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퇴계원역은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10년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된 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경춘선 일반 및 급행 열차가 정차한다. 인근에 퇴계원우체국, 퇴계원중학교, 퇴계원초등학교 등이 위치하며, 버스 정류장과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춘선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경춘선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퇴계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퇴계원역 |
한자 표기 | 퇴계원역 (退溪院驛) |
로마자 표기 | Toegyewonnyeok |
역 번호 | P125 |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경춘북로 545 (퇴계원리 218-14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39년 7월 25일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개통) |
폐지일 | 해당 없음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4선 |
기타 | 버스 정류장 연결 |
이미지 정보 | |
![]() | |
![]() | |
![]() |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춘선 |
노선 색상 | |P125}} |
영업 거리 | 망우역 기점 7.7 km |
역 등급 | 3급 |
이전 역 | 별내역 (P124) |
이전 역 간 거리 | 1.6 km |
다음 역 | 사릉역 (P126) |
다음 역 간 거리 | 3.3 km |
급행 열차 | 청량리역 출발 급행 정차 |
승객 정보 | |
2018년 승차 인원 | 3,572명 |
2018년 승강 인원 | 6,985명 |
2. 역사
1939년 7월 2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2] 1970년 12월 17일 화재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 1971년 6월 1일 역사를 다시 완공하였다. 1988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3]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2010년 7월 22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가,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어 여객 취급을 재개하였으며, 성북 기점 9.8 km에서 망우 기점 7.7 km로 변경되었다.[5] 2012년 2월 28일 ITX-청춘 운행 개시와 동시에 급행열차 운행이 종료되었으나, 2017년 1월 31일 평일에 한하여 왕복 5회 급행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1939년 7월 2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2] 1970년 12월 17일 화재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1971년 6월 1일 다시 완공되었다. 1988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3]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2010년 7월 22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가,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어 여객 취급을 재개하였다. 이때 성북 기점 9.8 km에서 망우 기점 7.7 km로 변경되었다.[5] 2012년 2월 28일 ITX-청춘 운행 개시와 동시에 급행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가 2017년 1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왕복 5회 급행열차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3. 역 구조
퇴계원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 방향 | 노선 |
---|---|---|
동쪽 승강장 | 방면 | 경춘선 일반 |
섬식 승강장, 양쪽 문이 열립니다 | ||
동쪽 승강장 | 방면 | 경춘선 급행 |
서쪽 승강장 | 방면 | 경춘선 급행 |
섬식 승강장, 양쪽 문이 열립니다 | ||
서쪽 승강장 | , 또는 광운대 방면 | 경춘선 일반 |
3. 1. 개요
3. 2. 승강장
퇴계원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승강장 번호는 1번부터 4번까지 부여되어 있으며, 1·2번 승강장은 춘천 방면 ITX-청춘과 일반 열차가, 3·4번 승강장은 용산 방면 일반 열차가 사용한다. 사릉 방면으로는 ITX-청춘과 일반 열차가, 상봉, 청량리, 광운대 방면으로는 일반 열차가 운행된다.
4.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춘선 | 승차 | 2,210 | 2,572 | 2,821 | 3,002 | 3,249 | 3,489 | 3,461 | 3,542 | 3,567 | 3,730 | 2,932 | 3,049 | 3,218 | 3,428 | [6] |
하차 | 2,400 | 2,525 | 2,607 | 2,773 | 2,970 | 3,164 | 3,123 | 3,213 | 3,260 | 3,415 | 2,702 | 2,838 | 2,956 | 3,154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31 | 50 | 61 | 85 | 93 | 87 | 95 | 100 | 91 | 74 | 87 | 95 | ||
하차 | 22 | 36 | 41 | 57 | 52 | 54 | 63 | 73 | 69 | 61 | 69 | 75 |
경춘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며,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8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6]
4. 1. 개요
4. 2. 연도별 이용객 수
경춘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며,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8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6]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춘선 | 승차 | 2,210 | 2,572 | 2,821 | 3,002 | 3,249 | 3,489 | 3,461 | 3,542 | 3,567 | 3,730 | 2,932 | 3,049 | 3,218 | 3,428 | [6] |
하차 | 2,400 | 2,525 | 2,607 | 2,773 | 2,970 | 3,164 | 3,123 | 3,213 | 3,260 | 3,415 | 2,702 | 2,838 | 2,956 | 3,154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31 | 50 | 61 | 85 | 93 | 87 | 95 | 100 | 91 | 74 | 87 | 95 | ||
하차 | 22 | 36 | 41 | 57 | 52 | 54 | 63 | 73 | 69 | 61 | 69 | 75 |
5. 역 주변
퇴계원역은 버스 정류장과 연결되어 있다.
노선 | 목적지 | |
---|---|---|
202 | 서행 | 현대 코어 |
동행 | 진벌리 차고지 |
6. 인접한 역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