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리오이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리오이코이는 고대 스파르타 사회에서 스파르타 시민은 아니지만 자유민 신분으로 스파르타 영토 내에 거주하며 자치 도시를 형성했던 사람들을 지칭한다. 그들은 참정권은 없었지만, 군 복무의 의무를 지니고 스파르타 군대에 병력을 제공했으며, 경제 활동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페리오이코이는 무기와 갑옷 생산을 포함한 스파르타의 제조를 담당하고, 스파르타의 무역을 수행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페리오이코이를 기술자, 장인, 농부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정의하기도 했다. 페리오이코이 도시들은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존재했으며, 역사적 기록에는 페리오이코이 출신의 개인들이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사회 계급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스파르타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스파르타 - 에포로스
    에포로스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왕을 견제하며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행사한 5인 집정관직으로, 국민회의에서 매년 선출되어 법률 제정, 사법 재판, 외교, 군사 원정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파르타 정치 체제의 핵심 요소였다.
페리오이코이
개요
설명페리오이코이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자유민이지만 시민권을 가지지 못한 계층을 지칭함.
어원그리스어 "페리오이코이" ()는 "주변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함.
로마자 표기Perioikoi
사회적 위치
법적 지위자유민이지만 스파르타 시민은 아니었음.
정치 참여스파르타의 정치에는 참여할 수 없었음.
거주지스파르타 주변의 마을이나 지역에 거주했음.
역할 및 의무
경제 활동주로 상업, 수공업, 농업 등에 종사했음.
군사적 의무필요에 따라 군대에 동원되어 복무해야 했음.
스파르타에 대한 의무스파르타에 세금을 납부하고, 필요한 물품을 공급해야 했음.
페리오이코이와 스파르타 시민
관계스파르타 시민에게 종속적인 관계였지만, 완전한 노예는 아니었음.
차별정치적 권리가 제한되었고, 사회적으로도 차별을 받았음.
페리오이코이의 중요성
스파르타 경제스파르타 경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
스파르타 군사력군사력 유지에도 기여했음.

2. 기원

도리아인의 침입 이후, 계곡에 거주하던 아카이아인헤일로타이가 되었고, 산에 있던 사람들은 페리오이코이가 되었다는 것이 전통적인 통설이다.[2] 이와 다른 견해에 따르면, 페리오이코이의 거주는 스파르타 식민지의 특수한 형태이며, 이것은 로마의 이주와 비교할 수 있다.[3]

스파르타의 폴리스 또는 도시 국가는 그리스 암흑기 동안 형성되었으며, 유로타스 강 주변의 평원을 통제했다. 스파르타 국가에 흡수되거나 헤일로타이로 종속될 수 없었던 해당 지역에 이미 존재하던 공동체는 '페리오이코이'가 되었다. 그들이 스파르타인과 마찬가지로 도리아인인지, 아니면 펠로폰네소스의 도리아 이전 인구의 후손인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3]

3. 신분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 영내에 거주했지만 시민 신분은 아니었고, 참정권도 가지지 못했다. 이들은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았지만, 군사 동맹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이중적인 지위에 있었다. 이러한 기원은 도리아인이 라코니아를 정복할 때 페리오이코이의 조상이 도리아인과 조약을 맺은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페리오이코이의 거주지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전위 역할을 담당했다.[4]

페리오이코이는 헬로트와 달리 자유민이었으나, 완전한 스파르타 시민은 아니었다. 이들은 페리오이키스에 있는 그들만의 도시에서 살았는데,[5][6] 이 도시들은 스파르타의 통제를 받았지만,[7] 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8]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의 외교 정책을 따르고, 군대에 병력을 제공했으며,[8] 토지 소유권도 있었다.[10]

스파르타인과 마찬가지로 페리오이코이는 헬로트를 소유했다.[12] 일부 헬로트는 군 복무 후 네오다모데스가 되어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승진하기도 했지만, 스파르타 시민이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강등될 수는 없었다. 전직 스파르타 시민에게는 히포메이오네스, 트레산테스 등과 같은 특정 하위 계층이 있었다.[12]

3. 1. 역할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 영내에 살았지만 시민 신분은 아니었고, 당연히 참정권도 없었다. 거주지는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았지만, 스파르타와 군사 동맹 관계에 있다는 이중성도 있었다. 이는 도리아인이 라코니아를 정복할 때 페리오이코이의 조상이 도리아인과 조약을 맺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페리오이코이의 거주지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전위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4]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에 군 복무를 할 의무가 있었다. 플라타이아 전투에서는 스파르타인과 거의 같은 수인 약 5000명의 페리오이코이가 중장보병으로 참전했다.[9] 펠로폰네소스 전쟁 때는 완전 자유민의 수가 감소하여, 오히려 페리오이코이가 군대의 중심이 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페리오이코이는 완전히 자유로웠고, 세금 징수를 제외하고는 스파르타가 페리오이코이의 경제 활동을 방해하지 않았다. 페리오이코이는 헬로트와 달리 자유민이었지만, 완전한 스파르타 시민은 아니었다. 그들은 고대 작가들이 폴리스라고 묘사한 페리오이키스에 있는 그들만의 도시에서 살았다.[5][6] 이 도시들은 스파르타 국가의 통제를 받았지만,[7] 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8]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의 외교 정책을 따라야 했고, 스파르타 군대에 병력을 제공했다.[8] 호모이오이(ὅμοιοιgrc, 완전한 스파르타 시민)와 마찬가지로 페리오이코이는 아마도 같은 부대에서 호플리테로 군대에서 싸웠을 것이다. 페리오이코이는 토지를 소유할 권리가 있었는데, 이는 군대에 복무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했을 것이다.[10]

고전 시대에 스파르타인들은 어떠한 경제적 생산 활동에도 참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으므로, 페리오이코이는 무기와 갑옷 생산을 포함하여 스파르타의 제조를 책임졌고, 스파르타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무역을 수행했다.[1] 예를 들어, 아르테미스 오르티아 신전 유적지에 바쳐진 많은 수의 가면과 조각상은 아마도 페리오이키스 장인들이 제작했을 것이다.[11]

스파르타인들과 마찬가지로 페리오이코이는 헬로트를 소유했는데, 이는 스파르타 사회의 주요 구분선이 스파르타 시민과 페리오이코이, 그리고 헬로트 사이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12] 예를 들어,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인 기원전 413년에 아테네는 페리오이키스 도시인 에피다우로스 리메라 영토를 급습하여 헬로트의 페리오이코이에 대한 반란을 촉발하려 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헬로트는 군 복무 후 네오다모데스가 됨으로써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승진할 수 있었지만, 스파르타 시민은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강등될 수 없었다. 전직 스파르타 시민에게는 히포메이오네스, 트레산테스 등과 같은 특정 하위 계층이 있었다.[12]

3. 2. 다른 계층과의 관계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 영내에 거주했지만 시민 신분은 아니었고, 참정권도 없었다. 거주지는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았지만, 스파르타와 군사 동맹 관계에 있다는 이중성이 있었다. 이러한 기원은 도리아인이 라코니아를 정복했을 때 페리오이코이의 조상이 도리아인과 조약을 체결한 것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페리오이코이의 거주지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전위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4][5][6] 이 도시들은 스파르타 국가의 통제를 받았지만,[7] 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8]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에 군 복무를 할 의무가 있었다.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스파르타인과 거의 같은 수인 약 5000명의 페리오이코이가 중장보병으로 참전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때 완전히 자유민의 수는 감소하였고, 오히려 페리오이코이가 군의 중심이 되었다. 호모이오이(ὅμοιοι|호모이오이grc)와 마찬가지로 페리오이코이는 아마도 같은 부대에서 호플리테로 군 복무를 했을 것이다.[9] 페리오이코이는 토지를 소유할 권리가 있었는데, 이는 군 복무를 지원하는 데 필요했을 것이다.[10]

경제적인 측면에서 페리오이코이는 완전히 자유로웠고, 세금 징수를 제외하고는 스파르타가 페리오이코이의 경제 활동을 방해하지 않았다. 고전 시대에 스파르타인들은 어떠한 경제적 생산 활동에도 참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으므로, 페리오이코이는 무기와 갑옷 생산을 포함하여 스파르타의 제조를 책임졌고, 스파르타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무역을 수행했다.[1] 예를 들어, 아르테미스 오르티아 신전 유적지에 바쳐진 많은 수의 가면과 조각상은 아마도 페리오이키스 장인들이 제작했을 것이다.[11]

스파르타인들과 마찬가지로 페리오이코이는 헬로트를 소유했는데, 이는 스파르타 사회의 주요 구분선이 스파르타 시민, 페리오이코이, 그리고 헬로트 사이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12] 예를 들어,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인 기원전 413년에 아테네는 페리오이키스 도시인 에피다우로스 리메라 영토를 급습하여 헬로트의 페리오이코이에 대한 반란을 촉발하려 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헬로트는 군 복무 후 네오다모데스가 됨으로써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승진할 수 있었지만, 스파르타 시민은 페리오이키스 신분으로 강등될 수 없었다. 전직 스파르타 시민에게는 히포메이오네스, 트레산테스 등과 같은 특정 하위 계층이 있었다.[12]

4.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에서 ''페리오이코이''는 스파르타 국가 내의 사람들로서의 의미보다 훨씬 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다.[13]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상적인 국가를 묘사하면서, 실제 시민과 국가 구성원은 통치자, 전사(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자), 정치가, 사제여야 하지만, 기술자, 장인, 농부와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노예 또는 ''페리오이코이''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13] 그는 그러한 직업들이 천하고 덕을 생산하지 못한다고 여겼다.[13] 그러한 의미에서, ''페리오이코이''는 모든 이상적인 헬레니즘 국가에 공통적인 존재로, 노예들이 시민 아래에서, 노예 신분 위에서 합류하기를 열망할 수 있는 일종의 중간 계급을 의미했다.[13] 그들은 자유민이지만, 재산을 소유할 수 없고 투표, 공직 진출, 기타 다른 수단으로 국가나 법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13]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들을 언급할 때, 때때로 "야만인"이라고 칭하며, 그러한 비시민 자유민이 비헬레니즘 외국인일 것이라고 암시했다.[13]

5. 페리오이코이 도시 목록

그레이엄 쉽리는 최소 33개의 "페리오이코이" 도시를 확인했으며, 이 중 23개는 라코니아에, 10개는 메세니아에 위치한다고 밝혔다. 확인 정도는 다양하다. 그는 라코니아와 메세니아에서 확인된 다른 많은 정착지들도 아마 "페리오이코이"였을 것이지만, 현재 증거 상태로는 그들의 지위를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14]

5. 1. 메세니아


  • 아이테아: 기원전 8세기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헬로트 반란(기원전 464년)에 참여한 두 개의 '페리오이코이' 도시 중 하나였다.[15]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16]
  • 아시네: 아르골리스의 아시네에서 아르고스에 의해 추방된 망명자들이 제1차 메세니아 전쟁 이후 세운 도시.[17]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18]
  • 아울론: 기원전 369년 에파미논다스가 메세네를 세운 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19]
  • 카르다밀리: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20]
  • 코로네: 원래 이름은 아마도 아이페이아였지만, 기원전 369년 에파미논다스가 메세네를 세운 후 테베의 오이키스테스에 의해 재건되었다.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 도시가 그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20]
  • 키파리소스: 기원전 369년 에파미논다스가 메세네를 세운 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도시가 기원전 365년 이후에 도시가 되었다고 주장한다.[20]
  • 모토네: 제1차 메세니아 전쟁 이후 아르고스에 의해 추방된 나우플리아에서 온 망명자들이 세운 도시.[17]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21]
  • 파라이: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22]
  • 탈라메: 고대 작가들에 의해 라코니아에 속하는 것으로도 언급되었다.[22]
  • 투리아: 아이테아와 함께 기원전 464년 헬로트 반란에 참여한 두 개의 '페리오이코이' 도시 중 하나.[15] 필리포스 2세의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후 기원전 338년 스파르타에 의해 상실되었다.[23]

6. 기록에 등장하는 페리오이코이

투키디데스, 크세노폰,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같은 1차 자료에서 페리오이코이 개별 구성원들이 직접적으로 언급된다.[24]

이러한 명명된 개인들은 다음과 같다.


  • 프뤼니스: 스파이.
  • 디니아데스: 함대 사령관.
  • 에우디쿠스: 기병.
  • 덱시푸스: 군 사령관.
  • 네온: 용병.

참조

[1] 서적 The Spartans: An Epic History Macmillan
[2] 논문 The Growth of Sparta 1913
[3]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4] 문서 Histories
[5] 문서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6] 문서 Hellenica
[7] 서적 The Spartans: An Epic History Macmillan
[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9] 논문 Population Patterns in Late Archaic and Classical Sparta
[10] 논문 Economic Activities of the Perioikoi
[11] 서적 The Spartans: An Epic History Macmillan
[12] 문서 The Other Lakedaimonians
[13] 문서 Politics
[14] 문서 Sparta and its Perioikic neighbours
[15] 문서 Sparta and its Perioikic neighbours
[16] 문서 Messenia
[17] 문서 Sparta and its Perioikic neighbours
[18] 문서 Messenia
[19] 문서 Messenia
[20] 문서 Messenia
[21] 문서 Messenia
[22] 문서 Messenia
[23] 문서 Messenia
[24] 논문 The Perioikoi: a Social, Economic and Military Study of the Other Lacedaemonians https://livrepositor[...]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