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병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병렬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출신으로 김일성이 주도한 항일 활동에 참여하여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사회안전상,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관 관장 등을 지냈다. 공화국 영웅, 김일성 훈장, 공화국 이중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1997년에 사망했다. 2016년에는 태영호의 아버지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오보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천군 출신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 명천군 출신 - 태종수
태종수는 일제강점기에 출생하여 만경대혁명학원과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총리, 당 재정계획부장, 당 중앙위원회 비서 등을 역임했으며, 김정은 집권 하에 권력으로 복귀한 기술관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에 거주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중국에 거주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 변인선
변인선은 평양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으로, 인민군 상장까지 진급하여 제7군단 및 제4군단 사령관, 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나, 2014년 예편 후 목함 지뢰 도발을 일으켜 2015년 총살형을 당했다.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태병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태병렬 |
로마자 표기 | Tae Byeong-ryeol |
한자 표기 | 太炳烈 |
출생 | 1916년 |
출생지 | 명천군, 함경북도, 일제강점기 조선 |
사망 | 1986년 12월 29일 (또는 1997년 2월 4일, 정보 불확실) |
사망지 | 평양직할시, 북한 |
국적 | 북한 |
직업 | |
직업 | 군인, 정치인 |
소속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군대 | 조선인민군 |
계급 및 경력 | |
계급 | 대장 |
복무 기간 | 알 수 없음 |
주요 경력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7회)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관장 조선로동당 명예고문위원 북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중앙집행지도부 차장 |
학력 | |
학력 | 만주국 퉁화 제일국민중학당(1934년) |
가족 관계 | |
친인척 | 사돈 정일룡(鄭壹龍) |
자녀 | 적장자 태종수(太鐘守) 서차자 태형철(太炯哲) 서삼남 태용우(太勇禑) |
훈장 | |
훈장 | 김일성훈장 공화국2중영웅 제1급국기훈장 |
안장 | 대성산혁명렬사릉 |
2. 생애
태병렬은 1916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3] 1936년 김일성이 주도한 항일 활동에 참여했다.[1] 만주에서 활동하던 동북항일연군에 입대하여 제1로군 제3방면군 소속으로 활동했으며,[3] 항일 투쟁 당시 전령병으로 활동했다.[4] 1940년 소련으로 갔다가[3] 1945년 해방 후 귀국했다.
1946년경 중앙보안간부학교 지휘성원으로 있었고, 1947년 8월에는 내무국 독립여단 문화부여단장을 역임했다.[3] 1950년 한국 전쟁 당시에는 제23연대장으로 참전했다.[5]
전후 1956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에 취임했고,[3] 1961년 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3] 1962년 최고인민회의 제3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3] 1965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장으로 승격했다.[3] 196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사회안전상에 취임했다.[3]
1970년 3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1] 국기훈장(제1급 국기훈장)을 수여받았다.[3] 같은 해 11월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72년 당 중앙위원회 군사부장에 취임했고,[3] 1980년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80년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1]
1982년에는 김일성 주석의 70세 생일을 기념하여 김일성 훈장을 수여받았다.[3] 1985년 10월, 그는 1986년 12월 29일 사망할 때까지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을 기념하는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관 관장을 역임했다.[1] 1992년 4월, 인민군 대장 계급을 받았고,[1] 공화국 이중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3] 1997년 2월 7일 지병으로 사망했다.[3]
2016년 한국으로 망명한 태영호 주 영국 북한 공사의 아버지라고 보도되었지만,[6] 오보였음이 밝혀졌다.[7]
2. 1. 항일 무장 투쟁 및 북한 정권 수립 참여 (1936년 ~ 1960년대)
태병렬은 1916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3] 1936년 김일성이 주도한 항일 활동에 참여했다.[1] 만주에서 활동하던 동북항일연군에 입대하여 제1로군 제3방면군 소속으로 활동했으며,[3] 항일 투쟁 당시 전령병으로 활동했다.[4] 1940년 소련으로 갔다가[3] 1945년 해방 후 귀국했다.1946년경 중앙보안간부학교 지휘성원으로 있었고, 1947년 8월에는 내무국 독립여단 문화부여단장을 역임했다.[3] 。。 1950년 한국 전쟁 당시에는 제23연대장으로 참전했다.[5]
전후 1956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에 취임했고,[3] 1961년 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3] 1962년 최고인민회의 제3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3] 1965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장으로 승격했다.[3] 196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3] 사회안전상에 취임했다.[3]
1970년 3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1] 국기훈장(제1급 국기훈장)을 수여받았다.[3] 같은 해 11월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72년 당 중앙위원회 군사부장에 취임했고,[3] 1980년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80년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1]
1982년에는 김일성 주석의 70세 생일을 기념하여 김일성 훈장을 수여받았다.[3] 1985년 10월, 그는 1986년 12월 29일 사망할 때까지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을 기념하는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관 관장을 역임했다.[1] 1992년 4월, 인민군 대장 계급을 받았고,[1] 공화국 이중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3] 1997년 2월 7일 지병으로 사망했다.[3]
2016년 한국으로 망명한 태영호 주 영국 북한 공사의 아버지라고 보도되었지만,[6] 오보였음이 밝혀졌다.[7]
2. 2. 조선로동당 및 군부 요직 역임 (1960년대 ~ 1997년)
태병렬은 1956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에 취임했고,[3] 1961년 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3] 1962년 최고인민회의 제3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3] 1965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장으로 승격했다.[3] 196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사회안전상에 취임했다.[3] 197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와 국기훈장(제1급 국기훈장)을 수여받았다.[3] 같은 해 11월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1972년 당 중앙위원회 군사부장에 취임했고,[3] 1980년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85년에는 조국해방전쟁승리 기념관 관장에 취임했다.[3] 1992년 대장으로 진급했고,[3] 공화국 이중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3]
3. 상훈
태병렬은 수많은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그의 사진에는 그가 받은 모든 훈장을 리본으로 착용한 모습이 담겨있다.[2]
4. 가족 관계 및 기타 논란
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북한 관점)
5. 2. 부정적 평가 (대한민국 관점)
참조
[1]
서적
金日成《金日成回忆录》第十七章第六节带枪的少年们
[2]
웹사이트
Defector is son of former comrade of Kim Il Sung
https://koreajoongan[...]
JoongAng Daily
2023-01-10
[3]
백과사전
태병렬(太炳烈)
http://encykorea.aks[...]
[4]
뉴스
金正恩氏が「ブチ切れて拳銃乱射」の仰天情報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16-08-20
[5]
서적
6⋅25전쟁사 5 낙동강선 방어작전
http://chppm.chilgok[...]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08-26
[6]
뉴스
脱北した北朝鮮外交官は「抗日パルチザン」の血筋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6-08-18
[7]
뉴스
脱北した駐英北朝鮮公使は平凡な家柄、夫人は名家の子孫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6-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