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틸지트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지트 조약은 1807년 프랑스와 러시아, 프로이센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패배한 프로이센과 프랑스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러시아와 프랑스 간의 동맹을 맺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조약 체결 결과 프로이센은 영토의 절반을 잃고, 막대한 배상금을 프랑스에 지불하게 되었으며, 군대 규모에도 제한을 받았다. 러시아는 대륙 봉쇄령에 참여하고, 프랑스가 유럽 대륙을 통치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했다. 이 조약으로 유럽 정세는 크게 변화하였으며, 나폴레옹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틸지트 조약
조약 정보
명칭티르지트 조약
다른 이름티льзитский мир (Tilzitski mir, 러시아어)
종류강화 조약
체결일1807년 7월
장소동프로이센 네만강변 틸지트(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
교전국
조약 당사국프랑스 제1제국
러시아 제국(7월 7일)
프로이센 왕국(7월 9일)
조약 당사자
주요 인물나폴레옹 1세 (프랑스)
알렉산드르 1세 (러시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
배경
원인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종결
결과
영향라인 동맹의 강화
바르샤바 공국의 설립
프로이센의 영토 축소
시각 자료
네만강 위의 뗏목에서 만나는 나폴레옹과 알렉산드르 1세
네만강 위의 뗏목에서 회담하는 나폴레옹 1세와 알렉산드르 1세
추가 정보
관련 사건틸지트 협정

2. 조약의 배경

프로이센프랑스에 선전포고 했으나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대패하여 베를린이 함락되었다. 뒤늦게 러시아는 프로이센과 동맹하고 폴란드에서 지원하려 했으나 프라브딘스크 전투(fr)에서 나폴레옹에게 격파당했다. 상황이 불리해지자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는 1807년 6월 25일부터 틸지트에서 나폴레옹과 회담을 벌였다. 이어서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도 협상하였고 그 결과 2건의 양자간 조약인 틸지트 조약이 체결되었다.

(왼쪽부터) 틸지트에서의 나폴레옹, 알렉산드르 1세, 프로이센 왕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1806년, 프로이센은 영국이나 러시아 등과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에 선전 포고했지만, 10월 14일의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궤멸되었다. 러시아군이 프로이센을 구원하러 갔지만, 1807년 2월 7일-8일의 아일라우 전투에서 프랑스군과 무승부를 기록한 후, 6월 14일의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역시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1] 6월 21일에 3개국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6월 25일에는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1세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가 강화 회담을 위해 프로이센-러시아 국경의 네만 강에 떠 있는 뗏목 위에서 회담했다.[1]

3. 조약의 내용

틸지트 조약의 내용은 크게 프랑스와 러시아 제국 간의 조약, 프랑스와 프로이센 왕국 간의 조약으로 나눌 수 있다.

러시아는 프랑스가 자국을 제외한 나머지 유럽을 통치하는 것을 지지하고, 프랑스의 방침에 따라 대륙봉쇄령에 참가하기로 했다. 단치히는 자유시가 되었고, 프로이센이 폴란드 분할을 통해 병합했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지역에는 프랑스의 괴뢰국인 바르샤바 공국이 세워졌다.

프로이센은 엘베 강 서쪽 지역과 폴란드 지역을 상실했다. 코트부스는 작센 왕국에, 엘베 강 서쪽은 베스트팔렌 왕국에, 비아위스토크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폴란드 지역 대부분은 바르샤바 공국으로 독립했다. 프로이센은 군대를 43,000명으로 제한해야 했고,[4] 의 배상금을 프랑스에 지불해야 했다.

탈레랑은 나폴레옹에게 더 온건한 조건을 추구하라고 조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는 훗날 그가 황제와 멀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프로이센과 러시아의 많은 이들은 이 조약을 불평등하고 국가적인 굴욕으로 여겼다.

3. 1. 프랑스-러시아 조약 (7월 7일)

틸지트 이후 시대의 프랑스 메달. 프랑스와 러시아 황제가 서로 포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조약은 러시아 제국과 프랑스 제국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두 제국 간의 동맹을 시작하여 나머지 유럽 대륙을 거의 무력하게 만들었다. 두 국가는 분쟁에서 서로 돕기로 비밀리에 합의했다.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러시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고, 러시아는 영국 제국에 대항하는 대륙봉쇄령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나폴레옹은 또한 알렉산드르 1세가 영-러시아 전쟁에 참여하고 스웨덴이 대륙 봉쇄령에 참여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스웨덴에 대한 핀란드 전쟁을 일으키도록 설득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차르는 러-터키 전쟁의 일환으로 러시아군이 점령한 왈라키아몰다비아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이오니아 제도와 코토르는 러시아 제독 우샤코프세냐빈이 점령했는데, 프랑스에 넘겨주기로 했다. 그 대가로 나폴레옹은 차르의 독일 친척들이 통치하는 올덴부르크 공국과 여러 다른 소국들의 주권을 보장했다.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단치히를 자유시로 만든다.
  • 프로이센이 1772년, 1793년, 1795년 3차례에 걸쳐 병탄했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프랑스의 괴뢰국인 바르샤바 공국을 세운다.
  • 나머지 폴란드는 러시아 영토였던 동폴란드를 분할해서 성립시켰다.
  • 프로이센은 의 막대한 배상금을 프랑스에 배상해야 했다.
  • 러시아는 프랑스가 자국을 제외한 나머지 유럽을 통치하는 것을 지지한다.
  • 러시아는 프랑스의 방침에 따라 대륙봉쇄령에 참가한다.


이 조약으로 인해 프로이센은 국제 사회에서의 지위가 후퇴했으며, 프랑스와 러시아 사이에는 협조 관계가 성립되었다.

3. 2. 프랑스-프로이센 조약 (7월 9일)

프로이센 왕국프랑스에 선전포고 했으나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베를린이 함락되었다. 이후 프로이센은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으나, 프라브딘스크 전투(fr)에서 나폴레옹에게 패배하였다. 1807년 6월 25일부터 틸지트에서 나폴레옹과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가 회담을 가졌고, 이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도 협상하여 틸지트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영토의 절반 가량을 잃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코트부스는 작센 왕국에 할양.
  • 엘베 강 서쪽 지역은 베스트팔렌 왕국에 귀속.
  • 비아위스토크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어 벨로스토크 주 설치.
  • 2차, 3차 분할로 획득한 폴란드 영토 대부분은 바르샤바 공국으로 독립.
  • 프로이센 군대는 43,000명으로 제한.[4]
  • 1808년 3월 9일, 프랑스는 프로이센에 대한 배상금을 1억 5450만 프랑(프러시아 달러 4173만)으로 책정.[5] 이후 1억 2000만 프랑으로 경감.


1807년의 프로이센(주황색)과 틸지트에서 상실한 영토(다른 색상)


프로이센은 틸지트 조약으로 국토 면적이 절반 이상 줄었다.[5] 인구도 975만 명에서 450만 명 이하로 감소했다.[5] 과거 연간 4천만 달러였던 국가 수입도 크게 감소했다. 프로이센이 폴란드 분할 (1772–1795)을 통해 얻었던 거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고, 이전 동맹국이었던 작센 왕국이 이 지역을 차지했다. 이전 동맹국 중 더 강력한 러시아는 2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영토를 얻었다.[8]

다음은 틸지트 조약에 따라 프로이센이 1772년 이후의 프로이센 획득을 제외하고 겪은 영토 및 인구 손실에 대한 표이다.[8]

베스트팔렌 소유지프로이센 제곱마일인구
에센, 베르덴, 립슈타트가 있는 마르크 백작령2893.65km2148,000
민덴 공국1049.66km270,363
라벤스베르크 백작령936.18km289,938
링엔과 테클렌부르크737.6km246,000
라인강 동쪽의 클레베1163.14km254,000
동프리지아 공국3205.71km2119,500
뮌스터 공국2718.18km2127,000
파더보른 공국1702.15km298,500
로어 작센 소유지프로이센 제곱마일인구
마그데부르크, 엘베강 좌안의 공작령 일부, 할레 등3063.87km2160,000
만스펠트 백작령56.74km227,000
할버슈타트 공국1503.57km2101,000
호엔슈타인 백작령482.28km227,000
퀘들린부르크 영토85.11km213,400
힐데스하임과 고슬라르 공국2269.53km2114,000


4. 프로이센의 영토 및 인구 손실

프로이센 왕국은 틸지트 조약으로 영토의 약 절반을 잃었다. 코트부스는 작센 왕국에, 엘베 강 좌안은 베스트팔렌 왕국에, 비아위스토크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제2차,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 프로이센 소유였던 폴란드 영토 대부분은 바르샤바 공국이 되었다.[4] 프로이센은 군대를 43,000명으로 줄여야 했다.[4] 1808년 3월 9일, 프랑스는 프로이센으로부터 징수할 공물을 1억 5450만 프랑(프러시아 달러 4173만)으로 정했다.[5] 이 금액은 1808년 11월 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1억 2000만 프랑으로 낮아졌다.

프로이센 국가는 틸지트 조약에 따라 5,700제곱마일에서 2,800제곱마일로 절반 이상 축소되었다.[5] 틸지트 조약 이전 프로이센의 인구는 975만 명이었지만, 프로이센 국가의 새로운 경계 내에는 450만 명 이하의 인구만 남게 되었다.[5]

다음은 틸지트 조약에 따라 프로이센이 겪은 영토 및 인구 손실에 대한 표이다.[8]

베스트팔렌 소유지프로이센 제곱마일인구
에센, 베르덴, 립슈타트가 있는 마르크 백작령,51148,000
민덴 공국,18.570,363
라벤스베르크 백작령,16.589,938
링엔과 테클렌부르크,1346,000
라인강 동쪽의 클레베,20.554,000
동프리지아 공국,56.5119,500
뮌스터 공국,49127,000
파더보른 공국,3098,500
로어 작센 소유지프로이센 제곱마일인구
마그데부르크, 엘베강 좌안의 공작령 일부, 할레 등54160,000
만스펠트 백작령,1.027,000
할버슈타트 공국,26.5101,000
호엔슈타인 백작령,8.527,000
퀘들린부르크 영토,1.513,400
힐데스하임과 고슬라르 공국.40114,000



틸지트 조약에 따라, 프로이센은 엘베 강 이서의 영토와 폴란드를 잃고, 작센 왕국과 러시아에도 영토를 할양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프로이센의 인구는 900만 명에서 400만 명으로 축소되었다.

5. 조약의 영향 및 여파

틸지트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영토의 약 절반을 잃었다. 코트부스는 작센 왕국에 넘어갔고, 엘베 강 서쪽은 베스트팔렌 왕국에, 비아위스토크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어 벨로스토크 주가 설치되었다. 또한, 2차, 3차 분할로 프로이센이 획득했던 폴란드 영토 대부분은 바르샤바 공국으로 독립했다. 프로이센은 군대를 43,000명으로 감축해야 했고,[4] 1808년 3월 9일, 프랑스는 프로이센에게 1억 5450만 프랑(프러시아 달러 4173만)의 배상금을 요구했다.[5] 이는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징수된 5350만 프랑을 공제한 금액으로, 1808년 11월 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1억 2000만 프랑으로 낮아졌다.

탈레랑은 나폴레옹에게 더 온건한 조건을 제시하도록 조언했지만, 이 조약은 그가 황제에게서 멀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812년까지 프랑스 점령군은 돈과 현물로 다양한 기업과 개인에게서 징발했는데, 특히 도시에 병사들을 주둔시키는 방식으로 1억 4600만에서 3억 900만 프랑에 달하는 추가적인 공물을 징수했다.[5] 프로이센 정부의 부채는 1806년에서 1815년 사이에 2억 탈러로 급증하여 총 1억 8009만 이자부 부채, 1124만 무이자 미정산 국채, 그리고 왕실 정부가 인수한 2590만 구 지방 부채가 발생했다.[6] 특히 베를린과 같이 자주 병영이 주둔했던 도시의 부채는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인수되지 않았다. 채권자들은 1817년에 프로이센이 과도하게 부채를 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4% 국채는 거래소에서 27~29%의 할인으로 거래되었고, 1818년에는 35%의 할인으로 거래되어 실질 이자율이 6.15%로 상승했다.[7] 1818년 런던 금융 시장에서 5%의 금리로 5억파운드 ()의 차관으로 부채를 재조정할 때, 프로이센 정부는 28⅓%의 할인을 받아들여 연간 실질 금리가 6.98%에 달했다.[7]

이 조약은 러시아 제국과 프랑스 제국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두 제국 간의 동맹을 시작하여 나머지 유럽 대륙을 거의 무력하게 만들었다. 두 국가는 분쟁에서 서로 돕기로 비밀리에 합의했다.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러시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고, 러시아는 영국 제국에 대항하는 대륙 봉쇄령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나폴레옹은 또한 알렉산드르 1세가 영러 전쟁에 참여하고 스웨덴이 대륙 봉쇄령에 참여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스웨덴에 대한 핀란드 전쟁을 일으키도록 설득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차르는 러-터키 전쟁의 일환으로 러시아군이 점령한 왈라키아몰다비아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이오니아 제도와 코토르는 러시아 제독 우샤코프세냐빈이 점령했는데, 프랑스에 넘겨주기로 했다. 그 대가로 나폴레옹은 차르의 독일 친척들이 통치하는 올덴부르크 공국과 여러 다른 소국들의 주권을 보장했다.

조약을 작성할 당시 한 관찰자는 프로이센 왕이 네만 강둑을 서성이며 걷는 모습을 보았고, 나폴레옹은 "손을 들기만 하면 프로이센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따라서, 프로이센과 러시아의 많은 관찰자들은 이 조약을 불평등하고 국가적 굴욕으로 여겼다. 리스본 사건에서처럼 러시아 군인들은 나폴레옹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다. 나폴레옹이 차르의 여동생과 결혼하려는 계획은 러시아 왕족에 의해 좌절되었다. 러시아와 프랑스 간의 협력은 차르가 러시아 항구에 중립 선박의 착륙을 허용하기 시작한 1810년에 결국 무너졌다. 1812년, 나폴레옹은 네만 강을 건너 러시아를 침공하여 동맹의 흔적을 완전히 끝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이 조약으로 끝났다. 반도 전쟁은 1807년 11월 19일에 시작되었고,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1809년에 시작되었다.

1812년 프랑스의 러시아 원정이 시작될 때 네만 강을 건넜다.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빈 회의는 많은 프로이센 영토를 회복시켰다.

이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프랑스는 이전 조약(핀켄슈타인 조약 포함)에 따라 프랑스의 도움을 희망했던 페르시아와 오스만 제국을 러시아의 침략에 직면하게 했으며,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 공화국과 같은 코카서스 지역의 페르시아 일부 지역의 손실을 확정했다.

참조

[1] 서적 Napoleon: From 18 Brumaire to Tilsit, 1799–1807 1969
[2] 서적 Russia against Napoleon: the battle for Europe, 1807 to 1814 Penguin UK 2009
[3] 학술지 Between Napoleon and Tsar Alexander: The Polish Question at Tilsit, 1807 2009
[4] 백과사전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5] 서적 Theorie und Praxis in der Entwicklung der französischen Staatsschuld seit dem Jahre 1870 Fischer 1903
[6] 서적 Immer ging es um Geld: Einhundertfünfzig Jahre Sparkasse Berlin Sparkasse der Stadt Berlin West 1968
[7] 서적 Immer ging es um Geld: Einhundertfünfzig Jahre Sparkasse Berlin Sparkasse der Stadt Berlin West 1968
[8] 연감 The New annual register, or General repository of history, politics, and literature 1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