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 쿠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미 쿠티는 나이지리아의 아프로비트 음악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1962년 런던에서 펠라 쿠티와 레미레쿤 란솜-쿠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펠라 쿠티의 아들이자 푼밀라요 란솜-쿠티의 손녀로, 음악 경력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해 왔다. 1980년대 후반 델레 소시미와 함께 Positive Force 밴드를 결성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그래미상 후보에 여러 번 올랐다. 2021년에는 아들 마데 쿠티와 함께 앨범 Legacy+를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서 나이지리아로 이민간 사람 - 케미 아데오순
케미 아데오순은 나이지리아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오군 주 및 연방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아프리카 수출입 은행 이사회 의장을 맡았으나, NYSC 증명서 위조 혐의로 사임 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 - 나이지리아의 색소폰 연주자 - 펠라 쿠티
펠라 쿠티는 아프로비트 창시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식민주의와 부패에 저항하는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혁신적인 사운드로 아프리카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이지리아의 색소폰 연주자 - 세웅 쿠티
세운 쿠티는 1983년 펠라 쿠티의 아들로 태어나 아버지의 밴드 이집트 80과 함께 연주를 시작했으며, 펠라 쿠티 사망 후 이집트 80을 이끌면서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정치,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 오큐파이 나이지리아 시위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페미 쿠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올루펠라 올루페미 아니쿨라포 쿠티 |
출생일 | 1962년 6월 16일 |
출생지 | 런던, 잉글랜드 |
국적 | 나이지리아 |
출신지 | 라고스, 라고스 주, 나이지리아 |
직업 |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
활동 연도 | 1978년–현재 |
장르 | 아프로비트, 재즈, 펑크 |
악기 | 색소폰, 보컬, 트럼펫, 키보드 |
레이블 | BMG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관련 활동 | |
관련 인물 | 펠라 쿠티 (아버지) |
관련 그룹 | 이집트 80, 포지티브 포스, 코먼, 위즈키드, 모스 데프 |
2. 생애
아프로비트의 선구자 펠라 쿠티의 아들인 페미 쿠티는 1962년 런던에서 태어나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성장했다.[1][22] 그는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15세에 색소폰 연주를 시작하며 음악계에 입문했고, 아버지의 밴드에서 활동하기도 했다.[1] 1980년대 후반 자신의 밴드 'Positive Force'를 결성하며 독자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1988년부터 프랑스, 독일 등에서 공연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전개했다. 아버지처럼 그 역시 음악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으며[4][23], 이는 정치 운동가였던 할머니 푼밀라요 란솜-쿠티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5] 페미 쿠티는 활발한 국제 활동과 사회 참여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아들 마데 쿠티와 함께 음악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페미 아니쿨라포 쿠티(페미 쿠티)는 1962년 영국 런던에서 아프로비트의 선구자 펠라 쿠티와 레미레쿤 란솜-쿠티(Remilekun Ransome-Kuti, 1941년 ~ 2000년)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후 옛 나이지리아의 수도였던 라고스에서 성장했다. 어머니 레미는 곧 아버지 펠라와 헤어져 페미를 홀로 키웠으나, 1977년 페미는 아버지와 함께 살기로 결정했다. 페미는 15세에 색소폰 연주를 시작했으며, 이후 아버지의 밴드에 합류했다.[1] 학력으로는 침례교 아카데미와 이그보비 칼리지를 졸업했다.[3][22]아버지 펠라 쿠티처럼, 페미 역시 음악 활동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다.[4][23] 그의 할머니인 푼밀라요 란솜-쿠티 역시 나이지리아의 저명한 정치 운동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였다.[5] 세계적인 음악가의 아들이지만, 페미는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로 어머니 레미를 꼽는다.[6] 다만 아버지와 종교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졌다.
2002년, 페미에게 큰 영향을 주었던 어머니 레미는 6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 마데 쿠티 역시 음악가로 활동하며, 아버지의 밴드에서 알토 색소폰을 연주하기도 했다.
2. 2. 음악 경력의 시작
페미는 15세에 색소폰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결국 아버지 펠라 쿠티의 밴드 멤버가 되었다.[1]1980년대 후반, 페미는 펠라 아니쿨라포 쿠티의 전 키보드 연주자였던 델레 소시미와 함께 자신의 밴드인 'Positive Force'를 결성했다. 그의 국제적인 경력은 1988년 라고스의 프랑스 문화 센터와 크리스찬 무세의 초청으로 앙굴렘 페스티벌(프랑스), 파리의 뉴 모닝 클럽, 독일의 모어스 페스티벌에서 공연하면서 시작되었다. 2000년, 쿠티는 라시드 타하의 앨범 ''메디나에서 만들어짐''의 "알라 잘쿰" 트랙에서 듀엣으로 참여했다.
2001년, 페미는 앨범 ''Fight to Win''에서 코먼, 모스 데프, 재규어 라이트를 포함한 많은 미국 음악가들과 협력했다.[7] 또한 2002년에는 아버지의 클래식 곡 "Water No Get Enemy"를 리메이크하여 레드 핫 오가니제이션과 MCA가 펠라 쿠티에게 헌정하여 발매한 컴필레이션 CD인 레드 핫 & 라이엇에 기여했다. 페미의 트랙은 힙합 및 R&B 아티스트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더 소울트로닉스,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와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이 앨범의 모든 수익금은 에이즈 인식 제고 또는 질병 퇴치를 위해 헌신하는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페미 쿠티의 목소리는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에 등장하는데, 그는 라디오 방송국 IF 99(International Funk 99)의 호스트 역할을 맡았다.[8] 이 방송국은 "서아프리카, 미국 및 기타 지역의 훌륭한 클래식 모음"을 연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아버지와 비슷한 방식으로, 쿠티는 그의 고향 나이지리아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Sorry Sorry"[9], "What Will Tomorrow Bring", "97"과 같은 노래에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페미는 2003년, 2010년, 2012년, 2013년에 그래미상 월드 뮤직 부문에 네 번이나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아직 수상하지는 못했다.[10]
2014년 12월 19일, Chocolate City Music 그룹과 페미 쿠티 간의 매니지먼트 계약이 체결되었다. 이 소식은 Chocolate City Music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과 Audu Maikori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해 발표되었다.[11]
2021년 2월 5일, 페미 쿠티와 그의 아들 마데 쿠티는 파티산 레코드에서 두 개의 앨범 프로젝트인 ''Legacy+''를 발매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페미의 11번째 앨범 ''Stop the Hate''와 마데의 데뷔 앨범 ''For(e)ward''가 포함되어 있다.[12]
2. 3. 국제적 활동
그는 1980년대 후반, 펠라 쿠티의 전 키보드 연주자였던 델레 소시미와 함께 자신의 밴드 'Positive Force'를 결성했다. 그의 국제적인 경력은 1988년 라고스의 프랑스 문화 센터와 크리스찬 무세의 초청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프랑스의 앙굴렘 페스티벌과 파리의 뉴 모닝 클럽, 독일의 모어스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2000년에는 알제리 출신의 음악가 라시드 타하의 앨범 ''메디나에서 만들어짐''에 수록된 "알라 잘쿰"(الله يرحمه|알라 야르하무ar) 트랙에 듀엣으로 참여했다. 이듬해인 2001년 발매한 앨범 ''Fight to Win''에서는 코먼, 모스 데프, 재규어 라이트 등 다수의 미국 음악가들과 협력하며 음악적 지평을 넓혔다.[7]
2002년에는 레드 핫 오가니제이션과 MCA가 펠라 쿠티를 기리기 위해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 ''레드 핫 & 라이엇''에 참여했다. 그는 아버지의 대표곡 중 하나인 "Water No Get Enemy"를 리메이크했는데, 이 작업에는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더 소울트로닉스,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 등 유명 힙합 및 R&B 아티스트들이 함께했다. 이 앨범의 모든 수익금은 에이즈 인식 개선 및 퇴치 활동을 지원하는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페미 쿠티의 목소리는 2008년에 출시된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는 게임 내 라디오 방송국인 IF 99(International Funk 99)의 호스트 역할을 맡아 서아프리카, 미국 등지의 다양한 펑크 음악을 소개했다.[8]
그의 음악은 아버지 펠라 쿠티처럼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특히 "Sorry Sorry"[9], "What Will Tomorrow Bring", "97"과 같은 곡들을 통해 나이지리아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왔다.
페미 쿠티는 그의 음악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그래미상 월드 뮤직 부문에 2003년, 2010년, 2012년, 2013년 총 네 차례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아직 수상에는 이르지 못했다.[10]
2014년 12월 19일에는 나이지리아의 주요 레이블 중 하나인 Chocolate City Music 그룹과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하며 활동 영역을 더욱 넓혔다. 이 소식은 Chocolate City Music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과 당시 CEO였던 Audu Maikori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졌다.[11]
2021년 2월 5일에는 그의 아들인 마데 쿠티와 함께 더블 앨범 프로젝트인 ''Legacy+''를 파티산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이 프로젝트는 페미 쿠티의 11번째 정규 앨범 ''Stop the Hate''와 아들 마데 쿠티의 데뷔 앨범 ''For(e)ward''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자(父子)가 함께 음악적 유산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2]
2. 4. 사회 참여 활동
아버지 펠라처럼, 페미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사회적, 정치적 대의에 헌신했다.[4] 정치 운동가이자 여성 권리 운동가였던 할머니 푼밀라요 란솜-쿠티 역시 그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5] 페미 쿠티는 아프로비트 음악을 통해 정치적 부패, 빈곤, 그리고 나이지리아 국민 대다수가 겪는 열악한 생활 환경 등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비판해왔다.[13] 그는 이러한 메시지를 에너제틱한 펑크, 재즈, 전통 아프리카 음악 스타일로 표현한다.[13]그의 노래 "Sorry Sorry"[9], "What Will Tomorrow Bring", "97" 등은 나이지리아의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다. 2002년에는 레드 핫 오가니제이션과 MCA가 펠라 쿠티를 기리기 위해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 레드 핫 & 라이엇에 참여하여, 아버지의 곡 "Water No Get Enemy"를 리메이크했다. 이 작업에는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더 소울트로닉스,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 등 여러 아티스트가 협력했으며, 앨범 수익금 전액은 에이즈 인식 개선 및 질병 퇴치를 위한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페미 쿠티의 앨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를 위해''는 아프리카 문제의 핵심으로 "나쁜 정부"를 지목했다. 2011년 나이지리아 선거를 앞두고는 당시 대선 후보들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고 비판하며, 민주주의 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패가 여전히 만연하고 국민들은 기본적인 생활고(식량, 질병, 정전, 물 부족 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의 언론 통제로 인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현실을 꼬집었다. 그는 나이지리아 사회의 위선적인 상황과 아프리카 노예 역사와 같은 중요한 과거사가 제대로 교육되지 않는 현실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2015년 선거를 앞두고는 투페이스 이디비아, 사운드 술탄과 함께 "Politics Na Big Business"(정치는 큰 사업)라는 곡의 리믹스를 발표하며 정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그의 노래 "Make We Remember"(우리 기억하자)는 아버지 펠라 쿠티를 비롯하여 아프리카 해방을 위해 싸운 위대한 인물들의 정신과 가르침을 잊지 말자고 촉구한다. 이처럼 페미 쿠티는 오랫동안 음악을 통해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사회 변화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2. 5.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페미 쿠티는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에 목소리로 참여했다.[8] 그는 게임 속 라디오 방송국인 IF 99 (International Funk 99)의 호스트 역할을 맡았다.[8] 이 방송국은 설정상 "서아프리카, 미국 및 기타 지역의 훌륭한 클래식 모음"을 들려주는 곳이다.[8] 2008년에 발매된 게임의 공식 사운드트랙인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사운드트랙''에도 IF99가 포함되어 있다.2. 6. 기네스 세계 기록
2017년 5월 15일, 페미 쿠티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순환 호흡 방식으로 색소폰 단일 음을 가장 오래 분 기록으로 등재되었다. 그는 51분 35초의 기록을 세웠다.[16]2. 7. 최근 활동
페미 쿠티는 2003년, 2010년, 2012년, 2013년에 그래미상 월드 뮤직 부문에 네 차례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아직 수상하지는 못했다.[10]그는 음악 활동과 더불어 나이지리아의 정치 및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꾸준히 내고 있다. 2011년 나이지리아 선거를 앞두고는 "나이지리아 대통령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세 후보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지적하며, 민주주의 과정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부패가 만연하고 국민들의 기본적인 생활 여건이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비판했다. 또한 정부의 언론 통제와 역사 교육의 부재 문제도 지적했다.[13] 그는 "우리 기억하자"와 같은 노래를 통해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변화를 촉구하며, 아버지를 비롯해 아프리카 해방을 위해 싸운 인물들을 기억할 것을 강조한다.
2014년 11월 22일, 페미 쿠티는 BMO 행사에서 공연했으며, 이 자리에서 새로운 레이블 동료인 M.I(Jude Abaga)와 함께 무대에 섰다.[14]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Chocolate City Music 그룹과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했다. 이 소식은 Chocolate City Music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과 Audu Maikori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해 발표되었다.[11]
2015년 나이지리아 선거를 앞두고는 투페이스 이디비아와 사운드 술탄이 참여한 "정치는 큰 사업"이라는 노래의 리믹스를 발표하며 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2015년 4월 24일에는 동생 세운 쿠티와 함께 '2 킹스 콘서트'에서 처음으로 합동 공연을 펼쳤다.[15]

2017년 5월 15일, 페미 쿠티는 색소폰으로 단일 음을 순환 호흡 방식으로 51분 35초 동안 지속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16]
2021년 2월 5일, 페미 쿠티는 아들 마데 쿠티와 함께 더블 앨범 프로젝트 ''Legacy+''를 파티산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페미의 11번째 앨범 ''Stop the Hate''와 마데의 데뷔 앨범 ''For(e)ward''가 포함되어 있다.[12]
3. 수상 및 영예
2022년 현재 쿠티는 여러 부문에서 6번의 그래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그는 2002년, 2009년, 2011년, 2013년에 최우수 월드 뮤직 앨범상 부문에 네 차례 후보로 올랐다.[19] 제64회 그래미상에서는 아들 메이드와 함께 최우수 글로벌 뮤직 앨범상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페미 본인은 최우수 글로벌 뮤직 퍼포먼스상 후보로 지명되었다.[20]
2022년 10월 20일, 쿠티는 파리에서 프랑스 문화부로부터 예술문화훈장(Chevalier des arts et des lettres)을 수여받았다.
4. 음반 목록
페미 쿠티는 15세에 색소폰 연주를 시작해 아버지 펠라 쿠티의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델레 소시미와 함께 자신의 밴드 '포지티브 포스'(Positive Force)를 결성했다.[1][3] 그의 국제적인 경력은 1988년 프랑스와 독일 등지에서 공연하며 시작되었다.
아버지처럼 페미 쿠티 역시 음악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다.[4] 특히 "Sorry Sorry"[9], "What Will Tomorrow Bring", "97"과 같은 곡들을 통해 나이지리아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는 여러 아티스트와 협업했는데, 2000년에는 라시드 타하의 앨범 ''메디나에서 만들어짐''에 참여했으며, 2001년 발매한 자신의 앨범 ''파이트 투 윈''에서는 코먼, 모스 데프, 재규어 라이트 등 다수의 미국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했다.[7] 2002년에는 펠라 쿠티 헌정 앨범 ''레드 핫 & 라이엇''에 참여하여 아버지의 곡 "Water No Get Enemy"를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 등과 함께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이 앨범의 수익금은 에이즈 관련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또한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의 사운드트랙에 참여하여 게임 내 라디오 채널 IF 99의 호스트로 목소리 출연을 하기도 했다.[8]
페미 쿠티는 2003년, 2010년, 2012년, 2013년에 총 네 차례 그래미상 월드 뮤직 부문 후보에 올랐다.[10] 2021년에는 아들 마데 쿠티와 함께 더블 앨범 ''레거시+''를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페미의 ''스톱 더 헤이트''와 마데의 데뷔 앨범 ''For(e)ward''로 구성되어 있다.[12]
4. 1. 스튜디오 앨범
- ''No Cause for Alarm?'' (1989년, 폴리그램)
- ''M.Y.O.B'' (1991년, 칼라쿠타 레코드)
- ''페미 쿠티'' (1995년, 타부/모타운)
- ''쇼키 쇼키'' (1998년, 바클레이/폴리그램/폰타나 MCA)
- ''파이트 투 윈'' (2001년, 바클레이/폴리그램/폰타나 MCA/래스 레코드)
- ''데이 바이 데이'' (2008년, 래스 레코드)
- ''아프리카 포 아프리카'' (2010년/2011년, 래스 레코드/니팅 팩토리 레코드)
- ''노 플레이스 포 마이 드림'' (2013년, 니팅 팩토리 레코드)
- ''One People One World'' (2018년, 니팅 팩토리 레코드)
- ''스톱 더 헤이트'' (2021년, 파르티잔 레코드) ※메이드 쿠티와 함께
4. 2. 라이브 앨범
- ''아프리카 슈라인'' (''Africa Shrine'') (2004년, P-Vine)
- ''아프리카 슈라인'' (''Live at the Shrine (Deluxe Edition DVD) + Africa Shrine (Live CD)'') (2005년, Palm Pictures/Umvd)
4. 3. 컴필레이션 앨범
- ''페미 쿠티 베스트(The Best of Femi Kuti)'' (2004, Umvd/Wrasse)
- ''페미 쿠티 디피니티브 컬렉션(Femi Kuti The Definitive Collection)'' (2007, Wrasse Records)
-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사운드트랙(Grand Theft Auto IV soundtrack)'' (2008, IF99)
5. 참여 작품
연도 | 아티스트/프로젝트 | 참여 내용 | 비고 |
---|---|---|---|
2000 | 라시드 타하 | 앨범 메디나에서 만들어짐의 "알라 잘쿰" 트랙 듀엣 참여 | |
2002 | 레드 핫 오가니제이션 & MCA | 컴필레이션 앨범 레드 핫 & 라이엇에서 아버지 펠라 쿠티의 곡 "Water No Get Enemy" 리메이크 |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더 소울트로닉스,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와 협력. 에이즈 관련 자선 앨범. |
2008 | 시버리 코퍼레이션 | 앨범 라디오 레탈리에이션의 "Vampires" 트랙 참여 | ESL 뮤직 발매 |
2008 | 브렛 데넨 | 앨범 호프 포 더 호프리스 협업 | |
2008 |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 | 게임 내 라디오 방송국 IF 99 (International Funk 99) 호스트 역할[8] | |
2014 | 영화 펠라 찾기 | 알렉스 기브니 감독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 참여[18][24] | |
2019 | 콜드플레이 | 앨범 에브리데이 라이프의 "Arabesque" 트랙 참여 |
6. 기타
페미 쿠티는 국제적인 아이콘인 아버지 펠라 쿠티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어머니 레미레쿤 테일러를 가장 큰 영향력으로 여긴다.[6] 그는 1988년 라고스의 프랑스 문화 센터와 크리스찬 무세의 초청으로 앙굴렘 페스티벌(프랑스), 파리의 뉴 모닝 클럽, 독일의 모어스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2000년에는 라시드 타하의 앨범 ''메디나에서 만들어짐''의 "알라 잘쿰" 트랙에 듀엣으로 참여했으며, 2001년에는 자신의 앨범 ''파이트 투 윈''에서 코먼, 모스 데프, 재규어 라이트 등 다수의 미국 음악가들과 협업했다.[7] 2002년에는 레드 핫 오가니제이션과 MCA가 펠라 쿠티에게 헌정한 컴필레이션 앨범 레드 핫 & 라이엇에 참여하여 아버지의 곡 "Water No Get Enemy"를 리메이크했다. 이 작업에는 D'Angelo, 메이시 그레이, 더 소울트로닉스, 나일 로저스, 로이 하그로브 등이 함께했다. 앨범 수익금은 에이즈 관련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페미 쿠티의 목소리는 비디오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V''에 등장하는데, 게임 내 라디오 방송국 IF 99(International Funk 99)의 호스트 역할을 맡았다.[8] 그는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음악을 통해 나이지리아의 사회 문제를 비판해 왔으며, 대표적인 곡으로는 "Sorry Sorry"[9], "What Will Tomorrow Bring", "97" 등이 있다. 이러한 음악 활동을 통해 그는 2003년, 2010년, 2012년, 2013년에 총 네 차례 그래미상 월드 뮤직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에는 이르지 못했다.[10]
2014년 12월 19일, 페미 쿠티는 Chocolate City Music 그룹과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했다.[11] 2021년 2월 5일에는 아들 마데 쿠티와 함께 더블 앨범 프로젝트 ''Legacy+''를 파티산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이 프로젝트는 페미의 11번째 앨범 ''Stop the Hate''와 마데의 데뷔 앨범 ''For(e)ward''로 구성되어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My Gist
https://www.femikuti[...]
2019-04-03
[2]
웹사이트
Femi Kuti
https://www.bmg.com/[...]
2023-01-01
[3]
웹사이트
Femi Kuti Biography An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im
https://buzznigeria.[...]
2021-05-29
[4]
웹사이트
Femi Kuti: Blending Afrobeat And Politics
http://edition.cnn.c[...]
CNN
2009-11-11
[5]
웹사이트
One People One World: Femi Kuti's life in music and activism
https://www.aljazeer[...]
2020-06-09
[6]
웹사이트
Femi Kuti: Afrobeat Legend And Concerned Citizen Of The World
https://wmfpodcast.o[...]
The World Music Foundation
2020-08-19
[7]
웹사이트
Fight To Win
http://www.wrasserec[...]
Wrasse Records
2014-07-28
[8]
웹사이트
Femi Kuti Builds on His Father's Legacy
http://edition.cnn.c[...]
CNN
2011-05-11
[9]
서적
The Politics of Being Nigerian
https://books.google[...]
Lulu.com
[10]
웹사이트
Breaking news: Femi Kuti Loses Grammy Prize
http://www.thenetng.[...]
Nigerian Entertainment Today
2012-03-07
[11]
웹사이트
Femi Kuti Biography
http://afrobios.com/[...]
2014-12-19
[12]
뉴스
Femi Kuti and Made Kuti: Legacy+ review – Afrobeat's first family look forward
https://www.theguard[...]
2021-02-06
[13]
웹사이트
The Shrine: Femi bio
http://www.afrobeatm[...]
2015-10-23
[14]
웹사이트
News and Entertainment – Latest Updates in Nigeria
http://pulse.ng/
2015-10-23
[15]
웹사이트
'2Kings Concert': Femi & Seun Kuti To Perform Together For First Time
http://saharareporte[...]
Sahara Reporters
2015-05-17
[16]
웹사이트
Femi Kuti Finally Set a New World Record of 51 minutes 35 seconds at age 55
http://745ng.com/fem[...]
745ng.com
2017-05-15
[17]
웹사이트
Femi Kuti Official Website
http://www.femiakuti[...]
2015-10-23
[18]
웹사이트
Finding Fela – a Film by Alex Gibney, official website & trailer
http://findingfela.c[...]
2015-10-23
[19]
웹사이트
Artist: Femi Kuti
https://www.grammy.c[...]
Recording Academy
2023
[20]
뉴스
Grammy Awards 2022: The Full List of Nominees
https://www.nytimes.[...]
2021-11-25
[21]
웹사이트
New Video – The World Is Changing By Femi Kuti
http://pulse.ng/musi[...]
Pulse Mix
2013-04-29
[22]
웹사이트
Femi Kuti Biography An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Him
https://buzznigeria.[...]
2022-08-01
[23]
문서
父親のカラクタ共和国は、ナイジェリアの軍隊により襲撃されたこともある
[24]
웹사이트
Finding Fela – a Film by Alex Gibney, official website & trailer
http://findingfela.c[...]
2015-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