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가시난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팡가시난족은 '소금의 땅' 또는 '소금 생산지'를 의미하는 팡가시난에서 유래된 필리핀의 민족 집단이다. 팡가시난어 사용자 또는 팡가시난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며, 팡가시난 주에 약 250만 명이 거주한다. 필리핀 여러 지역과 해외에도 분포하며, 세부아노어 등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팡가시난족 출신 유명인으로는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 배우 페르난도 포 주니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팡가시난족 | |
---|---|
정보 | |
![]() | |
집단 명칭 | Totoon Pangasinan |
총 인구 | 2,012,496 (2020년 인구 조사) |
인구 비율 | 필리핀 인구의 1.9% |
거주 지역 | 필리핀 팡가시난 주 타를라크 주 라 union 주 벵게트 주 누에바에시하 주 삼발레스 주 누에바비스카야 주 메트로 마닐라 미국 캐나다 전 세계의 해외 필리핀인 |
언어 | |
사용 언어 | 팡가시난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
종교 | |
종교 |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일부 개신교, Iglesia ni Cristo, 이슬람교, 불교 및 애니미즘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필리핀인 카팜팡안족 삼발족 일로카노족 이바낙족 이고로트족 이바탄족 기타 필리핀의 민족 기타 오스트로네시아인 |
2. 어원
팡가시난이라는 말은 ‘소금의 땅’ 또는 ‘염전’을 의미하며, 팡가시안어의 ‘아신’(''asin'')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4] 팡가시안 족은 ''타가-팡가시난''('''taga-Pangasinan''')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팡가시난 출생의’라는 의미이다. '팡가시넨세(Pangasinense)'라고 불리기도 한다.
팡가시난주에서 팡가시난 족의 인구는 약 150만 명이다. 그 외에는 주로 일로카노족과 삼발족이 거주하는 주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다. 팡가시난 주의 팡가시난족 추정 인구는 250만 명이다. 팡가시난족은 타를락, 라 유니온, 잠발레스 (과거 팡가시난 주의 일부였음), 벵게트, 누에바 에시하, 누에바 비스카야의 인근 주뿐만 아니라 메트로 마닐라, 카가얀, 이산, 바탄, 불라칸, 아우로라, 케손, 카비테, 라구나, 민도로, 팔라완 및 민다나오 등 필리핀 다른 지역과 해외에도 거주하고 있다.
팡가시난족의 역사는 기록이 부족하여 자세히 알 수 없다.
우르두자는 팡가시난의 전설적인 여걸로 여겨진다. 말롱과 팔라리스는 스페인 통치에 맞서 독립을 위해 싸웠다.[1] 팡가시난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3. 인구
민다나오의 팡가시난 거주자 (특히 소크사르젠, 다바오 지방, 카라가, 부키드논 및 미사미스 오리엔탈) 및 그 후손들은 세부아노어 (민다나오 대부분 지역의 주요 언어), 힐리가이논어 (소크사르젠의 주요 공용어), 부투아논어, 수리가오논어 (카라가의 비사야어)와 다양한 민다나오 토착 언어를 모국어 외에 유창하게 구사한다. 그러나 팡가시난어는 특히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다수에게 동화되어 민다나오에서 태어난 새로운 세대의 팡가시난족 사이에서 위험에 처해 있으며, 세부아노어가 그들의 주요 언어이고 조상의 모국어는 유창하게 구사하거나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정도이다.
4. 역사
5. 유명인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서적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https://psa.gov.ph/s[...]
2020-05-19
[3]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2024-10-08
[4]
웹사이트
https://www.pangasin[...]
[5]
웹사이트
The Lowland Cultural Community of Pangasinan
http://ncca.gov.ph/a[...]
2021-06-19
[6]
서적
Philippine Folk Literature: An Anthology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07
[7]
서적
Urduja Beleaguered: And Other Essays on Pangasin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Kalikasan Pres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