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가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가얀 주는 필리핀 루손 섬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tagay'라는 식물에서 유래된 이름과 "강"을 의미하는 고대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두 가지 어원 설이 있다. 6만 7천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중국의 남중국해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미군 기지 건설이 발표되기도 했다.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와 교류를 겪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점령과 해방을 겪었고, 마르코스 독재 시대와 피플 파워 혁명을 거치며 현대에 이르렀다. 현재 4개의 국회의원 선거구와 1개의 시, 28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로카노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며, 북부 카가얀 국제공항을 통해 경제특구를 지원하고 있다. 팔라우이 섬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며, 다양한 저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가얀밸리 지방 - 이사벨라주
    이사벨라주는 필리핀 루손섬 카가얀 밸리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왕령에 의해 1856년 설립되었으며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하고, 옥수수와 쌀 생산량이 높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풍부한 산림 자원과 어장을 보유하고 있고, 일라간 시를 주도로 34개의 지방 자치 단체, 2개의 구성 도시 및 1개의 독립 구성 도시로 나뉜다.
  • 카가얀밸리 지방 - 키리노주
    키리노주는 필리핀 카가얀 계곡 남동부에 위치한 산악 지형의 내륙 주로, 누에바비스카야 주에서 분리되어 1972년 설립되었으며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의 이름을 딴 농업 중심지이고, 카바로기스가 주도이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카가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루손섬 북동쪽 해안에서 바라본 카구아산 기슭
루손섬 북동쪽 해안에서 바라본 카구아산 기슭
스미스 화산
스미스 화산
카가얀 부게이 리조트
카가얀 부게이 리조트
분툰 다리
분툰 다리
피나카나우안 강 (페냐블랑카, 카가얀)
피나카나우안 강 (페냐블랑카, 카가얀)
투게가라오 센트로, 보니파시오 거리, 델피노, 상업 중심지 (투게가라오, 카가얀; 2024-04-28)
투게가라오 센트로, 보니파시오 거리, 델피노, 상업 중심지 (투게가라오, 카가얀; 2024-04-28)
정식 명칭Cagayan
별칭미소와 아름다움의 땅
모토Pabaruen ti Cagayan (카가얀을 새롭게 하다)
위치필리핀 지도 참조
국가필리핀
지역카가얀 밸리 지방
설립일1583년 6월 29일
중심지투게가라오 (수도 및 최대 도시)
관할 정부주지사: 마누엘 맘바 (필리핀 국민당)
부지사: 멜빈 바르가스 주니어 (필리핀 연방당)
입법부: 카가얀 지방 의회
면적9,398.07 km² (81개 지역 중 5위)
인구 (2020년)1,273,219명 (81개 지역 중 23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81개 지역 중 63위)
최대 고도1,823 m (세타세오 산)
행정 구역독립 도시: 0개
구성 도시: 1개 (투게가라오)
자치체: 28개 (아불루그, 알칼라, 알라카판, 아물룽, 아파리, 바가오, 발레스테로스, 부게이, 칼라얀, 카말라니우간, 클라베리아, 엔릴레, 가타란, 곤사가, 이구이그, 랄로, 라삼, 팜플로나, 페냐블랑카, 피아트, 리살, 산체스-미라, 산타아나, 산타프락세데스, 산타테레시타, 산토니뇨 ('파이레'), 솔라나, 투아오)
바랑가이: 820개
하원 의원 선거구: 카가얀주의 선거구
사용 언어일로카노어
이바나그어
이스나그어
이타위스어
이바탄어
타갈로그어
영어
시간대PHT (UTC+8)
우편 번호해당 지역 우편 번호 참조
지역 번호해당 지역 번호 참조
ISO 코드해당 ISO 코드 참조
웹사이트카가얀 주 공식 웹사이트
가톨릭 교구투게가라오 로마 가톨릭 대교구
수호 성인피아트의 성모
지도 정보

2. 어원

민간 전설에 따르면, 카가얀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 북부에서 풍부하게 자라는 'tagay'라는 식물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tagay가 자라는 곳"이라는 의미의 'Catagayan'이라는 용어가 'Cagayan'으로 축약되었다.[3]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cagayan'이 "강"을 의미하는 고대 잊혀진 단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단어의 변형인 'karayan', 'kayan', 'kahayan, kayayan', 'kagayan', 'kalayan'은 모두 카가얀강을 지칭하며 "강"을 의미한다. 이는 민다나오의 카가얀 데 오로와 어원을 공유한다.[3][4][5]

3. 역사

페냐블랑카(Peñablanca, Cagayan)의 카야오 동굴에서 6만 7천 년 전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 카야오인의 유골이 출토되었다.[53]

중국의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에 대한 압박과 대만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 4월 3일 필리핀 정부가 현지에 미군 기지 건설을 발표했다.[54]

3. 1. 초기 역사

카가얀 주는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를 가진 선사 시대 문명을 가지고 있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가장 초기의 인간은 수천 년 전 카가얀 주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전 시대에, 가타란과 랄로는 연체동물 사냥에 특화된 수렵 채집인들의 고향이었다. 이들은 필리핀 전체에서 가장 큰 조개 껍질 퇴적 유적지를 형성했다. ''아타'' 또는 네그리토족은 이 계곡의 최초 주민이었다. 그들은 나중에 고지대로 이동하거나 이바나그족, 이타웨스족, 요가드족, 가당족, 이라야족, 말라웨그족의 조상인 오스트로네시아인에게 동화되었다.[6][7][8][9] 카가얀 주는 해상 옥 가도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운영된 선사 시대 세계에서 단일 지질 물질을 기반으로 한 가장 광범위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 중 하나였다.

스페인인들이 카가얀 주에 오기 전에도 카가야노스는 중국, 일본인도와 같은 다양한 문명과 접촉했다. 북부 해안은 1582년 카가얀 전투에서 파괴되기 전에 일본 해적 영주 타이 푸사[10]가 그의 거점을 세운 왜구 국가의 위치였다.

3. 2. 스페인 식민 시대

1581년, 곤잘로 론킬로 데 페냘로사 필리핀 총독의 명령에 따라 후안 파블로 카레온 대위가 병사 100명과 가족을 이끌고 카가얀에 도착하여 카가얀 계곡을 탐험하고 원주민들을 가톨릭교로 개종시키며, 계곡 전역에 교회 선교지와 마을을 건설했다.[3] 1583년 6월 29일,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는 루손섬 북부 해안선을 따라 마시(팜플로나), 툴라르, 아파리 지역에 발을 디뎠다.[3]

같은 해, 스페인 왕립 칙령을 통해 루손 북동부 전체를 'La Provincia de Cagayán'이라는 하나의 큰 정치 단위로 조직했다.[3] 이 ''provincia''의 영토는 현재 바타네스, 이사벨라, 기리노, 누에바 비스카야, 칼링가, 아파야오, 마운틴 주, 이푸가오, 오로라의 일부를 포함했다.[3] 수도는 ''Nueva Segovia''(현재의 랄로)였다.[3]

스페인 수사들은 카말라니우간과 랄로(''Nueva Segovia'')에 선교소를 설립했고, 이곳은 1595년 8월 14일 교황 클레멘스 8세가 설립한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3] 200명의 유럽 출신 스페인 시민과 100명의 군인, 155명의 라틴 아메리카 멕시코에서 모집된 병사들이 카가얀 계곡 전역에 정착지를 건설했다.[11][12]

주교 관할지는 거리가 멀어서 1758년에 비간으로 옮겨졌다.[3] 1839년, 누에바 비스카야가 카가얀에서 분리되었고, 1856년 5월 1일에는 이사벨라가 별도의 주로 설립되었다.[3]

18세기 후반, 누에바 에스파냐 정부는 담배 무역을 독점하여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다.[15] 이는 호세 데 갈베스와 총독 호세 바스코 이 바르가스에 의해 주도되었다.[15]

1918년 인구 조사 당시의 카가얀 옛 지도

3. 3. 미국 식민 시대

1898년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미국-스페인 전쟁이 종결되면서 미국은 필리핀을 점령했다.[53] 미국은 특히 농업과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공공 사업과 통신 분야에서도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해군 기지는 현지 필리핀인과 미국 해군 및 행정가 간의 교류를 증가시켰다. 18세기 말, 카가얀주에는 29개의 자치단체가 있었다. 1902년 필리핀이 미국의 주권 아래에 놓인 후, 더 많은 자치단체가 설립되었다. 그 이후, 중앙 집권화와 인구 이동으로 인해 자치단체의 수는 다시 29개로 줄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또 다른 그룹의 일로카노족 정착민들이 대규모로 도착하면서 새로운 이민 물결이 시작되었다. 현재 그들은 이 주에서 가장 큰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이 대규모 일로카노족 이민과 정착으로 인해 일로카노어이바나그어를 대신하여 이 주의 공용어가 되었다.[53]

3. 4. 일본 점령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의 전투기 및 폭격기 공습으로 카가얀 주는 폭격과 침략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1942년, 일본 제국군이 카가얀에 진입했다. 일본 점령 하에 1942년 1월 3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여러 전전 보병 사단과 필리핀 연방 육군 정규 부대가 재설립되어 카가얀 주에 사령부, 야영지를 설치하고 병력을 주둔시켰으며, 카가얀 계곡에서 일본 점령군에 대한 작전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카가얀 주와 이사벨라 주에 병력을 파견하고, USAFIP-NL의 제11 및 제14 보병 연대, 지역 게릴라 부대 및 미국 해방군을 지원하는 것이 포함되었으며,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군과 싸웠다.

1944년 10월 26일, 엔가뇨 곶에서 엔가뇨 곶 해전이 벌어졌다. 당시 미국 항모 부대가 일본 북부군을 공격했으며, 이는 레이테 만 해전의 마지막 작전이었다. 일본군은 항공모함 4척, 경순양함 3척, 구축함 9척을 잃었다.

1945년, 미국과 필리핀 연합군은 인정된 게릴라 부대와 함께 카가얀을 탈환했다. 이 작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카가얀 주를 해방시킨 USAFIP-NL 소속 필리핀 연방 육군의 제11 및 제14 보병 연대 필리핀 병사들이 참여했다.

3. 5. 전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투게가라오 출신의 발도메로 페레즈가 필리핀 민간 행정부에 의해 임시 카가얀 주지사로 임명되어 1946년 페레그리노 R. 킨토로 교체될 때까지 재임했다.[53] 2023년 4월 3일, 필리핀 정부는 중국의 남중국해에서의 필리핀에 대한 압박과 대만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에 미군 기지 건설을 발표했다.[54]

3. 6.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부터 카가얀 주는 후안 폰세 엔릴레의 근거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엔릴레는 곤자가 출신으로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계엄령 기간 동안 가장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25][26] 그의 영향력으로 산타아나에 마르코스의 딸 아이린의 이름을 딴 현대화된 국제 항만 시설인 포트 아이린이 건설되었고, 이는 나중에 카가얀 특별 경제 구역 및 자유 항만의 창설 기반이 되었다.[35][3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1969년 재선 운동을 위한 대출 자금 정부 지출은 1960년대 말 필리핀 경제의 급격한 하락을 야기했다. 이는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로 이어졌으며, 1970년 제1분기 폭풍 시위와 플라자 미란다 폭탄 테러 등 사회 불안을 초래했다.[16][17][18][19][20][21] 마르코스는 비판자들을 “공산주의자”로 매도하고 1971년 8월 인신 보호 영장 발부 특권을 정지시켰다.[22][23][2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온건파 학생 시위자들을 급진 좌파로 만들었고, 그들 중 상당수는 카가얀과 같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결과적으로 마르코스의 행동은 필리핀 공산당이 카가얀 자치단체에서 상당한 존재감을 얻도록 만들었다.[25][26]

1972년 9월, 마르코스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간 더 집권했다.[27] 이 기간 동안 마르코스 행정부는 인권 침해를 자행했으며,[28][29]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농부 등 독재에 맞서 싸운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30] 투게가라오의 캄프 마르셀로 아두루가는 "정치범"을 위한 주요 구금 시설이 되었다.[31][32][33] 로미오 크리스모와 같이 마르코스에 반대하는 발언을 한 사람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34] 마르코스 일가가 엔릴레 및 다른 측근들에게 이 지역의 벌목권을 부여하면서, 이 지역의 산림이 심각하게 황폐화되었다.[35][36]

3. 7. 피플 파워 혁명 시기

198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카가얀에서는 민병대가 야당 지도자 에우지니오 콜로마를 부게이에서 총격 살해한 사건을 포함한 정치적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37]

선거 2주 후 발생한 피플 파워 혁명과 이후 1986년부터 1987년까지 필리핀이 임시 혁명 정부 하에 있던 1년 동안 많은 카가얀 출신 정치인들이 역할을 수행했다. 여기에는 마르코스에 대한 실패한[38] 쿠데타 시도가 혁명의 촉발 사건 중 하나였던 엔릴레와[39] 선거 기간 동안 야당을 지지했으며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과거 지사직에 재임명된 전 카가얀 주지사 테레사 J. 두파야가 포함되었다.[40]

3. 8. 현대

1990년 3월 4일, 카가얀주에서는 호텔 델피노 포위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정부에 대한 반란을 지원한 혐의로 정직된 주지사 로돌포 아기날도를 체포하려는 과정에서, 아기날도는 주 청사를 점거하고 필리핀 군 민간 관계 서비스의 오스카 플로렌도 준장 등을 인질로 잡았다. 이 대치는 마을 전체에서 총격전으로 이어졌고, 플로렌도는 호텔 내부 교전 중 사망했다. 아기날도는 탈출 후 은신하다 항복했으나, 1992년 재선에 성공하여 법적 혐의를 벗었다. 그는 1998년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지만, 2001년 신인민군에 의해 암살되었다.

카가얀 주는 기후 변화로 인한 기상 패턴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2020년 11월, 태풍 밤코(필리핀에서는 태풍 율리시스라고 불림)로 인해 루손 전역의 댐들이 월류 지점에 가까워졌고, 마갓 댐을 포함한 저수지에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게 되었다. 마갓 댐은 7개의 수문을 모두 개방하여 5,037 세제곱미터 이상의 물을 카가얀 강으로 방류하여 강변 마을들이 침수되었다. 분툰 다리 아래의 물은 13미터까지 높아져 인근 바랑가이가 가옥 지붕까지 잠겼다. 루손의 강화된 지역사회 격리와 ABS-CBN 방송 중단으로 인해 홍수 피해에 대한 언론 보도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주민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구조를 요청했다. 국가 관개 관리국(NIA)은 마갓 댐 방류 프로토콜을 검토하고 유역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페냐블랑카의 카야오 동굴에서는 6만 7천 년 전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인 카야오인의 유골이 출토되었다.[53]

2023년 4월 3일, 필리핀 정부는 중국의 남중국해 압박과 대만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해 카가얀주에 미군 기지 건설을 발표했다.[54]

4. 지리



카가얀 계곡 지역에 위치한 이 주는 동쪽으로는 필리핀해, 남쪽으로는 이사벨라 주, 서쪽으로는 루손섬의 코르디예라 산맥, 북쪽으로는 발린탕 해협과 바부얀 제도에 접해 있다. 주의 북동쪽 끝에서 약 2 km 떨어진 곳에 팔라우이 섬이 있으며, 서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푸가 섬이 있다. 칼라얀, 달루피리 섬, 카미긴 데 바부야네스, 바부얀 클라로를 포함하는 바부얀 제도루손섬 본토에서 북쪽으로 약 60 해리 떨어져 있다.

동부 해안은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북쪽 부분을 형성하며, 서쪽 경계는 일반적으로 언덕이 많거나 고도가 낮다. 넓은 계곡이 지배적인 중앙 지역은 필리핀에서 가장 긴 강인 카가얀강의 하류 유역을 형성한다.[3] 강어귀는 북쪽의 마을인 아파리에 위치해 있다.

카가얀 주는 총 9,295.75 km2의 토지 면적을 차지하며, 이는 필리핀 전체 토지 면적의 약 3%를 차지하며,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주이다.

남쪽으로는 이사벨라 주,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의 아파야오 주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일로코스 지방의 일로코스 노르테 주와 접한다. 북쪽에는 바부얀 제도가 있으며, 그 북쪽에는 국내에서 가장 작은 바타네스 주가 인접해 있다.

동쪽에는 필리핀 해가 펼쳐져 있다. 주의 중앙을 카가얀 강이 북쪽으로 흐르고, 아파리 부근에서 바부얀 해협으로 흘러든다. 동해안을 따라 시에라 마드레 산맥이 솟아 있다.

4. 1. 행정 구역

카가얀 주는 4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나뉘며, 28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820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투게가라오 시는 주도이자, 지역 행정 중심지이며, 상업, 무역, 교육의 중심지이다.

시 지방 자치체선거구인구면적인구 밀도좌표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km2sq mi/km2/sq mi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아불루그2구34,57932,4971.21%162.6062.7821055020
알칼라4구41,29538,8831.19%168.6465.1124063025
알라카판2구35,23433,5710.95%306.80118.4611029027
아물룽3구50,33647,8601.00%264.51102.1319049047
아파리1구68,83965,6490.94%286.64110.6724062042
바가오4구87,75382,7821.15%995.49384.368823048
바예스테로스2구34,48834,2990.11%120.0046.3329074019
부에이1구32,14830,1751.24%164.5063.5120051030
칼라얀2구17,41016,7020.81%494.53190.94359112
카말라니우간1구25,23624,9230.24%76.5029.5433085028
클라베리아2구31,90029,9211.25%194.8075.2116042041
엔릴레3구36,70535,8340.47%166.6064.3222057022
가타란1구58,87456,6610.75%707.50273.178321050
곤자가1구41,68038,8921.36%567.43219.097319025
이구이그3구30,06027,8621.49%109.9042.4327071023
랄로1구48,73344,5061.79%702.80271.356918035
라삼2구41,22539,1351.02%213.7082.5119050030
팜플로나2구24,78123,5960.96%209.678112031018
페냐블랑카4구50,30048,5840.68%1,246.234814010024
피아트2구24,80523,5970.97%181.817014035018
리잘2구19,07717,9941.14%124.4048.0315040029
산체스-미라2구26,16424,5411.26%218.778412031018
산타 아나1구35,68832,9061.60%440.811708121016
산타 프락세데스2구4,4344,1541.29%78.11305715010
산타 테레시타1구19,57319,0380.54%166.986412030013
산토 니뇨 (페어)2구28,53727,2190.94%423.131636717031
솔라나3구88,44582,5021.36%234.6090.5838098038
투아오3구63,97061,5350.76%225.828728073032


4. 2. 기후

카가얀은 1년 내내 더운 낮과 따뜻한 밤이 지속되는 열대 사바나 기후(Aw)를 보인다.[48]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카가얀 주의 인구는 1,268,603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1km2당 140명이었다.

카가얀 주에 거주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로카노 출신이며, 이바나그가 그 다음으로 많다. 일로카노어가 주요 사용 언어이며, 그 다음으로 이바나그어, 요가드어, 가당어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말라위그족, 이타위트족, 가당족, 이스나그족, 유목민인 아에타 집단, 그리고 이바나그-일로카노 문화에 동화된 이바탄 가족들도 카가얀을 고향으로 삼고 있다. 이바탄족바부얀 제도 출신이다.

6. 경제

카가얀 주의 주요 농산물은 쌀, 옥수수, 땅콩, 콩, 과일 등이다. 가축 제품으로는 소, 돼지, 물소, 가금류가 있다. 해안 도시에서 다양한 어종의 어류를 잡는 어업 또한 이루어진다.[3]

클라베리아의 어선


라알로에 위치한 북부 카가얀 국제공항은 카가얀 경제특구를 지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이 공항은 국제 민간 항공 기구 표준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에어버스 A319-100 및 이와 유사한 크기의 보잉 지역 제트기와 같은 대형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2014년 10월에 완공되었다.[51]

6. 1. 관광

필리핀 해를 마주하고 있는 카가얀 주는 산체스 미라, 팜플로나, 산타 프락세데스, 클라베리아, 부게이, 아파리, 바예스테로스, 아불루그 등 북부 해안 마을과 팔라우이 섬, 푸가 섬, 칼라얀의 섬에 걸쳐 광대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52] 칼라얀에서는 고래 관찰을 하고, 산타 아나의 팔라우이 섬에서는 스쿠버 다이빙, 스노클링, 낚시를 할 수 있다.[52] 클라베리아는 ''라케이-라케이 석호'', ''카말라가온 동굴'', ''마카텔 폭포'', ''파타 등대'', 클라베리아 해변 리조트 등 여러 경승지를 가지고 있다.[52]

7. 저명한 인물


  • 차로 산토스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유명한 아테네 배구 선수이자 비치 발리볼 공화국 공동 창립자이다.
  • 다닐로 울레프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가톨릭 주교이다.
  • 라몬 폴 L. 에르난도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대법원 부판사이다.
  • 리카르도 바카이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알라미노스 시 주교이다.
  • 로버트 엠페드라드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전 필리핀 해군 참모총장이다.
  • 소프로니오 아기레 반쿠드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카바나투안 시 주교이다.
  • 율로지오 발라오는 투게가라오 출신의 전 국방부 장관이자 전 상원의원이다.
  • 오레스테스 오헤다는 투게가라오에서 태어나고 자란 영화 배우이자 예술 애호가이다.
  • 루초 아얄라는 투게가라오 시 출신의 필리핀 배우이다.
  • 롬멜 아두쿨는 전 프로 농구 선수로 현재 필리핀 농구 협회(PBA)의 블랙워터 엘리트와 NCAA의 라이세움 파이리츠의 코치 보좌관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투게가라오 시 출신이다.
  • 베니토 안토니오 템플로 데 레온은 필리핀군(AFP)의 퇴역 군인으로, 로마 가톨릭 신자였지만 평화 노력을 인정받아 무슬림-마라나오 명예 칭호인 '술탄 아 로마푸눗'을 받았다. 데 레온은 육군 소장 계급으로 필리핀 육군 제5보병사단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필리핀군 감찰감으로 임명되었다. 투게가라오 시 출신이다.
  • 율로지오 발라오는 필리핀 군인이자 정치인이었다. 투게가라오 시 출신이다.
  • 노엘 A. 코발레스는 퇴역한 필리핀 중장으로 마긴다나오에서의 전투 행위로 2차례 무공 훈장을 받았으며, 3차례 훈공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또한 5개의 금십자 훈장, 2개의 청동십자 훈장, 그리고 1개 이상의 군사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전 필리핀 육군 사령관이며, 투게가라오 시 출신이다.
  • 트로이 로사리오는 아불루그 출신의 PBA 소속 TNT 카 트로파의 프로 농구 선수이다.
  • 멜레시오 아란즈는 알칼라 출신의 전 상원의원이다.
  • 프란시스코 로만은 알칼라 출신의 혁명 지도자이다.
  • 산티아고 "준준" S. 카바투, 주니어는 알칼라 출신 농구 선수이자 전 산 미구엘 비어맨의 멤버이다.
  • 도밍고 림 시아존 주니어는 아파리 출신의 전 외무부 장관이다.
  • 마야 살바도르는 아파리 출신의 배우, 가수, 모델이다.
  • 카카이 바티스타는 아파리 출신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이다.
  • 셜리 아그루피스는 아파리 출신의 마리아노 마르코스 주립대학교 총장이다.
  • 세사르 아디브 마줄은 필리핀 이슬람 역사와 아폴리나리오 마비니의 생애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역사가이다. 아파리 출신이다.
  • 도밍고 림 시아존 주니어는 1985년부터 1992년까지 유엔 산업 개발 기구의 사무총장, 1995년부터 2001년까지 필리핀 제18대 외무부 장관, 1993년부터 1995년(1기)과 2001년부터 2010년(2기)까지 주일 필리핀 대사를 역임했다. 아파리 출신이다.
  • 에드가르 B. 아글리파이는 칼라미누간 출신의 전 PNP 수장이다.
  • 아서 투가데는 클라베리아 출신의 교통부 장관이다.
  • 링컨 코르테스 벨라스케스는 클라베리아 출신으로 콩TV로 알려진 브이로거이다.
  • 델마 가르시아 부크홀트는 필리핀계 미국인 사회 운동가, 정치인, 역사가, 공공 연설가, 문화 운동가, 작가이다. 그녀는 알래스카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클라베리아 출신이다.
  • 후안 폰세 엔릴레는 곤자가 출신의 마르코스 행정부 시절 전 국방부 장관, 전 상원 의장, 현 대통령 법률 고문이다.
  • 릴리아 춘타파이는 곤자가 출신 배우, "필리핀 공포 영화의 여왕"으로도 알려져있다.
  • 디오스다도 P. 바나토는 하이테크 산업에서 일하는 기업가이자 엔지니어이다. 이구이그 출신이다.
  • 도밍고 에곤 카요사는 팜플로나 출신 필리핀 통합 변호사 협회(IBP) 회장이다.
  • 새뮤얼 바가신은 산체스 미라 출신의 필리핀군(AFP)의 퇴역 장군이다.
  • 브렛만 록은 뷰티 인플루언서 및 소셜 미디어 인물이다. 산체스 미라 출신이다.
  • 살바도르 라조 이 라조는 산페르난도 데 라 유니온 주교 플레어 출신이다.

8.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4-01-20
[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3]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https://books.google[...] Tahanan Books 2015-01-16
[4] 웹사이트 The Meaning of 'Cagayan' http://elson.elizaga[...] 2021-03-20
[5] 웹사이트 What is the Meaning of 'Cagayan'? https://mindanaogold[...] 2023-03-02
[6]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7] 문서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8] 문서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9] 문서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10] 서적 The Dutch Discovery of Japan: The True Story Behind James Clavell's Famous Novel Shogu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1-04-03
[1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Philippines by David P. Barrows https://www.gutenber[...]
[12] 문서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By Stephanie J. Mawson https://academic.oup[...]
[13]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14]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ia601608.us.[...]
[15] 문서 Jane Baxter, Chris Poullaos, ''Practices, Profession and Pedagogy in Accounting: Essays in Honour of Bill Birkett'' https://books.google[...] Sydney University Press 2009
[16]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2022-11-06
[17]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8]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9]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0]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1]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2] 서적 U.G. an underground tale: the journey of Edgar Jopson and the first quarter storm generation Anvil Publishing, Inc 2006
[23] 뉴스 Remembering the First Quarter Storm https://globalnation[...] 2020-01-27
[24] 서적 Days of Disquiet, Nights of Rage: The First Quarter Storm & Related Events Salinlahi Pub. House
[25]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26] 웹사이트 History of Tuguegarao https://tuguegaraoci[...] 2024-05-08
[27]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8]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9]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30]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31] 서적 Dark Memories of Torture, Incarceration, Disappeareance, and Death under Ferdinand E. Marcos Sr.'s Martial Law
[32] 웹사이트 Ricky Lee, martial law detainee, on historical revisionism: 'Para akong binubura' https://www.gmanetwo[...] 2021-09-16
[33] 뉴스 Victims recall horrors of Marcos' martial law http://news.abs-cbn.[...] 2018-06-15
[34] 웹사이트 Martyrs and Heroes: Romeo Crismo https://bantayogngmg[...] 2023-05-28
[35] 뉴스 Marcos cronies and the golden oriole of Isabela https://www.manilati[...] 2024-05-10
[36] 서적 The Politics of Logging: Power from the Forest 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1993
[37] 웹사이트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2-05-22
[38] 웹사이트 Day One (EDSA: The Original People Power Revolution by Angela Stuart-Santiago) http://www.stuartxch[...] 2015-03-15
[39] 웹사이트 The Final Report of the Fact-Finding Commission: IV: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Philippines: 1986–1987 https://www.official[...] 2023-01-31
[40] 웹사이트 Female Governors 1920-90 https://guide2womenl[...] 2024-05-08
[41] 논문 Role of Historical Warming on the Extreme Flooding Event Due to Typhoon Vamco (Ulysses) 2020 in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 Journal of Fisheries 2023
[42]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https://th.boell.org[...] Heinrich Böll Foundation 2024-05-09
[43] 웹사이트 Robredo assures Cagayan Valley: We heard you, gov't finding ways to reach you https://newsinfo.inq[...] 2020-11-13
[44] 웹사이트 Cagayan province turned into 'Pacific Ocean': Disaster management official https://news.abs-cbn[...] 2020-11-13
[45] 뉴스 Netizens blame lack of mass info dissemination in far-flung areas after Typhoon Ulysses https://philstarlife[...] 2024-05-09
[46] 뉴스 CagayanNeedsHelp: Netizens' appeal for help goes viral on social media https://mb.com.ph/20[...] Manila Bulletin
[47] 웹사이트 NIA to review protocols on Magat Dam water release after Cagayan, Isabela floods https://www.gmanetwo[...] 2020-11-17
[48]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Province of Cagayan, Philippines http://uk.storm247.c[...] 2016-01-31
[49] 웹사이트 Table 4.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Cagayan, 2000 https://www.census.g[...] 2017-12-07
[50]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51] 웹사이트 CA nixes foreclosure of subdivision owned by Ochoa's brother-in-law http://www.businessm[...] 2011-11-23
[52] 웹사이트 Paraiso Philippines: Cagayan http://www.paraisoph[...] 2011-11-23
[53] 뉴스 Archaeologists unearth 67,000-year-old human bone in Philippines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54] 뉴스 フィリピン、米軍が新たに使用する4基地を公表 https://jp.reuters.c[...]
[55]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Province of Cagayan, Philippines http://uk.storm247.c[...] 2016-01-31
[56]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7] 문서 2000
[58] 문서 2003
[59] 문서 2006
[60] 문서 2012
[61] 문서 2015
[62] 문서 2018
[63]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