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역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프로스 역병은 3세기에 발생한 로마 제국을 휩쓴 전염병으로, 카르타고의 주교 키프리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역병은 천연두나 에볼라와 같은 출혈열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추정되며, 로마 제국 내 여러 민족의 공격과 맞물려 급속히 확산되었다. 키프로스 역병은 농업 생산량 감소, 군사력 약화, 정치적 불안정 등 로마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루에 5,000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역병은 로마 제국의 종말을 초래할 뻔했고, 기독교 신념 확산에도 영향을 미쳐, 당시 사회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연두 유행 - 안토니누스 역병
안토니누스 역병은 165년부터 180년경 로마 제국에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낸 전염병으로, 천연두로 추정되며 로마 사회, 군대, 무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천연두 유행 - 1721년 보스턴의 천연두 유행
1721년 보스턴의 천연두 유행은 영국 선박을 통해 유입된 천연두가 면역력 없는 젊은 세대에게 확산되면서 코튼 매더와 자브디엘 보일스턴의 예방 접종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나, 일부 의사의 반대와 대중의 불안감으로 논란과 사회적 논쟁을 야기한 역사적 사건이다. - 인플루엔자 범유행 - 조류 인플루엔자
조류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의 여러 아형으로 분류되는 동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으로,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제(N) 단백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아형이 존재하며, 고병원성 아형은 사람에게 감염될 경우 높은 치사율을 보일 수 있고, 야생 조류가 주요 저장소이며 가금류를 통해 전파되고, 최근 H5N1 아형의 확산과 포유류 감염 증가로 인간 감염 및 팬데믹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인플루엔자 범유행 - 돼지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는 A형,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돼지에게 흔히 발생하고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다양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된 돼지는 발열, 호흡기 증상을 보이고 사람에게는 일반적인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실시간 PCR 검사로 진단하고, 개인 위생 수칙 준수,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며, 과거 유행 사례가 있었고 농업 및 공중 보건에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적인 감시와 예방이 필요하다.
키프로스 역병 | |
---|---|
개요 | |
이름 | 키프로스 역병 |
다른 이름 | 키프리아누스 역병 |
원인 추정 | 알려지지 않음, 바이러스성 출혈열, 천연두, 또는 홍역 가능성 있음 |
원인 바이러스 추정 | 알려지지 않음, 필로바이러스 가능성 있음 |
위치 | 로마 제국, 지중해 분지 |
시기 | 250–270년 |
영향 | |
사망자 | 다수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Solving the Mystery of an Ancient Roman Plague The fate of Rome : climate, disease, and the end of an empire Plague of Cyprian, 250-270 CE The New History, Book 1 The 'Plague of Cyprian': A revised view of the origin and spread of a 3rd-c. CE pandemic |
![]() |
2. 이름의 유래
카르타고의 주교였던 키프리안은 이 역병에 대하여 역사책에 최초로 기술하였다. 그의 이름을 따서 키프로스 역병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역사가 윌리엄 맥닐은 키프로스 역병과 안토니우스 역병은 천연두와 홍역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두 재앙으로 인한 유럽의 대규모 감염은 사람들이 이전에 해당 질병에 한 번도 노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는 두 발병 모두 천연두였다고 주장한다.[18]
3. 역학
역사가 카일 하퍼(Kyle Harper)에 따르면, 고대 자료에서 키프리아누스 역병으로 여겨지는 증상은 천연두보다는 에볼라와 같은 출혈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성 질환과 더 잘 일치한다. (반대로, 하퍼는 안토니누스 역병이 천연두에 의해 발생했다고 믿고 있다.)[1][10][19] 에볼라의 발원지인 아프리카에서 질병이 온 것도 이런 추측의 이유이기도 하다.[26][27][31]
질병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다. 두 역병으로 인한 유럽 인구의 심각한 피해는 인구가 이 역병의 원인에 대한 이전 노출이나 면역이 없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3. 1. 역학적 특징
역사가 윌리엄 맥닐은 키프로스 역병과 안토니우스 역병은 천연두와 홍역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두 재앙으로 인한 유럽의 대규모 감염은 사람들이 이전에 해당 질병에 한번도 노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18] 반면, 역사가 카일 하퍼(Kyle Harper)에 따르면, 키프로스 역병으로 인한 증상은 천연두가 아닌 에볼라와 같은 출혈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병과 더 잘 일치한다고 한다.[26][27][31] 에볼라의 발원지인 아프리카에서 질병이 온 것도 이런 추측의 이유이기도 하다.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는 두 발병 모두 천연두였다고 주장한다.[18]
3. 2. 병원체에 대한 가설
역사가 윌리엄 맥닐은 키프로스 역병과 안토니우스 역병은 천연두와 홍역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18] 두 재앙으로 인한 유럽의 대규모 감염은 사람들이 이전에 해당 질병에 한번도 노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는 두 발병 모두 천연두였다고 주장한다.
역사가 카일 하퍼(Kyle Harper)에 따르면, 키프로스 역병으로 인한 증상은 천연두가 아닌 에볼라와 같은 출혈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병과 더 잘 일치한다고 한다.[26][27][31] 그리고 에볼라의 발원지인 아프리카에서 질병이 온 것도 이런 추측의 이유이기도 하다. 하퍼는 안토니누스 역병이 천연두에 의해 발생했다고 믿고 있다.[1][10][19]
4. 확산 원인과 영향
키프로스 역병의 급속한 확산과 역병 관련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여러 민족들이 여러 경로로 로마를 공격했기 때문이다.[28] 게르만족은 갈리아를 공격했고, 파르티아는 메소포타미아를 공격했다. 로마는 여러 경로의 공격을 막느라 역병의 창궐에 대응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말았다.
키프로스 역병은 농부들에게도 심각하게 퍼져 식량 생산 부족을 야기하였다. 군인들에게 퍼진 키프로스 역병은 로마 군대에 대한 광범위한 인력 부족을 일으켜 3세기 시대의 로마 제국의 국력을 심각하게 약화시켰다.[29][27][30]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날은 5,000명이 사상자로 기록되기도 했다.[28]
키프로스 역병으로 인해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종교적 격변이 일어났다. 호스틸리아누스 황제는 251년에 사망했고, 클라우디우스 고디쿠스황제는 270년 사망했다. 이 기간에 경쟁자들의 지속적인 황제 쟁탈전에 정치는 갈수록 불안해졌다.[28] 로마 군단의 지도력 부족과 병사 고갈은 로마의 외부 공격 방어 능력을 약화 시키고, 제국의 상태를 악화 시켰다. 질병의 광범위한 발병은 시골 인구를 도시로 이주시켰고, 남아 있는 농부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로마 제국의 농업 생산은 붕괴 되었다.[28]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안토니누스 역병, 키프리아누스 역병, 유스티니아누스 역병과 같이 로마 제국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역병들은 더 차갑고 건조한 기후 조건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당시 더 추운 날씨가 이러한 질병의 확산에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후 스트레스는 식량 가용성, 설치류 개체 수, 인간 이주와 같은 사회적, 생물학적 변수와 상호 작용하여 인구를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고 생각된다.[20][21]
4. 1. 확산 원인
키프로스 역병의 급속한 확산과 역병 관련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여러 민족들이 여러 경로로 로마를 공격했기 때문이다.[28] 게르만은 갈리아를 공격했고, 파르티아는 메소포타미아를 공격했다. 로마는 여러 경로의 공격을 막느라 역병의 창궐에 대응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말았다.키프로스 역병은 농부들에게도 심각하게 퍼져 식량 생산 부족을 야기하였다. 군인들에게 퍼진 키프로스 역병은 로마 군대에 대한 광범위한 인력 부족을 일으켜 3세기 시대의 로마 제국의 국력을 심각하게 약화시켰다.[29][27][30]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날은 5,000명이 사상자로 기록되기도 했다.[28]
키프로스 역병으로 인해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종교적 격변이 일어났다. 호스틸리아누스 황제는 251년에 사망했고, 클라우디우스 고디쿠스황제는 270년 사망했다. 이 기간에 경쟁자들의 지속적인 황제 쟁탈전에 정치는 갈수록 불안해졌다.[28] 로마 군단의 지도력 부족과 병사 고갈은 로마의 외부 공격 방어 능력을 약화 시키고, 제국의 상태를 악화 시켰다. 질병의 광범위한 발병은 시골 인구를 도시로 이주시켰고, 남아 있는 농부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로마 제국의 농업 생산은 붕괴 되었다.[28]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안토니누스 역병, 키프리아누스 역병, 유스티니아누스 역병과 같이 로마 제국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역병들은 더 차갑고 건조한 기후 조건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당시 더 추운 날씨가 이러한 질병의 확산에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후 스트레스는 식량 가용성, 설치류 개체 수, 인간 이주와 같은 사회적, 생물학적 변수와 상호 작용하여 인구를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고 생각된다.[20][21]
4. 2. 영향
키프로스 역병의 급속한 확산과 높은 사망률은 여러 민족의 로마 공격으로 인해 발생했다.[28] 게르만족은 갈리아를, 파르티아는 메소포타미아를 공격하여, 로마는 역병 창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역병은 농업과 군사 분야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농부들의 감염은 식량 생산 부족을 야기했고, 군인들의 감염은 로마 군대의 인력 부족을 초래하여 3세기 시대 로마 제국의 국력을 약화시켰다.[29][27][30] 하루에 5,000명이 사망한 기록도 있다.[28]
키프로스 역병은 정치, 군사, 경제, 종교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호스틸리안 황제(251년)와 클라우디우스 고디쿠스 황제(270년)가 역병으로 사망했고, 황제 쟁탈전으로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었다.[28] 로마 군단의 지도력 부족과 병력 감소는 외부 공격 방어 능력을 약화시켰다. 질병 확산으로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업 생산이 붕괴되었다.[28]
하퍼에 따르면, 키프로스 역병은 로마 제국의 종말을 초래할 뻔했으며, 248년에서 268년 사이 로마 역사는 잔혹한 실패의 연속이었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황제와 그의 아들은 가난하고 취약한 역병 희생자들에게 매장 공간을 제공하여 지지를 얻었다.[9] 제국은 분열되었으나, 후기 황제들의 노력으로 재건되었다.[10]
역병은 기독교 신념 확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고통을 악마와의 싸움으로 여겼다.[22] 키프리아누스는 사람들에게 두려워 말고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을 기억하라고 촉구하며, 이웃 사랑을 강조했다.[23] 역병으로 인한 죽음의 위협과 기독교 성직자들의 확신은 많은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24] 교회는 내세를 약속하며 병자와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었다. 키프리아누스는 신자들의 열정을 기록하며, 믿음과 고통을 통해 그리스도께 나아갈 것을 독려했다.[25]
5. 당대의 기록
로마 제국에서 역병으로 인한 총 사망자 수를 추정할 수 있는 충분한 기록은 없다. 발병 최고조에 달했을 때, 하루에 5,000명이 로마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6] 한 역사가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의 인구는 역병으로 인해 50만 명에서 19만 명으로 감소했다. 이 도시의 인구 감소의 일부는 사람들이 도망간 탓일 수도 있다.
교황 대 디오니시우스는 250년의 데키우스 박해 또는 257년의 발레리아누스 박해 직후 알렉산드리아에서 역병의 영향에 대해 기록했다(유세비우스의 보고에 따르면).[6]
카르타고의 폰티우스는 키프리안의 전기 작가로, 카르타고에서 발생한 역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7]
> 그 후 끔찍한 역병이 발발하여, 혐오스러운 질병이 떨고 있는 백성의 모든 집에 침입하여 날마다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자기 집에서 데려갔다. 모두가 전염을 두려워하고 피하며, 죽을 것이 확실한 사람을 제외하면 죽음 자체를 배제할 수 있는 것처럼, 자기 친구들을 부당하게 노출시켰다. 그동안 도시 전체에 시체는 더 이상 없었지만, 많은 사람들의 시체가 있었고, 그들 차례가 될 운명을 묵상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불쌍히 여겨 달라고 요구했다. 잔인한 이익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았다. 비슷한 사건을 기억하며 떨지 않았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경험하고 싶은 것을 하지 않았다.
역병은 황제 데키우스가 로마 종교에 대한 경건함을 부활시키는 자극제가 되었을 수 있다. 250년 1월 3일, 그는 제국 내 모든 사람들에게 전통적인 신들과 황제의 안녕을 위한 제사를 지내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데키우스 박해가 발생했다.[8] 50년 후, 기독교로 개종한 북아프리카인 아르노비우스는 전통적인 신들을 소홀히 한 결과 역병과 다른 재앙이 발생했다는 이교도의 주장에 맞서 자신의 새로운 종교를 변호했다.[8]
역병에 대한 기록은 서기 251년부터 262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질병이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 질병의 첫 번째 출현 중 하나는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 주교의 두 서신 내용에 근거하며, 이는 249년 부활절 즈음에 이집트에서 역병이 발생하여 빠르게 유럽으로 퍼져나가 늦어도 251년 하반기까지 로마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9] 이후 270년에 클라우디우스 2세 고티쿠스의 죽음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지만, 이것이 동일한 역병인지 아니면 다른 발병인지 알 수 없다.[10]
''아우구스투스사''에 따르면, "안티오키아누스와 오르피투스[11]의 집정관 재임 기간 동안 하늘의 은총이 클라우디우스의 성공을 도왔다. 왜냐하면 헤미몬툼[12]에 모여든 야만족 부족의 생존자들, 즉 많은 사람들이 기근과 역병에 시달렸기 때문에 클라우디우스는 더 이상 그들을 정복하는 것을 경멸했기 때문이다[13]... 이와 같은 기간 동안 스키타이족은 크레타와 키프로스에서도 약탈을 시도했지만, 어디에서나 그들의 군대는 마찬가지로 역병에 시달렸고 패배했다."[14]
이집트 테베에서 일한 고고학자들은 사람들의 뼈를 태운 흔적을 발견하고 역병 기간 동안 시신을 불태웠다고 믿게 되었다.[15]
당대의 자료는 역병이 에티오피아에서 시작되었다고 나타내지만, 전염병의 발원지를 에티오피아로 취급하는 것은 아테네의 역병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기록만큼이나 오래되었다. 그러나 역병이 로마에 도달하기 최소 1년 전에 알렉산드리아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동아프리카 기원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19]
6. 역사적 유산
하퍼에 따르면, 키프로스 역병은 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올 뻔했으며, 서기 248년에서 268년 사이 로마 역사는 잔혹한 실패의 얽힘으로 변모한다.[9] 로마 내의 피해는 너무 심각하여 인구가 줄어들면서,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황제와 그의 아들은 특히 가난하고 취약한 역병 희생자들에게 적절한 매장 공간을 제공해 인기를 얻고 지지를 받았다.[9] 로마의 구조적 통합성은 의심스러워졌고, 붕괴는 왕좌에 대한 정통성을 얻기 위해 잇따라 시도하는 후보들을 불러왔다. 결국 제국은 분열되었고, 제국 재건에 성공한 후기 황제들의 엄청난 성공만이 이 시기가 로마 제국 역사의 마지막 시기가 되는 것을 막았다.[10]
키프로스 역병은 또한 많은 기독교 신념으로 이어졌는데,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이 악마와 싸우고 있기 때문에 고통을 겪는다고 믿었다.[22]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성적으로 호기심이 많지만, 이 질병은 실제로 로마 사람들을 당황하게 했다. 키프리아누스는 사람들에게 질병에 대해 두려워하고 궁금해하지 말고, "영원한 생명에는 희망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고 촉구했다.[23] 주교는 또한 "아프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가가 그들을 도와주세요. 하나님은 너희 이웃을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사랑하라고 말씀하셨다"라고 말했다.[23]
역병이 초기 교회 시대에 발생했기 때문에, 역병으로 인한 임박한 죽음의 위협과 그에 직면한 많은 기독교 성직자들의 확신은 그 종교로 많은 개종자를 얻게 했다.[24] 교회는 또한 내세, 즉 많은 병자와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위안을 약속했다. 키프리아누스는 그의 논문에서 병에 걸린 신실한 사람들의 열정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모든 강한 정신력으로 파괴와 죽음의 많은 공격에 맞서 싸우는 것이 얼마나 웅장한 정신인가! 인류의 황폐함 속에서 똑바로 서서, 하나님께 희망이 없는 사람들과 함께 쓰러지지 않고, 오히려 기뻐하고, 이 기회의 혜택을 받아들이는 것이 얼마나 숭고한가! 이처럼 용감하게 우리의 믿음을 드러내고, 고통을 견디며, 그리스도가 걸었던 좁은 길을 통해 그리스도께 나아가자. 우리는 그의 판단에 따라 그의 삶과 믿음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25]
7. 한국에 주는 시사점
참조
[1]
웹사이트
Solving the Mystery of an Ancient Roman Plague
https://www.theatlan[...]
2017-11-01
[2]
논문
The 'Plague of Cyprian': A revised view of the origin and spread of a 3rd-c. CE pandemic
2021-06-07
[3]
서적
The New History, Book 1
http://www.tertullia[...]
Green and Chaplin
2016-04-22
[4]
서적
The power of plagues by Irwin W. Sherman
https://books.google[...]
[5]
간행물
Cyprian’s Response to an Epidemic.
2020-08
[6]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from Christ to Constantine
Dorset Press
[7]
문서
"Life of Cyprian"
http://www.ccel.org/[...]
[8]
문서
"Adversus Gentes"
http://www.ccel.org/[...]
[9]
논문
The "Plague of Cyprian": A revised view of the origin and spread of a 3rd-c. CE pandemic
https://www.cambridg[...]
2021-06
[10]
서적
The Fate of Rome: Climate, Disease, and the End of 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문서
AD 270
[12]
문서
Mount Haemus in the Balkans
[13]
문서
Historia Augusta, Divinus Claudius, XI, 3
[14]
문서
Historia Augusta, Divinus Claudius, XII, 1
[15]
웹사이트
The Cyprian Plague
https://www.biblical[...]
2024-10-28
[16]
웹사이트
Plague of Cyprian, 250-270 CE
https://www.worldhis[...]
2024-10-04
[17]
문서
De Mortalitate
http://www.ccel.org/[...]
[18]
문서
Famine and Pestilence in the late Roman and early Byzantine Empire
[19]
문서
"Pandemics and Passages to Late Antiquity: Rethinking the Plague of c. 249-70 described by Cyprian,"
2015
[20]
웹사이트
Roman Plagues Struck During Cool, Dry Periods
https://eos.org/arti[...]
2024-02-28
[21]
논문
Climate change, society, and pandemic disease in Roman Italy between 200 BCE and 600 CE
2024
[22]
논문
Death, Decay and Delight in Cyprian of Carthage
https://brill.com/vi[...]
2019-07-16
[23]
논문
Litany for a pandemic
[24]
논문
Saint Cyprian
http://www.britannic[...]
2013-05-09
[25]
웹사이트
Christian Mercy in a Time of Plague - Credo Magazine
https://credomag.com[...]
2024-10-28
[26]
웹인용
Solving the Mystery of an Ancient Roman Plague
https://www.theatlan[...]
2017-11-01
[27]
서적
The fate of Rome : climate, disease, and the end of an empire
https://www.worldcat[...]
[28]
웹인용
Plague of Cyprian, 250-270 CE
https://www.ancient.[...]
2020-04-13
[29]
웹인용
Zosimus, New History. London: Green and Chaplin (1814). Book 1.
http://www.tertullia[...]
2020-04-13
[30]
서적
The Power of Plagues
https://books.google[...]
ASM Press
2006
[31]
서적
Harper, Kyle "Pandemics and Passages to Late Antiquity: Rethinking the Plague of c. 249-70 described by Cyprian,"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28 (2015) 223-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