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성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성심은 폐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질환으로, 우심실의 기능 부전을 특징으로 한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고혈압 등이 주요 원인이며, 폐 혈관 수축, 해부학적 파괴, 혈액 점성 증가 등이 병태생리에 관여한다. 호흡 곤란, 천명, 청색증, 복수, 간비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과 유사한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흉부 엑스선, 심전도, 혈전성향증 스크린 등을 통해 진단하며, 항생물질, 거담제, 산소 치료, 이뇨제, 혈관확장제 등을 사용해 치료한다. 미국 내 심장 질환 사례의 7%를 차지하며,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합병증으로 사망률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폐성심 | |
---|---|
질병 정보 | |
이름 | 폐성심 |
영어 이름 | Pulmonary heart disease, Cor pulmonale |
분야 | 폐병학 |
증상 | 청색증, 쌕쌕거림 |
원인 | 원발성 폐고혈압 |
진단 | 심전도, 혈전성향 검사 |
치료 | 혈관확장제, 이뇨제 |
기타 정보 | |
![]() |
2. 원인
폐성심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25]
-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20]
- 원발성 폐고혈압[20]
- 폐 혈전[20]
- 척추측만증[20]
- 간질성 폐 질환[20]
- 낭성 섬유증[20]
- 사르코이드증[2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되지 않은 경우)[20]
- 겸상 적혈구 빈혈증[27]
- 기관지 폐 이형성증 (영아)[28]
3. 병태생리
폐성심의 병태생리에서는 우심실 후부하가 증가하면 우심실 부전(폐 혈관 수축, 폐 혈관상의 해부학적 파괴, 혈액 점성 증가 등이 관련됨)[7]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우심실은 만성적인 압력 과부하에 적응한다. Voelkel 등에 따르면, 압력 과부하는 우심실 변화의 초기 단계이며, 다른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13]
- 허혈
- 염증
- 산화 손상
- 후성 유전학
- 비정상적인 심장 에너지 대사
4. 증상
폐성심의 증상은 비특이적일 수 있으며 질환의 단계에 따라 다르며, 간정맥을 포함한 전신정맥계통으로의 혈액 역류를 포함할 수 있다.[21][22] 폐성심이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다.[23]
5. 진단
폐성심은 두 개의 허파와 심혈관계 질환이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질환들을 감별하여 진단하는 것이 좋다.[29]
폐성심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시행할 수 있다.[23]
- 흉부 엑스선 - 우실비대, 우심방확장, 현저한 허파동맥을 관찰할 수 있다.
- 심전도 - 우실비대, 율동 부정을 확인할 수 있다. 심전도에서 폐성P를 나타내는 P파가 종종 관찰된다.
- 혈전성향증 스크린 - 만성 정맥혈전색전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백질 C와 S, 항트롬빈 III,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검사한다.
6. 치료
폐성심의 치료에는 항생물질, 거담제, 산소 치료, 이뇨제, 디기탈리스, 혈관확장제, 항응혈제 등이 있다.[14]
치료에는 이뇨제가 필요하다(심장에 가해지는 부하 감소).[7] 산소는 종종 호흡 곤란을 해결하는 데 필요하다. 또한 폐에 산소를 공급하면 혈관이 이완되고 우심부전이 완화된다.[15] 천명이 있을 경우 대부분 기관지 확장제가 필요하다.[7] 폐 혈관을 이완시키기 위해 다양한 약물이 개발되었으며, 칼슘 채널 차단제가 사용된다.[16] 그러나 소수의 경우에만 효과가 있으며 NICE에 따르면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17]
항응고제는 정맥 혈전색전증이 있을 때 사용된다. 사혈은 심각한 이차성 적혈구 증가증에 사용되며(저산소증으로 인해)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증상이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폐성심의 극단적인 경우 단일/이중 폐 이식도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다.[7]
7. 역학
미국 내 전체 심장 질환의 7%를 폐성심이 차지한다.[29][18] Weitzenblum 등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의 합병증으로 인해 폐성심 관련 사망률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언급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Cor pulmonal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5-12-21
[2]
논문
Right Ventricular Function and Failure Report of a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ing Group on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Right Heart Failure
2006-10-24
[3]
논문
Acute Right Ventricular Failure in the Setting of Acute Pulmonary Embolism or Chronic Pulmonary Hypertension: A Detailed Review of th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008-02-01
[4]
웹사이트
Types of Cardiomyopathy - NHLBI, NIH
http://www.nhlbi.nih[...]
2015-12-22
[5]
서적
Chest Medicine: Essentials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01-01
[6]
웹사이트
Cor Pulmonale
http://www.medscape.[...]
[7]
웹사이트
Cor Pulmonale. Pulmonary heart disease information. Patient {{!}} Patient
http://patient.info/[...]
2015-12-22
[8]
웹사이트
Blood clot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5-12-22
[9]
서적
The AHA Clinical Cardiac Consult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10-18
[10]
서적
Professional Guide to Diseas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01-01
[11]
서적
New Developments in Sickle Cell Disease Research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6-01-01
[12]
서적
Avery's Neonatology: Pathophysiology & Management of the Newbor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01-01
[13]
논문
Mechanisms of right heart failure—A work in progress and a plea for failure prevention
2013-01-01
[14]
논문
Shenmai injection as an adjuvant treatment for chronic cor pulmonale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5-11-24
[15]
서적
Chest Medicine: Essentials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01-01
[16]
논문
Calcium Channel Blockers
http://livertox.nih.[...]
2015-12-22
[17]
웹사이트
Calcium channel blockers are not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cor pulmonale. {{!}} NICE
http://www.nice.org.[...]
2015-12-22
[18]
논문
Cor Pulmonale: Introduction to Cor Pulmonal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Cor Pulmonale, Epidemiology of Cor Pulmonale
http://emedicine.med[...]
2018-11-16
[19]
논문
Chronic Cor Pulmonale
2003-02-01
[20]
웹인용
Cor pulmonal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5-12-21
[21]
서적
Chest Medicine: Essentials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01-01
[22]
문서
http://www.medscape.[...]
[23]
웹인용
Cor Pulmonale. Pulmonary heart disease information. Patient {{!}} Patient
http://patient.info/[...]
2015-12-22
[24]
웹인용
Blood clot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5-12-22
[25]
서적
The AHA Clinical Cardiac Consult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10-18
[26]
서적
Professional Guide to Disease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01-01
[27]
서적
New Developments in Sickle Cell Disease Research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6-01-01
[28]
서적
Avery's Neonatology: Pathophysiology & Management of the Newbor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01-01
[29]
저널
Cor Pulmonale: Introduction to Cor Pulmonal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Cor Pulmonale, Epidemiology of Cor Pulmonale
http://emedicine.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