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풍 루스 (195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루스 (1951년)는 1951년 10월 9일 괌 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일본 열도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이다. 10월 12일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최성기를 맞이한 후, 북상하여 10월 14일 가고시마현 이치키쿠시키노시 부근에 상륙했다. 루스는 일본에 572명의 사망자와 2,644명의 부상자를 발생시켰으며,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포항에서 최대풍속 39.8m/s를 기록하는 등 강풍과 폭우로 인해 572명이 사망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대한민국 - 한일회담
    한일회담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1951년부터 1965년까지 국교 정상화를 위해 진행한 회담으로,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이어졌으나 과거사 문제, 재산 청구권, 재일교포 지위, 어업 문제, 문화재 반환 등 다양한 쟁점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51년 대한민국 - 국민방위군 사건
    국민방위군 사건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국민방위군에서 부정부패와 부실 운영으로 9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를 드러내고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민주주의와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51년 10월 - 1951년 영국 총선
    1951년 영국 총선은 노동당 애틀리 정부가 보수당 처칠에게 패배한 선거로, 노동당이 득표율에서 앞섰음에도 소선거구제로 인해 의석수에서 뒤쳐져 보수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정권교체를 이루고 윈스턴 처칠이 다시 수상이 된 영국 정치사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951년 10월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1951년 일본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1951년 일본이 주권을 회복하고 국제 사회에 복귀하도록 한 평화 조약이나, 전후 처리 과정의 이견과 냉전으로 일부 국가가 배제되었고 영토 및 배상 문제에 대한 모호한 조항들이 동아시아 분쟁 요소로 남아 대한민국이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
  • 1951년 일본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
    요시다 시게루가 일본국 헌법 제68조에 따라 국무대신 임면권을 행사하여 단행한 최초의 내각 개조인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준비와 한국 전쟁 발발에 따른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응하고 민주자유당 내 파벌 갈등 해소 및 당내 융화를 도모하기 위해 단행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추진, 유엔군 군수 기지 역할 수행, 일본 경제 재건 발판 마련 등의 평가를 받는다.
태풍 루스 (1951년)
기본 정보
1951년 10월 12일 태풍 루스 분석도
1951년 10월 12일 태풍 루스 분석
명칭태풍 루스
활동 기간1951년 10월 8일 ~ 1951년 10월 15일
JTWC 정보
최대 풍속120 노트 (약 222 km/h)
최저 기압924 hPa
피해
발생 연도1951년
사망자572명
부상자2,644명
실종자371명
영향 지역
북마리아나 제도
야프 주
일본
기타 정보
태풍 번호195115 (제15호 태풍)
상륙 지점가고시마현구시키노시 부근
이동 거리5,770 km
이동 속도34.3 km/h

2. 발생 및 경로

태풍 루스는 1951년 10월 9일, 괌 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서북서진하며 발달하여 12일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최성기를 맞이했다. 이때 중심기압은 924hPa이었다. 12일 오후 진로를 북북동으로 바꾸어 13일 밤 오키나와 본섬미야코지마 사이를 통과, 동중국해로 진입했다. 14일 19시경 일본 가고시마현 이치키쿠시키노시 부근에 상륙했다. 상륙 시 중심기압은 935hPa로 매우 강했다.[14]

상륙 후 빠른 속도로 규슈를 종단, 야마구치현, 시마네현을 거쳐 동해로 진출했다. 이후 호쿠리쿠 지방, 도호쿠 지방을 거쳐 15일 저녁 산리쿠 앞바다로 빠져나갔다. 16일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으나, 이후 다시 발달하여 950hPa까지 발달했다. 간토 지방 동쪽 해상에서 새로운 중심이 생겨 동북동진하는 "점프 현상"이 발생했다.

태풍 루스의 상륙은 10월 중순으로, 1년 중 상륙 시기가 9번째로 늦은 태풍이었다.[14]

상륙 시기가 (1년 중) 늦은 태풍
순위명칭국제명상륙일시상륙지점
11990년 태풍 제28호Page1990년 11월 30일 14시와카야마현 시라하마정 남부
21967년 태풍 제34호Dinah1967년 10월 28일 3시30분아이치현 남부
32017년 태풍 제21호Lan2017년 10월 23일 3시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부근
42004년 태풍 제23호Tokage2004년 10월 20일 13시고치현 도사시미즈시 부근
51955년 태풍 제26호Opal1955년 10월 20일 12시와카야마현 다나베시 부근
61979년 태풍 제20호Tip1979년 10월 19일 9시30분와카야마현 시라하마정 부근
71998년 태풍 제10호Zeb1998년 10월 17일 16시30분가고시마현 마쿠라자키시 부근
81987년 태풍 제19호Kelly1987년 10월 17일 0시고치현 무로토시 부근
9태풍 루스
(1951년 태풍 제15호)
Ruth1951년 10월 14일 19시가고시마현 이치키쿠시키노시 (현) 부근
102014년 태풍 제19호Vongfong2014년 10월 13일 8시30분가고시마현 마쿠라자키시 부근


3. 일본의 대비

10월 13일, 일본 남부에 폭풍 경보가 발령되었다.[3] 도쿄의 비행기는 결항되었고, 한국으로의 택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4]

4. 일본의 피해

태풍 루스(Ruth)는 1951년 10월 13일부터 15일 사이에 일본에 영향을 미쳐 572명의 사망자와 2,644명의 부상자, 371명의 실종자를 발생시켰다.[5] 이 사망자 중 다수는 강물 범람으로 인해 발생했다.[6] 221,118채의 주택과 9,596척의 선박이 피해를 입었으며, 약 350만 부셸의 쌀이 손실되었다.[5]

태풍 루스 당시의 USS ''Badoeng Strait''
가고시마현 가미야쿠에서는 최대 순간 풍속 195km/h와 강수량 639.3mm가 기록되었다.[6] 야마구치현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었는데,[5][7] 해안 지역 침수 및 통신 두절이 발생했다.[8]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서는 최대 풍속 150 km/h의 강풍과 높이 13.5m의 파도가 항구를 강타하여 한국 전쟁에 투입된 군함을 포함한 선박들이 침몰하거나 파손되었다.[9]

일본 전역의 미국 군사 시설 피해액은 100만 달러 이상이었다.[10] 일본 전체 재산 피해는 2,500만 달러로 추산되었으며, 약 123,773명의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11] 재산, 농작물, 산림에 대한 총 피해액은 5,500만 달러에 달했다.[12]

  • 사망자 - 572명
  • 행방불명자 - 371명
  • 부상자 - 2,644명
  • 주택 전파 - 24,716동
  • 주택 반파 - 47,948동
  • 주택 침수 (침수) - 30,110동
  • 주택 침수 (지하) - 108,163동

5. 한국의 영향

태풍 루스는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며 북상했기 때문에, 가항반원에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포항시에서는 최대풍속 39.8m/s의 기록적인 강풍이 관측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등 남부 지방 주요 도시에서도 20m/s에 가까운 강풍이 불었다.

태풍으로 인해 한국에서 572명이 사망하고 371명이 실종되었으며, 2,644명이 부상을 입었다. 주택 피해도 심각하여 24,716동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47,948동이 반파되었으며, 30,110동이 침수(지상)되었고 108,163동이 침수(지하)되었다.

5. 1. 주요 관측값 (한국)

5. 1. 1. 최저해면기압


  • 울릉도 987.8hPa
  • 부산 988.3hPa
  • 울산 990.5hPa

5. 1. 2. 최대풍속


  • 포항 39.8m/s
  • 울릉도 37.3m/s
  • 울산 18.7m/s

5. 1. 3. 일최다강수량


  • 부산 79.1mm
  • 울산 78.8mm
  • 포항 56.2mm

5. 1. 4. 총 강수량 (10월 13~15일)


  • 부산 106.2mm
  • 울산 101.0mm
  • 제주 70.0mm

6. 기록

태풍 루스(1951년)는 10월 중순에 일본에 상륙하여(통계상 9번째로 늦은 상륙) 해수면 온도가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상륙 시 세력은 935hPa로 매우 강해 해일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태풍의 크기가 크고 이동 속도가 빨라 광범위한 지역에 강풍 피해를 일으켰다.

가고시마현 구치노에라부 섬에서는 섬 내 민가의 절반이 붕괴되었고,[14] 야마구치현 구카군에서는 긴강이 범람하여 309명의 사망·실종자, 1228명의 중경상자가 발생하고, 가옥 유실 1159채, 도로 파괴 1507곳, 교량 유실 587곳, 제방 붕괴 1263곳의 피해가 발생했다.[15] 당시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명령으로 경찰예비대(현재의 육상자위대)가 야마구치현에 처음으로 재해 파견되었다.

1951년 여름은 가뭄으로 물 부족이 심했지만, 태풍 루스의 강우로 해갈된 곳이 많았다.[16] 간토 지방의 전력 수원지였던 이나와시로 호 주변의 강우는 신문 기사에도 실렸다.[16]

상륙 시기가 (1년 중) 늦은 태풍
순위명칭국제명상륙일시상륙지점
9태풍 루스
(1951년 태풍 제15호)
Ruth1951년 10월 14일 19시가고시마현 이치키쿠시키노시 부근


7. 기타

1951년 여름은 가뭄으로 인해 각지에서 물 부족이 지속되었지만, 태풍 루스의 강우로 인해 한숨 돌린 곳이 많았다. 물 부족으로 인해 수력 발전량이 감소하고 계획 정전이 빈번하게 발생했었기 때문에, 간토 지방의 전력의 수원지였던 이나와시로 호 주변의 강우는 신문 기사에도 실렸다.[16]

참조

[1] 웹사이트 ルース台風 昭和26年(1951年) 10月10日~10月15日 https://www.data.jma[...] 2020-08-30
[2] 웹사이트 Digital Typhoon: Typhoon 195115 (RUTH) – Disaster Information http://agora.ex.nii.[...] 2020-08-30
[3] 뉴스 Typhoon 'Ruth' Swirls Toward Japan's Coast https://www.newspape[...] 1951-10-14
[4] 뉴스 Winds Send Troopship Onto Jap Island Shoal https://www.newspape[...] 2020-05-15
[5] 웹사이트 Typhoon 195115 (RUTH) http://agora.ex.nii.[...]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2020-05-15
[6] 웹사이트 ルース台風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5-23
[7] 뉴스 Typhoon Damages Rice https://www.newspape[...] 2020-05-15
[8] 뉴스 Typhoon Hits U.S. Troopship Aground Off Japanese Coast https://www.newspape[...] 2020-05-15
[9] 웹사이트 Typhoon Ruth – 14–15 October 1951 https://anzacday.org[...] ANZAC Day Commemoration Committee (Queensland) Incorporated 2020-05-15
[10] 뉴스 Transfer 500 From Wrecked Ship https://www.newspape[...] 2020-05-15
[11] 뉴스 Typhoon Blows Out Harmlessly https://www.newspape[...] 2020-05-15
[12] 뉴스 Nearly 500 Die in Jap Typhoon https://www.newspape[...] 2020-05-15
[13] 서적 ルース台風 昭和26年(1951年) 10月10日~10月15日 https://www.data.jma[...] 2020-04-14
[14] 뉴스 南海に全滅の孤島 一週間ぶりに救援船 朝日新聞 1951-10-22
[15] 뉴스 死傷は千五百余名 惨状の村に予備隊到着 朝日新聞 1951-10-22
[16] 뉴스 猪苗代電源に降雨 朝日新聞 1951-10-21
[17] 웹인용 "[한반도 영향 태풍] 1951년 15호 태풍 루스" https://typhoon-info[...] 2020-09-26
[18] 웹인용 ルース台風 昭和26年 (1951年) 10月10日~10月15日 https://www.data.jma[...] 202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