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폴 오스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폴 오스터(Paul Auster)는 1947년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미국의 소설가, 시인, 각본가, 영화감독이다.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번역가로 활동했으며, 1982년 자전적 에세이 『고독의 발명』으로 작가 데뷔 후, 탐정 소설 형식을 차용한 『뉴욕 3부작』(1987)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소설 외에도 영화 시나리오를 쓰고 감독하며, 1993년 메디시스 외국 작가상, 2006년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 시인 - 에드거 앨런 포
    에드거 앨런 포는 미국의 작가, 시인, 편집자, 문학 평론가로서 고딕 소설과 공포 소설, 최초의 추리 소설로 여겨지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문학 이론과 비평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 발전에 기여했다.
  • 영어 시인 - 투팍 샤커
    투팍 샤커는 1990년대 힙합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래퍼, 배우, 시인, 사회 운동가로, 2Pac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사회 문제와 개인의 고뇌를 담은 음악으로 사랑받았고 총격으로 사망 후에도 힙합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 미국의 번역가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미국의 번역가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미국의 시인 - 프랭크 오하라
    프랭크 오하라는 미국의 시인, 작가, 큐레이터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자전적인 시를 통해 예술계와 교류했고, 현대미술관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사망했다.
  • 미국의 시인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폴 오스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0년 폴 오스터
2010년 오스터
본명폴 벤저민 오스터
가명폴 벤저민
출생일1947년 2월 3일
출생지뉴저지주 뉴어크
사망일2024년 4월 30일
사망지뉴욕
직업소설가
시인
영화감독
번역가
활동 기간1974년–2023년
장르
문학 소설
영향포스트모더니즘
주요 작품뉴욕 삼부작
수상메디치상 외국 소설 부문 (1993년)
아스투리아스 왕자상 (2006년)
배우자리디아 데이비스 (1974년–1977년)
시리 허스트베트 (1981년–2024년)
자녀2명 ( 소피 오스터 포함)
모교컬럼비아 대학교 (BA, MA)
서명
공식 웹사이트paul-auster.com
추가 정보

2. 생애

wikitext

폴 오스터는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중산층 폴란드계 유대인 부모 슬하에서 태어났으며,[2][4][5][6][104] 뉴저지주 사우스오렌지에서 성장했다.[105] 그의 아버지 새뮤얼 오스터는 저지시티에서 형제들과 함께 건물을 소유한 집주인이었고,[3][106] 어머니는 퀸니 보갓이었다.[3] 그의 부모는 사이가 좋지 않았고, 오스터가 고등학교 졸업반일 때 이혼했다.[4][5][6] 이후 오스터는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뉴어크 위쿼히크의 아파트로 이사했다.[4][5][6] 그의 삼촌은 번역가 앨런 만델바움이었다.[7]

오스터는 뉴저지 주 사우스 오렌지와[8] 뉴어크에서[9] 자랐으며,[10] 뉴저지 주 맵우드에 있는 콜럼비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0] 12살 때 삼촌에게 받은 책들을 읽으며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05] 1958년과 1959년 여름에는 뉴저지 주 이스트 브런즈윅의 캠프 레이크뷰와 뉴욕 주 코페이크의 캠프 폰티악에 다녔는데, 특히 야구 내야수로서 뛰어난 운동 능력을 인정받았다.[11] 14세 때 여름 캠프에서 한 소년이 벼락을 맞아 즉사하는 것을 목격했는데,[11][12] 오스터는 이 사건이 자신의 삶을 바꿨다고 회고했다.[13]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105] 프랑스로 건너가 농장 관리, 프랑스 문학 번역 등 다양한 일을 했다.[105] 1974년 미국으로 돌아와[105] 대학 시절부터 사귀던 리디아 데이비스와 결혼했다.[105] 이후 자신의 시, 에세이, 소설과 스테판 말라르메, 조제프 쥐베르 등 프랑스 작가들의 번역서를 출판했다.[105]

1976년에는 폴 벤자민이라는 필명으로 추리 소설 ''Squeeze Play''를 출판했다.[105] 이 시기 경제적 문제 등으로 아내와 이혼하고,[105] 프란츠 카프카, 사뮈엘 베케트, 파울 첼란, 에드몽 자베스, 존 애슈베리 등 다양한 작가, 시인, 예술가에 대한 비평 에세이를 쓰거나 20세기 프랑스 시 선집을 편집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105] 1979년 아버지의 사망 후 상속받은 유산으로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고,[105] 1982년 오스터 명의로 첫 작품인 『고독의 발명』을 발표했다.[105] 이 작품은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아버지와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자전적 작품이다.[105] 1981년 시리 허스트베트와 결혼했다.[104]

폴 오스터는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태어나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 프랑스에서 시간을 보냈고, 1974년 미국으로 돌아왔다.[59] 시인으로 처음 경력을 시작했으며, 에드몽 자베스, 파울 첼란 등 유대계 시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6][17][18] 그는 프랑스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며 번역가로도 활동했고, 1982년에는 『20세기 프랑스 시선집』을 편집하여 출판했다.[19]

2008년 샐먼 러시디(Salman Rushdie), 카로 르웰린(Caro Llewellyn)과 함께 이스라엘 대통령 시몬 페레스(Shimon Peres)를 만나는 오스터


오스터는 1982년 회고록 『고독의 발명』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고,[20]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유리 도시』, 『유령들』, 『잠긴 방』을 발표, 이를 묶은 ''뉴욕 3부작''(1987)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20] 이 작품은 탐정 소설 형식을 빌려 정체성, 공간, 언어, 문학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독특한 포스트모던 형식을 보여준다.[20]

1980년대 후반, 오스터는 『마지막 것들의 나라』(1987), 『문 팰리스』(1989), 『기회의 음악』(1990) 등을 통해 정체성과 개인적 의미, 우연과 무작위적 사건의 역할 등을 탐구하며 꾸준히 독자층을 넓혀갔다.[20] 1990년대에는 소설 창작 외에도 영화 ''스모크''와 ''블루 인 더 페이스''의 각본 및 감독, ''루루 온 더 브리지'' 감독 등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다.[22]

1990년대 후반 영화 작업에 집중한 후, 오스터는 다시 소설, 회고록, 수필 집필에 주력했다. 2002년부터 2024년 사망 전까지 9편의 소설, 2편의 회고록, 스티븐 크레인(Stephen Crane)의 전기, 미국 총기 폭력에 대한 책 등을 출판했다.[20] 그의 마지막 소설 10편 중 8편은 더블린 국제문학상 후보에 올랐고, 2017년 소설 『4 3 2 1』은 맨 부커상 후보에 올랐다.[23]

오스터는 펜 아메리칸 센터 이사 및 부회장을 역임했고,[24][25][26][27] 언론인에 대한 터키 정부의 처우에 항의하며 터키 방문을 거부하기도 했다.[28][29] 또한, 저작권법을 인정하지 않는 이란의 번역가들에게 자신의 작품 번역을 허가해 주었다.[30]

폴 오스터는 현대 작가로서는 드문 재능과 문학적 깊이, 개성 있는 독창성과 담대함을 소유한 작가로 평가받는다.[59]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에드몽 자베스, 파울 첼란 등 유대계 시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작품은 미국 문학의 사실주의적 경향과 신비주의적 전통,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명상적 요소가 혼합된 '아름답게 디자인된 예술품'이라는 극찬을 받았다.[59]

오스터의 작품은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20여 개국에서 번역 출간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기적과 상실, 고독과 열광의 이야기를 전광석화 같은 언어로 전개하며, 운명적인 만남과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탄탄한 문장과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결합시켜 독자들을 우연의 연속으로 이끌어 간다.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영문학 및 비교문학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은 후 프랑스로 이주하여 프랑스 문학 번역으로 생계를 유지했다.[59] 1974년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스테판 말라르메[16]와 조제프 주베르[17][18] 등 프랑스 작가들의 시, 수필, 번역 작업을 계속했다. 1982년에는 『20세기 프랑스 시선집』을 편집하여 출판했다.[19]

1982년 회고록 『고독의 발명』을 출판한 후, 『뉴욕 3부작』(1987)으로 명성을 얻었다.[20] 『뉴욕 3부작』은 탐정 장르를 언급하지만, 전통적인 탐정 소설과는 달리 정체성, 공간, 언어, 문학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독특한 포스트모더니즘 형식을 창출한다.[20]

1990년대에 오스터는 영화 ''스모크''와 ''블루 인 더 페이스''에서 웨인 왕과의 각본 및 감독 협업을 통해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영화 『루루 온 더 브리지』(1998)를 감독했다.[22]

1990년대 후반 영화 제작에 헌신한 후, 오스터는 다시 소설, 회고록, 수필 집필에 주력했다. 2002년부터 2024년까지 9편의 소설, 2편의 회고록, 스티븐 크레인에 대한 800페이지 분량의 전기, 미국 총기 폭력의 긴 역사에 대한 통탄("Bloodbath Nation")을 출판했다.[20] 그의 마지막 소설 10편 중 8편은 더블린 국제문학상 후보에 올랐으며, 2017년 소설 『4 3 2 1』은 부커상 후보에 올랐다.[23]

오스터는 프란츠 카프카 또는 사뮈엘 베케트와 비견되기도 한다. 그는 이들과 흡사한 시각에서 운명과 그것이 인간을 지배하는 방식에 몰두하며,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탄탄한 문체와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결합시키는 문학적 기량을 선보인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펜 아메리칸 센터 이사[24][25] 및 부회장[26][27]을 역임했다. 2012년에는 언론인에 대한 터키의 처우에 항의하여 터키를 방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8]

오스터는 이란 번역가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허가해 주었는데, 이는 이란이 국제 저작권법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30]

그의 후기 작품 중 하나인 『말로 하는 삶』(2017)은 덴마크 학자 I.B. 시구름펠트와 2년 동안 나눈 오스터의 모든 작품에 대한 대화를 담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31]

폴 오스터는 1974년 작가 리디아 데이비스(Lydia Davis)와 결혼하여 아들 다니엘 오스터를 낳았지만, 1979년에 별거하고 1981년에 이혼했다.[36] 같은 해, 오스터는 작가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Lloyd Hustvedt 교수의 딸)와 재혼했다.[37] 두 사람은 브루클린에서 함께 살았으며,[37] 딸 소피 오스터는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37][50]

아들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10개월 된 딸 루비의 사망과 관련하여 과실치사 및 과실치사상 혐의로 기소되었다.[38][39] 루비는 2021년 11월에 헤로인펜타닐 급성 약물 중독으로 사망했다.[38][40][111] 다니엘 오스터는 클럽 키즈(Club Kids)와 마이클 알리그(Michael Alig)와의 관계로도 알려져 있으며, 클럽 키즈 동료 안드레 멜렌데즈(Andre Melendez)의 살인 현장에 있었다.[42] 그는 딸의 사망과 관련해 체포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2022년 4월 26일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41][111]

폴 오스터는 사회 참여와 정치적 견해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폴 오스터는 2024년 4월 30일, 77세의 나이로 브루클린 자택에서 폐암 합병증으로 사망했다.[49][15][106][107] 그는 아내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 딸 소피 오스터, 여동생 재닛 오스터와 손자를 남겼다.[50]

2023년 3월 11일, 오스터의 아내 시리 허스트베드트는 인스타그램(Instagram)을 통해 2022년 12월에 그가 암 진단을 받았고, 그 이후로 뉴욕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 센터(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다고 밝혔다.[47][48]

오스터의 첫 번째 부인은 작가 리디아 데이비스(Lydia Davis)였으며 1974년에 결혼하여 아들 다니엘 오스터를 두었으나, 1979년에 별거, 1981년에 이혼했다.[36] 1981년, 오스터는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와 재혼하여 브루클린에서 함께 거주하며 딸 소피 오스터를 두었다.[37] 아들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16일, 10개월 된 딸 루비의 사망과 관련하여 과실치사 및 과실치사상 혐의로 기소되었다.[38][39] 루비는 2021년 11월 1일에 사망했으며, 당시 경찰은 아기가 어떻게 약물을 섭취했는지에 대해 불분명한 상태였다.[40]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26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41]

2. 1. 초기 생애

폴 오스터는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중산층 폴란드계 유대인 부모 슬하에서 태어났으며,[2][4][5][6][104] 뉴저지주 사우스오렌지에서 성장했다.[105] 그의 아버지 새뮤얼 오스터는 저지시티에서 형제들과 함께 건물을 소유한 집주인이었고,[3][106] 어머니는 퀸니 보갓이었다.[3] 그의 부모는 사이가 좋지 않았고, 오스터가 고등학교 졸업반일 때 이혼했다.[4][5][6] 이후 오스터는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뉴어크 위쿼히크의 아파트로 이사했다.[4][5][6] 그의 삼촌은 번역가 앨런 만델바움이었다.[7]

오스터는 뉴저지 주 사우스 오렌지와[8] 뉴어크에서[9] 자랐으며,[10] 뉴저지 주 맵우드에 있는 콜럼비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0] 12살 때 삼촌에게 받은 책들을 읽으며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05] 1958년과 1959년 여름에는 뉴저지 주 이스트 브런즈윅의 캠프 레이크뷰와 뉴욕 주 코페이크의 캠프 폰티악에 다녔는데, 특히 야구 내야수로서 뛰어난 운동 능력을 인정받았다.[11] 14세 때 여름 캠프에서 한 소년이 벼락을 맞아 즉사하는 것을 목격했는데,[11][12] 오스터는 이 사건이 자신의 삶을 바꿨다고 회고했다.[13]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105] 프랑스로 건너가 농장 관리, 프랑스 문학 번역 등 다양한 일을 했다.[105] 1974년 미국으로 돌아와[105] 대학 시절부터 사귀던 리디아 데이비스와 결혼했다.[105] 이후 자신의 시, 에세이, 소설과 스테판 말라르메, 조제프 쥐베르 등 프랑스 작가들의 번역서를 출판했다.[105]

1976년에는 폴 벤자민이라는 필명으로 추리 소설 ''Squeeze Play''를 출판했다.[105] 이 시기 경제적 문제 등으로 아내와 이혼하고,[105] 프란츠 카프카, 사뮈엘 베케트, 파울 첼란, 에드몽 자베스, 존 애슈베리 등 다양한 작가, 시인, 예술가에 대한 비평 에세이를 쓰거나 20세기 프랑스 시 선집을 편집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105] 1979년 아버지의 사망 후 상속받은 유산으로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고,[105] 1982년 오스터 명의로 첫 작품인 『고독의 발명』을 발표했다.[105] 이 작품은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아버지와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자전적 작품이다.[105] 1981년 시리 허스트베트와 결혼했다.[104]

2. 2. 작가로서의 시작과 성장

폴 오스터는 뉴저지주 뉴어크에서 태어나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 프랑스에서 시간을 보냈고, 1974년 미국으로 돌아왔다.[59] 시인으로 처음 경력을 시작했으며, 에드몽 자베스, 파울 첼란 등 유대계 시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6][17][18] 그는 프랑스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며 번역가로도 활동했고, 1982년에는 『20세기 프랑스 시선집』을 편집하여 출판했다.[19]

오스터는 1982년 회고록 『고독의 발명』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고,[20]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유리 도시』, 『유령들』, 『잠긴 방』을 발표, 이를 묶은 ''뉴욕 3부작''(1987)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20] 이 작품은 탐정 소설 형식을 빌려 정체성, 공간, 언어, 문학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독특한 포스트모던 형식을 보여준다.[20]

1980년대 후반, 오스터는 『마지막 것들의 나라』(1987), 『문 팰리스』(1989), 『기회의 음악』(1990) 등을 통해 정체성과 개인적 의미, 우연과 무작위적 사건의 역할 등을 탐구하며 꾸준히 독자층을 넓혀갔다.[20] 1990년대에는 소설 창작 외에도 영화 ''스모크''와 ''블루 인 더 페이스''의 각본 및 감독, ''루루 온 더 브리지'' 감독 등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다.[22]

1990년대 후반 영화 작업에 집중한 후, 오스터는 다시 소설, 회고록, 수필 집필에 주력했다. 2002년부터 2024년 사망 전까지 9편의 소설, 2편의 회고록, 스티븐 크레인(Stephen Crane)의 전기, 미국 총기 폭력에 대한 책 등을 출판했다.[20] 그의 마지막 소설 10편 중 8편은 더블린 국제문학상 후보에 올랐고, 2017년 소설 『4 3 2 1』은 맨 부커상 후보에 올랐다.[23]

오스터는 펜 아메리칸 센터 이사 및 부회장을 역임했고,[24][25][26][27] 언론인에 대한 터키 정부의 처우에 항의하며 터키 방문을 거부하기도 했다.[28][29] 또한, 저작권법을 인정하지 않는 이란의 번역가들에게 자신의 작품 번역을 허가해 주었다.[30]

2. 3. 문학적 성취와 다양한 활동

폴 오스터는 현대 작가로서는 드문 재능과 문학적 깊이, 개성 있는 독창성과 담대함을 소유한 작가로 평가받는다.[59]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에드몽 자베스, 파울 첼란 등 유대계 시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작품은 미국 문학의 사실주의적 경향과 신비주의적 전통,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명상적 요소가 혼합된 '아름답게 디자인된 예술품'이라는 극찬을 받았다.[59]

오스터의 작품은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20여 개국에서 번역 출간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기적과 상실, 고독과 열광의 이야기를 전광석화 같은 언어로 전개하며, 운명적인 만남과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탄탄한 문장과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결합시켜 독자들을 우연의 연속으로 이끌어 간다.

1970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영문학 및 비교문학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은 후 프랑스로 이주하여 프랑스 문학 번역으로 생계를 유지했다.[59] 1974년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스테판 말라르메[16]와 조제프 주베르[17][18] 등 프랑스 작가들의 시, 수필, 번역 작업을 계속했다. 1982년에는 『20세기 프랑스 시선집』을 편집하여 출판했다.[19]

1982년 회고록 『고독의 발명』을 출판한 후, 『뉴욕 3부작』(1987)으로 명성을 얻었다.[20] 『뉴욕 3부작』은 탐정 장르를 언급하지만, 전통적인 탐정 소설과는 달리 정체성, 공간, 언어, 문학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독특한 포스트모더니즘 형식을 창출한다.[20]

1990년대에 오스터는 영화 ''스모크''와 ''블루 인 더 페이스''에서 웨인 왕과의 각본 및 감독 협업을 통해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영화 『루루 온 더 브리지』(1998)를 감독했다.[22]

1990년대 후반 영화 제작에 헌신한 후, 오스터는 다시 소설, 회고록, 수필 집필에 주력했다. 2002년부터 2024년까지 9편의 소설, 2편의 회고록, 스티븐 크레인에 대한 800페이지 분량의 전기, 미국 총기 폭력의 긴 역사에 대한 통탄("Bloodbath Nation")을 출판했다.[20] 그의 마지막 소설 10편 중 8편은 더블린 국제문학상 후보에 올랐으며, 2017년 소설 『4 3 2 1』은 부커상 후보에 올랐다.[23]

오스터는 프란츠 카프카 또는 사뮈엘 베케트와 비견되기도 한다. 그는 이들과 흡사한 시각에서 운명과 그것이 인간을 지배하는 방식에 몰두하며,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탄탄한 문체와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결합시키는 문학적 기량을 선보인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펜 아메리칸 센터 이사[24][25] 및 부회장[26][27]을 역임했다. 2012년에는 언론인에 대한 터키의 처우에 항의하여 터키를 방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8]

오스터는 이란 번역가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허가해 주었는데, 이는 이란이 국제 저작권법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30]

그의 후기 작품 중 하나인 『말로 하는 삶』(2017)은 덴마크 학자 I.B. 시구름펠트와 2년 동안 나눈 오스터의 모든 작품에 대한 대화를 담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31]

2. 4. 결혼과 가족

폴 오스터는 1974년 작가 리디아 데이비스(Lydia Davis)와 결혼하여 아들 다니엘 오스터를 낳았지만, 1979년에 별거하고 1981년에 이혼했다.[36] 같은 해, 오스터는 작가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Lloyd Hustvedt 교수의 딸)와 재혼했다.[37] 두 사람은 브루클린에서 함께 살았으며,[37] 딸 소피 오스터는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37][50]

아들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10개월 된 딸 루비의 사망과 관련하여 과실치사 및 과실치사상 혐의로 기소되었다.[38][39] 루비는 2021년 11월에 헤로인펜타닐 급성 약물 중독으로 사망했다.[38][40][111] 다니엘 오스터는 클럽 키즈(Club Kids)와 마이클 알리그(Michael Alig)와의 관계로도 알려져 있으며, 클럽 키즈 동료 안드레 멜렌데즈(Andre Melendez)의 살인 현장에 있었다.[42] 그는 딸의 사망과 관련해 체포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2022년 4월 26일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41][111]

2. 5. 사회 참여와 정치적 견해

폴 오스터는 사회 참여와 정치적 견해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2. 6. 죽음

폴 오스터는 2024년 4월 30일, 77세의 나이로 브루클린 자택에서 폐암 합병증으로 사망했다.[49][15][106][107] 그는 아내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 딸 소피 오스터, 여동생 재닛 오스터와 손자를 남겼다.[50]

2023년 3월 11일, 오스터의 아내 시리 허스트베드트는 인스타그램(Instagram)을 통해 2022년 12월에 그가 암 진단을 받았고, 그 이후로 뉴욕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 센터(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다고 밝혔다.[47][48]

오스터의 첫 번째 부인은 작가 리디아 데이비스(Lydia Davis)였으며 1974년에 결혼하여 아들 다니엘 오스터를 두었으나, 1979년에 별거, 1981년에 이혼했다.[36] 1981년, 오스터는 시리 허스트베드트(Siri Hustvedt)와 재혼하여 브루클린에서 함께 거주하며 딸 소피 오스터를 두었다.[37] 아들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16일, 10개월 된 딸 루비의 사망과 관련하여 과실치사 및 과실치사상 혐의로 기소되었다.[38][39] 루비는 2021년 11월 1일에 사망했으며, 당시 경찰은 아기가 어떻게 약물을 섭취했는지에 대해 불분명한 상태였다.[40] 다니엘 오스터는 2022년 4월 26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41]

3. 작품 세계

마이클 디르다는 《뉴욕 서평》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25년 동안 폴 오스터는 현대 문학에서 가장 독특한 영역을 구축했다"고 평가했다.[32] 그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오스터가 “맑고 자기 고백적인 스타일”을 완성했고, 긴장감 넘치는, 때로는 자전적인 플롯을 구성했다고 칭찬했다. 그의 영웅들은 익숙해 보이는 세계에서 활동하지만 “모호한 위협과 잠재적인 환각”에 직면한다.[33]

도나 시먼은 《북리스트》의 비평에서 오스터가 이야기 전개의 관습을 넘어 장르를 혼합하고, 심지어 영화적 방식으로 넘어갔다고 말했다. 그녀는 그의 작품에 담긴 복잡한 경이로움과 "교묘한 유머"를 칭찬하며, 그의 작품을 "이야기 전개뿐만 아니라 끝없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의 대립 논쟁, 유전과 자유 의지, 의도와 우연, 꿈과 운명 사이의 영원한 춤에 대한 위대한 실험"으로 평가했다.[34]

제임스 우드는 오스터를 "차용된 언어"와 "가짜 대화"로 비판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터가 "아마도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포스트모더니즘 소설가"라고 인정했다. 그는 오스터의 소설이 매우 빠르게 읽히는 이유로 명료한 문체, 친숙한 현실주의 문법, 음흉한 반전과 놀라움, 폭력적인 갑작스러운 사건으로 가득 찬 플롯을 꼽았다.[35]

오스터와 John Ashbery가 Brooklyn Book Festival에서


그의 작품은 영화와 소설 모두 뉴욕, 특히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한다. 오스터의 표현이 미국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다루는 장소가 일본인들에게 친숙한 곳이 많다는 점은 그의 작품이 일본에서 비교적 잘 받아들여지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1993년, 『리바이어던』으로 프랑스 메디시스상 외국 소설 부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7년의 『4 3 2 1』은 같은 해 부커상 최종 후보작이 되었다.

폴 오스터에 대한 연구 서적으로는 이이노 토모유키 등이 참여한 『폴 오스터 현대 작가 가이드』(彩流社, 1996년, 증보판 1999년, 증정판 2013년)와 세이도샤에서 출판한 『유리카 시와 비평―특집=폴 오스터』(1999년 1월호) 및 『유리카 시와 비평:특집=폴 오스터 1947-2024』(2024년 8월호, 추도 출판) 등이 있다.

3. 1. 주제와 특징

마이클 디르다는 《뉴욕 서평》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25년 동안 폴 오스터는 현대 문학에서 가장 독특한 영역을 구축했다"고 평가했다.[32] 그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오스터가 “맑고 자기 고백적인 스타일”을 완성했고, 긴장감 넘치는, 때로는 자전적인 플롯을 구성했다고 칭찬했다. 그의 영웅들은 익숙해 보이는 세계에서 활동하지만 “모호한 위협과 잠재적인 환각”에 직면한다.[33]

도나 시먼은 《북리스트》의 비평에서 오스터가 이야기 전개의 관습을 넘어 장르를 혼합하고, 심지어 영화적 방식으로 넘어갔다고 말했다. 그녀는 그의 작품에 담긴 복잡한 경이로움과 "교묘한 유머"를 칭찬하며, 그의 작품을 "이야기 전개뿐만 아니라 끝없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의 대립 논쟁, 유전과 자유 의지, 의도와 우연, 꿈과 운명 사이의 영원한 춤에 대한 위대한 실험"으로 평가했다.[34]

제임스 우드는 오스터를 "차용된 언어"와 "가짜 대화"로 비판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터가 "아마도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포스트모더니즘 소설가"라고 인정했다. 그는 오스터의 소설이 매우 빠르게 읽히는 이유로 명료한 문체, 친숙한 현실주의 문법, 음흉한 반전과 놀라움, 폭력적인 갑작스러운 사건으로 가득 찬 플롯을 꼽았다.[35]

그의 작품은 영화와 소설 모두 뉴욕, 특히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한다. 오스터의 표현이 미국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다루는 장소가 일본인들에게 친숙한 곳이 많다는 점은 그의 작품이 일본에서 비교적 잘 받아들여지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1993년, 『리바이어던』으로 프랑스 메디시스상 외국 소설 부문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7년의 『4 3 2 1』은 같은 해 부커상 최종 후보작이 되었다.

폴 오스터에 대한 연구 서적으로는 이이노 토모유키 등이 참여한 『폴 오스터 현대 작가 가이드』(彩流社, 1996년, 증보판 1999년, 증정판 2013년)와 세이도샤에서 출판한 『유리카 시와 비평―특집=폴 오스터』(1999년 1월호) 및 『유리카 시와 비평:특집=폴 오스터 1947-2024』(2024년 8월호, 추도 출판) 등이 있다.

3. 2. 대표작

폴 오스터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 ''스퀴즈 플레이'' (1982) (필명 폴 벤자민으로 발표)
  • ''뉴욕 3부작'' (1987)[59]
  • * ''유리 도시'' (1985)
  • * ''유령들'' (1986)
  • * ''잠긴 방'' (1986)
  • ''마지막 것들의 나라'' (1987)
  • ''문 팰리스'' (1989)[59]
  • ''기회의 음악'' (1990)[59]
  • ''리바이어던'' (1992)[59]
  • ''미스터 버티고'' (1994)
  • ''팀북투'' (1999)
  • ''환상의 책'' (2002)[59]
  • ''오라클 나이트'' (2003)[59]
  • ''브루클린 폴리스'' (2005)
  • ''스크립토리움 여행'' (2006)
  • ''어둠 속의 남자'' (2008)[66]
  • ''보이지 않는 자'' (2009)[67]
  • ''선셋 파크'' (2010)[68]
  • ''주야'' (2013)(''스크립토리움 여행''과 ''어둠 속의 남자''를 한 권으로 묶어 재발행)
  • ''4 3 2 1'' (2017)[69]
  • ''바움가르트너'' (2023)[59]


시바타 모토유키는 오스터의 많은 작품을 번역했다.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스토리''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시바타 모토유키가 공동 번역한 번역 야화에 수록되어 있다.[112] ''미스터 버티고''는 NHK-FM의 청춘 어드벤처에서 "더 원더보이"라는 제목으로 라디오 드라마화 되었다.[112]

  • 『폴 오스터 현대 작가 가이드』彩流社 1996년, 증보판 1999년, 증정판 2013년

::이이노 토모유키(飯野友幸) 편, 쿠스키 레이코(栩木玲子)・아키모토 타카후미(秋元孝文)・시바타 모토유키(柴田元幸)・우에다 마유코 공저

  • 『[http://www.seidosha.co.jp/book/index.php?id=2851&status=published 유리카 시와 비평―특집=폴 오스터](ユリイカ 詩と批評―特集=ポール・オースター)』1999년 1월호, 세이도샤(青土社)
  • 『유리카 시와 비평(ユリイカ 詩と批評):[http://www.seidosha.co.jp/book/index.php?id=3954 특집=폴 오스터 1947-2024](特集=ポール・オースター 1947-2024)』2024년 8월호, 세이도샤(青土社)(추도 출판)

4. 한국과의 관계

4. 1. 한국어 번역

4. 2.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5. 수상 경력

폴 오스터는 1989년 프랑스 문화상을 수상했다.[51] 1990년에는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의 모턴 다우엔 자벨 상을 수상했다.[52][53] 1993년에는 《리바이어던》으로 프랑스 메디시스 외국 작가상을 수상했다.[59] 2006년에는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을 수상했으며,[59] 같은 해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문학 부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3] 2007년에는 리에주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50] 2017년에는 《4 3 2 1》이 부커상 최종 후보작으로 선정되었다.[65]

6. 작품 목록

6. 1. 소설

폴 오스터는 다양한 소설을 발표하며 문학적 경력을 쌓았다. 1982년에는 폴 벤자민이라는 필명으로 ''스퀴즈 플레이''를 발표했다. 1987년에 출간된 《뉴욕 3부작》은 《유리 도시》(1985), 《유령들》(1986), 《잠긴 방》(198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59] 이후 《마지막 것들의 나라》(1987), 《문 팰리스》(1989)[59], 《기회의 음악》(1990)[59], 《리바이어던》(1992)[59],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1992), 《미스터 버티고》(1994)[113], 《팀북투》(1999), 《환상의 책》(2002)[59], 《오라클 나이트》(2003)[59], 《브루클린 폴리스》(2005), 《스크립토리움 여행》(2006), 《어둠 속의 남자》(2008)[66], 《보이지 않는 자》(2009)[67], 《선셋 파크》(2010)[68], 《4 3 2 1》(2017)[69], 《바움가르트너》(2023)[59] 등을 발표했다.

《미스터 버티고》는 2002년 5월부터 6월까지 NHK-FM의 「청춘 어드벤처」에서 "더 원더보이"라는 제목으로 라디오 드라마화 되었다.[112]

6. 2. 영화/시나리오

오스터는 여러 편의 영화 시나리오를 쓰고 감독했다. 1993년에는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기회의 음악''이 개봉되었으며, 오스터는 영화 마지막에 카메오로 출연했다.[12] 1995년에는 웨인 왕과 함께 ''스모크''[59][71]와 ''블루 인 더 페이스''[71]의 각본을 썼다. ''스모크''는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블루 인 더 페이스''는 ''스모크'' 촬영 중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속편이다.

1998년에는 ''루루 온 더 브리지''[72]를 감독하고 각본을 썼으며, 2001년에는 웨인 왕과 다시 협업하여 『붉은 방의 연인』의 원안을 맡았다. 2007년에는 자신의 소설 ''착각의 책''에 등장하는 가상의 영화를 바탕으로 ''마틴 프로스트의 내면 생활''[71]을 감독했다.[73] 이 영화는 리스본과 아젠하스 두 마르에서 촬영되었으며, 데이비드 듈리스, 이렌 자콥, 마이클 임페리올리 그리고 오스터의 딸 소피가 출연했다.[99]

6. 3. 에세이

폴 오스터는 다양한 에세이 작품을 발표했다. 1982년에는 《굶기의 예술》(The Art of Hunger)과 《고독의 발명》(The Invention of Solitude)을 출간했다.[59] 1992년에는 《빨간 공책》(The Red Notebook)을 발표했는데, 이는 1993년 그랜타(44)에 게재되기도 했다. 1996년에는 《왜 쓰는가?》(Why Write?)를 출간했고, 1997년에는 《빵굽는 타자기》(Hand To Mouth)를 발표했다. 2001년에는 《나는 아버지가 하느님인 줄 알았다》(I Thought My Father Was God)를 출간했다.

2002년에는 《타자기를 치켜세움》(The Story of My Typewriter)을 발표했고, 2014년에는 《겨울 일기》(Winter Journal)를 출간했다. 2013년에는 J. M. 쿠체와 주고받은 편지를 모은 《여기와 지금: 2008-2011년 편지》(Here and Now: Letters, 2008–2011)를 출간했다.[59] 이 책은 이와나미 쇼텐에서 2014년에 번역 출간되었다.[59]

2017년에는 I. B. 시검펠트와의 대화를 담은 《말 속의 삶》(A Life in Words: In Conversation with I. B. Siegumfeldt)을 출간했다. 2019년에는 1967년부터 2017년까지의 에세이, 서문 등을 모은 《낯선 이들과의 대화》(Talking to Strangers: Selected Essays, Prefaces, and Other Writings, 1967–2017)를 발표했다. 2020년에는 자서전적 글쓰기를 모은 《토대》(Groundwork: Autobiographical Writings, 1979–2012)를 출간했다.

2021년에는 스티븐 크레인의 삶과 작품을 다룬 《타오르는 소년》(Burning Boy: The Life and Work of Stephen Crane)을 발표했다. 2022년에는 스펜서 오스트랜더의 사진과 함께 타일러 코비 니콜스 살인 사건을 추적한 《코비 국왕 만세》(Long Live King Kobe: Following the Murder of Tyler Kobe Nichols)를 출간했다. 2023년에는 스펜서 오스트랜더의 사진과 함께 《피의 탕약 국가》(Bloodbath Nation)를 발표했다.[70]

일본에서는 오스터 본인의 요청에 따라 독자적으로 편집된 에세이집 《트루 스토리즈》(True Stories, 2004)가 출간되었다.[59] 이 책에는 《The Red Notebook》과 《Hand to Mouth》에서 발췌한 에세이와 뉴욕 타임즈 등에 게재된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59]

6. 4. 시집


  • 소멸(Disappearances : Selected Poems, 1987)
  • ''Unearth'' (1974)
  • ''Wall Writing'' (1976)
  • ''Fragments from the Cold'' (1977)
  • ''Facing the Music'' (1980)
  • ''Disappearances: Selected Poems'' (1988)
  • ''Ground Work: Selected Poems and Essays 1970–1979'' (1990)
  • ''Collected Poems'' (2007)
  • ''White Spaces: Selected Poems and Early Prose'' (2020)
  • 消失: 폴 오스터 시집 (''Disappearances: Selected Poems'' 1988)
  • * 이노 도모유키 역 사조사 1992
  • ''Ground Work'' 1990
  • 『벽의 글자: 폴 오스터 전시집』 이노 도모유키 역 TO북스 2005

참조

[1] 웹사이트 Theater Rigiblick – Spielplan – Kalenderansicht – Paul Auster liest http://www.theater-r[...] 2015-04-23
[2] 뉴스 At home with Siri and Paul http://fr.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08-04-03
[3] 뉴스 Paul Auster, the Patron Saint of Literary Brooklyn, Dies at 77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6-12
[4] 웹사이트 Paul Auster - Part 1: The Apprentice Years (1947-1974) https://www.uv.es/~f[...] 2024-06-12
[5] 서적 Conversations with Paul Auster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13-03-00
[6] 서적 Contemporary Jewish-American Novelists: A Bio-critical Sourcebook https://archive.org/[...] Greenwood
[7] 뉴스 Paul Auster obituary: flamboyant writer who mixed autobiography and fiction https://www.thetimes[...] www.thetimes.com 2024-06-12
[8] 뉴스 Case of the Brooklyn Symboli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8-30
[9] 서적 Winter Journal Henry Holt
[10] 뉴스 American dreams: He may be known as one of New York's coolest chroniclers, but Paul Auster grew up in suburban New Jersey and worked on an oil tanker before achieving literary success. Hadley Freeman meets a modernist with some very traditional view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10-26
[11] 웹사이트 An American writer with a European sensibility, Paul Auster viewed his society from an oblique angle http://theconversati[...] 2024-05-03
[12] 뉴스 Paul Auster, screenwriter and novelist best known for the New York Trilogy – obituary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24-05-00
[13] 뉴스 Paul Auster, American author of The New York Trilogy, dies aged 77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5-03
[14] 웹사이트 Columbia College Today https://www.college.[...]
[15] 웹사이트 Bestselling novelist Paul Auster, author of 'The New York Trilogy,' dies at 77 | WUSF https://www.wusf.org[...] 2024-05-01
[16] 간행물 A Tomb for Anatole by Stéphane Mallarmé: Translated by Paul Auster. New York: New Directions, ISBN 0-811215-938 2006-00-00
[17] 서적 The Notebooks of Joseph Joubert
[18] 웹사이트 Big Think: Paul Auster Interview https://bigthink.com[...]
[19] 웹사이트 The Random House Book of Twentieth Century French Poetry https://poets.org/bo[...]
[20] 웹사이트 A Guide to Reading the Work of Paul Auster (1947-2024) https://tertulia.com[...]
[21] 간행물 Paul Auster http://bombsite.com/[...] BOMB Magazine 1988-00-00
[22] 뉴스 Seven Questions for ''Lulu on the Bridge'' Filmmaker Paul Auster http://www.indiewire[...] Indiewire 1998-05-21
[23] 웹사이트 Man Booker Prize 2017: shortlist makes room for debuts alongside big names https://www.theguard[...] 2017-09-13
[24]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2004–2005 PEN American Center http://www.pen.org/b[...] 2012-08-28
[25]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2008–2009 PEN American Center http://www.pen.org/b[...] 2012-08-28
[26]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2005–2006 PEN American Center http://www.pen.org/b[...] 2012-08-28
[27]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2006–2007 PEN American Center http://www.pen.org/b[...] 2012-08-28
[28] 웹사이트 Turkish PM criticizes US writer Paul Auster over human rights comments, Guardian, 01.02.2012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3-27
[29] 웹사이트 Paul Auster Responds After Turkish Prime Minister Calls Him 'an Ignorant Man', The New York Times, 01.02.2012 http://artsbeat.blog[...] Artsbeat.blogs.nytimes.com 2012-02-00
[30] 뉴스 Why Iran has 16 different translations of one Khaled Hosseini nove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6-23
[31] 웹사이트 A Life in Words by Paul Auster in Conversation with I B Siegumfeldt http://www.penguinra[...] Penguin Random House
[32] 간행물 Spellbound https://www.nybook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08-12-04
[33] 뉴스 Strange things begin to happen when a writer buys a new notebook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3-12-21
[34] 간행물 Booklist review: 4 3 2 1 by Paul Auster https://www.booklist[...] Booklist 2016-11-15
[35] 간행물 Shallow Graves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2009-11-22
[36] 잡지 Long Story Short https://www.newyorke[...] 2014-03-10
[37] 웹사이트 The dark side of happiness https://www.theguard[...] 2006-02-03
[38] 뉴스 Author Paul Auster's son charged with manslaughter for death of infant daughter https://www.upi.com/[...] UPI 2022-04-16
[39] 웹사이트 Paul Auster, author of the New York trilogy, dies https://www.thebooks[...]
[40] 뉴스 Son of Author Paul Auster Charged in Fatal Overdose of Baby Daughter https://www.nytimes.[...] 2022-04-16
[41] 뉴스 Son of acclaimed author Paul Auster dies of overdose while awaiting trial for daughter's death https://www.independ[...] 2022-04-27
[42] 뉴스 The Life and Death of Daniel Auster, a Son of Literary Brooklyn https://www.nytimes.[...] 2022-07-27
[43] 뉴스 Auster feels US marginalises writers as film stars shape opinion https://www.irishtim[...] 2012-09-15
[44] 웹사이트 Liberals Need to Start Holding Obama Responsible for His Policies https://www.theatlan[...] 2012-08-22
[45] 뉴스 Paul Auster on US election: 'I am scared out of my wits' https://www.bbc.com/[...] 2016-11-03
[46] 뉴스 Paul Auster: 'I'm going to speak out as often as I can, otherwise I can't live with myself' https://www.theguard[...] 2017-11-29
[47] 인스타그램 I have been away from Instagram for a while. 2023-03-11
[48] 웹사이트 New York writer Paul Auster, suffering from cancer, will publish a new novel https://time.news/ne[...] 2023-08-31
[49] 뉴스 Paul Auster, Prolific Author and Brooklyn Literary Star, Dies at 77 https://www.nytimes.[...] 2024-04-30
[50] 웹사이트 New York Trilogy Author Paul Auster dies aged 77 https://www.hotpress[...]
[51] 웹사이트 Lauréats du Prix France Culture https://web.archive.[...]
[52] 웹사이트 Paul Auster - Laureates - Princess of Asturias Awards https://www.fpa.es/e[...]
[53] 웹사이트 Search https://www.artsandl[...]
[54] 웹사이트 Smoke Awards - List of awards won by Smoke, including award nominations - FamousFix https://www.famousfi[...]
[55] 웹사이트 The John William Corrington Award for Literary Excellence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Dublin Literary Award | 2001 | Awards and Honors | LibraryThing https://www.libraryt[...]
[57]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58] 웹사이트 Paul Auster https://dublinlitera[...]
[59] 뉴스 Paul Auster, American author of The New York Trilogy, dies aged 77 https://www.theguard[...] 2024-05-01
[60] 웹사이트 Dublin Literary Award | Longlist | Awards and Honors | LibraryThing https://www.libraryt[...]
[61] 웹사이트 ''Paul Auster décoré par la France à New York'' sur le site de France 3.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Paul Auster afirma en León que escribir es una manera "bastante terrible de vivir" https://www.rtve.es/[...] 2009-12-28
[63] 웹사이트 ''Paul Auster décoré par Bertrand Delanoë'' http://www.lexpress.[...] 2010-06-11
[64] 웹사이트 NYC Literary Honors – 2012 Honorees https://web.archive.[...]
[65] 뉴스 Man Booker prize 2017: from Abraham Lincoln to Brexit Britain https://www.theguard[...] 2017-10-15
[66] 웹사이트 http://www.paulauste[...] 2008-09-01
[67] 뉴스 Paul Auster talks to Alison Flood https://www.theguard[...] 2008-10-29
[68] 뉴스 Innocence of youth: How Paul Auster excavated his own past for his latest novel – Features – Books https://www.independ[...] 2009-10-30
[6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70] 뉴스 America built by 'religious fanatics who promoted armed struggle': Paul Auster https://www.smh.com.[...] 2023-03-07
[71] 웹사이트 Paul Auster https://catalog.afi.[...] 2024-05-01
[72] 웹사이트 Lulu on the Bridge https://collections-[...] 2024-05-01
[73] 뉴스 Auster Returns to the Director's Chair | The New York Sun https://www.nysun.co[...] 2024-05-06
[74] 웹사이트 French Poetry since 1950: Tendencies III http://www.maulpoix.[...]
[75] 웹사이트 Paul Auster and True Tales of American Life https://www.scribd.c[...] 2024-06-12
[76] 뉴스 Auggie Wren's Christmas Story https://www.nytimes.[...] 1990-12-25
[77] 서적 The story of my typewriter D.A.P 2002
[78] 웹사이트 The Accidental Rebel https://www.nytimes.[...] 2008-04-23
[79] 웹사이트 Amerikanske forfatterstjerner hjælper miniboghandel på Nørrebro http://politiken.dk/[...] 2015-04-21
[80] 웹사이트 His Back Pages https://www.bookforu[...]
[81] 웹사이트 City of Glass: It Was a Phone Call That Started It https://www.tcj.com/[...] 2023-07-17
[82] 웹사이트 Sundance Institute Annouces 2009 Alfred P. Sloan Science-In-Film Awards - sundance.org https://www.sundance[...] 2009-03-17
[83] 웹사이트 I Remember | Brooklyn Filmmakers Collective https://brooklyn.fil[...] 2022-05-07
[84] 서적 I Remember Granary Books 2001
[85] 웹사이트 NPR – Weekend All Things Considered: National Story Project https://www.npr.org/[...] NPR
[86] 웹사이트 NPR – Weekend All Things Considered: National Story Project https://www.npr.org/[...] NPR
[87] 간행물 Paul Auster, The Art of Fiction No. 178 http://www.theparisr[...] 2003-09-00
[88] 서적 I Thought My Father Was God: And Other True Tales from NPR's National Story Project https://archive.org/[...] Macmillan 2002-09-07
[89] 서적 True Tales of American Life https://archive.org/[...] Faber & Faber
[90] 웹사이트 Michael Mantler / Paul Auster: Hide and Seek https://ecmrecords.c[...]
[91] 뉴스 Sounds of a Silent Place https://www.nytimes.[...] 2004-09-11
[92] 웹사이트 Soundwalk http://www.soundwalk[...]
[93] 웹사이트 Dalton Pen Communications Awards http://www.daltonpen[...]
[94] 웹사이트 Audio Publishers Association http://www.audiopub.[...]
[95] 웹사이트 Olga Neuwirth ce qui arrive... - Opera https://www.boosey.c[...]
[96] 뉴스 Olga Neuwirth https://www.nytimes.[...] 2012-12-09
[97] 웹사이트 One Ring Zero https://www.albany.e[...]
[98] 웹사이트 The Farangs – We Must Be Losing It (2005, CD) - Discogs https://www.discogs.[...]
[99] 웹사이트 The Inner Life of Martin Frost https://variety.com/[...] 2007-03-22
[100] 웹사이트 The Inner Life of Martin Frost https://www.hollywoo[...] 2007-04-12
[101] 웹사이트 The Red Notebook https://evhospice.or[...]
[102] 웹사이트 Act of God http://www.nowtoront[...]
[103] 웹사이트 Charlotte Rampling: The Look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104] 뉴스 At home with Siri and Paul http://fr.jpost.com/[...] 2008-04-03
[105] 뉴스 Case of the Brooklyn Symbolist http://www.nytimes.c[...] 1992-08-30
[106] 뉴스 Paul Auster, Prolific Author and Brooklyn Literary Star, Dies at 77 https://www.nytimes.[...] 2024-04-30
[107] 뉴스 米小説家ポール・オースターさん死去 著作に「ニューヨーク三部作」 https://www.afpbb.co[...] 2024-05-01
[108] 웹사이트 Anna S. Buberka Auster https://ja.findagrav[...]
[109] 서적 文化社会学への招待: 〈芸術〉から〈社会学へ〉 世界思想社 2002
[110] 웹사이트 Samuel Auster https://ja.findagrav[...]
[111] 뉴스 父と継母の小説の「ネタ」にされて…作家ポール・オースターの息子 父との複雑な関係と薬物死 https://courrier.jp/[...] クーリエ・ジャパン 2022-09-19
[112] 웹사이트 青春アドベンチャー 2002年 放送済みの作品 : NHKオーディオドラマ https://www.nhk.or.j[...] 2024-05-11
[113] 문서 1995년 『공중 곡예사』 이후 폴 오스터의 거의 모든 작품들이 [[열린책들]]에서 번역, 출간되고 있다. 북디자인은 이승욱 씨가 하였다. 이승욱 외, 〈디자인의 평균을 높여라.〉,《디자이너가 말하는 디자이너》, 부키. 열린책들, 부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