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인팅 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인팅 장치는 컴퓨터 화면에서 위치나 좌표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한 종류이다. 포인팅 장치는 움직임, 제어 방식, 자유도, 상태 등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직접/간접 입력, 절대/상대 이동, 등장성/탄성/등척성, 위치/속도 제어, 이동/회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포인팅 장치로는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그래픽 태블릿, 스타일러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라이트펜, 라이트 건, 팜 마우스, 풋마우스, 퍽, 시선 추적 장치,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3Dconnexion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포인팅 장치의 성능은 제어-디스플레이 이득(CD 이득)과 피츠의 법칙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인팅 장치 - 플레이스테이션 무브
    플레이스테이션 무브는 소니에서 2010년에 출시한 플레이스테이션 3, 4용 모션 컨트롤러로, 아이토이 기술을 발전시켜 플레이스테이션 아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임 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내비게이션 컨트롤러와 액세서리, 플레이스테이션 VR과 함께 가상현실 몰입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포인팅 장치 - 라이트 건
    라이트 건은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입력 장치로, 게임에서 목표물을 조준하는 데 사용되며, 광전 효과를 이용한 초기 방식부터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아케이드 게임과 가정용 게임기를 통해 발전해 왔으나, 기술적 한계와 폭력성 논란 등의 문제점과 함께 최근에는 VR 기술과의 융합을 모색하고 있다.
포인팅 장치
개요
컴퓨터 마우스
일반적인 컴퓨터 마우스
유형인간 인터페이스 장치
종류입력 장치
사용 분야컴퓨터
대체어지시 장치
상세 정보
설명컴퓨터에서 커서의 움직임이나 다른 시각적 요소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입력 장치이다.
주요 기능화면의 특정 위치를 "가리키고" 선택한다.
텍스트, 파일, 아이콘과 같은 항목을 드래그 앤 드롭한다.
스크롤바를 사용하여 화면을 스크롤한다.
특정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버튼을 클릭한다.
종류
물리적 장치마우스 (컴퓨터)
트랙볼
조이스틱
라이트 펜
터치스크린
그래픽 태블릿
아이 트래커
스타일러스 (컴퓨터)
트랙포인트
가상 장치가상 마우스
온스크린 키보드 (마우스와 함께 사용)
기술적 특징
인터페이스USB
블루투스
PS/2 포트 (구형)
작동 방식광학 센서 (마우스)
기계식 볼 (트랙볼)
압력 감지 (터치스크린, 그래픽 태블릿)
전자기 유도 (라이트 펜, 스타일러스)
입력 방식위치
움직임
압력
기울기
제스처
응용 분야
그래픽 디자인정밀한 커서 제어를 통한 드로잉, 페인팅, 이미지 편집
게임캐릭터 제어, 시점 이동, 메뉴 선택
CAD/CAM정밀한 설계 및 모델링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웹 브라우징, 문서 작업, 파일 관리
기타
관련 기술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HCI)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UI 디자인)
운영 체제 (커서 제어 및 입력 처리)
참고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키보드 (컴퓨터) (일부 기능 대체 가능)

2. 포인팅 장치의 분류

포인팅 장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트랙볼


빌 벅스턴(Bill Buxton)은 차원 수와 감지되는 속성에 따라 포인팅 장치를 분류했다.[2]

차원 수
123
감지 속성위치로터리 포트슬라이딩 포트태블릿 & 퍽태블릿 & 스타일러스라이트 펜플로팅 조이스틱3D 조이스틱M
터치 태블릿터치 스크린T
동작연속 로터리 포트트레드밀마우스트랙볼3D 트랙볼M
페린스타트X/Y 패드T
압력토크 센서등척성 조이스틱T



벅스턴은 포인팅 장치가 가질 수 있는 상태로 "범위 밖, 추적, 드래깅" 세 가지를 제시했다. 모든 포인팅 장치가 이 세 가지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3]

모델설명
마우스 버튼을 누르지 않은 채 마우스를 움직이는 "추적"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마우스가 아이콘을 가리킨 상태에서 버튼을 누른 채 움직이면 "드래깅" 상태가 된다.
터치 태블릿에서는 손가락을 디스플레이에서 떼면 "범위 밖" 상태가 되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손가락이 디스플레이에 닿아야 "추적" 상태가 된다.
그래픽 태블릿에서 스타일러스를 들어 올리면 "범위 밖", 범위 내에 있으면 "추적" 상태가 된다. 스타일러스에 압력을 가하면 "드래깅" 상태가 시작된다.
여러 버튼이 있는 마우스나 여러 번 클릭하는 경우, 상태 2는 여러 상태로 나뉜다. 예를 들어, 버튼 1로 객체를 선택하면 "원본 드래그", 버튼 2는 "복사 드래그" 상태가 된다.



피츠의 법칙(Fitts's law)은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과 인체 공학에서 사용되는 예측 모델이다. 이 법칙은 대상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상까지의 거리와 대상 너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고 예측한다.[4]

제어-디스플레이 이득(CD 이득)은 제어 공간과 디스플레이 공간 움직임 간의 비율이다. CD 이득은 조절 가능하지만, 높은 이득은 멀리 있는 대상에 쉽게 접근하게 하지만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낮은 이득은 정확도를 높이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6]

2. 1. 입력 방식

포인팅 장치는 장치의 움직임, 제어, 위치 지정 또는 저항 등 특정 수의 기능을 고려하여 분류할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분류에 대한 개요이다.[1]

  • '''직접 입력 vs. 간접 입력'''
  • 직접 입력 포인팅 장치: 화면의 포인터가 포인팅 장치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다. (예: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태블릿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 간접 입력 포인팅 장치: 포인터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지 않지만, 움직임을 화면으로 변환한다. (예: 컴퓨터 마우스, 조이스틱, 그래픽 태블릿의 스타일러스)

  • '''절대 이동 vs. 상대 이동'''
  • 절대 이동 입력 장치: 입력 공간의 한 점(입력 장치의 위치/상태)과 출력 공간의 한 점(화면의 포인터 위치) 사이에 일관된 매핑을 제공한다. (예: 스타일러스,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 상대 이동 입력 장치: 입력 공간의 변위를 출력 상태의 변위에 매핑한다. 따라서 초기 위치에 비해 커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한다. (예: 마우스, 조이스틱)

  • '''등장성 vs. 탄성 vs. 등척성'''
  • 등장성 포인팅 장치: 움직일 수 있으며 변위를 측정한다. (예: 마우스, 펜, 사람의 팔)
  • 등척성 장치: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 (예: 포인팅 스틱, 힘 감지 터치스크린)
  • 탄성 장치: 변위에 따라 힘 저항을 증가시킨다. (예: 조이스틱)

  • '''위치 제어 vs. 속도 제어'''
  • 위치 제어 입력 장치: 화면의 포인터의 절대 또는 상대 위치를 직접 변경한다. (예: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 속도 제어 입력 장치: 화면의 포인터 이동 속도와 방향을 변경한다. (예: 포인팅 스틱, 조이스틱)

  • '''이동 vs. 회전'''
  • 장치가 물리적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회전하는지에 따른 차이이다.

  • '''자유도'''
  • 다양한 포인팅 장치는 서로 다른 자유도(DOF)를 가진다.
  • 컴퓨터 마우스는 x축과 y축에서의 움직임, 즉 두 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 위 리모트는 움직임에 대한 x, y, z축과 회전에 대한 x, y, z축, 즉 6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 '''가능한 상태'''
  • 포인팅 장치는 "범위 밖, 추적 또는 드래깅" 등 다양한 가능한 상태를 가진다.


'''예시'''

장치입력 방식이동 방식등장성/탄성/등척성제어 방식이동/회전자유도상태
컴퓨터 마우스간접상대등장성위치 제어이동2 (x, y 위치)추적, 드래깅
터치스크린직접절대등척성위치 제어-2 이상 (x, y 위치, 선택적으로 압력)범위 밖, 드래깅
조이스틱간접상대탄성속도 제어이동2 (x, y 각도)추적, 드래깅
위 리모트간접상대탄성속도 제어이동6 (x, y, z 방향 및 x, y, z 위치)방향 및 위치에 대한 추적, 드래깅, 위치에 대한 범위 밖


2. 2. 이동 방식

여러 포인팅 장치는 특정 수의 기능을 고려하여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움직임, 제어, 위치 지정 또는 저항을 들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분류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1]

  • '''직접 입력 vs. 간접 입력'''
  • 직접 입력 포인팅 장치: 화면의 포인터가 포인팅 장치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다(예: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태블릿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 간접 입력 포인팅 장치: 포인터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지 않지만, 움직임을 화면으로 변환한다(예: 컴퓨터 마우스, 조이스틱, 그래픽 태블릿의 스타일러스).
  • '''절대 이동 vs. 상대 이동'''
  • 절대 이동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입력 공간의 한 점(입력 장치의 위치/상태)과 출력 공간의 한 점(화면의 포인터 위치) 사이에 일관된 매핑을 제공한다.
  • 상대 이동 입력 장치(예: 마우스, 조이스틱): 입력 공간의 변위를 출력 상태의 변위에 매핑한다. 따라서 초기 위치에 비해 커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한다.
  • '''등장성 vs. 탄성 vs. 등척성'''
  • 등장성 포인팅 장치: 움직일 수 있으며 변위를 측정한다(마우스, 펜, 사람의 팔).
  • 등척성 장치: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트랙포인트, 힘 감지 터치 스크린).
  • 탄성 장치: 변위에 따라 힘 저항을 증가시킨다(조이스틱).
  • '''위치 제어 vs. 속도 제어'''
  • 위치 제어 입력 장치(예: 마우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화면의 포인터의 절대 또는 상대 위치를 직접 변경한다.
  • 속도 제어 입력 장치(예: 트랙포인트, 조이스틱): 화면의 포인터 이동 속도와 방향을 변경한다.
  • '''이동 vs. 회전'''
  • 장치가 물리적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회전하는지에 따른 차이이다.
  • '''자유도'''
  • 다양한 포인팅 장치는 서로 다른 자유도(DOF)를 가진다.
  • 컴퓨터 마우스: 2개의 자유도(x축과 y축에서의 움직임)
  • 위 리모트: 6개의 자유도(움직임에 대한 x, y, z축과 회전에 대한 x, y, z축)
  • '''가능한 상태'''
  • 포인팅 장치는 다양한 가능한 상태를 가진다. 예: "범위 밖, 추적 또는 드래깅"


'''예시'''

장치입력 방식이동 방식등장성/탄성/등척성제어 방식이동/회전자유도상태
컴퓨터 마우스간접상대등장성위치 제어이동2 (x, y 위치)추적, 드래깅
터치 스크린직접절대등척성위치 제어-2 이상 (x, y 위치, 압력)범위 밖, 드래깅
조이스틱간접상대탄성속도 제어이동2 (x, y 각도)추적, 드래깅
위 리모트간접상대탄성속도 제어이동6 (x, y, z 방향 및 x, y, z 위치)방향 및 위치에 대한 추적, 드래깅; 위치에 대한 범위 밖


2. 3. 힘의 작용 방식

여러 포인팅 장치는 장치의 움직임, 제어, 위치 지정, 저항 등 특정 기능을 고려하여 분류할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분류에 대한 개요이다.[1]

  • '''등장성 vs. 탄성 vs. 등척성'''

등장성 포인팅 장치는 움직일 수 있으며 변위를 측정한다(예: 마우스, 펜, 사람의 팔). 반면 등척성 장치는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예: 포인팅 스틱, 힘 감지 터치스크린). 탄성 장치는 변위에 따라 힘 저항을 증가시킨다(예: 조이스틱).

2. 4. 기타 분류 기준

여러 포인팅 장치는 장치의 움직임, 제어, 위치 지정 또는 저항과 같은 특정 수의 기능을 고려하여 분류할 수 있다.[1]

  • '''직접 입력 vs. 간접 입력'''


직접 입력 포인팅 장치는 화면의 포인터가 포인팅 장치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태블릿 컴퓨터의 스타일러스가 있다. 간접 입력 포인팅 장치는 포인터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있지 않지만, 움직임을 화면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조이스틱, 그래픽 태블릿의 스타일러스가 있다.[1]

  • '''절대 이동 vs. 상대 이동'''


절대 이동 입력 장치는 입력 공간의 한 점(입력 장치의 위치/상태)과 출력 공간의 한 점(화면의 포인터 위치) 사이에 일관된 매핑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이 있다. 상대 이동 입력 장치는 입력 공간의 변위를 출력 상태의 변위에 매핑한다. 따라서 초기 위치에 비해 커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조이스틱이 있다.[1]

  • '''등장성 vs. 탄성 vs. 등척성'''


등장성 포인팅 장치는 움직일 수 있으며 변위를 측정한다(예: 마우스, , 사람의 팔). 반면 등척성 장치는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예: 트랙포인트, 힘 감지 터치 스크린). 탄성 장치는 변위에 따라 힘 저항을 증가시킨다(예: 조이스틱).[1]

  • '''위치 제어 vs. 속도 제어'''


위치 제어 입력 장치는 화면의 포인터의 절대 또는 상대 위치를 직접 변경한다(예: 마우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속도 제어 입력 장치는 화면의 포인터 이동 속도와 방향을 변경한다(예: 트랙포인트, 조이스틱).[1]

장치가 물리적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회전하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1]

  • '''자유도'''


다양한 포인팅 장치는 서로 다른 자유도(DOF)를 가진다. 컴퓨터 마우스는 두 개의 자유도, 즉 x축과 y축에서의 움직임을 가진다. 그러나 위 리모트는 6개의 자유도, 즉 움직임에 대한 x, y, z축과 회전에 대한 x, y, z축을 가진다.[1]

  • '''가능한 상태'''


포인팅 장치는 다양한 가능한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태의 예로는 "범위 밖, 추적 또는 드래깅"이 있다.[1]

'''예시'''[1]

  • 컴퓨터 마우스는 두 개의 "자유도"(x, y 위치)와 두 개의 상태(추적, 드래깅)를 가진 ''간접'', ''상대'', ''등장성'', ''위치 제어'', ''이동'' 입력 장치이다.
  • 터치 스크린은 두 개 이상의 "자유도"(x, y 위치 및 선택적으로 압력)와 두 개의 상태(범위 밖, 드래깅)를 가진 ''직접'', ''절대'', ''등척성'', ''위치 제어'' 입력 장치이다.
  • 조이스틱은 두 개의 "자유도"(x, y 각도)와 두 개의 상태(추적, 드래깅)를 가진 ''간접'', ''상대'', ''탄성'', ''속도 제어'', ''이동'' 입력 장치이다.
  • Wii 리모컨은 6개의 "자유도"(x, y, z 방향 및 x, y, z 위치)와 두세 개의 상태(방향 및 위치에 대한 추적, 드래깅; 위치에 대한 범위 밖)를 가진 ''간접'', ''상대'', ''탄성'', ''속도 제어'', ''이동'' 입력 장치이다.

3. 벅스턴의 분류 체계 (Buxton's Taxonomy)

빌 벅스턴이 제시한 포인팅 장치 분류는 차원 수(열)와 감지 속성(행)을 기준으로 한다. 기계적 매개체(M)인 스타일러스와 터치스크린(T)을 구분하며, 인간 감각계 기반의 연속적 수동 입력 장치를 다룬다. 작동 방식이 유사한 운동 제어를 사용하는 장치들은 하위 열에 분류된다. 이 표는 빌 벅스턴의 "입력 분류" 원본 그래픽을 바탕으로 한다.[2]

차원 수
123
감지 속성위치로터리 포트슬라이딩 포트태블릿 & 퍽태블릿 & 스타일러스라이트 펜플로팅 조이스틱3D 조이스틱M
터치 태블릿터치 스크린T
동작연속 로터리 포트트레드밀마우스트랙볼3D 트랙볼M
페린스타트X/Y 패드T
압력토크 센서등척성 조이스틱T



벅스턴의 3상태 모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벅스턴의 3상태 모델 (Buxton's Three-State-Model)

벅스턴의 3상태 모델은 포인팅 장치가 가질 수 있는 여러 상태를 설명한다. 벅스턴이 설명한 세 가지 일반적인 상태는 "범위 밖, 추적, 드래깅"이다. 모든 포인팅 장치가 모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3]

모델설명
마우스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면 "추적" 상태가 된다. 이는 사용자가 시스템과 추가적인 상호 작용 없이 마우스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마우스가 아이콘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드래깅" 상태가 된다.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태블릿을 마우스 대신 사용하는 경우, 상태 모델이 다르게 나타난다. 디스플레이에서 손가락을 떼면 "범위 밖" 상태가 되며 시스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손가락이 디스플레이에 닿을 때만 "추적" 상태로 전환된다.
스타일러스가 있는 그래픽 태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세 가지 상태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를 들어 올리면 "범위 밖" 상태가 된다. 범위 내에 있으면 "추적" 상태로 전환되고 포인터가 스타일러스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스타일러스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면 "드래깅" 상태가 된다.
여러 버튼이 있는 마우스나 여러 번의 클릭을 사용하면, 상태 2를 일련의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즉, 다른 버튼을 누르면 다른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버튼 1로 객체를 선택하면 "원본 드래그" 상태로 전환되고, 버튼 2는 "복사 드래그"로 전환된다. 이는 윈도우에서 알려진 여러 번의 클릭에도 적용된다. 객체를 한 번 클릭하면 객체를 선택하고, 두 번 클릭하면 객체가 열린다.


4. 피츠의 법칙 (Fitts' Law)

피츠의 법칙(Fitts's law영어)은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과 인체 공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간 움직임에 대한 예측 모델이다. 이 법칙은 대상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대상까지의 거리와 대상의 너비 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고 예측한다.[4] 예를 들어 커서에서 멀리 떨어진 작은 버튼을 클릭하는 데는 커서 근처의 큰 버튼을 클릭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대상에 대한 선택적 움직임에 필요한 속도를 일반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동 완료까지의 평균 시간은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 ''MT'' = ''a'' + ''b'' · log2(2''D''/''W'')


  • ''MT'': 이동 완료까지의 평균 시간
  • ''a''와 ''b'': 입력 장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 (일반적으로 회귀 분석을 통해 결정)
  • ''D'': 시작 지점에서 목표 중심까지의 거리
  • ''W'': 이동 축을 따라 측정된 목표의 너비 (최종 위치에서 허용되는 오차 허용 범위)


이 공식은 크고 가까운 목표가 작고 먼 목표보다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츠의 법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5]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대화형 요소''': 명령 버튼과 같은 대화형 요소는 더 크게 만들어 선택하기 쉽게 해야 한다.
  • '''가장자리와 모서리''': 화면의 가장자리와 모서리는 커서가 고정되기 때문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 '''팝업 메뉴''': 사용자의 이동 시간을 줄이기 위해 대화형 요소 근처에 팝업 메뉴를 배치하여 즉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선택 옵션''': 파이 메뉴는 드롭다운 메뉴에 비해 대상 버튼까지의 거리가 항상 같고 대상 영역이 더 커서 효율적이다.
  • '''작업 표시줄''': 작업 표시줄 조작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5. 제어-디스플레이 이득 (Control-Display Gain)

제어-디스플레이 이득(CD 이득)은 제어 공간에서의 움직임과 디스플레이 공간에서의 움직임 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마우스는 화면의 커서와 다른 속도나 거리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서로 다른 두 공간에서 발생하더라도, 측정 단위는 의미를 갖기 위해 동일해야 한다(예: 픽셀 대신 미터). CD 이득은 이 두 움직임의 스케일 팩터를 나타낸다.

:CD gain = V_{Display}/ V_{Control}

CD 이득 설정은 대부분의 경우 조정 가능하다. 그러나 높은 이득과 낮은 이득 사이에는 상충 관계가 존재한다. 이득이 높으면 멀리 있는 대상에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이득이 낮으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높은 이득은 대상 선택을 어렵게 만드는 반면, 낮은 이득은 대상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6] 마이크로소프트, macOS, X 윈도 시스템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CD 이득을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를 빠르게 움직이면 CD 이득이 증가한다.[7] (과거에는 "마우스 가속"이라고 불렸다.)

6. 일반적인 포인팅 장치


  • 마우스: 수평 표면 위에서 밀어서 사용하는 작은 휴대용 장치이다. 일반적인 롤러볼 마우스는 볼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생성하고, 광 마우스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8] 미니 마우스는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작은 마우스이다.[8]
  • 트랙볼: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공을 굴려 화면의 포인터를 움직이는 장치이다. CAD 워크스테이션에서 흔히 사용된다.[9]
  • 조이스틱: 스틱의 위치나 힘의 변화를 통해 포인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등척성 조이스틱은 힘의 양을, 등거리 조이스틱은 스틱의 위치를 변화시켜 제어한다.
  • 포인팅 스틱: 조이스틱처럼 사용되는 압력 감지 소형 돌기로, 일반적으로 노트북 키보드의 'G', 'H', 'B' 키 사이에 내장되어 있다.[12]
  • 그래픽 태블릿: 펜 또는 스타일러스로 제어되는 특수한 태블릿이다. 태블릿의 각 지점이 화면의 지점을 나타낸다.[10]
  • 스타일러스: 컴퓨터 모니터, 모바일 장치 또는 그래픽 태블릿에 명령을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펜 모양의 도구이다. 개인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용 게임기 등에서 사용된다.
  • 터치패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평평한 표면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전극 그리드를 사용하여 손가락 움직임을 측정한다.[11]
  • 터치스크린: 화면에 내장된 장치로, 손가락이나 보조 도구를 사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항목을 눌러 상호 작용한다.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
  • Wii 리모컨: 닌텐도Wii 콘솔의 주 컨트롤러로, 모션 감지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화면의 항목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준다.
  • 손가락 추적 장치: 화면과 접촉하지 않고 3D 공간 또는 표면 근처에서 손가락을 추적하는 장치이다. LM3LABS의 Ubiq'window와 AirStrike가 대표적이다.


위의 장치들은 위치나 좌표 등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작법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13] 입력 장치의 하나이며,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의 하나이다.

7. 기타 포인팅 장치


  • 라이트펜: 터치스크린과 유사하지만, 특수한 감광성 펜을 사용하여 더 정확한 화면 입력을 지원한다. 펜 끝이 화면에 닿으면 해당 지점의 픽셀 좌표를 컴퓨터로 보내 그림을 그리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CRT 디스플레이에서 작동하므로 특수 터치스크린이 필요하지 않다.[13]
  • 라이트건
  • 팜 마우스: 손바닥에 쥐고 두 개의 버튼으로 조작하며, 가벼운 터치로 화면을 가로지르고 압력이 증가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 푸트마우스: 손이나 머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마우스 변형으로, 발로 클릭을 제공한다. '두더지'라고도 불린다.
  • 퍽(Puck): 마우스와 유사하지만 상대적인 위치가 아닌 절대적인 위치 지정을 위해 설계되었다. 정밀한 위치 지정 및 추적을 위한 십자선이 있는 투명 플라스틱을 사용하며, CAD/CAM/CAE 작업에서 추적에 주로 사용된다.
  • 시선 추적 장치: 사용자의 망막 움직임으로 커서를 제어하여 터치 없이 조작할 수 있다.
  • 핑거 마우스: 두 개의 손가락으로만 제어되는 매우 작은 마우스이다.
  •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자이로스코프가 공중에서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공간이 없거나 서 있는 동안 명령을 내려야 할 때 유용하며, 청소가 필요 없고 많은 추가 버튼을 가질 수 있다. TV로도 사용되는 일부 랩탑에는 LCD 화면이 내장된 리모컨과 유사한 자이로스코프 마우스가 제공되기도 한다.
  • 스티어링 휠: 1차원 포인팅 장치로, 게임 컨트롤러의 스티어링 휠 섹션을 참조.
  • 패들: 또 다른 1차원 포인팅 장치
  • 조그 다이얼: 또 다른 1차원 포인팅 장치
  • 요크
  • 일부 고차원 자유도 입력 장치
  • 3Dconnexion: 6자유도 컨트롤러
  • 개별 포인팅 장치
  • 방향 패드: 매우 간단한 키보드
  • 댄스 패드: 발로 공간의 대략적인 위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 비누 마우스: 기존 무선 광학 마우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 휴대용, 위치 기반 포인팅 장치
  • 레이저 펜: 프리젠테이션에서 포인팅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 위 리모트: 통칭 Wiimote라고도 하며, 닌텐도Wii 콘솔의 주 컨트롤러이다. 모션 감지 기능(가속도계와 광학 센서 기술 사용)으로 제스처 인식과 포인팅을 통해 사용자가 화면 항목과 상호 작용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 손가락 추적 장치: 화면과 접촉하지 않고 3D 공간 또는 표면 근처에서 손가락을 추적한다. 스테레오 카메라, 비행 시간(Time-of-flight), 레이저와 같은 기술로 손가락을 삼각 측량한다. LM3LABS의 Ubiq'window와 AirStrike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6D Axsotic 3D 마우스

참조

[1] 논문 User performance in relation to 3D input device design 1998
[2] 서적 Haptic Input
[3] 웹사이트 A THREE-STATE MODEL OF GRAPHICAL INPUT https://www.dgp.toro[...]
[4] 논문 The information capacity of the human motor system in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movement 1954
[5] 웹사이트 Fitts's Law: The Importance of Size and Distance in UI Design https://www.interact[...] 2024-03-11
[6] 논문 Optimality in human motor performance: Ideal control of rapid aimed movements. 1988
[7] 학회자료 No more bricolage!: methods and tools to characterize, replicate and compare pointing transfer functions ACM 2011-10-16
[8] 용어집 mouse
[9] 용어집 tracker+ball
[10] 웹사이트 What is Digitizing Tablet? https://www.webopedi[...] 1996-09-01
[11] 용어집 touchpad
[12] 웹사이트 An Isometric Joystick as a Pointing Device for Handheld Information Terminals https://www.yorku.ca[...] 1998-05-25
[13] 웹사이트 2023-08-06
[14] 웹사이트 point https://www.merriam-[...] メリアム=ウェブスター 2023-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