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문화방송(대구MBC)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방송사이다. 1963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0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현재는 TV, 라디오(표준FM, FM4U), 지상파DMB 방송을 운영하며, 대구 수성구에 본사를, 구미시에 중부지사를 두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뉴스, 시사, 교양, 예능 프로그램이 있으며, 지상파DMB는 안동/포항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기업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기업 -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대한민국의 정보화 촉진과 정보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국가 정보화 계획 수립 지원, 정보통신망 관리, 정보문화 창달, 전자정부 구축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했으며,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통합으로 2009년 출범하여 2020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포항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은 200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포항 도음산 송신소에서 FM 90.3㎒로, 울릉도 삼각산 중계소에서 FM 96.7㎒로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포항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은 200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포항 도음산 송신소에서 FM 90.3㎒로, 울릉도 삼각산 중계소에서 FM 96.7㎒로 방송을 송출한다.
대구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어 명칭대구문화방송
한자 명칭大邱文化放送
영어 명칭Daeg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대구MBC
구분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63년 7월 18일
개국일1963년 8월 8일 (라디오)
이전 명칭한국문화방송㈜대구국 (1963 ~ 1971년)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833,000,000원 (2015.12)
매출액36,538,297,609원 (2015)
영업 이익1,757,418,775원 (2015)
순이익2,398,765,950원 (2015)
자산 총액78,602,234,140원 (2015.12)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51.00%
직원 수115명 (2015.12)
본사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 (욱수동 451-1)
사장황외진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MBC 대구문화방송

2. 본사·지사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에 위치해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대로6길 6에 중부지사가 있다.

2. 1. 본사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에 위치해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대로6길 6에 중부지사가 있다.

2. 2. 중부지사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대로6길 6에 대구문화방송 중부지사가 위치해 있다.

3. 연혁

3. 1. 1960년대

1963년 4월 12일 동성로 사옥에 입주하였다.(현재의 제일빌딩 자리) 1963년 8월 8일 한국문화방송 대구국으로 라디오 방송을 개국하였다.(호출부호 HLCT, 출력 1kW, 주파수 800kHz) 12월 27일 주파수를 800kHz에서 810kHz로 변경하였다.

1964년 8월 1일 연주소를 대구시 중구 전동 12번지 대한생명빌딩으로 이전하였다.

1967년 11월 10일 영남텔리비젼 무선국 허가를 받았다.(호출부호 HLKK, 채널 11,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400W)

1968년 6월 12일 TV 호출부호를 HLKK에서 HLAY로 변경하였고, 6월 22일 출력을 1kW에서 20kW로 증강하였다. 8월 23일 영남텔리비젼(주식회사)을 설립하였다.

3. 2. 1970년대

1970년 6월 25일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가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동문동 사옥으로 이전하였다.(중구 동문동 38) 7월 18일에는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YTV)가 개국(호출부호 HLAY, 채널 10, 영상출력 2㎾, 음향출력 400W)했다.

1971년 9월 16일 영남텔리비젼방송주식회사에서 대구문화방송주식회사(MBC)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9월 30일 대구문화방송주식회사로 흡수되었다. 10월 1일 대구문화방송은 한국문화방송(주) 대구 라디오국을 흡수 통합하고, 한국문화방송(주)과 네트워크 가맹계약 및 뉴스제휴 협정을 체결하였다. 12월 31일에는 수권자본을 5천만 원에서 4억 원으로, 자본을 5천만 원에서 3억 원으로 증액했다.

1972년 7월 18일 팩스 및 전송사진 수신시설을 개통하고, 1973년 1월 20일 사보 창간호를 발행했으며, 7월 11일 텔리타이프를 설치하였다. 1973년 8월 8일은 대구문화방송 창사 10주년이었으며, 8월 18일 텔레비전 중계차를 도입했다. 11월 15일에는 범어동 사옥 신축 기공식을 가졌다.

1974년 12월 20일 신 사옥으로 이전하였고, 1975년 4월 30일 범어동 사옥 준공식(수성구 범어2동 1)을 거행했다. 1977년 9월 23일 팔공산 TV송신소 증축을 준공하고, 제8196부대 위문 공연을 하였다.

3. 3. 1980년대

1980년 11월 25일 MBC 가맹사에서 계열사로 변화하였고, 같은 해 12월 22일 오후 5시 30분, 컬러 TV방송을 개시하였다. 1983년 8월 8일 대구문화방송 창사 20주년을 맞이 하였으며, 1983년 10월 10일 음악FM방송(95.3MHz)을 개국하였다. 1983년 11월 1일 안동 학가산TV 중계소(채널5번)를 신설하였다. 1985년 9월 3일 간이TV중계소 8개소를 설치하였다. 1986년 7월 25일 대구문화방송 음악FM 91.3MHz 라디오 송출되었던 안동문화방송 음악FM 개국 학가산 송신소 전파송출권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12월 5일 江南 간이 TV중계소를 개국하였다. 1987년 7월 1일 문경, 가은 간이 TV 중계소를 개국하였고, 1987년 9월 26일 일월산 TV중계소(UHF 59번)를 신설하였다. 1987년 10월 6일 청송 간이 TV 중계소를 신설하였다. 1987년 11월 23일 대구문화방송 TV송출되었던 안동,청송,의성,문경일부지역을 안동문화방송 TV개국 및 가시청권으로 이관하였고, 1987년 12월 30일 표준FM방송(96.5MHz)을 개국하였다. 1988년 7월 1일 경북 북부 가시청권으로 일월산 중계소 대구문화방송 TV송출종료 안동문화방송 TV송출 변경하였다.

3. 4. 1990년대

1990년 8월 8일 대구문화방송 창사 27주년을 맞았다. 1992년 5월 1일 대구문화방송 구미지사를 설립하였고, 11월 5일 구미 간이 TV중계소를 개국하였다. 1993년 8월 6일 창사 30주년을 맞았으며, 8월 27일 구미 간이 TV중계기를 설치하였다.(UHF 500W) 1994년 7월 12일 대구문화방송 30년사를 발간하였다. 10월 15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칭다오TV방송국(칭다오 텔레비전 방송국/靑岛电视台중국어)과 우호제휴 협정을 체결하였고, 11월 21일 일본 RCC주코쿠방송(주고쿠 방송/中国放送일본어), 일본 히로시마 FM과의 우호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1995년 5월 13일 News Van 무선국 준공검사를 완료했다. 1996년 11월 20일 범어2동 신 사옥 건설공사 기공식을 가졌다. 1997년 12월 10일 AM 라디오 송신소를 달서구 월암동에서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로 이전하였다. 1998년 7월 18일 창사 35주년을 맞았고, 8월 7일 TV출력을 증강했다.(5kW → 10kW) 1999년 11월 27일 범어2동 신 사옥 준공식을 가졌다.(지하 2층, 지상 16층, 연면적 만 9백여평)

3. 5. 2000년대

2000년 5월 31일 신·구사옥 양립, 6월 16일 표준FM방송을 스테레오로 전환하였다. 2001년 2월 10일 시청자의 날을 시행하였다. 2003년 8월 8일 창사 40주년을 맞았다. 2004년 7월 30일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6년 8월 1일 중국 지난방송(지난방송/济南电视台중국어)과 자매결연을 맺었고, 같은 해 10월 12일 대구MBC 미디어센터를 개소하였다. 2007년 6월 19일 중국 여순방송(여순방송/旅顺广播电视台중국어)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2007년 8월 30일 지상파DMB 시험방송을 거쳐, 2008년 1월 31일 지상파DMB 본방송을 시작하였다. 2008년 8월 8일 창사 45주년을 맞았다. 2000년 11월 24일 현 사옥이 준공되었다.

3. 6. 2010년대

2010년 10월, 구미 금오산 DTV중계소를 개국하였고, 12월에는 구지DTV중계소를 개국하였다. 2012년 1월 31일에는 제작부조 HD공사를 완료하였으며, 6월에는 김천 DTV중계소와 김천 표준FM 간이 중계소(98.7MHz)를 개국하였다. 2012년 11월 6일, 지상파 TV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2월 20일, TV주조 HD공사를 완료하였고, 7월 17일에는 대구·경북 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하였다. 8월 8일, 대구문화방송 창사 50주년을 맞았다. 2014년 8월 8일, 대구문화방송은 창사 51주년, 2015년 8월 8일 창사 52주년, 2016년 8월 8일 창사 53주년, 2017년 8월 8일 창사 54주년, 2018년 8월 8일 창사 55주년, 그리고 2019년 8월 8일에 창사 56주년을 맞이했다.

2015년 6월 4일, 대구MBC HD TV중계차 시대를 개막하였으며, 2016년 1월 4일에는 아카이브 시스템을 정상 운용하기 시작하였다. 2016년 12월 19일, 와룡산 중계소를 준공하였고, 2017년 1월 12일에는 와룡산 표준FM 중계소(100.3MHz)를 개소하였다.

2017년 12월 29일, 대구MBC UHD 방송을 개국하였다. 이는 서울 본사의 UHD 방송이다. 2018년 5월 3일, 와룡산 DTV방송보조국을 개국하였으며, 6월 1일에는 DTV방송보조국 이전 및 점촌 DTV방송보조국 자산 이관 협약 체결로 안동문화방송으로 시설을 이전하였다. 2018년 8월 7일, 앞산 DTV방송보조국이 폐국되었다.

3. 7. 2020년대

2020년 2월 1일 대구MBC 라디오 다산 AM송신소 운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였다. 2021년 8월 23일 오전 5시부터 욱수동 임시 사옥에서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고, 9월 3일 보도국, 편성국 등의 이전을 완료하였다. 9월 6일 오전 5시부터는 욱수동 임시 사옥에서 TV방송을 시작하였다. 11월 19일에는 중파 810kHz AM방송 송출을 종료하였다.

2023년 7월 1일에는 경상북도 군위군대구광역시 군위군으로 통합되었고, 8월 8일 대구문화방송 창사 60주년을 맞았다.

4. 조직

대구문화방송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경영국경영관리부, 광고부
편성제작국편성제작부, 방송제작부, 영상제작부
보도국편집제작부, 뉴스취재부, 영상취재부, 중부지사
기술국방송기술부, 방송인프라부
문화사업국기획사업부, 문화사업부



세부적으로 경영관리부에는 재무팀, 총무관재팀이 있고, 문화사업부와 광고마케팅부가 있다. 편성제작국에는 편성부, TV제작부, 라디오제작부, 기획특집팀, 영상제작팀, 아나운서팀이 있다. 보도국에는 편집부, 취재부, 사회부, 보도제작부, 영상취재팀, 중부지사가 있으며, 기술국에는 기술정책부, TV기술부, 라디오기술부, 중계팀이 있다. 문화사업국에는 기획팀, 홍보심의팀이 있다.

5. TV 방송

1970년 7월 18일 호출부호 HLAY, 채널 10,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로 대구, 경북 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사 영남텔리비젼방송(주)로 TV방송을 개국하였다. 1980년 12월 22일에는 컬러TV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하는 등 점차 향상된 방송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고 있다. 대구, 경북 일부 지역을 가시청 권역으로 방송 중이다.

리모컨 키 ID는 11-1이다. 호출 부호는 HLCT-DTV이다.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팔공산K-17ch2.5kW
화양K-41ch20W
동곡K-17ch0.05W
파동K-21ch10W
아프산K-48ch20W
서제K-17ch0.05W
논공K-25ch0.05W
구지K-25ch20W
대합K-25ch0.05W
수륜K-20ch20W
구미K-45ch90W
김천K-26ch20W
점촌K-27ch5W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 호출 부호: HLCT-TV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팔공산K-10ch10kW
화양K-55ch100W
파동K-30ch50W
압산K-53ch100W
구지K-33ch100W
수륜K-55ch100W
구미K-42ch500W
모암K-31ch100W
상주K-40ch100W
점촌K-27ch100W


5. 1. 개요

5. 2. 프로그램

토~일 15분20:25 ~ 20:45(금 20:00 ~ 20:20)
* 주말편성조정 : 토~일 (20:20 ~ 20:35)평일 : 오서윤
주말 : 무작위



생방송 시시각각 매주 수 6:05~7:05PM
TV메디컬 약손 매주 화 7:50~8:50AM
대구MBC 시사톡톡 매주 일 8:05~9:05AM
전국시대 매주 목 11:10~12:05PM
https://dgmbc.com/programme/zvG-XYXUr4oN6F 테마기행 길 매주 금 6:05~7:05PM (울산MBC 제작)
살맛나는 세상 매주 월 7:50~8:50AM
동물메디컬 봉구네 집


5. 2. 1. 보도

토~일 15분20:25 ~ 20:45(금 20:00 ~ 20:20)
* 주말편성조정 : 토~일 (20:20 ~ 20:35)평일 : 오서윤
주말 : 무작위


5. 2. 2. 시사·교양·예능

wikitable

생방송 시시각각 매주 수 6:05~7:05PM
TV메디컬 약손 매주 화 7:50~8:50AM
대구MBC 시사톡톡 매주 일 8:05~9:05AM
전국시대 매주 목 11:10~12:05PM
https://dgmbc.com/programme/zvG-XYXUr4oN6F 테마기행 길 매주 금 6:05~7:05PM (울산MBC 제작)
살맛나는 세상 매주 월 7:50~8:50AM
동물메디컬 봉구네 집


5. 3. 방송 송출 시설망

대구문화방송의 호출부호는 HLCT-DTV이다. 가상채널은 11-1번을 사용한다.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KBS 수신 안내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팔공산 송신소CH 555㎾CH 172.5㎾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안동 송신
와룡산 중계소colspan="2" rowspan="19" |CH 2490W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산93-4포항 송신
화양 중계소CH 4120W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1-2창원 송신
동곡 소출력CH 170.05W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포항 송신
파동 중계소CH 2110W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산9-1 법이산안동 송신
앞산 중계소CH 4820W대구광역시 남구 대명9동 산227-1포항 송신
서재 소출력CH 170.05W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안동 송신
논공 소출력CH 250.05W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 803포항 송신
구지 중계소CH 2520W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안동 송신
동명 소출력CH 250.05W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부산 송신
수륜 중계소CH 2020W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성리 산10안동 송신
구미 중계소CH 4590W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충북 송신
김천 중계소CH 2620W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충북 송신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6. 라디오 방송

1963년 8월 8일 AM 라디오가 개국한 것을 시작으로, 1983년 10월 10일 음악FM, 1987년 12월 30일 AM 라디오 표준FM이 개국했다. 라디오는 FM 라디오 2채널을 운영 중이며, 대구, 경북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방송 중이다.

FM 키 스테이션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의 팔공산에 있다. 2000년 6월 16일부터 표준FM의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다. 2012년 6월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표준FM 중계소를 개국하였고, 2017년 1월 대구 달서구, 달성군에서 표준FM 중계소를 개국했다.

2020년 2월 1일부터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의 AM 송출을 일시 중단했고, 2021년 11월 19일 AM방송을 전면 폐지하여 대구MBC 라디오는 1963년 개국 이래 58년 만에 표준FM으로 완전히 전환됐다. 이후 기독교대구방송조야동 AM 송신소도 같은 수순을 밟았다.

; 대구MBC 라디오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팔공산FM 96.5MHz5kWHLCT-SFM



; 대구MBC FM4U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팔공산FM 95.3MHz5kWHLCT-FM


6. 1. 개요

6. 2. 프로그램

6. 2. 1. 대구MBC 라디오 (표준FM)

wikitable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달구벌 만평월~금5분홍문종
MBC 9시 뉴스이동훈 or 이유진 (무작위)
MBC 정오종합뉴스이동훈
여론현장25분김혜숙
대구MBC 라디오 동의보감5분김성철 한의사
대구MBC 즐거운 오후 2시108분류강국, 조영주
MBC 15시 뉴스5분이동훈
라디오 생활법률4분김영민 변호사
MBC 18시 뉴스매일5분김혜숙 (주말 무작위)
MBC 21시 뉴스오서윤 (주말 무작위)
대구MBC 프로야구서상국, 이동훈, 홍승규

6. 2. 2. 대구MBC FM4U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김묘선의 FM모닝쇼매일120분김묘선
정오의 희망곡 이유진입니다매일120분이유진
FM 음악여행매일120분권오성

6. 3.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ext

대구문화방송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팔공산 송신소FM 96.5㎒5㎾HLCT-SFM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 141-5
와룡산 중계소FM 100.3㎒100W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산93-4
김천시 중계소FM 98.7㎒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
대구문화방송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팔공산 송신소FM 95.3㎒5㎾HLCT-FM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김천시 중계소FM 95.7㎒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


6. 3. 1. 대구MBC 라디오 (표준FM)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팔공산 송신소FM 96.5㎒5㎾HLCT-SFM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 141-5
와룡산 중계소FM 100.3㎒100W대구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산93-4
김천시 중계소FM 98.7㎒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


6. 3. 2. 대구MBC FM4U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팔공산 송신소FM 95.3㎒5㎾HLCT-FM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김천시 중계소FM 95.7㎒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달봉산


7. 지상파DMB 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대구경북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방송 중이다. 주관사는 안동문화방송이며, 대구 외 안동/포항문화방송 프로그램도 전송된다.

호출 부호는 HLAW-TDMB이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학가산(鶴駕山)K-9Ach (187.280MHz)2kW
팔공산(八公山)K-7Ach (175.280MHz)2kW
구미(亀尾)90W
경주(慶州)90W
조항산(鳥項山)2kW
울진(蔚珍)90W



8. 직원 현황 (2024년 기준)

9. 해외 제휴 방송사

일본중국의 방송사와 제휴하고 있다.

10. 찾아오시는 길

10. 1. 교통

10. 1. 1. 버스

11. 인근의 타 방송사

KBS대구방송총국, TBC, febc 대구극동방송, cpbc 대구가톨릭평화방송, BBS 대구불교방송, WBS 대구원음방송, TBN 대구교통방송, 대구CBS, 성서공동체FM, 대구국악방송 등이 있다.

참조

[1] 문서 FM 음악여행, 출발! 경북대행진 진행 대구MBC FM4U 2016-01-04
[2] 문서 이대희의 골든디스크 진행 대구MBC FM4U 1997-04-07
[3] 뉴스 쌍용이 처분 못한 대구MBC 지분, GS가 소유? http://www.pdjournal[...] PD 저널 2017-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