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르나테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르나테섬은 활화산인 가말라마 화산을 중심으로 하는 화산섬으로,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 속하는 트르나테 시를 형성한다. 19세기 이전에는 술탄들이 통치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이후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네덜란드 식민 통치 시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과 함께 말루쿠 주에 편입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종교적 충돌을 겪기도 했다. 현재는 술탄 바불라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섬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섬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트르나테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섬 정보
테르나테 섬
테르나테 섬
면적76km2
둘레-
최고 고도1,715m
해역말루쿠 제도
일반 정보
이름 (인도네시아어)Ternate
위치동남아시아
군도말루쿠 제도
행정 구역 이름
행정 구역북말루쿠 주
대도시트르나테 시
인구185,705
인구 밀도1,667
최고점가말라마
높이1,715m

2. 지리

트르나테는 가말라마 화산(1715m)을 중심에 둔 화산섬이다. 현재도 활화산으로 주기적으로 분출하며, 섬은 화산재로 뒤덮여 있다. 1673년 분출로 수가 확인되지 않은 다수의 주민들이 사망했으며, 1772년 분출에서는 약 20여명이 사망했다. 가장 최근의 분화는 1980년 9월에 5만 6천 명의 주민 중 3만여 명이 임시로 근처 티도레섬으로 대피해야 했다. 트르나테 시는 위도 0°47′, 경도 127°22′에 위치해 있다.

2014년 11월 15일, 강도 7.1의 지진이 트르나테 156km 북서쪽 떨어진 태평양 35km 깊이에서 발생했다.[1][1][2][3][4]

3. 역사

19세기 네덜란드의 말루쿠 식민화 이전에 트르나테의 술탄들은 술라웨시섬에서 뉴기니섬까지 뻗친 제국을 다스렸다. 제국은 술단 바불라의 치하에 16세기에 그 절정에 도달했으며, 이 무렵 술라웨시섬 동부 대부분과 암본섬, 스람섬, 그리고 파푸아의 일부에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트르나테는 근처의 티도레 술탄과 경쟁관계에 있었다. 역사가 레오나르드 안다야는 트르나테와 티도레의 양자 라이벌 관계는 마루쿠 제도 초기 역사의 중심적인 주제라고 하였다.

트르나테의 교역 의존적인 문화는 이 지역에서 이슬람이 가장 최초로 전파된 지역 중 하나가 되게끔 하였다. 15세기 말에 자와섬에서 건너왔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슬람은 처음에는 트르나테의 지배층에 한정되었으며 점차 나머지 인구로 확산되었다. 현재까지 48대째 이어지는 술탄의 가계는 13세기에 말레이인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전해지며, 그 후 이슬람교가 교역로를 통해 전해지면서 왕가와 주민들의 개종이 이루어졌다.

트르나테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포르투갈의 프란시스코 세랑으로, 세랑의 함대는 스람섬 근처에서 난파되어 주민들에게 구해졌다. 트르나테의 술탄 아부 라이스는 그들의 도착 소식을 듣고는 말로만 전해 듣던 강력한 외국인들과 동맹을 목적으로 1512년 트르나테로 그들을 데려왔다. 포르투갈인들은 섬에 요새를 하나 짓는 것을 허용받았으나 양국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 속에 있었다. 요새의 포르투갈인들은 주민들로부터 물자 공급을 받으면서도 지불을 거부했고, 주민들이 반발하자 폭력적으로 대응했다. 이에 광신적인 기독교 선교사들 및 트르나테 왕가에 대한 간섭이 더해져 포르투갈은 1575년 섬에서 추방당했다. 예수회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일본을 방문하기 3년 전인 1546년에 암본 섬, 테르나테 섬, 모로타이 섬을 방문하여 포교 활동을 했다. 이 시기까지 이 지역에서의 유럽인들의 패권은 아주 약했으며, 트르나테는 이후에도 지역에서의 패권을 유지했다.

1606년 에스파냐 군대가 옛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술탄을 마닐라로 추방했다. 그리고 이듬해 1607년 네덜란드인들이 트르나테에 돌아와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말라요에 요새를 건설하자 섬은 티도레와 동맹한 에스파냐 세력과 현지인들과 동맹한 네덜란드 세력으로 갈라졌다. 트르나테 지배층에게 네덜란드인들은 티도레와 에스파냐인들을 견제할 수 있는 유용하지만 그리 탐탁치 않은 동맹이었다. 술탄 함자(재위 1627년~1648년)의 치하에서 트르나테는 영토를 확장하고 지역에 대한 패권을 강화했다. 왕국에 대한 네덜란드의 영향력은 한계적이었으나, 술탄 함자의 후계자인 술탄 만다르 샤(재위 1648년~1675년)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반란군 토벌을 도운 대가로 일부 지역을 할양했다. 에스파냐인들은 1663년까지 트르나테와 티도레에 머물렀다. 18세기에 들어 트르나테는 몰루카 제도 북부의 모든 교역을 지배하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속령이 되었다. 네덜란드는 정향 생산 거점을 암본 섬 등 관리하기 쉬운 섬으로 옮겼기 때문에, 정향 무역으로 번성했던 테르나테 섬은 몰루카 제도의 정치 경제 중심을 암본에 넘겨주었다.

19세기에 들어 향료 무역은 급감했다. 이 지역은 네덜란드에 있어서 그리 중심적인 식민지는 아니었으나 다른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를 막기 위해 항상 주둔하고 있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800년 네덜란드 정부에 흡수되자 트르나테는 몰루카 총독령의 일부가 되었다. 트르나테는 1810년 영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7년 네덜란드령으로 회복되었다. 1824년 트르나테는 할마헤라섬과 뉴기니섬 서해안 및 술라웨시섬 동해안을 포함하는 총독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트르나테는 행정적으로 암본의 일부가 되었다가 1922년 총독령 안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제2차 세계 대전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동부 인도네시아는 일본 해군이 지배하였다.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트르나테는 1945년 11월 인도네시아를 네덜란드령으로 되돌리려는 연합군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하였으며 마침내 1949년에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이후에는 트르나테는 말루쿠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99년에서 2000년 사이 트르나테는 무슬림과 기독교도들 사이의 종교적 충돌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말루쿠의 여러 지역, 특히 암본과 할마헤라섬의 여러 곳이 파괴되었다.

영국의 박물학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1858년에 자연 선택설을 독자적으로 만들고, 의견을 듣기 위해 논문을 찰스 다윈에게 보냈다. 다윈은 자신의 20년 연구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에 놀라 서둘러 자신도 논문을 작성하고, 월리스의 논문과 동시 발표하는 형태로 했다. 이 다윈에게 보낸 논문은 테르나테 섬에서 투고되었기 때문에 속칭 '''테르나테 논문'''이라고 불린다.

3. 1. 트르나테 술탄국

19세기 네덜란드의 말루쿠 식민화 이전에 트르나테의 술탄들은 술라웨시섬에서 뉴기니섬까지 뻗친 제국을 다스렸다. 제국은 술단 바불라의 치하에 16세기에 그 절정에 도달했으며, 이 무렵 술라웨시섬 동부 대부분과 암본섬, 스람섬, 그리고 파푸아의 일부에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트르나테는 근처의 티도레 술탄과 경쟁관계에 있었다. 역사가 레오나르드 안다야는 트르나테와 티도레의 양자 라이벌 관계는 마루쿠 제도 초기 역사의 중심적인 주제라고 하였다.

트르나테의 교역 의존적인 문화는 이 지역에서 이슬람이 가장 최초로 전파된 지역 중 하나가 되게끔 하였다. 15세기 말에 자와섬에서 건너왔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슬람은 처음에는 트르나테의 지배층에 한정되었으며 점차 나머지 인구로 확산되었다. 현재까지 48대째 이어지는 술탄의 가계는 13세기에 말레이인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전해지며, 그 후 이슬람교가 교역로를 통해 전해지면서 왕가와 주민들의 개종이 이루어졌다.

트르나테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포르투갈의 프란시스코 세랑으로, 세랑의 함대는 스람섬 근처에서 난파되어 주민들에게 구해졌다. 트르나테의 술탄 아부 라이스는 그들의 도착 소식을 듣고는 말로만 전해 듣던 강력한 외국인들과 동맹을 목적으로 1512년 트르나테로 그들을 데려왔다. 포르투갈인들은 섬에 요새를 하나 짓는 것을 허용받았으나 양국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 속에 있었다. 요새의 포르투갈인들은 주민들로부터 물자 공급을 받으면서도 지불을 거부했고, 주민들이 반발하자 폭력적으로 대응했다. 이에 광신적인 기독교 선교사들 및 트르나테 왕가에 대한 간섭이 더해져 포르투갈은 1575년 섬에서 추방당했다. 예수회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일본을 방문하기 3년 전인 1546년에 암본 섬, 테르나테 섬, 모로타이 섬을 방문하여 포교 활동을 했다. 이 시기까지 이 지역에서의 유럽인들의 패권은 아주 약했으며, 트르나테는 이후에도 지역에서의 패권을 유지했다.

1606년 에스파냐 군대가 옛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술탄을 마닐라로 추방했다. 그리고 이듬해 1607년 네덜란드인들이 트르나테에 돌아와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말라요에 요새를 건설하자 섬은 티도레와 동맹한 에스파냐 세력과 현지인들과 동맹한 네덜란드 세력으로 갈라졌다. 트르나테 지배층에게 네덜란드인들은 티도레와 에스파냐인들을 견제할 수 있는 유용하지만 그리 탐탁치 않은 동맹이었다. 술탄 함자(재위 1627년~1648년)의 치하에서 트르나테는 영토를 확장하고 지역에 대한 패권을 강화했다. 왕국에 대한 네덜란드의 영향력은 한계적이었으나, 술탄 함자의 후계자인 술탄 만다르 샤(재위 1648년~1675년)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반란군 토벌을 도운 대가로 일부 지역을 할양했다. 에스파냐인들은 1663년까지 트르나테와 티도레에 머물렀다. 18세기에 들어 트르나테는 몰루카 제도 북부의 모든 교역을 지배하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속령이 되었다. 네덜란드는 정향 생산 거점을 암본 섬 등 관리하기 쉬운 섬으로 옮겼기 때문에, 정향 무역으로 번성했던 테르나테 섬은 몰루카 제도의 정치 경제 중심을 암본에 넘겨주었다.

19세기에 들어 향료 무역은 급감했다. 이 지역은 네덜란드에 있어서 그리 중심적인 식민지는 아니었으나 다른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를 막기 위해 항상 주둔하고 있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800년 네덜란드 정부에 흡수되자 트르나테는 몰루카 총독령의 일부가 되었다. 트르나테는 1810년 영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7년 네덜란드령으로 회복되었다. 1824년 트르나테는 할마헤라섬과 뉴기니섬 서해안 및 술라웨시섬 동해안을 포함하는 총독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트르나테는 행정적으로 암본의 일부가 되었다가 1922년 총독령 안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제2차 세계 대전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동부 인도네시아는 일본 해군이 지배하였다.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트르나테는 1945년 11월 인도네시아를 네덜란드령으로 되돌리려는 연합군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하였으며 마침내 1949년에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이후에는 트르나테는 말루쿠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99년에서 2000년 사이 트르나테는 무슬림과 기독교도들 사이의 종교적 충돌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말루쿠의 여러 지역, 특히 암본과 할마헤라섬의 여러 곳이 파괴되었다.

영국의 박물학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1858년에 자연 선택설을 독자적으로 만들고, 의견을 듣기 위해 논문을 찰스 다윈에게 보냈다. 다윈은 자신의 20년 연구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에 놀라 서둘러 자신도 논문을 작성하고, 월리스의 논문과 동시 발표하는 형태로 했다. 이 다윈에게 보낸 논문은 테르나테 섬에서 투고되었기 때문에 속칭 '''테르나테 논문'''이라고 불린다.

3. 2. 유럽 열강과의 관계

트르나테는 근처의 티도레 술탄과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역사가 레오나르드 안다야는 트르나테와 티도레의 양자 라이벌 관계는 마루쿠 제도 초기 역사의 중심적인 주제라고 하였다. 트르나테의 교역 의존적인 문화는 이 지역에서 이슬람이 가장 최초로 전파된 지역 중 하나가 되게끔 하였다. 15세기 말에 자와섬에서 건너왔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슬람은 처음에는 트르나테의 지배층에 한정되었으며 점차 나머지 인구로 확산되었다.

트르나테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포르투갈의 프란시스코 세랑으로, 세랑의 함대는 스람섬 근처에서 난파되어 주민들에게 구해졌다. 트르나테의 술탄 아부 라이스는 그들의 도착 소식을 듣고는 말로만 전해 듣던 강력한 외국인들과 동맹을 목적으로 1512년 트르나테로 그들을 데려왔다. 포르투갈인들은 섬에 요새를 하나 짓는 것을 허용받았으나 양국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 속에 있었다. 요새의 포르투갈인들은 주민들로부터 물자 공급을 받으면서도 지불을 거부했고, 주민들이 반발하자 폭력적으로 대응했다. 이에 광신적인 기독교 선교사들 및 트르나테 왕가에 대한 간섭이 더해져 포르투갈은 1575년 섬에서 추방당했다. 예수회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일본을 방문하기 3년 전인 1546년에 암본 섬, 테르나테 섬, 모로타이 섬을 방문하여 포교 활동을 했다. 이 시기까지 이 지역에서의 유럽인들의 패권은 아주 약했으며, 트르나테는 이후에도 지역에서의 패권을 유지했다.

1606년 에스파냐 군대가 옛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술탄을 마닐라로 추방했다. 그리고 이듬해 1607년 네덜란드인들이 트르나테에 돌아와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말라요에 요새를 건설하자 섬은 티도레와 동맹한 에스파냐 세력과 현지인들과 동맹한 네덜란드 세력으로 갈라졌다. 트르나테 지배층에게 네덜란드인들은 티도레와 에스파냐인들을 견제할 수 있는 유용하지만 그리 탐탁치 않은 동맹이었다. 술탄 함자(재위 1627년~1648년)의 치하에서 트르나테는 영토를 확장하고 지역에 대한 패권을 강화했다. 왕국에 대한 네덜란드의 영향력은 한계적이었으나, 술탄 함자의 후계자인 술탄 만다르 샤(재위 1648년~1675년)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반란군 토벌을 도운 대가로 일부 지역을 할양했다. 에스파냐인들은 1663년까지 트르나테와 티도레에 머물렀다. 18세기에 들어 트르나테는 몰루카 제도 북부의 모든 교역을 지배하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속령이 되었다.

19세기에 들어 향료 무역은 급감했다. 이 지역은 네덜란드에 있어서 그리 중심적인 식민지는 아니었으나 다른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를 막기 위해 항상 주둔하고 있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800년 네덜란드 정부에 흡수되자 트르나테는 몰루카 총독령의 일부가 되었다. 트르나테는 1810년 영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7년 네덜란드령으로 회복되었다. 1824년 트르나테는 할마헤라섬과 뉴기니섬 서해안 및 술라웨시섬 동해안을 포함하는 총독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트르나테는 행정적으로 암본의 일부가 되었다가 1922년 총독령 안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3. 3. 네덜란드 식민 통치와 독립

19세기 네덜란드의 말루쿠 식민화 이전에 트르나테의 술탄들은 술라웨시섬에서 뉴기니섬까지 뻗친 제국을 다스렸다. 제국은 술단 바불라의 치하에 16세기에 그 절정에 도달했으며, 이 무렵 술라웨시섬 동부 대부분과 암본섬, 스람섬, 그리고 파푸아의 일부에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트르나테는 근처의 티도레 술탄과 경쟁관계에 있었다.

트르나테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포르투갈의 프란시스코 세랑으로, 세랑의 함대는 스람섬 근처에서 난파되어 주민들에게 구해졌다. 트르나테의 술탄 아부 라이스는 1512년 트르나테로 그들을 데려왔고, 포르투갈인들은 섬에 요새를 짓는 것을 허용받았으나 양국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 속에 있었다. 포르투갈은 1575년 섬에서 추방당했다.

1606년 에스파냐 군대가 옛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술탄을 마닐라로 추방했다. 1607년 네덜란드인들이 트르나테에 돌아와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말라요에 요새를 건설하자 섬은 티도레와 동맹한 에스파냐 세력과 현지인들과 동맹한 네덜란드 세력으로 갈라졌다. 술탄 함자(재위 1627년~1648년)의 치하에서 트르나테는 영토를 확장하고 지역에 대한 패권을 강화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반란군 토벌을 도운 대가로 일부 지역을 할양받았다. 에스파냐인들은 1663년까지 트르나테와 티도레에 머물렀다. 18세기에 들어 트르나테는 몰루카 제도 북부의 모든 교역을 지배하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속령이 되었다.

19세기에 들어 향료 무역은 급감했고,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800년 네덜란드 정부에 흡수되자 트르나테는 몰루카 총독령의 일부가 되었다. 트르나테는 1810년 영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7년 네덜란드령으로 회복되었다. 1824년 트르나테는 할마헤라섬과 뉴기니섬 서해안 및 술라웨시섬 동해안을 포함하는 총독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행정적으로 암본의 일부가 되었다가 1922년 총독령 안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제2차 세계 대전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동부 인도네시아는 일본 해군이 지배하였다.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트르나테는 1945년 11월 인도네시아를 네덜란드령으로 되돌리려는 연합군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하였으며 마침내 1949년에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이후에는 트르나테는 말루쿠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99년에서 2000년 사이 트르나테는 무슬림과 기독교도들 사이의 종교적 충돌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말루쿠의 여러 지역, 특히 암본과 할마헤라섬의 여러 곳이 파괴되었다.

3. 4. 현대

19세기 네덜란드의 말루쿠 식민화 이전에 트르나테의 술탄들은 술라웨시섬에서 뉴기니섬까지 뻗친 제국을 다스렸다. 제국은 술단 바불라의 치하에 16세기에 그 절정에 도달했으며, 이 무렵 술라웨시섬 동부 대부분과 암본섬, 스람섬, 그리고 파푸아의 일부에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트르나테는 근처의 티도레 술탄과 경쟁관계에 있었다.

트르나테의 교역 의존적인 문화는 이 지역에서 이슬람이 가장 최초로 전파된 지역 중 하나가 되게끔 하였다. 15세기 말에 자와섬에서 건너왔을 것으로 생각되는 이슬람은 처음에는 트르나테의 지배층에 한정되었으며 점차 나머지 인구로 확산되었다.

트르나테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포르투갈의 프란시스코 세랑으로, 세랑의 함대는 스람섬 근처에서 난파되어 주민들에게 구해졌다. 트르나테의 술탄 아부 라이스는 그들의 도착 소식을 듣고는 말로만 전해 듣던 강력한 외국인들과 동맹을 목적으로 1512년 트르나테로 그들을 데려왔다. 포르투갈인들은섬에 요새를 하나 짓는 것을 허용받았으나 양국 관계는 처음부터 긴장 속에 있었다. 광신적인 기독교 선교사들 및 트르나테 왕가에 대한 간섭이 더해져 포르투갈은 1575년 섬에서 추방당했다.

1606년 에스파냐 군대가 옛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술탄을 마닐라로 추방했다. 이듬해 1607년 네덜란드인들이 트르나테에 돌아와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말라요에 요새를 건설하자 섬은 티도레와 동맹한 에스파냐 세력과 현지인들과 동맹한 네덜란드 세력으로 갈라졌다. 술탄 함자(재위 1627년~1648년)의 치하에서 트르나테는 영토를 확장하고 지역에 대한 패권을 강화했다. 술탄 만다르 샤(재위 1648년~1675년)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반란군 토벌을 도운 대가로 일부 지역을 할양했다. 에스파냐인들은 1663년까지 트르나테와 티도레에 머물렀다. 18세기에 들어 트르나테는 몰루카 제도 북부의 모든 교역을 지배하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속령이 되었다.

19세기에 들어 향료 무역은 급감했다. 이 지역은 네덜란드에 있어서 그리 중심적인 식민지는 아니었으나 다른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를 막기 위해 항상 주둔하고 있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800년 네덜란드 정부에 흡수되자 트르나테는 몰루카 총독령의 일부가 되었다. 트르나테는 1810년 영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7년 네덜란드령으로 회복되었다. 1824년 트르나테는 할마헤라섬과 뉴기니섬 서해안 및 술라웨시섬 동해안을 포함하는 총독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이후 행정적으로 암본의 일부가 되었다가 1922년 총독령 안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제2차 세계 대전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동부 인도네시아는 일본 해군이 지배하였다.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트르나테는 1945년 11월 인도네시아를 네덜란드령으로 되돌리려는 연합군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하였으며 마침내 1949년에 인도네시아가 독립한 이후에는 트르나테는 말루쿠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99년에서 2000년 사이 트르나테는 무슬림과 기독교도들 사이의 종교적 충돌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말루쿠의 여러 지역, 특히 암본과 할마헤라섬의 여러 곳이 파괴되었다.

4. 행정 구역

트르나테는 트르나테 시로 북말루쿠 주에 속한다. 트르나테 시는 7개의 구역(케카마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두쿠 알리에서 본 가말라마의 정상

  • 트르나테섬
  • 모티
  • 북트르나테
  • 남트르나테
  • 중앙 트르나테
  • 히리섬
  • 바탕두아섬

5. 교통

술탄 바불라 공항이 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윙즈 에어(라이언 에어), 메르파티 누산타라 항공, 트리가나 항공의 익스프레스 에어가 운항한다.

참조

[1] 웹인용 M7.1 - 156km NW of Kota Ternate, Indonesia http://earthquake.us[...] 2014-11-15
[2] 웹인용 USGS: 7.1-magnitude earthquake strikes off Indonesia http://edition.cnn.c[...] 2014-11-15
[3] 웹인용 Indonesia tsunami alert after earthquake, could reach Taiwan, Japan http://www.theaustra[...] 2014-11-15
[4] 웹인용 Indonesia Earthquake Today: 7.3 Quake and Aftershocks Hits Molucca Sea Near Kota Ternate; Tsunami Warning http://www.theepocht[...] 2014-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