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에로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에로페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크레타 왕 카트레우스의 딸이자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아트레우스의 아내로서, 남편의 형제 티에스테스와의 불륜으로 인해 미케네 왕위 다툼에 연루되었다. 일부 전승에서는 아에로페가 티에스테스에게 황금 양털을 건네 미케네의 왕위를 쟁취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묘사된다. 아에로페는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중요한 인물로 다루어졌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고스 신화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아르고스 신화 - 칼카스
    칼카스는 그리스 신화의 예언가로,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군의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에서는 트로이에서 그리스군으로 투항한 예언자로 묘사된다.
  • 크레타 신화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크레타 신화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아에로페
기본 정보
칭호미케네의 여왕
소속크레타 왕가
배우자아트레우스 또는 플레이스테네스
튀에스테스
자녀아가멤논
메넬라오스
탄탈로스
플레이스테네스
부모카트레우스
형제자매알타이메네스
아페모시네
클리메네
신화
관련 신화그리스 신화

2. 카트레우스의 딸

아에로페의 아버지는 미노스의 아들이자 크레타의 왕인 카트레우스였다. 그녀에게는 자매 클리메네와 아페모시네, 그리고 오빠 알타이메네스가 있었다.[4][55]

2. 1. 가족 관계

아에로페의 아버지는 미노스의 아들이자 크레타의 왕인 카트레우스였다.[55] 카트레우스에게는 아에로페 외에도 딸 클리메네, 아페모시네와 아들 알타이메네스가 있었다.[4][55]

아에로페는 여러 인물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자녀를 둔 것으로 전해진다. 대부분의 기록에서는 아트레우스와 혼인하여 아가멤논메넬라오스를 낳은 어머니로 등장한다.[5] 그러나 일부 기록에서는 이들의 아버지가 아트레우스가 아닌 플레이스테네스라고 언급되기도 한다.[5]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아에로페가 아트레우스와의 사이에서 플레이스테네스를 낳았다고 전하기도 한다.[6] 플레이스테네스가 젊은 나이에 죽자, 그의 아들들인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할아버지인 아트레우스가 입양했다는 설도 있다.[6] 혹은 아에로페가 플레이스테네스와 먼저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고, 플레이스테네스가 죽은 뒤 아트레우스와 재혼하여 이전 자녀들을 아트레우스가 입양했다는 설명도 존재한다.[7] 이러한 다양한 설명들은 서로 다른 신화적 전통을 조화시키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8]

로마의 작가 히기누스는 다른 설명을 제시한다. 히기누스에 따르면 아에로페는 아트레우스의 동생인 튀에스테스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탄탈로스와 플레이스테네스를 낳았다.[9][55] 히기누스는 이 두 아들이 바로 아트레우스가 동생 튀에스테스에게 복수하기 위해 요리하여 먹인 비극의 주인공들이라고 주장한다.[9]

또한 아에로페는 딸 아낙시비아의 어머니로도 언급된다.[10][55]

2. 2. 크레타에서의 신화

크레타의 왕 카트레우스는 자신의 자식 중 한 명에게 살해될 것이라는 신탁 예언을 받았다.[13][56] 이 때문에 아에로페는 크레타를 떠나게 된다. 그녀가 크레타를 떠난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전승이 전해진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크레타 여인들''(Κρῆσσαι|크레사이grc)에 따르면, 카트레우스는 아에로페가 노예와 부정한 관계를 맺은 것을 발견하고, 그녀를 나우플리우스에게 넘겨 바다에 익사시키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나우플리우스는 그녀를 살려주었고, 아에로페는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하게 되었다.[11][57] 소포클레스의 비극 ''아이아스''에서도 비슷한 언급이 있는데, 아버지가 그녀를 남자와 함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익사시키려 했다는 내용이다. 다만, 해당 구절은 아에로페의 남편 아트레우스가 그녀와 티에스테스의 관계를 알고 익사시켰다는 내용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12]

반면, 아폴로도로스는 성적인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카트레우스는 신탁 때문에 아에로페와 그녀의 여동생 클리메네를 외국에 팔아넘기기 위해 나우플리우스에게 주었다. 아에로페의 오빠 알타이메네스 역시 신탁을 듣고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게 될까 두려워 여동생 아페모시네와 함께 로도스로 떠났다.[13][56]

어떤 전승을 따르든, 나우플리우스는 아에로페를 죽이지 않았고, 그녀는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하여 아가멤논, 메넬라오스, 그리고 딸 아낙시비아를 낳았다.[56] 일설에 따르면 플레이스테네스가 일찍 죽자 아에로페는 그의 아버지(혹은 형제)인 아트레우스와 재혼했다고 한다.[58] 하지만 비극 작품들에서는 주로 아에로페가 아트레우스와의 사이에서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낳은 것으로 묘사된다.

이후 아에로페는 아트레우스의 동생 티에스테스간통하고, 아트레우스가 소중히 여기던 황금 양털 가죽을 훔쳐 티에스테스에게 주었다. 티에스테스는 이 양털 가죽을 이용해 미케네의 왕위를 차지하려 했으나, 제우스가 보낸 헤르메스에 의해 저지되었다.[59] 아내의 불륜을 알게 된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에게 끔찍한 복수를 계획했다. 그는 아에로페와 티에스테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탄탈로스와 플레이스테네스를 살해하여 그 인육(人肉)을 요리해 티에스테스에게 대접했다.[60][61] 다만, 이때 죽은 플레이스테네스는 아트레우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62]

3. 미케네의 왕비

크레타의 공주였던 아에로페는 아버지 카트레우스가 받은 신탁이나 다른 이유로 인해[57] 나우플리아의 왕 나우플리오스에게 넘겨졌고, 이후 미케네로 오게 되었다.[56] 미케네에서 그녀는 아트레우스와 결혼하여 왕비가 되었으나[14] (일설에는 플레이스테네스와 먼저 결혼하여 아가멤논메넬라오스를 낳았다고도 한다[56][58]), 남편의 쌍둥이 형제 티에스테스와 불륜 관계를 맺고 왕위 계승 다툼에 휘말리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14][18] 그녀는 미케네 왕권의 상징인 황금 양털을 훔쳐 티에스테스에게 주기도 했으며[18][59], 이러한 행동들은 결국 아트레우스의 잔혹한 복수를 불러왔다.[60][61] 아에로페 자신 또한 아트레우스에 의해 바다에 던져져 최후를 맞이했다는 설이 전해진다.[19] 아에로페의 결혼과 자녀, 최후에 대해서는 이처럼 여러 가지 다른 이야기가 존재한다.

3. 1. 티에스테스와의 불륜

크레타를 떠나 미케네 그리스로 온 아에로페는 아테우스와 결혼했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의 쌍둥이 형제인 티에스테스와 불륜 관계를 맺었고, 이는 미케네의 왕위를 둘러싼 두 형제 간의 치열한 권력 다툼으로 이어졌다.[14]

아테우스와 티에스테스는 피사의 왕 펠롭스와 왕비 히포다메이아의 아들들이었다.[15] 그들은 왕위를 탐내 이복 형제 크리시포스를 살해한 죄로 추방되어 미케네에 머물고 있었다.[16] 다른 설에 따르면, 어머니 히포다메이아의 사주로 범행했으며, 히포다메이아는 이 일로 자살했다고 한다.[17]

페르세우스 왕조가 끊기자, 미케네인들은 펠롭스의 아들 중 하나를 왕으로 삼으라는 신탁을 받았다. 이때 아에로페는 미케네 왕권의 상징인 금양(황금 양털)을 남편 아테우스에게서 훔쳐 연인 티에스테스에게 주었다.[18][59] 이 때문에 미케네인들은 티에스테스를 왕으로 선택했다.[18]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제우스헤르메스를 보내 티에스테스가 왕이 되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59]

아내의 불륜과 금양 절도 사실을 알게 된 아테우스는 복수를 결심했다. 소포클레스의 작품을 통해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아테우스는 아에로페를 바다에 던져 익사시켰다고 한다.[19] 아에로페가 노예와 관계를 맺어 아버지 카트레우스가 그녀를 익사시키기 위해 나우플리아의 왕 나우플리오스에게 넘겼다는 다른 설도 있다.[57]

또한 아테우스는 티에스테스에게 끔찍한 복수를 했는데, 아에로페와 티에스테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인 탄탈로스와 플레이스테네스를 살해하여 그 인육으로 요리를 만들어 티에스테스에게 먹였다.[60][61] 다만, 플레이스테네스는 아테우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존재한다.[62]

아에로페의 자녀 관계에 대해서는 다른 설들도 있다. 나우플리오스가 그녀를 플레이스테네스에게 주어 아가멤논메넬라오스를 낳았고, 플레이스테네스가 일찍 죽자 아테우스의 아내가 되었다는 설[56][58], 그리고 그리스 비극에서는 아테우스와의 사이에서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낳았다고 전해진다.

3. 2. 아트레우스의 복수

아트레우스의 아내가 된 아에로페는 그의 쌍둥이 형제 티에스테스와 불륜 관계를 맺었다.[14] 아에로페는 남편 아트레우스가 소중히 보관하던 미케네 왕위의 상징인 황금 양털의 양피(금양)를 훔쳐 애인인 티에스테스에게 주었다.[18][59] 티에스테스는 이 양피를 이용해 형을 속이고 미케네의 왕위를 차지하려 했으나, 제우스헤르메스를 보내 이를 막았다.[59]

아내의 간통과 금양 절도 사실을 알게 된 아트레우스는 복수를 계획했다. 비잔틴 시대의 에우리피데스 ''오레스테스'' 주석에 따르면, 소포클레스의 어떤 작품에서는 아트레우스가 아에로페를 바다에 던져 복수했다고 전한다.[19] 다른 설에 따르면, 아트레우스는 티에스테스에게 복수하기 위해 아에로페와 티에스테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인 탄탈로스와 플레이스테네스를 죽여 그 인육으로 요리를 만들어 티에스테스에게 대접했다.[60][61] 다만, 플레이스테네스는 아트레우스의 아들이라는 설도 존재한다.[62]

4. 또 다른 아에로페

'''아에로페'''는 아르카디아 지방의 도시 테게아의 왕 알레오스의 아들인 케페우스의 딸로, 아레스의 사랑을 받아[63] 아에로포스를 낳았다. 아에로페는 아레스의 사랑을 받아 아이를 임신했지만, 출산 중에 죽었다. 그러나 갓난아이가 죽은 어머니에게 매달리자, 아레스는 아에로페의 유방에서 모유를 쏟아내 아이가 그것을 마셨다. 그래서 사람들은 아이를 아에로포스라고 이름 지었고, 아레스를 아프네이오스(‘은혜로운 신’의 뜻)라고 부르며 크레시온 산에 성역을 세웠다고 한다[64].

5. 문학 작품에서의 아에로페

호메로스헤시오도스 시대부터 아에로페에 대한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0]일리아스 주석은 다음과 같이 전한다.

:호메로스에 따르면, 아가멤논펠롭스의 아들 아트레우스의 아들이고, 그의 어머니는 아에로페였다. 그러나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그는 플레이스테네스(와 아에로페?)의 아들이었다.[21]

아에로페는 호메로스일리아스오디세이아 본문에는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 이 작품들에서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는 아트레우스의 아들로만 언급될 뿐, 어머니에 대한 언급은 없다.[22] 따라서 위 주석에서 언급된 호메로스의 내용은 아마도 그에게 귀속된 다른 서사시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23]

헤시오도스의 여인들의 목록에서 나온 단편적인 구절들은 아에로페를 (아버지 이름 없이) 아가멤논, 메넬라오스(그리고 아마도 아낙시비오스?) 세 아들의 어머니로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24] 한편, 비잔틴 학자 요한네스 체체스는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아에로페가 아트레우스와의 사이에서 플레이스테네스를 낳았다고 기록하여[25], 상반된 전승을 보여준다.

아에로페, 아트레우스, 티에스테스의 이야기는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게 인기 있는 소재였지만, 안타깝게도 이 이야기를 다룬 완결된 희곡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26] 아이스킬로스의 희곡 아가멤논에는 이 이야기에 대한 여러 모호한 암시가 포함되어 있어, 적어도 기원전 458년경에는 이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27] 극 중에서 카산드라는 티에스테스를 "형의 침상을 더럽힌 자"라고 부르며 아에로페와의 불륜을 암시한다.[28]

에우리피데스의 희곡들에도 아에로페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타난다. 그녀는 현재 유실된 비극 '크레타 여인들'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29] 이 희곡은 아에로페가 하인에게 은밀히 강간당하고, 이를 알게 된 아버지 카트레우스가 그녀를 익사시키기 위해 나우플리우스에게 넘겼으나, 나우플리우스가 그녀를 살려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시킨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전해진다.[30]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 개구리의 한 주석에 따르면, 이 희곡에서 아에로페는 "창녀처럼" 행동했다고 한다.[31] 이는 에우리피데스가 다른 작품에서 "방탕한 여성"을 묘사한 방식과 더불어, 이 희곡에서 티에스테스가 아에로페를 유혹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아에로페가 티에스테스를 유혹하는 내용을 다루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2] 비록 '크레타 여인들'에서는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한 것으로 나오지만, 에우리피데스는 다른 희곡인 오레스테스와 헬레네에서는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아에로페와 아트레우스의 아들로 묘사한다.[33] 또한 오레스테스에서는 "배신적인 결혼에서 크레타의 아에로페의 배신적인 사랑"을 언급하며,[34] 엘렉트라에서는 티에스테스가 "아트레우스의 아내를 유혹하여 은밀한 사랑을 나누게 하고, 징조(황금 양털)를 그의 집으로 가져갔다"고 말한다.[35] 에우리피데스는 '티에스테스'라는 제목의 희곡을 썼을 가능성도 있다.[36]

소포클레스는 그의 희곡 아약스에서 아에로페가 정부와 함께 침대에 있다가 발각되어 누군가의 "아버지"에 의해 익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언급한다. 이 텍스트에서 "아버지"는 아에로페의 아버지인 카트레우스를 가리키며, 이는 에우리피데스의 '크레타 여인들'에서처럼 카트레우스가 그녀를 나우플리우스에게 넘겨 익사시키려 한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37] 그러나 텍스트를 약간 수정하면, "아버지"는 아가멤논의 아버지인 아트레우스를 가리키게 되어, 아트레우스가 아에로페와 티에스테스의 불륜 현장을 목격한 것을 의미하게 될 수도 있다.[38] 소포클레스는 이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추정되는 '아트레우스', '티에스테스'(여러 편일 수 있음), '시키온의 티에스테스' 등 여러 다른 희곡을 썼지만, 모두 유실되었다.[39] 에우리피데스의 오레스테스 812행에 대한 비잔틴 시대의 주석은, 아마도 위에서 언급된 아약스의 구절을 참조하며, 소포클레스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희곡에서 아트레우스가 "티에스테스와의 간통과 양을 빼앗은 것에 대한 복수로 아내 아에로페를 바다에 던졌다"고 전한다.[40]

비극 작가 아가톤은 '아에로페'라는 희곡(그리고 '티에스테스'도)을 썼고, 젊은 카르키누스 역시 같은 제목의 희곡을 썼을 가능성이 있다.[41] 어떤 희곡인지는 알 수 없으나, 페라이의 알렉산더가 아에로페 역을 맡은 배우 테오도로스의 연기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가 전해지는데, 이는 아에로페가 동정적으로 묘사되었음을 시사한다.[42]

로마의 신화학자 히기누스는 아가멤논을 아에로페와 아트레우스의 아들로, 탄탈로스와 플레이스테네스를 아에로페와 티에스테스의 아들로 언급하며, 이들이 바로 아트레우스가 티에스테스에게 먹인 아이들이라고 설명한다.[44]

오비디우스는 그의 작품 연애술에서 남성보다 "더욱 강렬하고" "더욱 광적인" 여성의 욕망을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로 아에로페("크레타 여인"으로 지칭)를 언급한다:[45]

:크레타 여인이 티에스테스와의 사랑을 삼갔다면 (포이보스(태양신)는 그의 운행을 중단하고 전차를 돌려 새벽을 향해 말을 몰지 않았을 것이다.)

신화 해설서인 가짜 아폴로도로스의 기록은 다소 혼란스럽다. 한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미노스의 아들 카트레우스에게는 아에로페, 클리메네, 아페모시네 세 딸과 알타에메네스라는 아들이 있었다. 카트레우스가 자신의 죽음에 대해 신탁을 물었을 때, 신은 그가 자식 중 한 명의 손에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 그래서 카트레우스는 아에로페와 클리메네를 나우플리우스에게 팔아 외국으로 보냈고, 그중 아에로페는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하여 아가멤논과 메넬라우스를 낳았다.[46]

그러나 다른 부분에서는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아에로페와 아트레우스의 아들이라고 말하며,[47]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아트레우스의 아내는 카트레우스의 딸 아에로페였는데, 그녀는 티에스테스를 사랑했다. 아트레우스는 한때 자신의 양떼 중 가장 훌륭한 것을 아르테미스에게 바치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황금 양이 나타나자, 그는 맹세를 소홀히 하고 그 양을 죽여 상자에 넣어 보관했다. 그런데 아에로페는 티에스테스에게 유혹당하여 그 황금 양을 그에게 주었다.[48]

참조

[1] 웹사이트 s.v. Aerope http://www.perseus.t[...] Smith
[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Based on H.J. Rose's Handbook of Greek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10-16
[3] 문서 Grimal, s.v. Aerope; Tripp, s.v. Aërope; Bell, pp. 9–10; Smith,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104:entry=aerope-bio-1 s.v. Aerope]; Parada, s.v. Aerope.
[4] 문서 Hard,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354 p. 354];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3.2.1 3.2.1]. For Catreus as the son of Minos see also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Diodorus_Siculus/4D*.html#60 4.60.4]. [[Pausanias (geographer)|Pausania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aus.+8.53.4 8.53.4] says that, while the Cretans claim Catreus was the son of Minos, according to the [[Tegea]]ns, Catreus was the son of [[Tegeates]].
[5] 문서 Gantz, p. 552; Hard, pp.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355 355],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508 508];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 517]; [[Tzetzes]], ''Allegories of the Iliad'' Prolegomena 508–511. Sources which have Aerope as the mother of Agamemnon and Menelaus include: (by Atreus) [[Euripides]], ''[[Helen (play)|Helen]]''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Hel.+390 390–392], ''[[Orestes (play)|Oreste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jsessionid=57514F65526E804C8BAABD84924B4C06?doc=Perseus%3atext%3a1999.01.0116 16]; [[Gaius Julius Hyginus|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g/work/206#97 97];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Epit+E.3.12 E.3.12]; Scholia on ''[[Iliad]]'' 1.7 (citing "Homer"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a Most]) and Scholia on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citing "Homer"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c Most]); and (by Pleisthenes)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3.2.2 3.2.2], [[Dictys Cretensis]], [http://www.theoi.com/Text/DictysCretensis1.html 1.1]; (no father mentioned) [[Sophocles]], [[Ajax (play)|''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Soph.+Aj.+1290 1290–1297]. Without naming a father, fragmentary lines from the [[Hesiodic]] ''[[Catalogue of Women]]''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9.xml fr. 138 Most] = fr. 195 MW) seem to make Aerope the mother of three sons Agamemnon, Menelaus (and Anaxibios?), see Gantz, p. 552. See also Scholia on ''Iliad'' 1.7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a Most]), which says that, "according to Hesiod", Agamemnon was the son of Pleisthenes, with Aerope possibly implied as the mother (see below). Compare with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b Most]), which says that, "according to Hesiod, Aeschylus, and some others," Cleolla, the daughter of [[Dias (mythology)|Dias]], was the mother (by Pleisthenes) of Agamemnon and Menelaus.
[6] 문서 Gantz, p. 552; Hard,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508 p. 508];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b Most]); Compare with Scholia on ''Iliad'' 2.249, which has Pleisthenes dying young and his sons raised by Atreus; [[Gaius Julius Hyginus|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g/work/206#86 86], which has Aerope as Atreus' wife and Pleisthenes as Atreus' son; Scholia on ''[[Iliad]]'' 1.7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a Most]), which says that, according to Hesiod, Agamemnon was the son of Pleisthenes; and [[Dictys Cretensis]], [http://www.theoi.com/Text/DictysCretensis1.html 1.1], which has Agamemnon and Menelaus, as the sons of Aerope and Pleisthenes, being adopted by Atreus.
[7] 문서 Gantz, pp. 552–553. According to Webster, p. 38, Euripides' ''Cretan Women'' probably had "Pleisthenes die young and leave his sons (and his wife) to Atreus".
[8] 문서 Collard and Cropp 2008b,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6.79.xml pp. 79–80]; Fowler, p. 435 n. 28; Grimal, s.v. Aerope.
[9] 문서 Gantz, pp. 546–547; [[Gaius Julius Hyginus|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g/work/206#88 88], [https://topostext.org/work/206#246 246]; For Atreus feeding the children of Thyestes to him, see [[Aeschylus]], [[Agamemnon (play)|''Agamemnon'']]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219 1219–1222],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590 1590 ff.]; Euripides, ''[[Orestes (play)|Oreste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Orest.+15 15],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20Orest.%20810 810 ff.],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20Orest.%20995 995 ff.]; [[Sophocles]], [[Ajax (play)|''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Soph.+Aj.+1293 1293–1294]; [[Plato]], ''[[Cratylus (dialogue)|Cratyl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jsessionid=86AA2DB30BF3E6B6739755831DCDA974?doc=Plat.+Crat.+395b 395b]. Gantz, p. 547,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Aerope was also the mother of these children in Euripides' lost ''Cretan Women''. See also Webster, p. 38.
[10] 문서 Parada, s.vv. Aerope, Anaxibia 3; [[Pausanias (geographer)|Pausanias]],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aus.+2.29.4 2.29.4]; Compare with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b Most], which says that Agamemnon, Menelaus, and Anaxibia were the children of Pleisthenes and [[Cleolla]], the daughter of [[Dias (mythology)|Dias]], see Gantz, p. 552.
[11] 문서 Hard,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355 p. 355]; Gantz, p. 271. Euripides' treatment of the story is according to the Scholia on [[Sophocles]], [[Ajax (play)|''Ajax'']] 1297, citing Euripides' ''Cretan Women'', see: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21.xml pp. 520, 521]; Webster, pp. 37–38; Jebb's note to ''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024:text=comm:commline=1295 1295 '''Κρήσσης'''].
[12] 문서 Gantz, pp. 554–555; Jebb's note to ''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024:text=comm:commline=1296 1296 '''ὁ φιτύσας πατήρ''']. The possible Sophoclean reference is found in lines 1295–1297, spoken by [[Teucer]] to [[Agamemnon]]. Here, by way of insulting Agamemnon, Teucer malign's Agamemnon's mother Aerope as having been found in bed with a strange man, by a "father" who then has her drowned. The difficulty arises in knowing whose "father" is meant, Aerope's, or Agamemnon's. Compare [http://data.perseus.org/citations/urn:cts:greekLit:tlg0011.tlg003.perseus-eng1:1290-1315 Jebb's]: "a Cretan mother, ''whose father'' (i.e. Catrues) found ... ", with's [https://www.loebclassics.com/view/sophocles-ajax/1994/pb_LCL020.149.xml Lloyd-Jones's]: "a Cretan mother, ''whom your father'' (i.e. Atreus), finding ...".
[13] 문서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p. 516–518];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3.2 3.2].
[14] 문서 Gantz, pp. 545– 556. For Aerope as lover of Thyestes, see Gantz, pp. 546–547; [[Aeschylus]], [[Agamemnon (play)|''Agamemnon'']]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191 1191–1193]; Euripides, ''[[Electra (Euripides play)|Electra]]''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El.+719 719–720], ''[[Orestes (play)|Oreste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20Orest.%201009 1009–1010];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Epit+E.2.10 E.2.10]; [[Gaius Julius Hyginus|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g/work/206#86 86]; [[Ovid]], ''[[Ars Amatoria]]'' [https://www.loebclassics.com/view/ovid-art_love/1929/pb_LCL232.35.xml 1.327–330], [https://www.loebclassics.com/view/ovid-art_love/1929/pb_LCL232.37.xml 1.341–342]. A small "correction" of the text would make [[Sophocles]], [[Ajax (play)|''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Soph.+Aj.+1295 1295–1297] a reference to the adultery of Aerope with Thyestes, see Gantz, pp. 554– 555.
[15] 문서 Gantz, pp. 543–544. For Apollodorus' account of their story see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Epit+E.2.10 E.2.10–12].
[16] 문서 Gantz, pp. 489, 544–545; [[Thucydide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4.0105%3Abook%3D1%3Achapter%3D9 1.9]; [[Plato]], ''[[Cratylus (dialogue)|Cratyl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jsessionid=86AA2DB30BF3E6B6739755831DCDA974?doc=Plat.+Crat.+395b 395b];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g/work/206#85 85].
[17] 웹사이트 Fabulae https://topostext.or[...] 2024-09-20
[18] 문서 Gantz, p. 547; Hard, [https://books.google.com/books?id=r1Y3xZWVlnIC&pg=PA506 p. 506]; [[Euripides]], ''[[Electra (Euripides play)|Electra]]''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El.+699 699–725], ''[[Orestes (play)|Oreste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20Orest.%20810 810 ff.],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20Orest.%20995 995 ff.]; [[Plato]], [[Statesman (dialogue)|''Statesman'']]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172:text=Stat.:section=268e 268e];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Epit+E.2.10 E.2.10–11]; [[Pausanias (geographer)|Pausania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aus.+2.18.1 2.18.1]. The golden lamb was perhaps included in Sophocles' ''Atreus'', and Euripides' ''Cretan Women'', see Gantz, p. 546, and, regarding ''Cretan Women'', Webster, p. 38. For a discussion of the golden lamb, with many other sources, see Frazer's note to Apollodorus,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Epit+E.2.12 E.2.12].
[19] 문서 Byzantine scholia at ''Orestes'' line 812, see Gantz, pp. 548, 555 and Jebb's note to ''Ajax''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024:text=comm:commline=1296 1296 '''ὁ φιτύσας πατήρ'''].
[20] 문서 For a discussion on sources on Aerope's story see Gantz, pp. 545–550, 552–553.
[21] 문서 Scholia on ''Iliad'' 1.7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a Most]). Compare with Scholia on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c Most]), which says the same thing. That the scholiast means that Aerope was also the mother in Hesiod, is assumed by Armstrong, [https://books.google.com/books?id=R2wTDAAAQBAJ&pg=PA12 p. 12], while Gantz, p. 552, simply says that according to the scholium, "while Homer makes Agamemnon the son of Atreus and Aerope ... in Hesiod he and his brother are the sons of Pleisthenes". Collard and Cropp 2008b,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6.79.xml?rskey=eCbMAb&result=1&mainRsKey=ZJxzLz p. 79], says that in the Hesiodic tradition, "Pleisthenes and (probably) Aerope ... were the parents of Agamemnon and Menelaus".
[22] 문서 Gantz, p. 552. Although ''Atreides'', the standard Homeric epithet for Agamemnon or Menelaus, normally understood to mean "son of Atreus", can also mean simply "descendant of Atreus", in some places Homer specifically refers to Agamemnon or Menelaus as a "son" of Atreus ("Ἀτρέος υἱέ") e.g. ''[[Iliad]]''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om.+Il.+11.131 11.131], ''[[Odyssey]]'' [http://nlp.perseus.tufts.edu/hopper/text.jsp?doc=Hom.+Od.+4.462 4.462], see also ''Iliad''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om.+Il.+2.104 2.104 ff.].
[23] 문서 Gantz, p. 552; Armstrong, [https://books.google.com/books?id=R2wTDAAAQBAJ&pg=PA12 p. 12].
[24] 문서 Gantz, p. 552;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9.xml fr. 138 Most] = fr. 195 MW.
[25] 문서 Gantz, p. 552; [[Tzetzes]], ''Exegesis in Iliadem'' 1.122 [=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hesiod-catalogue_women/2018/pb_LCL503.227.xml fr. 137b Most], which also cites "Aeschylus, and some others".
[26] 문서 Gantz, pp. 546–547; Wright, pp. 83–84; Armstrong, [https://books.google.com/books?id=R2wTDAAAQBAJ&pg=PA12 p. 12, with n. 40]. However, the story seems not to have been popular for the visual arts, and no representation of Aerope is found in the ''[[Lexicon Iconographicum Mythologiae Classicae]]'', see Armstrong, [https://books.google.com/books?id=R2wTDAAAQBAJ&pg=PA12 p. 12 n. 38].
[27] 문서 Gantz, p. 546; [[Aeschylus]], ''[[The Oresteia#Agamemnon|Agamemnon]]'',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191 1191–1193],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219 1219–1222].
[28] 문서 Gantz, p. 546; [[Aeschylus]], [[Agamemnon (play)|''Agamemnon'']]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esch.+Ag.+1191 1191–1193] with Weir Smyth's note.
[29] 문서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 516]. For discussions of the play, see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p. 516–527] (including testimonies and fragments); Webster, pp. 37–39.
[30] 문서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 516]; Webster, pp. 37–38; [[Euripides]], ''Cretan Women''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21.xml test. iiia].
[31] 문서 Collard and Cropp 2008a, [https://www.loebclassics.com/view/euripides-dramatic_fragments/2008/pb_LCL504.517.xml p. 516].
[32] 문서 Gantz, pp. 546, 547; Webster p. 38.
[33] 문서 [[Euripides]], [[Orestes (play)|''Orestes'']]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Orest.+16 16],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Hel.+390 390–392].
[34] 문서 [[Euripides]], [[Orestes (play)|''Orestes'']]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Orest.+1009 1009–1010].
[35] 문서 [[Euripides]], [[Electra (Euripides play)|''Electra'']]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Eur.+El.+720 719–725].
[36] 서적 Gantz https://books.google[...]
[37] 서적 Gantz
[38] 서적 Gantz
[39] 서적 Gantz https://books.google[...]
[40] 서적 Gantz https://www.perseus.[...]
[41] 서적 Gantz
[42] 서적 Gantz
[43]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44]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45] 서적 Ars Amatoria https://www.loebclas[...]
[46]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47]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48]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49] 서적 McHardy (2008)
[50] 서적 Odysseus
[51] 서적 Auge
[52] 서적 Odysseus
[53]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54]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55]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56]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57] 서적 クレーテーの女たち
[58] 서적 クレーテーのディクテュス
[5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60] 서적 ヒュギーヌス
[61] 서적 ヒュギーヌス
[62] 서적 ヒュギーヌス
[63] 서적 パウサニアス
[64] 서적 パウサニア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