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에스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에스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의 아들이자 아트레우스의 형제이다. 그는 형 아트레우스와의 왕위 쟁탈전, 아들들의 비극적인 죽음, 딸 펠로피아와의 근친상간, 그리고 손자 아이기스토스에 의한 복수 등 복잡하고 비극적인 일련의 사건들을 겪는다. 티에스테스는 고대 그리스 비극의 주요 소재였으며,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세네카 등의 작가들이 그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셰익스피어는 그의 희곡에서 티에스테스 신화의 일부를 차용했으며, 근현대 작가들 또한 티에스테스를 소재로 작품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케네의 왕 - 엘렉트리온
    엘렉트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아들이자 미케네와 티린스의 왕으로, 알크메네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프테렐라오스의 아들들과의 갈등으로 암피트리온에게 죽임당한 후 왕위 찬탈 사건의 배경이 되는 인물이다.
  • 미케네의 왕 - 오레스테스
    오레스테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가멤논과 클리타임네스트라의 아들이자 엘렉트라와 이피게네이아의 남매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어머니와 그녀의 정부를 살해한 후 죄를 사면받는 비극적인 영웅이며, 필라데스와의 우정으로도 유명하다.
티에스테스
인물 정보
아테레우스가 헤르메스로부터 미케네의 홀을 받는 모습
아테레우스가 헤르메스로부터 미케네의 홀을 받는 모습
그리스어Θυέστης
로마자 표기Thyestēs
성별남성
가족 관계펠롭스히포다메이아의 아들
형제아트레우스
자녀아이기스토스 (근친상간으로 태어남)
아글라우스
칼레우스
오르코메누스
신화 속 역할
주요 역할올림피아의 왕
관련 국가미케네
특징아트레우스의 숙적
근친상간으로 아이기스토스를 낳음
아트레우스에게 자신의 자식을 먹히는 저주를 받음
주요 사건
왕위 다툼아트레우스와 왕위를 놓고 다툼. 황금 양털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서 패배.
복수아트레우스의 아내 아에로페와 간통하여 아이기스토스를 낳고, 아트레우스를 살해하도록 사주.
식인 만찬아트레우스가 티에스테스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그 고기를 티에스테스에게 먹이는 만행을 저지름.
기타
관련 작품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세네카 등의 비극 작품에 등장

2. 가계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의 아들 티에스테스는 아트레우스와 형제 관계이다. 티에스테스는 나이아스와의 사이에서 아글라우스, 오르코메노스, 칼라에우스 세 아들을 두었으나, 이들은 아트레우스에게 살해당했다.[3] 티에스테스는 자신의 딸 펠로피아와의 사이에서 아들 아이기스토스를 얻었다.

3. 신화

아트레우스와 티에스테스는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바칠 제물과 왕위를 두고 갈등했다. 아트레우스는 자신의 가장 좋은 양을 아르테미스에게 바치기로 맹세했지만, 황금 양을 발견하고는 아내 아에로페에게 숨겼다. 아에로페는 이 황금 양을 자신의 연인이었던 티에스테스에게 주었고, 티에스테스는 이를 이용해 왕위를 요구했다.[3]

헤르메스의 도움으로 아트레우스는 왕위를 되찾았다. 티에스테스는 해가 반대로 움직이면 왕위를 넘겨주겠다는 조건을 걸었고, 제우스가 이 기적을 일으켜 아트레우스가 왕이 되었다. 이후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를 추방했다.[4]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와 아에로페의 불륜을 알고 복수를 계획했다. 티에스테스의 아들들을 죽여 요리한 후, 티에스테스에게 먹이고 아들들의 사지와 머리를 보여주며 조롱했다.[4]

티에스테스는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의 아들이며, 펠로피아와의 사이에서 아이기스토스를 얻었다. 나이아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글라우스, 오르코메노스, 칼라에우스는 아트레우스에게 살해당했다.[3]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는 오이노마오스 왕의 신하 뮈르틸로스에게 저주를 받았는데, 이는 뮈르틸로스가 펠롭스에게 배신당하고 죽으면서 내린 저주였다. 이 저주는 티에스테스와 아트레우스 형제의 비극적인 운명의 배경이 된다.

3. 1. 크리시포스 살해 사건

티에스테스와 아트레우스는 이복형제인 크리시포스를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17] 일설에 따르면, 어머니 히포다메이아가 이들을 사주하여 크리시포스를 살해하고 라이오스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려 했다고 한다.[14] 그러나 이 계획은 발각되었고, 히포다메이아는 펠롭스에게 추방되어 아르고스의 미데아로 망명했다.[15][16]

3. 2. 미케네 왕위 계승 분쟁

아트레우스아르테미스에게 자신의 가장 좋은 양을 제물로 바치겠다고 서약했지만, 황금 털을 가진 양을 발견하고는 여신에게 들키지 않도록 아내 아에로페에게 주어 숨겨 놓게 했다. 아에로페는 불륜 관계에 있던 티에스테스에게 그 양을 주었고, 티에스테스는 누구든 황금 양을 가진 자가 왕이 되도록 하자고 제의했다. 아트레우스는 이 제안에 동의했다. 티에스테스는 황금 양을 제시하면서 왕위를 요구했다.[4]

아트레우스는 헤르메스의 꾀를 빌려 왕위를 다시 차지했다. 티에스테스는 만약 해가 반대쪽으로 움직인다면 왕국을 돌려주겠다는 아트레우스의 조건을 받아들였는데, 제우스가 해를 반대로 움직이는 기적을 일으켰다. 아트레우스는 왕위에 오른 후 티에스테스를 추방했다.[4]

3. 3. 아트레우스의 복수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와 아내 아에로페의 불륜 사실을 알고 복수를 결심했다. 그는 티에스테스의 아들들을 죽여 그 시체를 요리하여 티에스테스에게 대접했다. 식사가 끝난 후, 아테레우스는 티에스테스에게 아들들의 사지와 머리를 던져주며 조롱했다.[4] 이 잔혹한 행위는 "티에스테스 연회"라는 표현의 기원이 되었으며, 사람의 살이 제공되는 연회를 의미한다.[4] 티에스테스는 연회 후 큰 트림을 했는데, 이는 포만감, 쾌락, 자제력 상실을 나타낸다.

아테레우스는 티에스테스에게 화해를 제안하며 불러들인 후, 티에스테스의 아이들을 죽여 그 고기를 먹였다.[21] 티에스테스는 기뻐하며 음식을 모두 먹었다. 이 악행으로 인해 태양은 진로를 바꾸었다고 한다.

티에스테스는 기쁨을 아이들과 나누고 싶어 아이들을 불러달라고 부탁했지만, 아테레우스는 아이들의 피를 섞은 포도주를 대신 마시게 했다. 티에스테스가 불안에 휩싸여 다시 아이들을 찾자,[22] 아테레우스는 보관해 둔 아이들의 신체 조각을 보여주었다.[23] 티에스테스는 아테레우스의 잔혹 행위를 깨닫고 절규하며, 펠롭스의 후손을 저주하며 신에게 기도했다.[25]

3. 4. 아이기스토스의 탄생과 복수

티에스테스는 복수를 위해 신탁에 방법을 물었고, 자신의 딸 펠로페이아와 관계하여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가 아트레우스를 죽일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4] 티에스테스는 시키온에서 펠로페이아와 관계를 맺었고, 펠로페이아는 아테나 제단에 티에스테스의 칼을 숨겼다. 한편, 미케네에서는 아트레우스 때문에 기근이 발생했고, 신탁에 따라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를 찾아 시키온으로 갔다. 그곳에서 펠로페이아를 아내로 맞이했다. 펠로페이아는 아들 아이기스토스를 낳아 버렸지만, 아트레우스는 아이기스토스를 찾아 자신의 아들로 키웠다.[12][8][13]

아가멤논메넬라오스는 티에스테스를 찾아 델포이로 갔다가 그곳에서 티에스테스를 발견하여 미케네로 데려왔다.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를 감옥에 가두고, 아이기스토스에게 티에스테스를 죽이라고 명령했다. 아이기스토스는 펠로페이아가 티에스테스에게서 훔친 칼을 가지고 감옥에 갔는데, 티에스테스는 그 칼이 자신의 것임을 알아보고 아이기스토스에게 칼의 출처를 물었다. 아이기스토스는 펠로페이아에게서 칼의 유래를 듣고 티에스테스가 자신의 아버지임을 알게 되었다. 펠로페이아는 칼로 자살했고, 아이기스토스는 아트레우스를 죽이고 티에스테스를 미케네의 왕으로 복위시켰다.[12][8][13]

3. 5. 티에스테스의 최후

아트레우스의 아들들인 아가멤논메넬라오스스파르타틴다레오스의 도움으로 티에스테스를 미케네에서 몰아내고 왕위를 되찾았다. 티에스테스는 키테라 섬으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26] 틴다레오스는 우호의 표시로 자신의 딸들인 클리타임네스트라헬레네를 각각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에게 주어 결혼시켰다.

4. 가계도


5. 문학 작품에서의 티에스테스

티에스테스와 아트레우스 형제의 이야기는 여러 작가에게 영감을 주어 다양한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세네카는 서기 1세기에 ''티에스테스''라는 비극을 썼고, 1560년 재스퍼 헤이우드는 이를 운문으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세네카의 문학적 영향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포함한 다른 작품에서도 나타난다.[6]

5. 1. 고대

소포클레스는 '티에스테스'라는 제목의 비극을 3편이나 썼다. 에우리피데스, 아가톤 등 여러 비극 시인들이 티에스테스 관련 작품을 남겼다. 로마 시대에는 세네카가 비극 '티에스테스'를 썼다.

구체적인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가작품
소포클레스『아트레우스』, 『테이에스테스』AB, 『시큐온의 테이에스테스』
에우리피데스『테이에스테스』, 『프레이스테네스』, 『크레타의 여인들』
아가톤『테이에스테스』
칼레이폰『테이에스테스』
아크라가스의 카르키노스『아에로페』
아테나이의 디오게네스『테이에스테스』
타르소스의 아폴로도로스『테이에스테스』
엔니우스『테이에스테스』
아키우스『아트레우스』, 『펠롭스의 아들들』
바리우스『테이에스테스』
그라쿠스『테이에스테스』
마멜쿠스 아에밀리우스 스카울루스『아트레우스』
폼포니우스 세쿤두스『아트레우스』


5. 2.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비극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에서 티에스테스 이야기의 줄거리 요소를 차용했다.[4]

5. 3. 근현대

1681년, 존 크로언은 세네카의 티에스테스에 기반하여 사랑 이야기를 부자연스럽게 덧붙인 ''티에스테스, 비극''을 썼다.[5] 프로스페르 졸리오 드 크레비용(1674–1762)은 에드거 앨런 포의 두 가지 추론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비극 "아트레와 티에스테"(1707)를 썼다. 1796년, 우고 포스콜로 (1778–1827)는 1년 후 베네치아에서 처음 공연된 ''티에스테''라는 비극을 썼다. 영국의 극작가 캐릴 처칠 또한 ''티에스테스''를 각색했는데, 처칠의 번역본은 1994년 6월 7일 런던의 로열 코트 극장 업스테어에서 공연되었다.[5] 2004년, 얀 판 블라이멘 (1935–2004)은 위고 클라우스가 쓴 프랑스어 텍스트를 바탕으로 오페라 ''티에스테''를 완성했다. 이 텍스트는 클라우스의 20세기 희곡(네덜란드어: ''티에스테스'')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티에스테스는 포드 에인스워스의 단막극 ''페르세포네''에도 등장한다.

6. 현대적 의의

티에스테스 신화는 권력, 복수, 배신 등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이야기다. 형제인 아에트레우스와의 권력 다툼에서 비롯된 티에스테스의 비극적인 운명은 정의롭지 못한 권력은 언젠가 심판받는다는 교훈을 보여준다.[4]

특히, 티에스테스가 자신의 아들들을 먹는 끔찍한 장면은 권력에 대한 탐욕과 복수심이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도 권력 남용과 부패가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경고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treus ! King of Mycenae, Son of Pelops, Father of Agamemn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02
[2] 서적 Seneca's tragedies https://archive.org/[...] London : W. Heinemann ; New York : G.P. Putnam's Sons 1917
[3] 웹사이트 Chiliades, 1.18 line 449 http://www.theoi.com[...]
[4] 웹사이트 E.2.12 https://www.perseus.[...]
[5] 서적 Thyestes Nick Hern Books 2014
[6] 간행물 "A Debt to Seneca in Arnold's Sonnet on Shakespeare" 2013
[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2・13。
[8] 문서 ヒュギーヌス、88話。
[9] 문서 ヒュギーヌス、244話。
[10] 문서 ヒュギーヌス、246話。
[11] 문서 ヒュギーヌス、86話。
[12] 문서 ヒュギーヌス、87話。
[1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2・14。
[14] 문서 プルタルコス『モラリア』313e。
[15] 문서 パウサニアス、6巻20・7。
[16] 문서 自殺したともいわれる。
[17] 문서 ヒュギーヌス、85話。
[1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4・6。
[1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2・11-2・12。
[20]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エレクトラ (ギリシア悲劇)|エーレクトラー』。
[2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では水のニュムペーとの間に生まれた3人の子供、ヒュギーヌスではタンタロスとプレイステネース、セネカではタンタロス、プレイステネースに加えて名の明らかでないもう1人の子供が殺された。
[22] 문서 セネカ『テュエステース』974行-997行。
[2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2・14。
[24] 문서 アイスキュロス『アガメムノーン』1594行。
[25] 문서 アイスキュロス『アガメムノーン』1598行-1602行。
[26] 문서 ツェツェス『キリアデス』1・456-4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