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산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산티는 그리스 북동부의 도시로, 고대 도시 크산테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요새로 번영했지만,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에스키제로 알려졌으며,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이 지역의 중요한 도시였다. 이후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불가리아에 할양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역사, 전통, 문화를 간직한 도시로, 다양한 축제와 박물관, 스포츠 팀을 보유하고 있다. 교통은 도로, 철도, 항공으로 연결되며, 데모크리토스 대학교의 공과대학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산티현 - 로도피산맥
로도피산맥은 발칸 반도 남동부, 불가리아와 그리스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붉은 강"이라는 뜻의 이름과 여왕 로도페에 얽힌 그리스 신화를 지니며, 지리적, 수문학적 특징에 따라 세 지역으로 나뉘고, 풍부한 수자원과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크산티현 - 아브디라
그리스 메스타 강 하구 근처 해안에 위치한 아브디라는 헤라클레스 시종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며, 클라조메나이 이주민들이 건설한 델로스 동맹의 주요 항구였으나 약탈로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만 남아있다. - 그리스의 현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현도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그리스의 도시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크산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현지 이름 | 그리스어: Ξάνθη (크산티), 튀르키예어: İskeçe (이스케체), 불가리아어: Скеча (스케차) 또는 Ксанти (크산티) |
| 유형 | 자치단체 |
| 위치 | 동마케도니아-트라키아 |
| 행정 구역 | 크산티 현 |
| 면적 (시) | 495.1 km² |
| 면적 (구) | 153.1 km² |
| 고도 | 82 m |
| 우편 번호 | 67100, 67131, 67132 |
| 지역 번호 | 2541 |
| 차량 번호판 | AH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 | |
![]() | |
![]() | |
| 인구 | |
| 전체 (2021년) | 66,875 명 (시) |
| 전체 (2021년) | 65,240 명 (구) |
| 전체 (2021년) | 58,760 명 (공동체) |
| 전체 (2001년) | 52,270 명 |
| 정치 | |
| 시장 | Efstratios Kontos (에프스트라티오스 콘토스) |
| 임기 시작 | 2023년 |
| 기타 | |
| 지역 | 서부 트라키아 |
2. 역사
크산티는 기원전 1세기에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언급한 고대 도시 ''크산테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5] 다른 고대 역사가에게는 언급되지 않았다.[5] 트라키아 역사의 격동기(약탈, 재난, 민족 갈등, 내전 등)를 겪으며 작은 마을로 시작하였다. 서기 3세기에 지역이 황폐화되면서 크산티 지역의 인구는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5] 1361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을 때 거의 모든 것이 파괴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소아시아 내부에서 터키 정착민을 데려왔고, 그 결과 게니세아 (Γενισέα)가 건설되었으며, 오라이오 (Ωραίο)와 크산티는 주로 그리스와 기독교 중심지로 남았다.[6]
2. 1. 고대와 중세
크산티는 기원전 1세기에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언급한 고대 도시 ''크산테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5] 다른 고대 역사가에게는 언급되지 않았다.[5] 트라키아 역사의 격동기(약탈, 재난, 민족 갈등, 내전 등)를 겪으며 작은 마을로 시작하였다. 서기 3세기에 지역이 황폐화되면서 크산티 지역의 인구는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5] 1361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을 때 거의 모든 것이 파괴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소아시아 내부에서 터키 정착민을 데려왔고, 그 결과 게니세아 (Γενισέα)가 건설되었으며, 오라이오 (Ωραίο)와 크산티는 주로 그리스와 기독교 중심지로 남았다.[6]크산티(Ξάνθηel) 또는 크산티아(Ξάνθειαgrc)에 대한 알려진 기록은 그 기원이 불분명하다. 이 도시는 비잔틴 제국 시대의 번영한 요새였으나, 이후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가 되어 ''에스키제''로 알려졌다.[7] 크산티는 879년에 처음 기록되었다(크산테이아의 게오르기오스 주교가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여).[8][9]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파메기스톤, 탁시라혼, 그리고 파나기아 아르창겔리오티사, 이렇게 세 개의 수도원이 중세 시대에 지어졌으며,[8] 기록에 따르면 현재는 사라진 다른 여러 수도원도 있었다.[10]
크산티는 1327년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의 원정에 등장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크산티는 기원전 1세기에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언급한 고대 도시 ''크산테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5] 다른 고대 역사가에게는 언급되지 않았다.[5] 작은 마을로 시작하여 약탈, 재난, 민족 갈등, 내전 등 트라키아 역사의 모든 격동기를 겪었다. 크산티 지역의 인구는 서기 3세기에 지역이 황폐화되면서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5] 1361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을 때 거의 모든 것이 파괴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오스만 제국은 소아시아 내부에서 터키 정착민을 데려왔고, 그 결과 게니세아(Γενισέα)가 건설되었으며, 오라이오(Ωραίο)와 크산티는 주로 그리스와 기독교 중심지로 남았다.[6]
1715년까지 크산티는 게니세아와 마찬가지로 담배 품질로 명성을 얻었다.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이 지역을 여행하며 지역 주민들의 삶과 고난을 묘사했다. 유럽 전역의 담배 무역은 크산티를 번영의 길로 이끌었다. 게오르기오스 데메트리우는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크산티 지역에서 활동했다. 1829년 3월과 4월에 두 번의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지만, 도시의 재건이 즉시 시작되면서 추가적인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0] 1870년, 게니세아는 불에 타 도시의 모든 기관과 서비스가 크산티로 이전되었고, 당시 크산티의 인구는 약 10,000명이었다. 1891년에는 도시 근처에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추가적인 경제 발전으로 학교와 협회가 설립되었다.[11]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 통치 말기 동안, 이 도시는 아드리아노플 빌라예트 내의 귬율지네 산자크에 행정적으로 위치해 있었다.
2. 3. 근대
크산티는 기원전 1세기에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언급한 고대 도시 ''크산테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5] 다른 고대 역사가에게는 언급되지 않았다.[5] 크산티는 작은 마을로 시작하여 약탈, 재난, 민족 갈등, 내전 등 트라키아 역사의 모든 격동기를 겪었다. 크산티 지역의 인구는 서기 3세기에 지역이 황폐화되면서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5] 1361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했을 때 거의 모든 것이 파괴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오스만 제국은 소아시아 내부에서 터키 정착민을 데려왔고, 그 결과 게니세아 (Γενισέα)가 건설되었으며, 오라이오 (Ωραίο)와 크산티는 주로 그리스와 기독교 중심지로 남았다.[6]1715년까지 크산티는 게니세아와 마찬가지로 담배 품질로 명성을 얻었다.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이 지역을 여행하며 지역 주민들의 삶과 고난을 묘사했다. 유럽 전역의 담배 무역은 크산티를 번영의 길로 이끌었다. 게오르기오스 데메트리우는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크산티 지역에서 활동했다. 1829년 3월과 4월에 두 번의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지만, 도시의 재건이 즉시 시작되면서 추가적인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0] 1870년, 게니세아는 불에 타 도시의 모든 기관과 서비스가 크산티로 이전되었고, 당시 크산티의 인구는 약 10,000명이었다. 1891년에는 도시 근처에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추가적인 경제 발전으로 학교와 협회가 설립되었다.[11]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 통치 말기 동안, 이 도시는 아드리아노플 빌라예트 내의 귬율지네 산자크에 행정적으로 위치해 있었다.
2. 4.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발칸 전쟁 동안 크산티는 1912년 11월 8일에 불가리아군에 의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되었다. 제2차 발칸 전쟁에서 그리스군은 1913년 7월에 이곳을 점령했다.[10] 그러나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크산티는 서트라키아와 함께 불가리아에 할양되었고 (불가리아에서는 Скеча|스케차bg라고 불렸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불가리아의 일부로 남았다. 이 전쟁에서 불가리아가 패배한 후 서트라키아는 연합군의 행정 아래에 놓였고, 1919년 10월 4일 게오르기오스 레오나르도풀로스의 지휘를 받는 그리스군이 이 도시에 진입했다. 이 날짜는 오늘날 크산티에서 해방 기념일로 기념된다. 크산티 출신인 가브리엘 라다스 소위가 도시 최초의 그리스군을 이끌었다. 라다스는 1959년부터 1964년까지 크산티 시장을 역임했다.2. 5.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4월 8일, 제164 보병 사단은 독일의 그리스 침공 이후 크산티를 점령했고, 독일은 이 도시를 불가리아에 넘겼다. 불가리아는 터키 국경 근처의 작은 독일 구역을 제외하고 스트리모나스 동쪽의 모든 지역을 점령했다.[12] 이 도시는 불가리아 벨로모리에 주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불가리아 제2군의 본부 역할을 했다. 불가리아 점령 기간 동안, 크산티 출신의 2,000명이 넘는 기독교인과 무슬림 남성이 불가리아로 강제 노역을 위해 보내졌다.[12] 1943년 3월 4일, 크산티의 유대인들은 불가리아인들에게 체포되어 담배 창고에 갇혔다. 3월 18일과 19일, 그들은 폴란드의 나치 강제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550명의 공동체에서 6명의 유대인만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13] 1926년 하치스타브루 거리와 아나톨리키스 트라키스 거리 모퉁이에 세워진 크산티의 회당은 기독교 협회에서 사용되었고, 나중에 버려졌다. 1995년에 매각되어 철거되었다.[14] 이 도시는 9월 9일 쿠데타 이후 그리스 인민 해방군의 파르티잔이 무혈 입성하여 통제권을 장악하면서 해방되었다. 그러나 불가리아군은 1944년 10월 말까지 이 지역에 남아 있었으며, 연합국의 압력으로 철수했다.[15]
2. 6. 현대
오늘날 크산티는 역사, 전통, 관습이 풍부하고 방문객을 위한 많은 명소(주변 지역 포함)를 갖춘 현대적인 도시이다. '천 개의 색깔을 가진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코모티니(귈륌진)와 디디모티코(디메토카)와 마찬가지로 터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인구가 많다. 동마케도니아 트라키의 무슬림 인구는 오스만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스만 무슬림과 그리스령 마케도니아와 크레타의 그리스 무슬림과는 달리, 로잔 조약 이후 1922~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서 제외되었다.[16] 1972년 그리스 당국은 1870년 포마크 하지 에민 아가(Hadji Emin Aga)가 세운 도시의 랜드마크인 시계탑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 결정은 지역 무슬림들의 항의를 불러일으켜 계획은 취소되었다.[16]
현재 크산티는 현대적인 도시이며, 역사와 전통, 풍부한 관습은 많은 방문객을 매료시킨다. 2월과 5월 중 한 번 개최되는 축제(Καρναβάλι)와 9월 초에 개최되는 구시가지 축제(Γιορτές Παλιάς Πόλης), 그리고 매주 토요일에 열리는 크산티 바자(Παζάρι)는 볼 가치가 있다. 크산티는 "천 가지 색깔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3. 인구
크산티는 '천 개의 색깔을 가진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코모티니(귈륌진)와 디디모티코(디메토카)처럼 터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인구가 많다. 동마케도니아와 트라키의 무슬림 인구는 오스만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스만 무슬림과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및 크레타의 그리스 무슬림과는 달리, 로잔 조약 이후 1922~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서 제외되었다.[16]
| 연도 | 인구 |
|---|---|
| 1940 | 31,015 |
| 1951 | 27,283 |
| 1961 | 27,802 |
| 1971 | 27,040 |
| 1981 | 33,897 |
| 1991 | 38,808 |
| 2001 | 46,464 |
| 2011 | 56,151 |
| 2021 | 58,760 |
4. 문화
오늘날 크산티는 역사, 전통, 관습이 풍부하고 방문객을 위한 많은 명소(주변 지역 포함)를 갖춘 현대적인 도시이다. 크산티는 코모티니, 디디모티코와 마찬가지로 터키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인구가 많아 '천 개의 색깔을 가진 도시'로 알려져 있다. 동마케도니아 트라키의 무슬림 인구는 오스만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스만 무슬림과 그리스령 마케도니아와 크레타의 그리스 무슬림과는 달리, 로잔 조약(1923년) 이후 1922~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서 제외되었다.[16] 1972년 그리스 당국은 1870년 포마크 하지 에민 아가가 세운 도시의 랜드마크인 크산티 시계탑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으나, 지역 무슬림들의 항의로 취소되었다.[16]
4. 1. 축제
크산티는 풍부한 역사, 전통 및 관습을 가진 문화 중심지이며, 다문화 도시로서 "천 가지 색깔의 도시"로 불린다. 크산티 카니발은 매년 2월에 열리는 매우 인기 있는 행사로, 그리스에서 가장 유명한 카니발 중 하나이다. 9월 초에는 "구시가지 축제"가 열린다. 또한, 매주 토요일 엠보리우 광장에서 열리는 크산티 바자회도 유명하다. 마노스 하치다키스 축제는 전 세계의 관심을 끈다.[1]4. 2. 박물관
| 이름 |
|---|
| 크산티 민속 역사 박물관 |
| 크산티 수도 대교구 교회 박물관 |
| 크산티 시립 미술관 |
| 자연사 박물관 |
| 트라키아 예술 및 전통 재단 |
| 그리스 의상 역사 박물관 |
| 마노스 하지다키스 하우스 |
5. 스포츠

- 크산티 FC는 수페르리가 2에서 활동하는 축구팀이다.
- 크산티 BC는 그리스 A2 리그에서 활동했던 농구팀이다.
- 아스피다 크산티는 축구(1부 리그에 한 번 출전)와 농구 팀을 운영한다.
- 오르페아스 크산티 FC는 축구 팀이다.
- 오리온 크산티는 농구 팀이다.
6. 교통
크산티는 도로, 철도,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스 마케도니아 크산티 인근에는 에피루스와 트라키를 횡단하는 Egnatia Motorway가 있다. 크산티 버스 터미널에서는 그리스 전역의 여러 도시로 매일 버스가 운행된다. 크산티는 테살로니키에서 206km, 아테네에서 704km, 이스탄불에서 397km, 에디르네에서 236km 떨어져 있다. 2010년 1월 15일에는 크산티에서 51km 떨어진 곳에 그리스와 불가리아 사이의 아기오스 콘스탄티노스 국경 검문소가 개통되어 인근 마을인 테르미와 즐라토그라드 마을을 연결했다. A2 고속도로와 불가리아의 루도젬 마을을 잇는 연결 도로는 에게 해 통행로를 통해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될 예정이다.
크산티 외곽에는 테살로니키-알렉산드루폴리 선의 크산티 기차역이 있으며, 테살로니키 기차역과 알렉산드루폴리 기차역으로 매일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크산티에는 공항이 없으며, 주로 42km 떨어진 카발라 국제공항과 112km 떨어진 알렉산드로폴리스 국제공항이 이용된다.
6. 1. 도로
그리스 마케도니아 크산티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에피루스와 나머지 트라키를 횡단하는 Egnatia Motorway가 있다. 크산티 버스 터미널에서는 그리스 전역의 여러 도시로 매일 버스가 운행된다. 크산티는 테살로니키에서 206km, 아테네에서 704km, 이스탄불에서 397km, 에디르네에서 236km 떨어져 있다. 2010년 1월 15일, 크산티에서 51km 떨어진 곳에 그리스와 불가리아 사이의 아기오스 콘스탄티노스 국경 검문소가 개통되어 인근 마을인 테르미와 즐라토그라드 마을을 연결했다. A2 고속도로와 불가리아의 루도젬 마을을 잇는 연결 도로는 에게 해 통행로를 통해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될 예정이다.6. 2. 철도
크산티 외곽에는 테살로니키-알렉산드루폴리 선의 크산티 기차역이 있으며, 테살로니키 기차역과 알렉산드루폴리 기차역으로 매일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6. 3. 항공
크산티에는 공항이 없다. 주로 42km 떨어진 카발라 국제공항과 112km 떨어진 알렉산드로폴리스 국제공항이 이용된다.7. 교육
데모크리토스 대학교 트라키의 공과대학이 크산티에 위치해 있다.
| 학과 |
|---|
|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
| 토목공학과 |
| 환경 공학과 |
| 건축 공학과 |
| 생산 관리 공학과 |
8. 자매 도시
크산티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9. 저명한 출신 인물
- 마노스 하지다키스(1925–1994): 그리스의 주요 작곡가. 동명의 영화 삽입곡 일요일은 참으세요로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 세리프 괴렌(1944-): 터키 영화 감독. 1982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수상.
- 야나키 파스칼레프(1863–1933): 불가리아 혁명가, IMORO 회원.
- 크리스토둘로스 대주교(1939–2008): 전 그리스 정교회 대주교.
- 바실리스 토로시디스(1985-): 올림피아코스 FC 및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선수.
- 람브로스 파판토니우 (1945-2009): 언론인, 정치 분석가. 출생지는 크산티 만드라이며, 사망지는 미국 워싱턴이다.
- 자페이리스 멜라스: 현대 그리스 라이코 가수.
- 치뎀 아사포글루: 우호 평화 정당의 사무총장.
- 아포스톨로스 루모글루: 코네티컷 대학교 허스키스 농구 선수.
- 데모크리토스: 고대 압데라 출신 철학자.
- 프로타고라스: 고대 압데라 출신 철학자.
- 클리오 다나에 오소네우(1979-): 배우, 뮤지션, 피아니스트.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Xanthi,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웹사이트
Visit Greece | Ξάνθη
http://www.visitgree[...]
visitgreece.gr
2016-03-29
[3]
서적
The Shaping of the Ottoman Balkans, 1350-1550: The Conquest, Settlement & Infrastructural Development of Northern Greece
Bahçeşehir University Publications
2008
[4]
서적
Балканската политика на България 1894-1898
Българска академия на науките
[5]
서적
2005
[6]
웹사이트
Xanthi – History
http://www.eurotrave[...]
[7]
웹사이트
Xánthi
http://www.britannic[...]
Encyclopaedia Britannica
[8]
웹사이트
About Xanthi
http://aha.netcreati[...]
[9]
웹사이트
Θρακικός Ηλεκτρονικός Θησαυρός - Ιστορία
http://www.xanthi.il[...]
[10]
웹사이트
History of Xanthi
http://www.visitgree[...]
[11]
간행물
Μορφολογικά χαρακτηριστικά των κτηρίων της παλιάς πόλης της Ξάνθης
http://morfologia.ar[...]
Δημοκρίτειου Πανεπιστήμιου Θράκης
2011-07-18
[12]
서적
Ξάνθη 1941–1944
Όμηροι Βουλγαρίας
2002
[13]
웹사이트
Ξάνθη
https://kis.gr/index[...]
[14]
서적
The Synagogues of Greece: A Study of Synagogues in Macedonia and Thrace: With Architectural Drawings of all Synagogues of Greece
KDP
2022
[15]
서적
The Last Ottomans: The Muslim Minority of Greece 1940–1949
Springer
2011
[16]
서적
Нашите в Гърция
2011
[17]
웹사이트
От 1-ви януари ще минаваме и през ГКПП Рудозем - Ксанти
https://bnr.bg/post/[...]
2024-12-12
[18]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19]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0]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EL.STAT.
http://dlib.statisti[...]
2012-04-23
[21]
웹사이트
Twinnings
http://www.kedke.gr/[...]
2013-08-25
[22]
웹사이트
Ξάνθη: Μία πόλη, χίλια χρώματα
http://www.ethnos.g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