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탓루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탓루앙은 라오스 비엔티안에 위치한 불교 사원 단지이자 라오스 민족주의의 상징이다. 기원전 3세기 아소카 왕 시대에 불교 선교사들이 스투파를 세운 것이 파탓루앙의 기원이라는 설이 있으며, 16세기 란쌍 왕국의 셋타티랏 왕에 의해 현재의 모습으로 건설되었다. 19세기 태국의 침략으로 파손된 후, 프랑스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프랑스-태국 전쟁 중 피해를 입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다. 매년 11월에는 탓루앙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절 - 씨앙텅 사원
씨앙텅 사원은 1559년 셋타티랏 왕이 건설한 라오스 루앙프라방의 중요한 불교 사원으로, 라오스 전통 건축 양식을 대표하며 왕실 사원으로서의 기능과 심 건물, 와불 성소, 킨나리 입상당, 왕의 영구차 등 다양한 문화 유산을 소장하여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비엔티안의 건축물 - 라오스 국립경기장
라오스 국립경기장(아누원 경기장)은 과거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축구 경기에 주로 사용되며 아누원 왕을 기념하여 명명되었고 2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 비엔티안의 건축물 -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라오스 신국립경기장은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개최를 위해 비엔티안에 건설된 25,000석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다양한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도 사용되지만 유지 관리 비용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라오스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라오스의 상징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파탓루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파 탓 루앙 |
원어 명칭 | (탓 루앙 또는 프라 탓 루앙) |
로마자 표기 | Phat That Luang |
위치 | 비엔티안 |
종교 | 불교 |
상세 정보 | |
국가 | 라오스 |
설립자 | 알 수 없음 |
완공 연도 | 알 수 없음 |
기능 상태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이미지 | |
![]() |
2. 역사
파탓루앙의 역사는 여러 시기를 거치며 변화해왔다. 그 기원은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황제가 파견한 불교 선교사들이 부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스투파를 세운 것에서 시작되었다는 전승이 있으나,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다.[2] 이후 13세기에는 크메르 제국 시대에 사원으로 재건되었으나 다시 폐허가 되었다.
본격적인 역사는 16세기 중반 란쌍 왕국의 셋타티랏 왕이 수도를 루앙프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옮기면서 시작된다. 1566년, 셋타티랏 왕은 기존의 크메르 사원 유적 위에 새로운 사원 건설을 명령하여 현재 파탓루앙의 기초를 다졌다.[3][2] 당시 재건된 스투파는 높이가 45m에 달했으며, 30개의 작은 스투파들에 둘러싸인 웅장한 모습이었다.[2]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사절이 방문하여 금박으로 덮인 화려한 모습을 기록하기도 했다.[4]
그러나 파탓루앙은 이후 미얀마, 태국, 중국 등의 침략으로 여러 차례 약탈당하고 파괴되는 수난을 겪었다.[3] 특히 1828년 태국 군대의 침공으로 심하게 파괴되어 오랫동안 버려진 상태로 남았다.[3] 20세기에 들어 프랑스 식민 정부가 복원을 시도했으나 초기에는 실패했고, 1930년대에 이르러 재건축되었다.[3] 하지만 프랑스-태국 전쟁 중 태국의 공습으로 다시 피해를 입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
파탓루앙은 단순한 불교 건축물을 넘어 라오스의 문화와 정체성,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로 여겨진다.
2. 1. 초기 역사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황제가 파견한 불교 선교사들이 기원전 3세기에 부처의 사리(유골, 특히 흉골로 여겨짐)를 가져와 스투파를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 이 선교단에는 부리 찬(Bury Chanpi) 또는 프라야 찬타부리 파시티삭(Praya Chanthabury Pasithisakpi)과 5명의 아라한 승려들이 포함되었다고 한다.[2] 이것이 파탓루앙의 기원으로 여겨지지만, 이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부 전승에 따르면 탑 내부에 부처의 유물이 남아있다고도 한다.이후 13세기에 크메르 제국 시대에 사원으로 재건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폐허가 되었다.
2. 2. 란쌍 왕국 시대
16세기 중반, 란쌍 왕국의 셋타티랏 왕은 수도를 루앙프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옮기고, 1566년에 파탓루앙 건설을 명령했다.[3] 이는 13세기에 건립된 크메르 제국 양식의 사원 유적 위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탓루앙은 비엔티안 중심부에서 약 4km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2] 재건된 스투파는 기단의 길이가 각각 69m에 달했고 높이는 45m였으며, 주변에는 30개의 작은 스투파들이 함께 세워져 현재와 같은 모습의 기틀을 마련했다.[2]
1641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사절 게릿 판 우이스토프(Gerrit van Wuysthoff)가 비엔티안을 방문하여 수리냐 봉사 왕을 파탓루앙에서 만났다. 그는 당시의 웅장한 의식과 함께, "거대한 피라미드... 그리고 꼭대기는 약 약 453.59kg의 금박으로 덮여 있었다"며 감탄하는 기록을 남겼다.[4]
그러나 이후 파탓루앙은 미얀마, 시암(태국), 중국 등에 의해 여러 차례 약탈당하는 수난을 겪었다.[3] 특히 1828년, 태국군의 침략으로 심하게 파괴되어 오랫동안 버려진 상태로 남게 되었다.[3]
2. 3. 외세 침략과 복원
파탓루앙은 역사적으로 미얀마, 시암, 중국 등 주변국에 의해 여러 차례 약탈당하는 수난을 겪었다.[3] 특히 1828년, 태국 군대가 라오 반란(1826–28)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파탓루앙을 침략하여 심하게 파괴했고, 이후 오랫동안 버려진 상태로 방치되었다.[3]
1900년에 이르러 프랑스 식민 정부는 건축가이자 탐험가인 루이 델라포르트가 1867년에 그린 상세한 그림을 바탕으로 원래 디자인대로 복원을 시도했다.[3] 하지만 이 첫 복원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고, 1930년대에 다시 설계하고 재건축하는 과정을 거쳐 현재와 비슷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
그러나 파탓루앙의 시련은 끝나지 않았다. 프랑스-태국 전쟁 중에는 태국의 공습으로 또다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야 다시 복구 작업이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3. 건축
파탓루앙 건물의 건축 양식은 라오스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하는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라오스 민족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탑은 총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로 갈수록 각 층의 크기가 줄어든다. 1층은 각 변의 길이가 약 68m, 2층은 약 48m, 3층은 약 30m이다.[3] 지면에서 첨탑까지의 전체 높이는 약 45m이다.[3] 첨탑 부분만 순금으로 도금되어 있고, 나머지 탑 부분은 금색으로 칠해져 있다.
파탓루앙은 16세기 란쌍 왕국의 셋타티랏 왕 재위 시절, 13세기 초에 건립된 크메르 양식 불탑 유적을 수리하고 개축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기원전 3세기에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왕이 파견한 승려에 의해 세워진 인도 사원이 기반이 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진위는 알 수 없다. 붓다의 유물이 탑 내부에 남아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19세기에 태국의 침략을 받아 파괴되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주변 지역은 현재 차량 통행을 막기 위해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전에는 방문객들이 전체 단지 주변을 차로 돌아다닐 수 있었다. 둘러싸고 있는 담장은 각 변의 길이가 약 85m이며[3], 많은 라오스와 크메르 조각상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자야바르만 7세의 조각상도 포함되어 있다.[3] 현재 파탓루앙 경내에는 출입이 가능하지만, 탑 내부에는 들어갈 수 없어 관광객들은 주변에서 외관만을 바라볼 수 있다.
4. 탓루앙 축제
매년 11월, 파탓루앙에서는 일주일 동안 불교 축제가 열린다. 축제 기간 동안 파탓루앙 광장에는 많은 노점이 들어서며, 신도들은 연꽃, 촛불, 향 등을 들고 사원과 불탑 주위를 세 바퀴 돈 후 불전에 공양하는 의식(비엔티안 행사)을 치른다. 또한 라오스 전역의 승려들이 비엔티안에 모여 새벽 탁발을 진행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 축제에는 매년 약 30만 명의 인파가 모여들며, 밤에는 파탓루앙에 야간 조명이 켜진다.
5. 갤러리
참조
[1]
뉴스
Laos: A day in Vientiane is full of temples, colonial architecture and surprises
https://www.usatoday[...]
USA Today / AP
2004-12-28
[2]
웹사이트
Half Day Tour in Vientiane
http://www.lasigloba[...]
Lasi Global
2009-05-01
[3]
웹사이트
Pha That Luang (built 1566, reconstructed 1930)
http://www.orientala[...]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4]
서적
Lonely Planet Country Guides:Laos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