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블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블로스는 베이루트 북쪽 42km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그리스어로 파피루스를 의미하는 '비블로스'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기원전 88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페니키아 시대부터 이집트와의 교역 중심지로 번성했다. 비블로스는 페니키아 문자 발상지 중 하나이며, 십자군 시대에는 중요한 군사 기지였다. 현재는 역사적인 유적과 아름다운 해변을 갖춘 관광 도시로, 레바논 아메리카 대학교의 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토기 신석기 시대 B - 괴베클리 테페
괴베클리 테페는 튀르키예 샨르우르파 인근의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건축물로 추정되며, T자형 석주와 동물 조각으로 장식된 구조물, 그리고 수렵 채집인들이 건설했다는 점이 특징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선토기 신석기 시대 B - 바알베크
바알베크는 레바논 베카 계곡의 고대 도시로, 로마 시대에는 헬리오폴리스로 불렸으며, 거대한 로마 신전 단지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유적지이다. - 레바논의 세계유산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 레바논의 세계유산 - 바알베크
바알베크는 레바논 베카 계곡의 고대 도시로, 로마 시대에는 헬리오폴리스로 불렸으며, 거대한 로마 신전 단지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유적지이다. - 레바논의 로마 유적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 레바논의 로마 유적 - 트리파라디소스
트리파라디소스는 디아도코이 왕국 시대의 고대 헬리오폴리스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로마 제국에 병합된 후 로마 식민지가 되었으며, 바알과 하닷 숭배가 헬리오스와 융합되는 종교적 변화를 겪었다.
비블로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جُبَيْل (아랍어) |
로마자 표기 | Jubayl (주바일) |
다른 이름 | Jebeil |
고대 그리스어 | Βύβλος (뷔블로스) |
아람어-라틴 문자 | Jbeil (즈베일) |
행정 구역 | |
국가 | 레바논 |
주 | 케세르완-제베일 주 |
군 | 비블로스 군 |
면적 | |
총 면적 | 4.16 km² |
수도권 | 17 km² |
인구 | |
총 인구 | 40,000명 |
수도권 | 100,000명 |
시간대 | |
시간대 | E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2 |
하계 시간 (DST) | EES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DST) | +3 |
식별 번호 |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961 |
세계 유산 정보 | |
ID | 295 |
등재 연도 | 1984년 |
기준 | 문화: iii, iv, vi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비블로스 공식 웹사이트 |
2. 어원
(Býblos, Βύβλοςgrc)라는 그리스어 이름과 비블루스la(Byblus)라는 로마어 이름은 고대 이집트에서 파피루스를 수입하는 데 중요했던 이 페니키아 도시의 역할에서 유래했다.[12] "비블로스"(Byblos)는 그리스어로 "파피루스"를 의미하게 되었고, 영어 단어 "성경"(Bible)은 도시의 그리스어 이름에서 파생되었다.[12]
비블로스는 페니키아의 발상지로 유명하며, 알파벳의 기원이 된 페니키아 문자도 이곳에서 생겨났다. 기원전 3천 년기 전반에는 수호신인 바알라트 게발을 모신 신전이 발견되었으며, 페니키아인이 거주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60] 페니키아인은 비블로스 동쪽에 위치한 레바논 산맥에 자생하는 레바논 삼나무를 자원으로 활용했다. 레바논 삼나무는 선박이나 건축물의 자재로 적합했으며, 수지도 이용되었다. 페니키아인은 비블로스에서 레바논 삼나무를 이집트로 수출하여 지중해 무역의 주역으로 발돋움했다.[61]
에우세비우스의 ''지명집''(Onomasticon)에서는 비블로스를 히브리어로 "고벨/게발"(Gobel / Gebal)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8] 이 이름은 고대 이집트어 이집트 상형 문자 기록에 제4왕조 파라오 스네프루 시대부터 ''케브니''(Kebny)로 나타났으며,[9] (𒁺𒆷akk)라는 이름으로 아카드어 설형 문자 아마르나 서신에서 언급되었다. 기원전 1천년기에는 페니키아어와 푸니크어 비문에서 (𐤂𐤁𐤋phn),[10]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게발''(Geval, גבלhe),[11] 고전 시리아어에서는 ܓܒܠsyc로 나타났다. 이 이름은 𐤂𐤁phn ()과 𐤀𐤋phn ()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신의 우물" 또는 "신의 근원"을 의미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아랍어 이름인 (جبيلar)은 이전 이름들의 직접적인 후손이지만,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되어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십자군 시대 동안 이 이름은 서방 기록에서 ''기벨레트''(Gibelet) 또는 기블레트fro(Giblet)로 나타났다.
그리스어 ''βύβλος''는 파피루스를 의미하며, 비블로스가 이집트에서 파피루스를 수입하여 지중해 세계로 수출하는 중요한 중개지 역할을 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62] 이 단어에서 "비블리온"(책)이라는 단어가 생겨났고, 더 나아가 "비블르"(성경)가 생겨났다.[63]
3. 역사
에우세비우스의 ''지명집''(Onomasticon)에서는 비블로스를 히브리어로 "고벨/게발"(Gobel / Gebal)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했다.[8] 이 이름은 고대 이집트어 이집트 상형 문자 기록에 제4왕조 파라오 스네프루 시대부터 ''케브니''(Kebny)로 나타났으며,[9] 라는 이름으로 아카드어 설형 문자 아마르나 서신에서 제18왕조의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와 아멘호테프 4세에게 언급되었다.
기원전 1천년기에는 페니키아어와 푸니크어 비문에서 로,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게발''로, 고전 시리아어에서는 ܓܒܠsyc로 나타났다. 이 이름은 "우물"과 "신"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신의 우물" 또는 "신의 근원"을 의미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아랍어 이름인 은 이러한 이전 이름들의 직접적인 후손이지만,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십자군 시대 동안 이 이름은 ''기벨레트'' 또는 기블레트fro로 나타났다.
베이루트에서 북쪽으로 약 4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비블로스는 수많은 세기에 걸쳐 인류가 거주한 결과로 다양한 지층이 축적되어 고고학자들에게 강한 매력을 선사한다. 최초의 발굴은 1860년 에르네스트 르낭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그의 저서 ''페니키아 탐험''에 기록되었다. 이어서 피에르 몽테가 1921년부터 1924년까지 발굴을 진행했고, 이후 모리스 뒤난이 1925년부터 40년 동안 발굴을 계속했다.[19][20]
반 전설적인 호메로스 시대 이전의 페니키아인 사유니톤의 저작이라고 전해지는 파편들은 비블로스가 페니키아에서 최초로 세워진 도시였으며, 신 크로노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말한다.[22] 기원전 3천년기 동안, 균일한 크기의 잘 지어진 집들의 잔해를 통해 도시의 첫 번째 징후를 관찰할 수 있다.
로렌조 니그로에 따르면, 비블로스는 기원전 3000년 초에 어촌에서 초기 도시 형태로 발전했다.[39] 왓슨 밀스와 로저 불라드는 이집트 구 왕국과 이집트 중 왕국 시대에 비블로스가 사실상 이집트의 식민지였다고 주장한다.[19] 성장하는 도시는 부유했고, 수 세기 동안 이집트의 동맹이었다. 이집트 제1왕조의 무덤에서는 비블로스산 목재를 사용했다. 고고학자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제작된 유물을 발굴했는데, 그 중에는 이집트 제2왕조의 통치자 카세켐위의 이름이 새겨진 배 조각도 있다.[41] 비블로스에서는 이집트 제13왕조 네페르호테프 1세의 이름이 새겨진 물건들이 발견되었다. 비블로스의 통치자들은 고대 이집트의 이집트 신왕국 파라오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기원전 1350년경, 아마르나 문서에는 비블로스의 통치자였던 리브-하다와 그의 후계자 일리-라피가 이집트 정부에 보낸 60통의 편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 편지들은 또한 하비루에 의한 인근 도시 국가들의 정복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이집트와의 접촉은 이집트 제19왕조 때 절정에 달한 것으로 보이며, 이집트 제20왕조와 이집트 제21왕조 동안 쇠퇴했다. 기원전 11세기에 이집트 신왕국이 붕괴되면서 비블로스는 식민지에서 벗어나 페니키아의 으뜸가는 도시가 되었다.[42] 이집트 제3중간기 이후 이집트인들은 비블로스 대신 티레와 시돈을 선호했다.[43]
아시리아 시대에 비블로스는 기원전 738년에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기원전 701년에 센나케리브가 모든 페니키아를 정복했을 때 비블로스의 왕은 우루밀키였다. 비블로스는 밀키아사프와 예하우멜렉 왕 치하에서 아시리아 왕 에사르하돈과 아슈르바니팔의 지배도 받았다.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비블로스는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4개의 페니키아 봉신 왕국 중 네 번째였다.
헬레니즘 통치는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44] 주화가 사용되었고, 다른 지중해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교역에 대한 풍부한 증거가 있다.
그레코로만 시대에는 레셰프 신전이 정교하게 재건되었고, 비블로스는 아도니스 숭배의 중심지였다. 3세기에 작지만 인상적인 극장이 건설되었다.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비블로스에 주교구가 설립되었고, 도시는 빠르게 성장했다. 636년 초기 무슬림 정복 이후 이 지역에 사산 식민지가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44] 1098년 제1차 십자군이 도래하고 나서야 당시 기벨레트 또는 기블레트로 알려진 비블로스에 번영이 돌아왔다.
12세기와 13세기에 비블로스는 트리폴리 백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제노바의 엠브리아코 가문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 이들은 기블레트 영주를 자처했다.[45] 엠브리아코 가문의 거주지인 비블로스 성은 십자군에게 중요한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 도시는 1187년 살라딘에게 점령되었고, 십자군이 다시 탈환했으며, 1266년 바이바르스에게 정복되었지만, 약 1300년까지 엠브리아코 가문의 소유로 남아 있었다.
맘루크에게 자발적으로 항복한 이 도시는 점령 이후 약탈을 비교적 면할 수 있었다.[46] 그 요새는 이후 바이바르스에 의해 복원되었다.[47] 1516년부터 1918년까지 이 도시와 그 일대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레바논은 1920년부터 1943년 레바논이 독립할 때까지 프랑스의 위임통치를 받았다.[48]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에는 인근 발전소에서 기름이 유출되어 항구와 도시 벽이 기름띠로 뒤덮이는 피해를 보았다.[48]
3. 1. 선사 시대
신석기 시대 건물 유적이 이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3] 1962년 자크 코뱅은 층위별로 구분된 신석기 시대와 석기 시대 유적지에서 출토된 석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3] 1937년 앙리 빅토르 발루아는 석기 시대 매장지에서 발견된 인류 유해를 발표했고,[24] 1950년 에미르 모리스 셰하브는 이 시대의 무덤을 연구했다.[25] 1960년 E.S. 보인턴은 텔에서 발견된 초기 토기를 발표했으며, 1954년 R. 에리히, 1964년 반 리어와 앙리 드 콩탕송에 의해 추가 연구가 진행되었다.[26][27][28]
비블로스의 선사 시대 정착지는 Dunand에 의해 다음과 같은 5개의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최근 요세프 가르핀켈에 의해 텔 에스-술탄 (예리코)과 연관되도록 확장 및 재조정되었다.
시기 | 해당 지역 및 유물 | 기간 (기원전) |
---|---|---|
초기 신석기 시대 (초기 단계) | 예리코의 무문토기 신석기 B (PPNB), 석고 바닥, 나비포르메 기술 | 8800년 ~ 7000년 |
초기 신석기 시대 (후기 단계) | 텔 에스-술탄 (예리코) IX ( 야르무키안)의 PNA, 토기, 낫 날, 소상, 작은 점 | 6400년 ~ 5800년 |
중기 신석기 시대 | 텔 에스-술탄 (예리코) VIII의 PNB, 토기 | 5800년 ~ 5300년 |
후기 신석기 시대 | 베트 셰안의 중기 청동기 시대, 토기, 석기, 사일로, 묘실, 인장 | 5300년 ~ 4500년 |
초기 청동기 시대 | 가술의 후기 청동기 시대, 단지 매장, 뚫린 부싯돌, 교반기, 바이올린 조각 | 4500년 ~ 3600년 |
후기 청동기 시대 | 초기 청동기 시대, 건축, 원통형 인장 인상 | 3600년 ~ 3100년 |
이 지역은 기원전 8800년에서 7000년경의 무문토기 신석기 B 시대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초기 신석기 시대의 비블로스는 베카 계곡의 라브웨와 아르드 트라일리와 같은 다른 정착지보다 늦게 건설되었다. 고대 비블로스를 구성했던 두 언덕 중 더 큰 언덕의 해안 경사면에 위치해 있었으며, 그 사이에는 물이 공급되는 계곡이 있었다.
원래 부지는 계곡 아래로 퍼져나가 1.2ha의 면적을 덮었고 비옥한 토양과 보트의 안전한 착륙 지점을 제공했다. Dunand는 약 20채의 집을 발견했지만, 정착지의 일부는 바다에 유실되거나, 약탈당하거나, 파괴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거지는 석고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이었고, 토기는 일반적으로 조개 껍질이 찍힌 흑색 연마 토기였다.
중기 신석기 시대는 기존 부지에 인접한 0.15ha를 넘지 않는 더 작은 정착지였다. 토기는 붉은색 씻김과 더 다양한 형태 및 정교한 장식으로 발전되었으며, 건물은 석고 바닥이 없는 등 더 열악했다.
후기 신석기 시대는 건물 설계에서 중기 시대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였고, 더욱 발전된 다양한 부싯돌 도구와 규소를 포함한 제작 기술을 갖춘 훨씬 더 다양한 토기가 존재했다.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가나안 칼날"과 팬 스크레이퍼가 개발되었다. 단지에서 성인 매장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단지에서 발견된 하나의 구리 갈고리 형태의 금속도 발견되었다. 일부 단지에는 소성 후 도포 및 자체 경화된 흰색 석고가 칠해져 있었다. 구리는 후기 청동기 시대에 여러 무덤과 인상된 표식이 있는 단지 손잡이와 함께 더 자주 나타났다.
3. 2. 청동기 시대
로렌조 니그로에 따르면, 비블로스는 기원전 3000년 초에 어촌에서 초기 도시 형태로 발전했다.[39] 초기 청동기 시대 유적은 비블로스 빗살 무늬 토기의 발달과 자크 코뱅이 연구한 석기 유물로 특징지어진다.[30][40]왓슨 밀스와 로저 불라드는 이집트 구 왕국과 이집트 중 왕국 시대에 비블로스가 사실상 이집트의 식민지였다고 주장한다.[19] 성장하는 도시는 부유했고, 수 세기 동안 이집트의 동맹("그의 물에 있는 자들"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 제1왕조의 무덤에서는 비블로스산 목재를 사용했다. 바다를 항해하는 배에 대한 가장 오래된 이집트 단어 중 하나는 "비블로스 배"였다. 고고학자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제작된 유물을 발굴했는데, 그 중에는 이집트 제2왕조의 통치자 카세켐위의 이름이 새겨진 배 조각도 있다.[41] 비블로스에서는 이집트 제13왕조 네페르호테프 1세의 이름이 새겨진 물건들이 발견되었다. 비블로스의 통치자들은 고대 이집트의 이집트 신왕국 파라오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기원전 1350년경, 아마르나 문서에는 비블로스의 통치자였던 리브-하다와 그의 후계자 일리-라피가 이집트 정부에 보낸 60통의 편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주로 리브-하다가 아케나톤에게 군사 지원을 끊임없이 간청한 데 기인한다. 이 편지들은 또한 하비루에 의한 인근 도시 국가들의 정복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이집트와의 접촉은 이집트 제19왕조 때 절정에 달한 것으로 보이며, 이집트 제20왕조와 이집트 제21왕조 동안 쇠퇴했다. 기원전 11세기에 이집트 신왕국이 붕괴되면서 비블로스는 식민지에서 벗어나 페니키아의 으뜸가는 도시가 되었다.[42] 이집트 제3중간기 이후 이집트인들은 비블로스 대신 티레와 시돈을 선호했다.[43] 비록 고고학적 증거가 이집트 제22왕조와 이집트 제23왕조 동안의 짧은 부흥을 나타내는 듯하지만,
비블로스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증거, 특히 기원전 1200년에서 1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5개의 비블로스 왕실 비문은 스물두 개의 문자를 가진 페니키아 문자의 존재를 보여준다. 중요한 예로는 아히람 석관이 있다. 이 문자의 사용은 페니키아 상인들이 해상 무역을 통해 북아프리카와 유럽 지역으로 퍼뜨렸다.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기념물 중 하나는 고대 가나안 종교의 가나안 전쟁 신 레셰프에게 바쳐진 오벨리스크 신전이지만, 이 신전은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폐허가 되었다.
비블로스는 페니키아인의 발상지로 유명하며, 알파벳의 기원이 된 페니키아 문자도 이곳에서 생겨났다. 기원전 3000년기 전반에는 수호신인 바알라트 게발을 모신 신전이 발견되었으며, 페니키아인이 거주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60] 페니키아인은 비블로스 동쪽에 위치한 레바논 산맥에 자생하는 레바논 삼나무를 자원으로 활용했다. 레바논 삼나무는 선박이나 건축물의 자재로 적합했으며, 수지도 이용되었다. 페니키아인은 비블로스에서 레바논 삼나무를 이집트로 수출하여 지중해 무역의 주역으로 발돋움했다.[61]
3. 3. 철기 시대
아시리아 시대에 비블로스의 시비티바알은 기원전 738년에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기원전 701년에 센나케리브가 모든 페니키아를 정복했을 때 비블로스의 왕은 우루밀키였다. 비블로스는 밀키아사프와 예하우멜렉 왕 치하에서 아시리아 왕 에사르하돈(기원전 681–669년 재위)과 아슈르바니팔(기원전 668–627년 재위)의 지배도 받았다.아케메네스 제국(기원전 538–332년) 시대에 비블로스는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4개의 페니키아 봉신 왕국 중 네 번째였다. 첫 번째 세 왕국은 시돈, 티레, 아르와드였다.
3. 4. 고전 시대
헬레니즘 통치는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44] 주화가 사용되었고, 다른 지중해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교역에 대한 풍부한 증거가 있다.그레코로만 시대에는 레셰프 신전이 정교하게 재건되었고, 비록 티루스나 시돈과 같은 이웃 도시들보다 작았지만 아도니스 숭배의 중심지였다.
광범위한 건설 사업으로 알려진 헤로데 대왕의 유대 왕은 자신의 왕국 너머까지 비블로스를 위한 도시 성벽을 건설했다.[44]
3. 5. 중세 시대
3세기에 작지만 인상적인 극장이 건설되었다.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비블로스에 주교구가 설립되었고, 도시는 빠르게 성장했다. 636년 초기 무슬림 정복 이후 이 지역에 사산 식민지가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44] 유럽과의 무역은 사실상 중단되었고, 1098년 제1차 십자군이 도래하고 나서야 당시 기벨레트 또는 기블레트로 알려진 비블로스에 번영이 돌아왔다.
12세기와 13세기에 비블로스는 트리폴리 백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는 십자군 국가인 예루살렘 왕국과 연결되어 있었지만 대체로 독립적인 십자군 국가였다. 기블레트 또는 기블레트는 제노바의 엠브리아코 가문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 이들은 처음에는 제노바 공화국을 대표하여 도시를 관리하는 지위였고, 그 다음에는 제노바와 산 로렌초 교회 (제노바의 대성당)에 연간 요금을 지불하는 세습 봉토인 기블레트 영주를 자처했다.[45]
엠브리아코 가문의 거주지인 비블로스 성은 요새화된 도시와 함께 십자군에게 중요한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다. 성의 잔해는 현재 시내 중심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인상적인 건축 구조물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1187년 살라딘에게 점령되었고, 십자군이 다시 탈환했으며, 1266년 바이바르스에게 정복되었지만, 약 1300년까지 엠브리아코 가문의 소유로 남아 있었다.
맘루크에게 자발적으로 항복한 이 도시는 점령 이후 약탈을 비교적 면할 수 있었다.[46] 그 요새는 이후 바이바르스에 의해 복원되었다.[47] 1516년부터 1918년까지 이 도시와 그 일대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3. 6. 현대
레바논은 1920년부터 1943년 레바논이 독립할 때까지 프랑스의 위임통치를 받았다.[48]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에는 인근 발전소에서 기름이 유출되어 항구와 도시 벽이 기름띠로 뒤덮이는 피해를 보았다.[48]4. 인구
비블로스 주민들은 주로 기독교인이며, 대부분 마론파, 소수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안티오키아 정교회, 멜키트 가톨릭 교회 신자들이 있다. 또한 소수의 시아파 이슬람교 신자들도 있다. 레바논 남부의 도시 빈트 주베일("비블로스의 딸")은 이 시아파 무슬림들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블로스는 레바논 의회에 마론파 2명과 시아파 1명 등 3명의 대표를 두고 있다.[49][50]
2022년 기준으로, 이 도시의 등록 유권자 9,247명의 종교 구성은 대략 마론파 가톨릭교 65.8%, 아르메니아 정교회 8.7%, 시아파 7.2%, 수니파 6.3%, 그리스 정교회 4.6%, 기타 7.4%였다.[51]
5. 교육
레바논 아메리카 대학교(LAU) 비블로스 캠퍼스는 의과대학, 공과대학, 건축 및 디자인 대학, 약학 교육 인증 위원회(ACPE)의 인증을 받은 미국 외 유일한 약학 박사(Pharm.D.)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약학대학,[52] 경영대학, 인문 과학 대학이 있는 곳이다.
6. 관광
비블로스는 고대 항구, 페니키아, 로마, 십자군 유적, 모래 해변, 그리고 주변을 둘러싼 그림 같은 산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53] 이 도시는 생선 요리 레스토랑, 야외 바, 야외 카페로 유명하며,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말론 브란도와 프랭크 시나트라 같은 유명 인사들이 방문하기도 했다.[53]
2016년에는 레바논 관광부 장관에 의해 베이루트의 그랜드 세라일에서 "아랍 관광 수도"로 선정되었다. 또한, 비블로스는 콩데 나스트 트래블러에 의해 2012년 중동에서 두 번째로 좋은 도시로 선정되었으며,[54] 세계 관광 기구에 의해 2013년 최고의 아랍 관광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55]
7. 주요 유적
비블로스에는 다양한 시대의 유적이 남아있다.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 '''비블로스 고고학 유적지''': 아인 엘-말리크(왕의 샘), L자형 신전, 오벨리스크 신전, 비블로스 왕릉, 비블로스 로마 극장 등이 있다.
- '''기타 유적''': 비블로스 밀랍 인형 박물관, 비블로스 화석 박물관, 중세 도시 성벽, 비블로스 성, 세례자 요한 교회, 술탄 압둘마지드 모스크, 바알라트 게발 신전, 아람 베지키안 박물관 등이 있다.
- '''역사 지구 및 수크''': 고고학 유적지 입구 근처, 역사 도시의 남동쪽 구역에는 오래된 시장이 있다. 이곳에서 비블로스 국제 페스티벌이 열린다.
비블로스에서 발굴된 출토품 대부분은 베이루트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7. 1. 비블로스 고고학 유적지
- '''아인 엘-말리크'''(왕의 샘)는 깊이가 약 20m에 달하는 큰 동굴로, 나선형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한때 이 샘은 도시에 물을 공급했다.[56] 플루타르코스가 전하는 이집트의 오시리스 신화에 따르면, 왕의 시종들이 샘의 계단에서 이시스를 만나 왕궁으로 데려갔고, 그곳에서 그녀는 남편 오시리스의 시신이 궁전 기둥 중 하나에 박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57]

- '''L자형 신전'''은 기원전 2700년경에 세워졌다.

- '''오벨리스크 신전'''은 원래 기원전 16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L자형 신전" 위에 세워졌으며, 고고학자들에 의해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이 신전에서 발견된 많은 작은 오벨리스크들은 종교적 제물로 사용되었다. 이 성소에는 많은 수의 금박을 입힌 청동으로 만든 인간 조각상이 있었는데, 현재는 베이루트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비블로스 왕릉'''은 기원전 2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히람 왕을 포함한 비블로스 왕들의 무덤이 있다.
- '''비블로스 로마 극장'''은 서기 218년경에 건설되었다.
7. 2. 기타 유적
- '''비블로스 밀랍 인형 박물관'''
페니키아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인물들을 밀랍으로 제작하여 전시하고 있다.
- '''비블로스 화석 박물관'''
수백만 년 된 화석화된 물고기, 상어, 뱀장어, 날치, 기타 해양 생물의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중세 도시 성벽'''
비블로스의 옛 중세 도시는 동서 방향으로 약 270m, 남북 방향으로 약 200m에 걸쳐 뻗어 있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 '''비블로스 성'''
12세기에 십자군에 의해 건설되었다. 성은 항구 근처의 고고학 유적지에 위치해 있다.
- '''세례자 요한 교회'''
1115년 십자군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교회는 대성당으로 여겨졌으며, 1170년 지진으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이후 유수프 시하브 왕자에 의해 마론파 주교에게 선물로 주어졌다.[58]
- '''술탄 압둘마지드 모스크'''
성 옆에 있는 이 오래된 모스크는 맘루크 시대에 지어졌으며, 압둘마지드 1세 술탄이 개조한 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바알라트 게발 신전'''
- '''아람 베지키안 박물관'''
아르메니아 대학살과 생존자들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헌정된 박물관이다.[59]
8. 자매 도시
비블로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서적
Neolithic Revolution: New Perspectives on Southwest Asia in Light of Recent Discoveries on Cypru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2-01-18
[2]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07-22
[3]
서적
Byblos and Jericho in the early bronze I : social dynamics and cultural interaction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held in Rome on March 6th 2007 by Rome "La Sapienza" University
Università di Roma "La Sapienza"
2017-02-17
[4]
웹사이트
Byblos
https://whc.unesco.o[...]
2018-03-14
[5]
웹사이트
Phoenician alphabet {{!}} Definition, Letters,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1-11
[6]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5
https://archive.org/[...]
1928
[7]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Vol II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920
[8]
서적
Eusebii pamphili caesareae palestinae episcopi Liber de locis hebraicis: Sive onomasticon urbium et locorum Sacrae Scripturae. Nunc primùm Graecè editum, cum Latina versione Sancti Hieronymi. Et variis Additamentis R. P. Jacobi Bonfrerii Soc. Iesu. Unà cum Commentariis ejusdem in Josue, Judices, & Ruth
https://books.google[...]
apud Sebastianum Cramoisy Regis & Reginae Architypographum
[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Books
[10]
서적
Geschichte der Karthager
https://books.google[...]
C.H. Beck
1985
[11]
문서
Ezekiel
[12]
웹사이트
Byblos Mart -- Bookworms Corner
https://phoenicia.or[...]
[13]
서적
A visual history of the English Bible: the tumultuous tale of the world's bestselling book
https://archive.org/[...]
Baker Books
[14]
서적
The Whole Library Handbook 5: Current Data, Professional Advice, and Curiosa
https://books.googl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16]
웹사이트
"Strong's Hebrew: 1380. גְּבַל (Gebal) -- a city in Phoenicia"
https://biblehub.com[...]
2024-08-26
[17]
웹사이트
"Strong's Hebrew: 1366. גְּבוּל (gebul) -- border, boundary, territory"
https://biblehub.com[...]
2024-08-26
[18]
웹사이트
"Strong's Hebrew: 1379. גָּבַל (gabal) -- to bound, border"
https://biblehub.com[...]
[19]
서적
Mercer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11-07-08
[20]
서적
The Neolithic of the Levant
http://ancientnearea[...]
Oxford University, Unpublished Ph.D. Thesis
[21]
서적
Byblos et l'Égypte: quatre campagnes de fouilles à Gebeil, 1921-1922-1923-1924
https://archive.org/[...]
P. Geuthner
[22]
웹사이트
The Theology of the Phœnicians: From Sanchoniatho
http://www.sacred-te[...]
[23]
간행물
Les industries lithiques du tell de Byblos (Liban)
[24]
간행물
Note sur les ossements humains de la nécropole énéolithique de Byblos (avec 2 planches)
Beyrouth
[25]
간행물
Tombes des chefs d'époque énéolithique trouvés à Byblos
Beyrouth
[26]
문서
The Ceramic Industry of Ancient Lebanon
[27]
문서
Relative chronologies in Old World Archaeology
Chicago
[28]
간행물
Holocene Environment and Early Settlement in the Levant
[29]
서적
Inventory of Stone-Age sites in Lebanon, p. 78-79
https://books.google[...]
Imprimerie Catholique
2011-07-21
[30]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e les fouilles de Byblos en 1948, 1949
Beyrouth
[31]
서적
Fouilles de Byblos, vol II, Atlas
Paris
[32]
간행물
Chronologie des plus anciennes installations de Byblos
[33]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e les fouilles de Byblos en 1950, 1951 & 1952
Beyrouth
[34]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e les fouilles de Byblos en 1954, 1955
Beyrouth
[36]
간행물
Préhistoire au Liban en 1950
Bulletin de la Société Préhistorique Français
1951
[37]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e les fouilles de Byblos en 1960, 1961 & 1962
Bulletin du musée de Beyrouth
1964
[38]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e les fouilles de Byblos en 1957, 1958 & 1959
Bulletin du musée de Beyrouth
1961
[39]
서적
Byblos and Jericho in the early bronze I : social dynamics and cultural interaction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held in Rome on March 6th 2007 by Rome "La Sapienza" University
Università di Roma "La Sapienza"
2017-02-17
[40]
간행물
Néolithique du Proche-Orient
Bulletin de la Société Préhistorique Français
1952
[41]
서적
Early Dynastic Egypt
1999
[42]
서적
Byblo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92
[4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4]
서적
For the Freedom of Zion: the Great Revolt of Jews against Romans, 66-74 CE
Yale University Press
2021
[45]
웹사이트
EMBRIACI in "Enciclopedia Italiana"
https://www.treccani[...]
2020-12-15
[46]
서적
Mission de Phénicie
Imprimerie impériale
[47]
서적
Byblos: Its History, Ruins and Legends
[48]
뉴스
ICOMOS Heritage at Risk 2006/2007
http://www.internati[...]
ICOMOS
[49]
웹사이트
Lebanon Elections 2005
http://www.proud-to-[...]
Proud-to-be-lebanese.com
2012-10-31
[50]
웹사이트
Elections municipales et ikhtiariah au Mont-Liban
http://www.localiban[...]
2010-01-01
[51]
웹사이트
Mapping Lebanon: Data and statistics
https://www.lorientl[...]
[52]
웹사이트
Lebanese American University
http://www.aaicu.org[...]
2020-09-22
[53]
뉴스
Byblos, Lebanon's Ancient Port, Is Reborn
http://travel.nytime[...]
2010-04-27
[54]
웹사이트
Middle East: Top 5 Cities: Readers' Choice Awards : Condé Nast Traveler
http://www.cntravele[...]
Cntraveler.com
2013-03-26
[55]
웹사이트
Byblos crowned best Arab tourist city
http://www.nna-leb.g[...]
2013-06-20
[56]
웹사이트
Temple of the Obelisks in Byblos
http://www.obelisks.[...]
[57]
웹사이트
Isis and Osiris Legend
http://www.phoenicia[...]
[58]
웹사이트
St. John-Marc Church
http://www.jbail-byb[...]
[59]
서적
Art of Minorities: Cultural Representation in Museum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0
[60]
문서
栗田・佐藤
2016-01-01
[61]
문서
栗田・佐藤
2016-01-01
[62]
문서
ビブロスは、ギリシャ語では「パピルス」(紙)を意味する。
[63]
문서
[64]
문서
[65]
웹사이트
성경에 관한 놀라운 사실 10가지
https://www.christ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