농카이, 뢰이의 고립된 마을
중부 라오어 (ລາວກາງ|라오까앙lo)캄무안 및 일부 볼리캄사이, 사반나켓묵다한, 사콘나콘, 나콘파놈, 묵다한; 일부 농카이, 붕깐
남부 라오어참파삭, 살라완, 섹콩, 아타푸, 일부 사반나켓우본랏차타니, 암낫차로엔, 일부 시사켓, 수린, 나콘랏차시마, 야소톤
서부 라오어 (표준 이산어)* 라오스에는 없음칼라신, 로이엣, 마하사라캄, 일부 콘깬, 차이야품, 나콘랏차시마


  • 비엔티안 라오어: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 시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며, 표준 라오어의 기반이다.
  • 북부 라오어: 루앙프라방을 중심으로 라오스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타이 란나어와 유사점이 많다.
  • 북동부 라오어: 푸안어라고도 불리며, 시엥쿠앙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중부 라오어: 캄무안과 사반나켓 등 라오스 중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남부 라오어: 참파삭을 중심으로 라오스 남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서부 라오어: 태국이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산어가 대표적이다.


라오스에서는 비엔티안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되지만, 의무 교육이 균일하지 않아 지방에서는 비엔티안 방언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5. 어휘

라오어는 주로 고유 어휘로 이루어져 있지만, 불교의 영향으로 팔리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많다. 특히 종교 관련 용어나 승가 구성원과의 대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 팔리어에서 많이 유입되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태국어크메르어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공식적인 글쓰기에서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같은 외래어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유럽 언어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가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 라오어에서는 존칭 표현을 위해 대명사를 사용하거나 문장 끝에 ແດ່lo (dae) 또는 ເດີ້lo (doe)를 붙인다. 부정문에는 ດອກlo (dok)을 붙여 더욱 정중하게 표현한다.

예시:


  • ຂອບໃຈຫຼາຍ ໆ ເດີ້lo (khop chai lai lai doe) "감사합니다."
  • ຂ້ານ້ອຍເຮັດບໍ່ໄດ້ດອກlo (kha noi het bo lai dok) "할 수 없습니다."
  • ໄຂປະຕູໃຫ້ແດ່lo (khai patu hai dae) "문을 열어주세요."

5. 1. 프랑스어 차용어

프랑스 지배 시기, 라오어에는 새로운 기술과 정치 현실을 나타내는 단어가 부족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1893년 라오어 사용 지역이 분할된 후, 프랑스어는 1953년 라오스가 완전 독립을 달성할 때까지 60년 동안 프랑스 라오스 보호령의 행정 언어였다.[34] 라오스 왕실과 프랑스의 긴밀한 관계는 라오스 내전이 끝날 때까지 프랑스어의 발전과 확산을 이끌었다.

비엔티안의 라오어-프랑스어 이중 언어 표지판. 프랑스어가 라오어에 미친 영향은 상당히 줄었지만, 수백 개의 프랑스어 어원의 단어가 라오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 서구 문화 용어의 대부분은 프랑스어를 통해 들어왔다. 예를 들어, '센티미터'는 프랑스어 ''centimètre''를 차용하여 ''sangtimet'' (ຊັງຕີແມດlo)로 사용한다. 지리적 지명도 프랑스어 형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기니 공화국은 프랑스어 ''Guinée''에서 온 ''kine'' (ກີເນlo)이다.

1990년대부터 외국인 투자가 유입되면서 영어가 국제 외교와 고등 교육에서 프랑스어를 대체하기 시작했지만, 프랑스어의 지위는 캄보디아베트남보다 라오스에서 더 강하게 남아있다. 2010년 기준으로 라오스 인구의 3%인 173,800명이 프랑스어에 능통하며, 35%는 프랑스어를 필수 과목으로 배운다.[34]

라오스는 프랑스어 주간지 ''르 레노바퇴르''를 유지하고 있으며, 프랑스어는 여전히 표지판에 나타나고 주요 토목 공사의 언어로 사용된다. 프랑스는 라오스 이민자 사회를 많이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라오스어에는 수백 개의 프랑스어 차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단어는 구식이거나 원어와 공존하며, 이는 영어에서 차용한 태국어와 대조적이다.

라오어의 프랑스어 차용어
이산어태국어라오어프랑스어라오어
다른 표기
의미
เนกไท|nek thaittsเนกไท|nek thaithກາລະວັດ/ກາຣະວັດ|karawatlocravate프랑스어넥타이
โฮงภาพยนตร์|hong phapphayonttsโรงภาพยนตร์|rong phapphayonthໂຮງຊີເນມາ|hong sinemalocinéma프랑스어ໂຮງຫນັງ|hong nanglo영화관
พจนานุกรม|photchananukromttsพจนานุกรม|photchananukromthດີຊອນແນ/ດີຊອນແນຣ໌|disonnaelodictionnaire프랑스어ພົດຈະນານຸກົມ|photchananukomlo사전
แอฟริกา|aepfrikattsแอฟริกา|aepfrikathອາຟິກ/ອາຟຣິກ|afik/afrikloAfrique프랑스어ອາຟິກາ/ອາຟຣິກາ|afika/afrikalo아프리카
บักแอปเปิล|bak aeppoenttsผลแอปเปิล|phon aeppoenthຫມາກປົ່ມ/ໝາກປົ່ມ|mak pomlopomme프랑스어사과
เนย|noeittsเนย|noeithເບີ/ເບີຣ໌|boelobeurre프랑스어ເນີຍ|noeilo버터
ไวน์|waittsไวน์|waithແວງ|waenglovin프랑스어와인
คนส่งไปรษณีย์|khon song praisanittsคนส่งไปรษณีย์|khon song praisanithຟັກເຕີ/ຟັກເຕີຣ໌|faktoelofacteur프랑스어ຄົນສົ່ງໜັງສື|khon song nangsuelo우편 배달부
ปลาวาฬ|pla wanttsปลาวาฬ|pla wanthປາບາແລນ|pa balaenlobaleine프랑스어ປາວານ|pa wanlo고래
เคมี|khemittsเคมี|khemithຊີມີ|similochimie프랑스어ເຄມີ|khémilo화학
บิลเลียด|binliatttsบิลเลียด|binliatthບີຢາ|biyalobillard프랑스어ບິລລຽດ|binliatlo당구
ธนาณัติ|thananatttsธนาณัติ|thananatthມັງດາ|mangdalomandat프랑스어ທະນານັດ|thananatlo우편환
กรัม|kramttsกรัม|kramthກາມ/ກຣາມ|kam/kramlogramme프랑스어그램


5. 2. 베트남어 차용어

프랑스 식민 지배 이전 시암으로의 좌안 인구 감소로 인해, 이미 베트남에서 활동하던 프랑스인들은 도시 인구를 늘리고 지역 행정을 돕기 위해 베트남인들을 데려왔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 프랑스어 교육을 받은 많은 라오스 사람들은 베트남의 프랑스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프랑스어와 베트남어, 그리고 두 문화에 노출되었다.[21]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20년 동안 지속된 라오스 내전 동안 파테트 라오(Pathét Lao) 세력을 지원하고 라오스 공산주의 민병대에 무기와 훈련을 제공했기 때문에, 라오스 독립 이후 역사에서 여러 시기에 많은 수의 베트남군이 주둔했지만, 라오스가 다른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시장경제에 진입하면서 1980년대 후반 베트남군의 존재감은 약해지기 시작했다. 베트남의 시장 개혁 이후로는 두 국가 간의 주요 초점이 시장 자유화가 되었다.

베트남어에서 라오어로 차용된 어휘와 태국어 및 이산어와의 차이점
이산어태국어라오어베트남어라오어 다른 표기의미
ก๋วยเตี๋ยว|kuaitiao|kǔaj.tǐawttsก๋วยเตี๋ยว|kuaitiao|kǔaj.tǐawthເຝີ|foe|fɤ̌ːlophở|phở|fə̌ːviກ໋ວຍຕ໋ຽວ|kuaitiao|kǔaj.tǐawlo국물이 있는 쌀국수
เยื้อน|yuean|ɲɯ̂anttsงดเว้น|ngotwen|ŋót.wénthກຽງ|kiang|kìaŋlokiêng|kiêng|kiə̯ŋviເຍຶ້ອນ|nyuean|ɲɯ̂anlo삼가다, 그만두다
ฉาก|chak|sàːkttsฉาก|chak|tɕʰàːkthອີແກ້|i kae|ʔìː kɛ̂ːloê-ke|ê-ke|ekɛviສາກ|sak|sȁːklo직각자, T자 모양의 직각자
เฮ็ดงาน|het ngan|hèt ŋa᷇ːnttsทำงาน|tham ngan|tʰām ŋāːnthເຮັດວຽກ|het wiak|hēt wîakloviệc|việc|viə̯̣kviເຮັດງານ|het ngan|hēt ŋáːnlo일하다, 노동하다


6. 음운

라오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며, 자음, 모음, 성조 기호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남부 라오어는 높거나 중간 높이의 자음으로 시작하고 장모음을 가진 음절에서 저음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마이 토'(mai tho, ◌້lo) 성조 표기를 붙인 높거나 중간 높이의 자음은 각각 저음과 저하강음이지만, 이 경우 매우 강한 성문음화(glottalization)로 발음되며, '쉰 목소리'로 묘사될 수 있다.[30]

또한, 남부 라오어는 다소 빠른 말투와 단어 끝의 자음을 부드럽게 하는 경향이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다른 방언 화자들에게는 매우 거칠고 험하게 들릴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영향으로 보이는데, 18세기에 라오족이 정착하기 전까지 이 지역에는 크메르족, 꾸이족 등 여러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이 거주했기 때문이다. 현재도 수린 주 인구의 절반, 시사켓 주와 부리람 주 인구의 약 4분의 1이 크메르어 화자이다.[30]

남부 방언의 단어로는 '강변의 섬'을 뜻하는 '돈'(don, ດອນ|donlo), '세'(se, ເຊ|selo), 사바낙셋에서 '할머니' 존칭으로 쓰이는 '마에 타오'(mae thao, ແມ່ເຖົ້າ|매타오lo) (비엔티안에서는 '시어머니'를 뜻함), 비엔티안의 '펜 양'(pen yang, ເປັນຫຍັງ|뻰 냥lo) 대신 쓰이는 '무슨 문제야?'를 뜻하는 '펜 상'(pen sang, ເປັນສັງ|뻰 상lo) 등이 있다.

역사적인 크메르어의 영향과 현재 태국어의 영향으로, 남부 방언은 일부 단어를 원시 남서 타이어(Proto-Southwestern Tai) *로 시작하는 단어를, 다른 라오어 방언에서 /h/를 갖는 화자들이 로 혼동하는 강하게 유성화된 또는 설측 파열음 로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비엔티안 라오어의 '받다'를 뜻하는 '합'(hap, ຮັບ|합lo)과 '호텔'을 뜻하는 '홍 햄'(hong haem, ໂຮງແຮມ|홍햄lo)은 각각 '랍'(lap, ລັບ|랍lo)과 '홍라엠'(honglaem, ໂຮງແລມ|홍램lo)으로 발음되지만, 다른 라오어 화자에게는 *''답''(dap)과 *''홍다엠''(hongdaem)으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강하게 유성화된 또는 설측 파열음 이다.[31] 남부 지역 사람들은 '누군가를 아는 것'을 뜻할 때 다른 방언에서 사용되는 '후 착'(hu chak, ຮູ້ຈັກ|후짝lo) 대신 '착'(chak, ຈັກ|짝lo)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남부 방언 성조(빡세) 분포[32]
성조 계급고유 성조마이 엑 (◌່lo)마이 토 (◌້lo)장모음단모음
높음고상승중저저음 (성문화)저음고상승
중간중간중저저하강 (성문화)저음고상승
낮음중하강중저저하강저하강중저 (단모음)


6. 1. 자음

라오어 자음은 순음화된 형태와 일반 형태가 존재하여 음소 대립을 이룬다. 라오어 자음의 전체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36][37]

colspan="2" row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일반순모음화일반순모음화일반순모음화일반순모음화
비음
파열음유성
무성
기음
마찰음
유음~



모든 파열음(성문 폐쇄음 /ʔ/ 제외)은 어말 위치에서 무방출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어말 /p/, /t/, /k/는 각각 [p̚], [t̚], [k̚]으로 발음된다.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유음



:* 단모음 뒤에 어말이 없을 때 성문 폐쇄음이 나타난다.

6. 2. 모음

모든 모음은 음운적인 길이의 차이를 가지며, 이중모음은 모두 중심 이중모음이며 강세가 내려가는 이중모음이다.[36][37] 단모음과 장모음은 다음 표와 같다.

단모음 음소
colspan=2 rowspan=2 |전설중설후설
무구개구개
이중모음colspan="2" |
rowspan=4고모음colspan="2" |
고중모음colspan="2" |
저중모음
저모음



장모음 음소
colspan=2 rowspan=2 |전설중설후설
무구개구개
이중모음colspan="2" |
rowspan=4고모음colspan="2" |
고중모음colspan="2" |
저중모음
저모음


6. 3. 성조

라오어는 여섯 가지의 음운론적 성조를 가지고 있다.[38] 비엔티안과 루앙프라방 방언은 다섯 가지 성조를 사용한다.[39][40][41]

부드러운 음절(모음이나 다른 유성음([m], [n], [ŋ], [w], 그리고 [j])으로 끝나는 음절)에는 여섯 가지 성조가 있다.

이름라오어음소 기호(IPA)음운 기호(IPA)의미
상승ຂາ또는다리
ຄາ또는꼼짝 못하는
하강ຄ້າ또는무역
중간ຂ່າ, ຄ່າ갈랑갈, 가치
ກາ또는까마귀
중저 하강ຂ້າ또는죽이다, 하인



부드러운 음절에서 비엔티안과 루앙프라방 방언의 성조
비엔티안[40]루앙프라방[41]
이름성조 문자예시이름성조 문자예시
1(3) 또는 ˩(˧)ຂາ "다리"
ກາ "까마귀"
고-하강-중간533 또는 ˥˧˧ຂາ "다리"
35 또는 ˧˥ຄາ "꼼짝 못하는"저 상승12 또는 ˩˨ຄາ "꼼짝 못하는"
ກາ "까마귀"
중간33 또는 ˧˧ຂ່າ "갈랑갈"
ຄ່າ "가치"
중간 하강32 또는 ˧˨ຂ່າ "갈랑갈"
ຄ້າ "무역"
중간 하강31 또는 ˧˩ຂ້າ "죽이다"고-하강552 또는 ˥˥˨ຂ້າ "죽이다"
고 하강52 또는 ˥˨ຄ້າ "무역"중간 상승34 또는 ˧˦ຄ້າ "무역"



받침이 있는 음절, 즉 파열음([p], [t], [k] 또는 성문 폐쇄음(glottal stop) )으로 끝나는 음절에서는 대조적인 톤의 수가 4개로 줄어든다.

라오어음소음성의미
높음ຫັກ깨다
중간ຮັກ사랑
중저강하ຫາກ만약, 필연적으로
강하ຮາກ토하다, 뿌리



라오어의 성조는 다음 5가지 종류가 있다.


  • 상승조: 하위에서 상위로 급격히 상승
  • 중고조: 중위에서 완만하게 상승
  • 중평조: 중위를 평탄하게
  • 저강조: 저위에서 완만하게 하강
  • 하강조: 상위에서 하위로 급격히 하강


성조 기호는 태국어와 마찬가지로 「◌່」(ໄມ້ເອກ, mai ek)、「◌້」(ໄມ້ໂທ, mai tho)、「◌໊」(ໄມ້ຕີ, mai ti)、「◌໋」(ໄມ້ຈັດຕະວາ, mai cattawa)의 4가지가 있다. (단, 후자 2개는 중모음에만 제한적인 용법으로 사용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전자 2개만 알아두면 된다.)

각 음절은,

  • 자음의 종류 (고자음・중자음・저자음)
  • 성조 기호의 유무・종류 (없음・「◌່|mai eklo」・「◌້|mai tholo」)
  • 음절의 종류 (평음절(장모음・이중모음・비파열음 말자음 끝)・촉음절(단모음・파열음 말자음 끝))
    (※참고로, 성조 기호가 붙는 것은 기본적으로 전자의 평음절뿐이다.)

의 조합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5가지 성조 중 하나에 할당된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음의 종류평음절촉음절
없음「◌່|mai eklo「◌້|mai tholo장모음단모음
고자음상승중평저강저강중고
중자음상승중평하강저강중고
저자음중고중평하강하강중평



다른 이산 및 라오어 방언과 비교했을 때, 남부 라오어는 높거나 중간 높이의 자음으로 시작하고 장모음을 가진 음절에서 저음을 갖는다. '마이 토'(mai tho) 성조 표기를 붙인 높거나 중간 높이의 자음은 각각 저음과 저하강음이지만, 이 경우 매우 강한 성문화(glottalization)로 발음되며, '쉰 목소리'로 묘사될 수 있다. 다소 빠른 말투와 단어 끝의 자음을 부드럽게 하는 경향이 줄어든 것과 결합하여, 남부 라오어는 다른 방언 화자들에게 매우 거칠고 험하게 들린다. 빠른 말투와 성문화와 같은 이러한 특징 중 상당수는 오스트로아시아 언어의 영향일 수 있는데, 이는 이 지역 대부분이 18세기에 라오족이 정착하기 전까지 크메르족, 꾸이족 및 기타 여러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이 거주했고, 현재에도 수린 주 인구의 절반, 시사켓 주와 부리람 주 인구의 약 4분의 1이 크메르어 화자이기 때문이다.[30]

특정 방언 단어로는 '강변의 섬'을 뜻하는 '돈'(don, ດອນ, ), '세'(se, ເຊ, ), 사바낙셋에서 사용되는 '할머니'에 대한 존칭인 '마에 타오'(mae thao, ແມ່ເຖົ້າ, ) (비엔티안(Vientiane)의 '시어머니'와 대조적으로), 비엔티안의 '펜 양'(pen yang, ເປັນຫຍັງ, ), '무슨 문제야?' 대신 '펜 상'(pen sang, ເປັນສັງ, ) 등이 있다. 역사적인 크메르어의 영향과 현재 태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남부 방언은 일부 단어를 원시 남서 태어(Proto-Southwestern Tai) 로 시작하는 단어를, 다른 라오어 방언에서 /h/를 갖는 화자들이 로 혼동하는 강하게 유성화된 또는 설측 파열음 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비엔티안 라오어의 '받다'를 뜻하는 '합'(hap, ຮັບ, )과 '호텔'을 뜻하는 '홍 햄'(hong haem, ໂຮງແຮມ, )은 각각 '랍'(lap, ລັບ, )과 '홍라엠'(honglaem, ໂຮງແລມ, )으로 발음되지만, 다른 라오어 화자에게는 *''답''(dap)과 *''홍다엠''(hongdaem, hông dèm)으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강하게 유성화된 또는 설측 파열음 이다.[31] 남부 지역 사람들은 다른 모든 방언에서 사용되는 '후 착'(hu chak, ຮູ້ຈັກ, ), '누군가를 아는 것'과 대조적으로 '착'(chak, ຈັກ, )을 '누군가를 아는 것'을 의미하는 데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 토 (◌້|lo)'''||'''장모음'''||'''단모음'''

|----- bgcolor="#ffffff"

! 높음

| style="background-color:#7432b9;" | 고상승

| style="background-color:#cc9e15;" | 중저

| style="background-color:#fd6864;" | 저음 (성문화)

| style="background-color:#fd6864;" | 저음

| style="background-color:#7432b9;" | 고상승

|----- bgcolor="#ffffff"

! 중간

| style="background-color:#f8ff00;" | 중간

| style="background-color:#cc9e15;" | 중저

| style="background-color:#3dbaaf;" | 저하강 (성문화)

| style="background-color:#fd6864;" | 저음

| style="background-color:#7432b9;" | 고상승

|----- bgcolor="#ffffff"

! 낮음

| style="background-color:#c94f19;" | 중하강

| style="background-color:#cc9e15;" | 중저

| style="background-color:#3dbaaf;" | 저하강

| style="background-color:#3dbaaf;" | 저하강

| style="background-color:#cc9e15;" | 중저 (단모음)

|}

7. 문자

비엔티안의 와트탓루앙 사원 표지판에 쓰인 라오 문자


14세기 크메르 제국크메르 문자에서 유래한 라오 문자(Lao script)[42]는 궁극적으로 브라흐미 문자 중 하나인 남인도팔라바 문자에서 기원한다.[44] 라오 문자는 태국 문자와 유사하지만, 1960년대에 상당히 음소적인(phonemic) 형태로 단순화되었기 때문에 태국 문자보다 자음의 수가 적다.[43] 반면 태국 문자는 발음이 같은 어원 철자를 많이 유지하고 있다.[43]

이 문자는 전통적으로 아부기다로 분류되지만, 라오 문자의 자음은 고유 모음이 있는 음절이라기보다는 자음 소리만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43] 모음은 이음으로 표기되며 자음의 위, 아래, 앞,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문자에는 숫자를 위한 별도의 기호가 있지만, 아라비아 숫자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라오어는 타이탐 문자로 의례용으로 쓰이며,[44] 라오스와 이산의 사원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라오어 방언의 억양 수와 성격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라오어와 이산어 방언은 여섯 가지 억양을 가지고 있으며, 루앙프라방의 방언은 다섯 가지 억양을 가진다고 한다. 억양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남부 방언 성조(빡세) 분포[32]
성조 계급고유 성조'''마이 엑 ({{lang|lo|◌່|}
억양장모음 또는 모음 + 유성 자음장모음 + 무성 자음단모음 또는 단모음 + 무성 자음마이엑 (◌່|마이엑lo)마이토 (◌້|마이토lo)
높은 자음상승하강높음중간하강
중간 자음저 상승하강높음중간고 하강
낮은 자음높음고 하강중간중간고 하강



특정 자음 앞에 묵음인 ຫ|호lo를 배치하면, 그 앞의 자음이 높은 억양으로 바뀐다. 이것은 ງ|응오lo, ຍ|뇨lo, ຣ|로lo, ວ|워lo와 같은 문자들 앞이나, ຫຼ|로lo, ໜ|노lo, ໝ|모lo와 같이 특수한 합자(별개의 문자로 간주됨)로 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다. ອ່|오lo (저음)과 ອ້|오lo (하강음) 외에도, 드물게 ອ໊|오lo (고음) ອ໋|오lo (상승음) 억양 표기가 존재한다.

라오스에서 종교 문헌에 사용되었던 타이탐 문자의 예


전통적으로 라오어 알파벳은 세속 문헌에만 사용되었다. 종교 문헌은 종종 ''타이탐''으로 쓰였는데, 이는 몬계 문자로, 현재는 타이 크흔어, 타이 뤼어에 사용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깜 므엉에도 사용되었다.[45] 이 문자의 라오스식 스타일은 ''라오탐''으로 알려져 있다.[46]

콤 문자로 쓰인 경전. 이 크메르 문자는 불교, 브라만교 및 의례적 텍스트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신비롭고 마법적이며 종교적인 일부 문헌은 크메르 문자를 수정한 버전인 ''콤 문자''(Aksar Khom)로 쓰여졌다.[47]

8. 라오어와 태국어의 관계

크라다이어족 따이어파에 속하는 라오어는 순수 언어학적으로 태국어와 방언연속체 혹은 동일 언어의 지역 변종 관계에 있어, 라오어 사용자와 태국어 사용자는 양쪽 언어의 공통 부분을 사용하여 상당 부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라오스인이 TV 등 미디어를 통해 태국어를 습득하고 라오어에도 태국어 요소가 혼합된 측면이 있어, 대다수의 중부, 남부 태국인은 라오어를 즉석에서 알아듣기 어렵다.[24] 이러한 차이는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표준어와 지방 방언 간의 관계와 유사하지만, 라오스가 독립국이고 라오어가 국가 공용어의 지위를 가지므로 태국어에 대한 대항 의식이 더 강하다.

라오어는 푸타이어(Phouthai), 타이 요어를 포함한 라오-푸타이어군에 속하며, 이들과 가장 가까운 친족어이다. 북서부 타이어군(샨어, 아홈어, 중국 대부분의 다이족 언어 포함), 치앙센어군(표준 태국어, 코랏 태국어, 타이 란나어 포함) 및 남부 타이어와 함께 타이어족의 남서부 분파를 형성한다.[24] 라오어(이산어 포함)와 태국어는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지만 상호 이해 가능하며, 접촉과 크메르어의 영향으로 더욱 가까워졌다. 하지만 모든 남서부 타이어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하다.

1354년 파 짜오 파 응움(ຟ້າງູ່ມlo)은 크메르를 패배시키고 현재 라오스와 이산 지역의 타이 무앙들을 통합하여 만달라 왕국인 란쌍 왕국을 건설했다.[14] 란쌍 왕국은 수코타이와 후대의 아유타야를 기반으로 한 시암의 야망을 좌절시킬 만큼 강력했다.

크메르어와 크메르어를 통해 유입된 산스크리트어는 라오어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 파 응움이 크메르 궁정에서 자랐고, 크메르 공주와 결혼했으며, 그의 궁정에는 많은 크메르 관리들이 있었기 때문에, ''라사쌉''(ຣາຊາສັບlo)이라고 알려진, 현재는 사멸된 언어 양식이 왕과 고위 성직자에게 말하거나 논의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3] 크메르어와 산스크리트어는 많은 벨레뜨르와 수많은 기술적, 학문적, 문화적 어휘를 제공하여 라오어를 다른 타이 부족 언어와 구분했지만, 비슷한 과정을 거친 태국어와 더 가깝게 만들었다.

16세기에 현대 라오어의 많은 특징들이 확립되었다. 서기관들은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타이 노이''로 알려진 단순화되고 필기체 형태의 문자를 채택했는데, 이 문자는 약간의 수정을 거쳐 라오 문자로 남아 있다.[15] 사이 셋타티랏(ໄຊເສດຖາທິຣາດlo)(1546~1551) 통치 기간 동안 란쌍과 란나의 잠시 통합은 라오 문학에 큰 도움을 주었다.[15]

라오어는 태국어와 동일 언어의 지역 변종 관계에 있다. 라오스인의 대부분은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를 통해 태국어를 습득하여 라오어 화자와 태국어 화자는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태국인 중에서도 특히 중부에서 남부 지역의 태국인에게는 라오어를 즉시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라오스는 독립 국가이며, 라오어는 태국어와 정치적으로 동등한 "국가 공용어의 지위"에 있다. 따라서 라오어는 태국어와의 차이를 더욱 크게 하고 있다.[50]

라오어의 표기에는 태국 문자와 기원을 공유하지만 자형이 다른 라오 문자가 사용된다. 라오어에서는 음운적 표기법을 사용하며, 어원적 표기를 사용하는 태국어와의 차이를 최대한 두드러지게 하려고 한다.[51]

현대 라오어 표준어법의 기초는 언어학자 타오 봉(Thaō Bong)이 구축했다. 타오 봉은 "태국어와 같이 어원적 표기를 하기 위해 자모의 추가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맹목적으로 샴(후의 태국)의 표준어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 "순수하게 음에 따른 표기가 최적이다"라고 비판했다.[53]

태국어와 라오어는 순수 언어학적으로는 동일 언어의 지역 변종이다. 사회 언어학적·정치적으로는, 양자 모두 독립된 표준어법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준어법을 강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영토 국가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에, 다른 언어로 취급된다.[54]

라오어와 표준 태국어는 유사하지만, 일상적인 어휘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논을 갈다”라는 표현은 라오어에서는 “헷(het)(하다)・ナー(논)”라고 표현하는 반면, 태국어에서는 “탐(ทำ)(만들다)・ナー”라고 표현한다.

또한, 어떤 어휘가 완전히 다른 것을 가리키는 현상도 간혹 나타난다. 예를 들어 “파아나마이”는 라오스에서는 “화장지”를 의미하지만, 태국에서는 “생리용 기저귀”를 의미한다.

외래어 수용에도 차이가 있다. 태국은 의무 교육에 영어를 도입했지만, 라오어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속해 있었던 관계로 라오어의 외래어에는 태국어보다 더 많은 프랑스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은 태국어에서는 영어 외래어를 사용하여 “ไอศกรีม 아이사크림 (구어체에서는 아이팀)”이라고 하는 반면, 라오어에서는 프랑스어의 “크렘”을 차용하여 “ກະແລມ 카렘”이라고 한다.

반대로 라오어와 태국어의 산스크리트어팔리어에서 차용한 단어나 고전적인 단어는 양쪽 모두 유사한 경우가 많다.

도시 지역 등에서는 태국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메콩강 유역의 라오스 사람들은 태국어를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라오스에서 태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환영받지 못한다. 이는 라오스 역사에서 오랫동안 라오스가 태국의 속국이었던 점, 라오스가 산악 지대여서 태국에 비해 농업 생산성이 낮아 빈곤을 초래했고, 결과적으로 소타이족(방콕 근처에 거주했던 태-라오계 민족으로 태국어 사용자)에게 차별받아 왔던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55]

반대로, 태국에서도 라오어는 “가난하고 무식한 시골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매우 강하여, 이 언어를 사용하면 제대로 대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태국 국내에 거주하는 이산 사람들은 라오어 방언(이산어)을 모어로 하고 있으며, 이산 지역은 농업 생산성이 낮아 대부분 빈곤에 시달렸고, 빈곤으로 인해 교육을 받지 못해(표준 태국어를 구사하지 못해) 방콕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나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과거에는 이산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유형·무형의 차별을 받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외국인이 두 언어를 모두 습득할 때 두 언어의 유사성은 유익하지만, 태국어를 습득한 외국인이 라오스 국내 또는 해외의 라오스 사람에게 태국어로 말을 걸면, 대부분의 경우 그대로 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태국어와 라오어가 매우 유사하다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 라오스 사람들이 (공식적으로는) 태국인과의 관계를 가능한 한 멀리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태국인들은 라오인·라오어에 대해 밀접한 관계나 동원을 주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태국인의 라오어 이해도는 라오스 사람의 태국어 이해도보다 훨씬 낮다.

9. 일본에서의 라오어 연구

일본에서는 라오어 연구가 태국어만큼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도쿄외국어대학이 국내에서 이 언어를 전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학이다.

참조

[1] 언어코드 lao
[2] 웹사이트 Lao http://aboutworldlan[...] About World Languages 2016-05-25
[3] 웹사이트 Ausbau and Abstand languages http://ccat.sas.upen[...] Ccat.sas.upenn.edu 1995-01-20
[4] 웹사이트 LAO LANGUAGE: DIALECTS, GRAMMAR, NAMES, WRITING, PROVERBS AND INSULTS Facts and Details http://factsanddetai[...] 2020-12-19
[5] 학술지 The Languages of Vietnam: Mosaics and Expansions
[6] 학술지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2014-01-01
[7] 학술지 Proto-Southwestern-Tai revised: A new reconstruction http://jseals.org/JS[...] 2009
[8] 학술지 The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From Bioinformatics to Lexomics 2008-11-03
[9] 논문 Proto Southwestern Tai
[10] 학술지 Thai and Cambodian – A Case of Syntactic Borrowing? 1973
[11] 학술지 Khmero-Thai: The great change in the history of Thai
[12] 서적 'Laotinization' ABC-CLIO, Inc.
[13] 서적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14] 서적 The Lao Kingdom of Lan Xang: Rise and Decline White Lotus Press
[15] 서적 Phya Khankhaak, the Toad King: A Translation of an Isan Fertility Myth in Verse Bucknell University Press
[16] 서적 Spirits of the Place: Buddhism and Lao Religious Cul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학술지 Language vitality and the ethnic tourism development of the Lao ethnic groups in the western region of Thailand https://www.laostudi[...] 2011-11
[18] 서적 A History of L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Finding Their Voice: Northeastern Villagers and the Thai State Silkworm Books
[20] 서적 Isan Writers, Thai Literature Writing and Regionalism in Modern Thailand NUS Press
[21] 서적 Creating Laos: The Making of a Lao Space Between Indochina and Siam, 1860–1945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2] 서적 Contemporary Lao Studies: Research on Development, Language and Culture, and Traditional Medicine Center for Lao Cultural Studies
[23] 웹사이트 Vientiane Tones http://www.seasite.n[...]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24]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even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5] 서적 ภาษาถิ่นตระกูลไทย สถาบันวิจัยภาษาและวัฒนธรรมเพื่อการพัฒนาชนบทมหาวิทยาลัยมหิดล
[26] 학술지 Lao Khrang and Luang Phrabang Lao: A Comparison of Tonal Systems and Foreign-Accent Rating by Luang Phrabang Judges 2015
[27] 웹사이트 Louang Phrabang Tones http://www.seasite.n[...]
[28] 웹사이트 Spoken Lao—A regional approach SEASITE Laos
[29] 웹사이트 Central Lao Tones (Savannakhét) http://hmongrp.wisc.[...]
[30] 서적 A Grammar of Lao Mouton de Gruyter
[31] 학술지 The Story of Lao r: Filling in the Gaps http://www.laostudie[...] 2015
[32] 웹사이트 Southern Lao Tones (Pakxé) http://www.seasite.n[...]
[33] 학술지 A model for the alignment of dialects in southwestern Tai http://www.siamese-h[...]
[34] 웹사이트 Laos http://www.francopho[...]
[35] 서적 Lao PDR Asian Medi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entre
[36] 웹사이트 On the Origins of Labialized Consonants in Lao http://sealang.net/s[...] 2001
[37] 서적 A Grammar of Lao Mouton de Gruyter
[38] 웹사이트 On the Origins of Labialized Consonants in Lao http://sealang.net/s[...] 2001
[39] 서적 From Ancient Thai to Modern Dialects Social Science Association Press
[40] 논문 Tone in Vientiane Lao
[41] 학술지 Lao Khrang and Luang Phrabang Lao: A comparison of tonal systems and foreign-accent rating by Luang Phrabang judges https://www.laostudi[...] 2015-08
[42] 학술지 Languages and Literatures of Indochina 1947-08
[43] 서적 Lao Unicode Consortium
[44] 웹사이트 Lao http://www.lmp.ucla.[...]
[45] 웹사이트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Lanna script in the BMP of the UCS http://www.unicode.o[...]
[46] 웹사이트 Towards a Computerization of the Lao Tham System of Writing http://www.laosoftwa[...]
[47] 간행물 Aksoon Khoom: Khmer Heritage in Thai and Lao Manuscript Cultures
[48] Ethnologue
[49] 웹사이트 Ethnologue Linguistic Lineage for Lao http://www.ethnologu[...]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