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게트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벵게트주는 필리핀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에 속한 주로, 14세기부터 금, 가죽, 밀랍 등 풍부한 천연 자원을 바탕으로 부족들이 정착하며 역사가 시작되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고, 1966년 마운틴 지방이 분할되면서 벵게트주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현재 13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40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칸카나에이족, 이발로이족, 일로카노족 등이 거주한다. 벵게트주는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농업, 광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특히 고산 채소 생산으로 유명하며, 금 생산량도 상당하다. 관광 명소로는 풀라그 산, 케논 로드, 딸기 농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아브라주
아브라는 필리핀 루손 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서부에 위치한 주로, 험준한 산맥과 아브라 강, 아브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로카노족과 팅기안족의 후손이 주로 거주하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칼링가주
칼링가주는 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에 위치한 주로, 이바나그어와 가당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치코 강 댐 건설 계획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벵게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별명 | 필리핀의 샐러드 그릇 |
| 좌우명 | 단결, 산업, 번영 |
| 위치 | 필리핀 |
| 지역 | 코르딜레라 행정구 |
| 설립 | 1900년 11월 23일 |
| 주 | 1966년 6월 16일 |
| 수도 | 라트리니다드 |
| 주지사 | 멜초르 디클라스 (라카스-CMD) |
| 부주지사 | 에릭손 "타겔" 펠리페 (무소속) |
| 입법부 | 벵게트 주 의회 |
| 면적 | 2,755 km² (Baguio 제외) |
| 면적 순위 | 81개 중 47위 |
| 최고 고도 | 2,928 m |
| 최고 지점 | 풀라그 산 |
| 인구 (2020) | 460,683명 (Baguio 제외) |
| 인구 순위 | 81개 중 61위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ST) |
| UTC 오프셋 | +8 |
| 웹사이트 | 벵게트 주 공식 웹사이트 |
| 찬가 | 벵게트 찬가 |
| 행정 구역 | |
| 독립시 | 바기오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
| 구성 도시 | 0 |
| 자치체 | 아톡 바쿠운 보코드 부기아스 카바얀 카판간 키발 라트리니다드 망카얀 사블란 탕구브 투바이 이토곤 |
| 바랑가이 수 | 140 (독립시 포함 시 269) |
| 하원 의원 선거구 | 벵게트 주 하원 의원 선거구 바기오 하원 의원 선거구 (독립시 포함) |
| 언어 | |
| 사용 언어 | 필리핀어 일로카노어 이발로이어 팡가시난어 캉카나이어 칼랑구야어 카라오어 영어 |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1966년 6월 18일, 마운틴 지방이 벵게트주, 마운틴 주, 칼링가-아파야오주, 이푸가오주의 4개 주로 분할되었다.[4][14][30] 1973년 6월 22일 벵게트주는 일로코스 지방 관할에 놓였다가,[15] 1987년 7월 15일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의 행정 명령 220호에 따라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이 설립되면서 이 구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4][16][17] 벵게트주의 면적은 2,655.4km2이며, 2000년 인구는 582,515명으로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벵게트주에서 가장 큰 도시는 바기오이지만, 주에서 독립되어 있으며 주도는 라 트리니다드이다.[4]
아그노 강 상류에는 암부클라오 댐과 빙가 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여기서 발전된 전기는 마닐라로 송전된다.
2. 1. 초기 역사
고산지대는 적어도 14세기부터 금, 가죽, 밀랍과 같은 풍부한 천연 자원에 이끌려 주변 저지대에서 온 부족들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부족 중 이발로이족과 칸카나에이족은 이 지역의 주요 언어 문화 집단이다. 정복 이전 시대에 이들 부족은 서쪽과 남쪽에 위치한 팡가시난족과 같은 저지대 집단과 번성하는 무역을 했다. 벵게트 주의 역대 주지사 중 한 명인 후안 "오라" 카리뇨(1913-1918)는 최초의 필리핀인 주지사였다.칸카나에이족은 주의 북부 고산 지대에, 이발로이족은 남부 지역에 거주했으며, 모든 이고로트족은 애니미즘과 조상 숭배를 실천했다. 의식은 사제인 ''맘부농''이 규정했다. 이 지역의 경제는 계단식 논, 뿌리 작물 화전 농업, 가축 사육, 수렵, 채집, 금 채굴 및 거래를 기반으로 했다. 이러한 이고로트족의 금광은 수요크, 타비오, 아쿠판, 안타목에 위치해 있었다. 사금 채취는 사광에서 아그노 강, 부에드 강, 수요크 강, 암부라얀 강을 따라 이루어졌다. 금은 또한 맥광 맥 내의 안산암과 섬록암에서 채굴되었다. 망카얀의 금은 구리와 관련이 있었다. 금 채굴은 사회적 계층화를 초래하여, 상류층은 광산 소유주인 ''박낭''으로 구성되었고, 그 다음은 금 노동자인 ''아비테그'', 그리고 ''바가엔'', 즉 노예 계급이 뒤를 이었다. 이 노예들은 전쟁 포로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었다. 금광은 상속 가능한 친족 재산이었으며, 원래 소유권은 금 위치를 발견하고 재산을 개발한 개인에게 주어졌다.[3][21]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 시대 초기에 식민주의자들은 산에 있는 풍부한 금광에 대한 소문을 듣고 고지대를 식민지화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572년,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는 벵게트 남부에 작은 원정대를 이끌었지만, 원주민들은 그들을 후퇴시켰다.[4] 1620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라 트리니다드 계곡으로 들어갔고, 1623년과 1624년에 추가 원정이 이어졌다. 이는 갈베이 원정(1829-1839) 이전까지 스페인이 바기오 금광 점령을 시도한 마지막 사례였다.[3]1800년대에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은 길예르모 갈베이 대령[5]의 원정과 같은 더 진지한 시도를 했고, 갈베이의 아내의 이름을 딴 라 트리니다드 계곡에 주둔하는 데 성공했다.[4]
이 지역은 1846년에 ''라 몬타뇨사'' (또는 ''라 몬타냐'') 지방의 구역이 되었다.[6][7] 1854년에 벵게트는 별도의 ''정치-군사 사령부''가 되었다. 현재 지방의 일부는 레판토 및 암부라얀과 같은 다른 ''사령부''의 구성 영토로 설립되었다.[4]
2. 3. 미국 식민 시대
미국이 필리핀을 점령했을 때, 필리핀의 여러 지역에 지방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 1900년 11월 23일, 벵게트에는 ''법률 제48호''를 통해 미국 시민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캐나다 언론인 ''H.P. 휘트마쉬''가 이 주의 초대 지사로 임명되었다.[8]| 읍 | 폐지 여부 | 비고 | 읍 | 폐지 여부 | 비고 | |
|---|---|---|---|---|---|---|
| 아다오이 | 이토곤 | |||||
| 암부클라오 | 카바얀 | |||||
| 암푸소간 | 카판간 | |||||
| 아토크 | 키붕간 | |||||
| 바기오 | 라 트리니다드 | |||||
| 발락박 | 루 | |||||
| 보코드 | 팔리나 | |||||
| 부기아스 | 사블란 | |||||
| 다클란 | 투블레이 | |||||
| 갈리아노 | ||||||
| * 1909년 바기오가 특별 자치시로 전환되면서 바리오 투바는 시에서 분리되어 트윈 피크스 읍으로 편입되었다.[11] | ||||||
1908년 8월 18일, 미국 식민 정부가 ''법률 제1876호''를 제정하여 옛 ''라 몬타뇨사'' 지역에서 마운틴 주를 만들면서, 벵게트( 암부라얀, 아파야오, 본톡, 이푸가오, 칼링가, 레판토와 함께)는 이 새로운 주의 하위 주로 편입되었다.[4][12] 1년 뒤인 1909년, 바기오 읍은 특별 자치시로 전환되면서 폐지되었다. 1920년에는 암부라얀과 레판토의 하위 주 일부가 벵게트에 편입되었다.[4]
1930년대에 광산 회사가 이 주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일자리가 생겼고, 많은 저지대 사람들이 벵게트로 이주했는데, 특히 이토곤, 망카얀 및 투바와 같은 금광 주변의 마을로 이주했다.[13]
2. 4. 일본 점령 시대
태평양 전쟁 중, 1945년 전쟁의 마지막 날에 이고로트 게릴라와 필리핀-미국 연합군은 일본군과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1]2. 5. 현대
1966년 6월 18일, 거대한 마운틴 지방은 ''공화국 법률 제4695호''의 제정으로 벵게트주, 마운틴 지방, 칼링가-아파야오주 및 이푸가오주의 4개 주로 분할되었다.[4][14][30]1973년 6월 22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통합 조직 계획''의 일환으로 벵게트주는 일로코스 지방의 관할하에 놓였다.[15]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이 1987년 7월 15일 ''행정 명령 220호''를 통해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을 설립했을 때, 벵게트주는 그 구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4][16][17]
아그노 강 상류에 암부클라오 댐과 빙가 댐이 건설되어 발전된 전기는 마닐라로 송전된다.
3. 지리
벵게트는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며, 면적은 2769.08km2이다. 지리적인 목적으로 바기오를 포함하면 총 면적은 2826.59km2가 된다.
이 주는 북동쪽으로는 마운틴 주와 이푸가오 주, 남동쪽으로는 누에바 비스카야 주, 남쪽으로는 팡가시난 주, 서쪽으로는 라 유니온 주, 북서쪽으로는 일로코스 수르 주와 접해 있다.
루손 섬의 코르디예라 산맥에 위치한 벵게트는 산악 지형이 주를 이룬다. 루손 섬에서 가장 높은 풀라그 산은 카바얀에 있다. 산들은 아그노 강, 암부라얀 강, 부에드 강, 바쿤 강, 발릴리 강, 아신 강 등 여러 강들의 발원지를 형성하며, 이 중 일부는 강 계곡 또는 협곡을 통과한다.
내륙에는 여러 개의 작은 자연 호수들이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호수는 카바얀의 "4개의 호수"인 불랄라오 호, 데테풍에포스 호, 인콜로스 호, 타베요 호이다.
벵게트 주는 상부 아그노 강 유역 자원 보호 구역, 풀라그 산 국립 공원, 데이터 산 국립 공원, 하부 아그노 유역 산림 보호 구역 등 여러 보존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3. 1. 기후

벵게트주의 대부분은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b'')대에 속하며, 4월에는 연평균 최고 25.3°C도, 1월에는 최저 13.3°C도를 기록한다.[23] 벵게트 주는 해발 1,000m에서 2,000m의 고지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 마닐라보다 기온이 10℃ 정도 낮아 7월부터 8월에도 기온이 25℃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적어 지내기 좋다. 1월에서 3월 사이에도 라 트리니다드에서는 낮에는 15~20℃, 밤에는 10~13℃이며, 2,000m 고지에서는 더 낮아지지만, 눈이 내리는 경우는 없다.
이 지역은 12월부터 3월까지 추운 달에 계절성 서리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입으며, 특히 아톡, 부기아스, 망카얀, 키분간과 같은 고지대 마을에서 피해가 심하다.[24][25] 2007년 2월, 벵게트주는 기온이 7°C까지 내려가 농작물 피해를 입었다.[26]
6월부터 11월까지가 우기, 12월부터 5월까지가 건기이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 | 23.1°C | 23.9°C | 24.7°C | 25.3°C | 24.6°C | 24.1°C | 22.9°C | 22.5°C | 23°C | 23.6°C | 23.8°C | 23.3°C |
| 평균 최저 기온 (℃) | 13.3°C | 13.9°C | 14.8°C | 16.2°C | 16.7°C | 16.6°C | 16.4°C | 16.6°C | 16.3°C | 16°C | 15.5°C | 14.2°C |
| 평균 강수량 (mm) | 150.8mm | 101.8mm | 82.3mm | 44.9mm | 132.5mm | 146mm | 196.9mm | 181.6mm | 168.5mm | 199.2mm | 191.2mm | 233.7mm |
| 평균 강우일 | 2 | 3 | 6 | 9 | 19 | 21 | 26 | 26 | 23 | 14 | 9 | 5 |
3. 2. 행정 구역
미국이 필리핀을 점령했을 때, 필리핀 여러 지역에 지방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 1900년 11월 23일, 벵게트에는 ''법률 제48호''를 통해 미국 시민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캐나다 언론인 ''H.P. 휘트마쉬''가 초대 지사로 임명되었다.[8]| 읍 | 폐지 여부 | 비고 | 읍 | 폐지 여부 | 비고 | |
|---|---|---|---|---|---|---|
| 아다오이 | 이토곤 | |||||
| 암부클라오 | 카바얀 | |||||
| 암푸소간 | 카판간 | |||||
| 아토크 | 키붕간 | |||||
| 바기오 | 라 트리니다드 | |||||
| 발락박 | 루 | |||||
| 보코드 | 팔리나 | |||||
| 부기아스 | 사블란 | |||||
| 다클란 | 투블레이 | |||||
| 갈리아노 | ||||||
| * 1909년 바기오가 특별 자치시로 전환되면서 바리오 투바는 시에서 분리되어 트윈 피크스 읍으로 편입되었다.[11] | ||||||
1966년 6월 18일, 마운틴 지방은 ''공화국 법률 제4695호''에 따라 4개의 주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벵게트주였다.[4][14][30]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이 1987년 7월 15일 ''행정 명령 220호''를 통해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을 설립했을 때, 벵게트주는 그 구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4][16][17]
벵게트주는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에 포함된다.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인 바기오는 벵게트주와 행정적으로 독립되어 있지만, 라 트리니다드, 이토곤, 사블란 및 투바 지방 자치체로 둘러싸여 있다.

| 시/지방 자치체 | 인구 (2020) | 인구 (2015) | 연간 성장률 | 면적 (km2) | 밀도 (/km2) | 바랑가이 수 |
|---|---|---|---|---|---|---|
| 아톡 | 19,218 | 19,668 | 214.99 | 89 | 8 | |
| 바기오 ‡ | 366,358 | 345,366 | 57.51 | 6,369 | 129 | |
| 바쿤 | 14,535 | 15,357 | 286.91 | 51 | 7 | |
| 보코드 | 14,435 | 13,756 | 274.96 | 53 | 10 | |
| 부기아스 | 44,877 | 43,627 | 175.88 | 255 | 14 | |
| 이토곤 | 61,498 | 59,820 | 449.73 | 137 | 9 | |
| 카바얀 | 15,806 | 15,260 | 242.69 | 65 | 13 | |
| 카판간 | 19,297 | 19,361 | 164.39 | 117 | 15 | |
| 키붕간 | 17,051 | 17,292 | 254.86 | 67 | 7 | |
| 라 트리니다드 † | 137,404 | 129,133 | 70.04 | 1,962 | 16 | |
| 망카얀 | 37,233 | 35,953 | 130.48 | 285 | 12 | |
| 사블란 | 11,588 | 11,457 | 105.63 | 109 | 8 | |
| 투바 | 48,312 | 47,648 | 295.97 | 163 | 13 | |
| 투블레이 | 19,429 | 17,892 | 102.55 | 189 | 8 | |
| 합계 | 460,683 | 446,224 | 2,769.08 | 166 | 140 | |
| † 수도 지방 자치체, ‡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지리적으로는 내부에 있지만, 주에서 독립) | ||||||
벵게트 주의 13개 지방 자치 단체는 총 140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벵게트주의 인구는 460,683명[32]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다. 인구 밀도는 170PD/km2였다. 바기오는 벵게트주와 행정적으로 독립되어 있지만, 지리적으로 벵게트주 내부에 위치하며, 바기오를 포함할 경우 인구는 791,590명, 인구 밀도는 280PD/km2가 된다.
2000년 5월 인구 조사에서는 벵게트주의 총 인구가 330,129명으로, 1995년 조사에 비해 16,296명이 증가했다. 이는 연평균 1.09%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전국 평균 성장률 2.43%보다 낮았다. 2000년 당시 벵게트주에는 63,123가구가 등록되어 가구당 평균 5.20명으로, 전국 평균 4.99명보다 약간 높았다.
벵게트주는 1966년 6월 18일 일로코스 지방의 일부가 되었고, 1987년 7월 15일 코르디예라 행정구(CAR)가 설립되면서 이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아그노강 상류에는 암부클라오 댐과 빙가 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여기서 발전된 전기는 마닐라로 송전된다.
4. 1. 민족
벵게트 주민은 세 개의 주요 언어 집단으로 구성된다. 칸카나에이족은 북서부 지방 자치 단체를 지배하고, 이발로이족은 동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칼랑구야족은 주로 동부에 거주한다.[4][28][29] 저지대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은 일부 지역에서 현지 주민들과 융합하여 용광로를 형성했다.[30][29][31]200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칸카나에이족은 당시 329,216명의 전체 지방 가구 인구 중 42.96%를 차지했으며, 29.15%는 이발로이족으로, 3.69%는 이칼라한/칼랑구야족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거주 저지대 민족 집단에는 13.36%의 일로카노족과 2.36%의 타갈로그족이 포함되었다. 특히 의사, 교사, 사업가 및 공무원과 같은 일로카노족은 건강 상태 개선과 국민 교육을 위해 미국 시대에 도착했다. 선구적인 일로카노족은 라 트리니다드를 상업 및 정치 중심지로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로 인해 국민의 의료, 교육 및 경제 생활이 개선되었다. 또한 일로카노족과 코르디예라족 간의 더 긴밀한 관계가 구축되었다.[32]
4. 2. 언어
벵게트 주민은 세 개의 주요 언어 집단으로 구성된다. 칸카나에이족은 북서부 지방 자치 단체를 지배하고, 이발로이족은 동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칼랑구야족은 주로 동부에 거주한다.[4][28][29] 저지대 지방에서 온 이주민들은 일부 지역에서 현지 주민들과 융합하여 용광로를 형성했다.[30][29][31]200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칸카나에이족은 당시 329,216명의 전체 지방 가구 인구 중 42.96%를 차지했으며, 29.15%는 이발로이족으로, 3.69%는 이칼라한/칼랑구야족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거주 저지대 민족 집단에는 13.36%의 일로카노족과 2.36%의 타갈로그족이 포함되었다. 특히 의사, 교사, 사업가 및 공무원과 같은 일로카노족은 건강 상태 개선과 국민 교육을 위해 미국 시대에 도착했다. 선구적인 일로카노족은 라 트리니다드를 상업 및 정치 중심지로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로 인해 국민의 의료, 교육 및 경제 생활이 개선되었다. 또한 일로카노족과 코르디예라족 간의 더 긴밀한 관계가 구축되었다.[32]
벵게트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무역과 상업에 사용되는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영어 외에도 자신들의 고유 언어를 사용한다. 이발로이족은 팡가시난어와 유사한 이발로이어를 사용하며, 칸카나에이족은 본톡어와 관련이 있는 칸카나에이어를 사용한다.
SIL 에스놀로그 데이터베이스는 이 언어들을 ''남중앙 코르디예라'' 분기로 분류한다. 이발로이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발로이''로 명명됨)는 팡가시난어도 포함된 ''남부 코르디예라'' 분기에 속한다. 칸카나에이어는 본톡어와 이푸가오어도 포함된 ''중앙 코르디예라'' 분기에 속한다.[33]
4. 3. 종교
벵게트주에서는 로마 가톨릭교가 59%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34] 하나님의 국제 교회 회원(MCG),[35] 개신교 신자 (특히 성공회, 감리교, 침례교, 복음주의)는 인구의 약 33%를 차지하며,[36][37] Iglesia ni Cristo는 약 7%이다.[38] 소규모 무슬림 공동체도 존재하며, 지방 인구의 0.472%를 차지한다.
5. 경제
광업은 벵게트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며, 필리핀의 주요 금 생산지 중 하나이다.[4] 1903년 설립된 필리핀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광산 회사인 벵게트 공사(Benguet Corporation)는 이토곤에서 금, 구리, 크롬철광을 채굴해 왔다.[52][53]
은, 구리, 황철광, 석회암 등도 벵게트에서 발견되는 광물 자원이다. 은 세공은 벵게트의 주요 산업이며, 많은 기업가가 바기오에서 마닐라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은 제품을 판매한다. 2006년에는 Lepanto Consolidated Mining Corporation 및 Philex Mines 두 광산 회사에서만 40억필리핀 페소의 광업 수익을 올렸다.[54] 그러나 이러한 광산 회사의 세금 대부분이 지방에 직접 납부되지 않아, 벵게트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많은 광산 회사가 마카티 시에 본사를 두고 있어, 마카티 시가 주요 광업 세금 수혜자가 되고 있다.
벵게트는 바기오의 위치 덕분에 저지대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특히 라 트리니다드의 딸기 밭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코스이다.
5. 1. 농업
농업, 광업, 관광업은 벵게트의 주요 산업이다. 서늘한 기후와 높은 고도로 인해 고산 채소를 생산하기에 이상적인 장소가 되었다. 벵게트는 종종 '필리핀의 샐러드 볼'이라고 불린다.[39][4][29] 라 트리니다드의 라 트리니다드 채소 거래소는 지방의 채소 거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지역 사회와 필리핀의 여러 지방에서 온 농부, 상인 및 무역업자를 끌어 모으고 있다.[40] 감자, 바기오 콩, 완두콩, 딸기,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상추, 사요테, 당근을 포함한 주요 작물은 전국으로 출하된다.[4][41][42][43]
원예와 화훼 농업이 이 지방에서 행해진다.[44] 이 지방은 바기오를 포함한 여러 시정촌과 메트로 마닐라를 비롯해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의 다른 지역에 꽃을 공급한다.[45][46][47] 특히 라 트리니다드의 바랑가이 바홍에서는 장미가 생산되어 이 바랑가이에게 '필리핀의 장미 수도'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8] 필리핀(말레이시아 포함) 고유종인 아피상(학명: ''Pittosporum resiniferum'')은 자트로파 바이오 연료 식물에 필적하는 잠재적인 대체 연료 및 에너지원으로 카팡간 및 키붕간 시정촌에서 재배된다.[49][50]
기타 농업 관련 활동으로는 몽고 가공, 과일 보존, 땅콩 브리틀 제조, 빗자루 만들기, 바구니 짜기 등이 있다.[4][51]
5. 2. 광업
벵게트주는 고산지대에 위치하며, 적어도 14세기부터 금, 가죽, 밀랍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찾아 주변 저지대 부족들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고로트족의 금광은 수요크, 타비오, 아쿠판, 안타목에 있었다. 사금 채취는 아그노 강, 부에드 강, 수요크 강, 암부라얀 강을 따라 이루어졌다. 금은 맥광 내 안산암과 섬록암에서도 채굴되었다. 망카얀의 금은 구리와 관련이 있었다.금 채굴은 사회 계층화를 초래했다. 광산 소유주인 ''박낭''이 상류층을 구성했고, 금 노동자인 ''아비테그''가 그 뒤를 이었으며, 노예 계급인 ''바가엔''이 있었다. 노예는 전쟁 포로와 그 자녀들로 구성되었다. 금광은 상속 가능한 친족 재산이었으며, 원래 소유권은 금을 발견하고 개발한 개인에게 주어졌다.[3][21]
스페인 시대 초기, 식민주의자들은 산속 금광에 대한 소문을 듣고 고지대를 식민지화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572년,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가 벵게트 남부에 소규모 원정대를 이끌었지만 원주민에게 격퇴당했다.[4] 1620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라 트리니다드 계곡으로 들어간 첫 번째 주요 원정을 시작으로, 1623년과 1624년에 추가 원정이 이어졌다. 이는 1829~1839년 갈베이 원정 이전까지 스페인의 바기오 금광 점령 시도 중 마지막이었다.[3]
1800년대,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은 길예르모 갈베이 대령[5]의 원정 등 더 적극적인 시도를 했고, 라 트리니다드 계곡에 주둔하는 데 성공했다.[4]
오늘날 벵게트주는 금, 구리 등을 생산한다.
5. 3. 관광업
벵게트주는 필리핀의 주요 관광지이며,[9] 대부분의 관광 명소가 문화와 자연에 집중되어 있다.[57] 벵게트주 내에 위치한 바기오는 벵게트주의 관광 산업을 부흥시키는 역할을 한다.[58]벵게트주의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풀라그 산
- 케논 로드
- 암부클라오 댐
- 빙가 댐
- 라 트리니다드의 딸기 및 꽃 농장
- 아토크의 팔리나 및 나구에이 계단식 논

투바와 투블레이 온천은 인근 지역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할세마 하이웨이를 따라, 특히 작물 재배 시기에는 채소 계단식 밭을 볼 수 있다. 카바얀은 수백 년 된 미라로 유명하며, 부기아스는 온천과 아포 안노로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6. 교육
벵게트주에서 고등 교육은 벵게트 주 유일의 대학교인 벵게트 주립 대학교(BSU)의 본교가 위치한 라 트리니다드에 집중되어 있다.[55] 이 대학은 부기아스의 '부기아스 캠퍼스'와 보코드의 '보코드 캠퍼스' 두 곳에 분교를 두고 있다.[56]
라 트리니다드에는 Advocates Academic College, BVS Colleges, Cordillera Career Development College, 필리핀 킹스 칼리지, 필리핀 신학대학교, 필리핀 나사렛 대학교를 비롯하여 코르디예라 지역 과학 고등학교, 벵게트 국립 고등학교(여러 부속 시설 포함), 벵게트 특수 교육 센터와 같은 다른 교육 기관들도 있다.
7. 자매결연
8. 주목할 만한 인물
- 데오다토 아레야노 - 필리핀의 애국자이자 카티푸난의 창립자 중 한 명(라 트리니다드)[59]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20-03-05
[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3]
논문
Gold Mining in Benguet to 1898
http://www.philippin[...]
2000
[4]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Tahanan Books
1995
[5]
서적
Thirty Years with the Philippine Head-Hunters
Grosset & Dunlap
1933
[6]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Google books |pla[...]
Tahanan Books
1995
[7]
웹사이트
Facts & Figures: Mountain Province
http://www.nscb.gov.[...]
2014-10-22
[8]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La Trinidad, Benguet
http://www.dilgcar.c[...]
2014-09-18
[9]
웹사이트
Facts & Figures: Benguet Province
http://www.nscb.gov.[...]
2014-10-09
[10]
웹사이트
History: Benguet Province
http://www.benguet.g[...]
2014-10-09
[11]
웹사이트
LGU-Pugo-History
http://www.launion.g[...]
2014-10-03
[12]
웹사이트
Act No. 1876
http://philippinelaw[...]
1908-08-18
[13]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Tuba, Benguet
http://www.dilgcar.c[...]
2014-10-04
[14]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695: An Act Creating the Provinces of Benguet, Mountain Province, Ifugao and Kalinga-Apayao
http://www.chanroble[...]
2014-09-18
[15]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224; Amending Certain Parts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Plan
http://www.chanroble[...]
1973-06-22
[16]
웹사이트
Regional Profil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countrystat.b[...]
2014-09-18
[17]
웹사이트
Th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ati.da.gov.ph[...]
2014-09-18
[18]
논문
Temporal Geochemical Evolution of Neogene Magmatism in the Baguio Gold-Copper Mining District (Northern Luzon, Philippines)
2007
[19]
논문
Gold Deposition in the Baguio Gold District and Its Relationship to Regional Geology
1979
[2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Benguet Province
Baguio Printing & Publishing Company, Inc.
1985
[21]
서적
The Discovery of the Igorots
New Day Publishers
1974
[22]
뉴스
Mt Pulag climb slated October 31-November 2
http://archives.pia.[...]
2008-10-25
[23]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Benguet, Philippines
http://uk.storm247.c[...]
2016-01-29
[24]
뉴스
Frost affects towns
http://www.sunstar.c[...]
Sun.Star Baguio
2014-01-02
[25]
뉴스
Frost descends on Benguet farms
http://newsinfo.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4-01-03
[26]
뉴스
Benguet Farmers Lose Crops to Frost
http://www.highbeam.[...]
"[[The Manila Times]]"
2007-02-02
[27]
웹사이트
Benguet Monthly Climate Average, Philippines
http://us.worldweath[...]
2016-01-29
[28]
웹사이트
About Benguet Province, Philippines
http://www.islandspr[...]
2014-09-17
[29]
웹사이트
Facts & Figures: Benguet Province
http://www.nscb.gov.[...]
2014-09-17
[30]
웹사이트
Benguet History
http://www.benguet.g[...]
2014-09-17
[31]
웹사이트
The Cordillera: Its Land and People
http://www.cpaphils.[...]
2014-09-17
[32]
웹사이트
Benguet: Dependency Ratio Down by Four Persons; Table 5.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Benguet, 2000
http://census.gov.ph[...]
2002-04-26
[33]
웹사이트
Austronesian
http://www.ethnologu[...]
2016-07-22
[34]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015-01-18
[35]
뉴스
𝗠𝗖𝗚𝗜 𝗖𝗮𝗿𝗲𝘀 𝗕𝗿𝗶𝗻𝗴𝘀 𝗛𝗼𝗽𝗲 𝗮𝗻𝗱 𝗛𝗲𝗮𝗹𝗶𝗻𝗴 𝘁𝗼 𝗗𝗮𝘆𝗻𝗲𝘁, 𝗔𝗺𝗽𝘂𝗰𝗮𝗼
https://www.facebook[...]
2024-05-08
[3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10-09
[37]
문서
Benguet Statistical Tables
http://psa.gov.ph/si[...]
psa.gov.ph
[38]
웹사이트
MAP: Iglesia ni Cristo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014-07-26
[39]
웹사이트
Cordillera Autonomous Region
https://web.archive.[...]
2014-09-17
[40]
웹사이트
La Trinidad veggie trading post revisited
https://web.archive.[...]
Bureau of Agricultural Research
2014-09-17
[41]
뉴스
Highland vegetable prices increase in Benguet
https://web.archive.[...]
2016-02-29
[42]
웹사이트
Province of Benguet: Fast Facts
https://web.archive.[...]
2014-09-17
[43]
뉴스
Benguet ships 11 tons of vegetables for Christmas
https://web.archive.[...]
2016-02-29
[44]
뉴스
Benguet grows Holland tulips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4-09-17
[45]
뉴스
Baguio flowers sell fast despite price increase
https://web.archive.[...]
2016-02-29
[46]
뉴스
Benguet farmers harvest of tons of fresh flowers for All Saints Day
https://web.archive.[...]
InterAksyon.com
2014-09-17
[47]
뉴스
Benguet flowers ready for Panagbenga
https://web.archive.[...]
Sun.Star Publishing, Inc.
2014-09-17
[48]
뉴스
Flower power in Bahong
https://web.archive.[...]
2016-02-29
[49]
뉴스
Tree for alternative fuel found in Cordillera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4-09-17
[50]
뉴스
Benguet finds oil treasure in 'petroleum nut'
https://web.archiv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4-09-17
[51]
웹사이트
The Pasalubong Map: Luzon
http://www.choosephi[...]
2014-09-17
[52]
웹사이트
Benguet Corporation: Corporate Profile
http://benguetcorp.c[...]
2014-11-18
[53]
웹사이트
Benguet Corp
https://www.bloomber[...]
2014-09-17
[54]
뉴스
Country's first mine town should have been richest in PH
http://business.inqu[...]
Inquirer Northern Luzon
2016-07-23
[55]
뉴스
La Trinidad Now Rivals Baguio as Educational Center
https://web.archive.[...]
Goshen Land
2016-07-22
[56]
웹사이트
Colleges, Institutes, & Campuses
https://web.archive.[...]
2014-09-17
[57]
뉴스
Benguet tourism sites mostly culture, nature-based
https://web.archive.[...]
Sun.Star Baguio
2014-10-9
[58]
뉴스
Benguet tourist arrivals peak
https://web.archive.[...]
Sun.Star Baguio
2014-10-09
[59]
뉴스
How relevant is the Philippine flag today?
https://newsinfo.inq[...]
2019-04-10
[60]
웹사이트
"''Merrittia benguetensis'' Merr.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10-25
[61]
문서
高知県の自治体間交流
http://www.clair.or.[...]
[62]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Benguet,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16-01-29
[63]
웹인용
Benguet Monthly Climate Average, Philippines
http://us.worldweath[...]
2016-01-29
[64]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65]
문서
2000
[66]
문서
2003
[67]
문서
2006
[68]
문서
2012
[69]
문서
2015
[70]
문서
2018
[71]
safesub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