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퐁텐블로 칙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퐁텐블로 칙령은 1685년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가 반포한 칙령으로, 1598년 낭트 칙령으로 인정되었던 개신교도(위그노)의 종교적 자유를 박탈하고 개신교 예배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위그노들이 프랑스를 떠나 유럽 각국으로 망명하였으며, 프랑스는 숙련된 장인들을 잃어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퐁텐블로 칙령은 종교적 편협함의 발현으로 평가받으며, 1787년 베르사유 칙령을 통해 종교적 관용이 다시 허용되었고, 1985년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은 칙령 300주년을 기념하여 위그노 후손들에게 공개 사과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퐁텐블로 칙령
개요
루이 14세
루이 14세
유형칙령
서명루이 14세
날짜1685년 10월 18일
장소퐁텐블로
목적낭트 칙령 폐지
결과프랑스 내 프로테스탄트 박해 강화, 대규모 이민 발생
배경
종교적 상황프랑스 내 가톨릭교 우세, 프로테스탄트 소수
정치적 상황루이 14세의 강력한 왕권 강화 정책
선행 칙령낭트 칙령(1598년): 프로테스탄트에게 종교 자유 일부 허용
내용
주요 조항모든 프로테스탄트 교회 파괴
프로테스탄트 학교 폐쇄
프로테스탄트 목사 추방
프로테스탄트 신앙 금지
가톨릭교로의 개종 강요
폐지 이유루이 14세프랑스 내 종교 통일을 목표로 함.
영향
사회적 영향프로테스탄트들의 대규모 이민: 주로 네덜란드, 잉글랜드, 프로이센 등으로 망명
프랑스 내 프로테스탄트 공동체 약화
종교적 갈등 심화
경제적 영향숙련된 프로테스탄트 노동력 유출로 인한 경제적 손실
정치적 영향루이 14세의 이미지 실추 및 국제적 비난
평가
긍정적 시각왕권 강화 및 종교 통일 시도
부정적 시각종교적 관용 부족, 인권 침해, 사회 분열 심화
관련 인물
주요 인물루이 14세: 칙령 발표
콜베르: 재무 장관, 초기 종교 정책에 영향
루부아: 전쟁 장관, 강경한 프로테스탄트 탄압 주장
관련 문서
관련 문서낭트 칙령

2. 배경

앙리 4세위그노 전쟁을 끝내고 개신교와 가톨릭 교도 간의 통합을 도모하기 위해 1598년에 낭트 칙령을 반포했다.[16] 낭트 칙령은 프랑스 내에서 칼뱅주의 개신교인 위그노의 종교에 대한 권리와 광범위한 종교적 자유를 인정하였다. 이는 개인의 종교적 믿음에 대하여 사상의 자유를 인정한 첫 사례로 꼽힌다.[17] 과거 1555년 독일의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화의에서 영주에 의한 종교선택의 자유를 인정한 것보다 진일보한 조치였다. 그러나 가톨릭을 국가교회로 규정한 것과 같았기에 개신교도들은 불만스러워했고, 여러 면에서 가톨릭에게 유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톨릭의 불만은 더욱 심했다.[18] 따라서 큰 틀에서 볼 때 개신교와 가톨릭 간 화해와 국민적 통합은 이루어졌으나 양측의 갈등은 낭트 칙령 발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낭트 칙령 기념비


낭트 칙령은 프랑스의 앙리 4세에 의해 반포되었으며, 주로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에서 칼뱅주의 개신교 신자, 즉 위그노에게 상당한 권리를 부여했다. 앙리 4세는 이 칙령을 통해 시민적 통합을 증진하고자 했다.[3] 이 칙령은 일부 개신교 신자들에게 관용을 베풀고 세속주의의 길을 열었으며, 개인에게 일반적인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제공했다. 또한 사면과 주(州)에서 일할 권리를 포함한 시민권 복원, 국가를 위한 업무, 왕에게 직접 불만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 등 개신교 신자들에게 많은 구체적인 양보를 제공했다. 이 칙령은 16세기 후반 프랑스를 괴롭혔던 프랑스 종교 전쟁의 종식을 알렸다.

루이 14세는 중앙집권과 절대왕권을 확립하기 위해서 교황청과 프랑스 내 다수를 차지하는 로마 가톨릭 교도들로부터 지지를 받고자 1685년에 퐁텐블로 칙령을 발효하여 개신교도의 종교적 자유를 박탈하였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의 문화적, 종교적 통일성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3. 칙령의 내용


  • 프랑스 전역에 남아있던 개신교 예배처들의 파괴와 개신교의 전면적인 금지[19]
  • 신체와 재산 압류형에 처한다는 조건으로 개인적인 예배까지도 금지[19]
  • 15일 내 프랑스로부터 모든 개신교 목사들을 추방[19]
  • 모든 개신교 학교들의 폐교[19]
  • 부모들이 개신교 신앙을 자녀들에게 교육시키는 것을 금지[19]
  • 각 사건마다 500 리브르의 형에 처한다는 조건으로, 자녀들에게 로마 가톨릭 신부들에 의해 세례받고, 로마 가톨릭 아래서 양육받게 하도록 명령[19]
  • 4달 이내에 프랑스로 돌아오는데 실패한 모든 개신교 피난자들의 부동산과 동산을 몰수[19]
  • 프랑스로부터 피난하고자 하는 행위가 발각된 모든 남자들에 대한 종신 갤리형과 모든 여자들에 대한 종신형 선고[19]


퐁텐블로 칙령의 주요 조항은 다음과 같다.

조항내용
제1조낭트 칙령 및 의회를 통해 승인된 수정 조항을 폐지한다. 모든 (개신교) 교회의 해체를 명령한다.
제3조개혁파 예배와 개신교 미성년자를 위한 학교 교육을 금지한다.
제4조, 제5조목사에게는 개종 또는 국외 추방의 선택지를 부여한다.
제10조개종하지 않은 프로테스탄트에 대해 국외 탈출을 금지하며, 위반 시 남성은 갤리선 노역형, 여성은 전 재산 몰수 후 금고형에 처한다. 단, 이미 타국으로 이주한 프로테스탄트에 대해서는 왕국으로의 귀환 및 직업과 재산의 복귀를 인정한다.
제12조신이 다른 사람들처럼 그들도 비추기를 바라는 점을 고려하여, 개혁교(RPR) 사람들이 프랑스 내에서 거주하며 상업 활동을 계속하고, 재산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단, 개혁교 신앙을 실천하거나 예배를 위한 집회를 하는 것은 금지되며, 위반 시 전 재산 몰수한다.


4. 칙령의 영향

이 칙령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프랑스 내 개신교 신자(위그노)들이 가톨릭 교회의 탄압을 피해 스위스, 영국 등 유럽 각국으로 망명하였다.[15] 이들은 망명권을 찾아 네덜란드 공화국, 스웨덴, 스위스,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덴마크,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신성 로마 제국의 개신교 국가, 아프리카의 케이프 식민지, 북아메리카로 망명했다.[5] 영국은 낭트 칙령의 폐지로 프랑스에서 이주해오는 약 2만 명의 위그노를 받아들여 상공업을 발전시켰다.

프랑스 위그노들이 브란덴부르크로 도망치는 모습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후의 프로이센 왕국)으로 이주한 수만 명의 위그노들은 포츠담 칙령에 의해 보호받았다. 18세기 초 베를린 인구의 3분의 1이 프랑스인이었다고 전해지며, 이들은 농업과 공업 양면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양잠업의 성공은 주목할 만하다.[12]

반면, 프랑스는 숙련된 기술자와 상공업자들을 잃어 큰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13] 특히, 위그노가 많았던 프랑스의 시계 제조사들 중 다수가 스위스로 이주하면서 프랑스 시계 산업이 쇠퇴하고 스위스 시계 산업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퐁텐블로 칙령은 1492년 유대인의 스페인 추방을 명령한 알함브라 칙령, 1609년부터 1614년까지의 모리스코의 추방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 세 가지 칙령은 모두 종교적 관용의 시기를 끝내는 종교적 편협함의 발현이며, 사회적, 경제적 영향 면에서 유사하다.

Jean Henri Huguetan)]]과 같이 암스테르담으로 도망친 많은 중산층 위그노들은 출판·금융업에서 번성했다. 일부 위그노계 은행가들은 프랑스에 남아 루이 14세에게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들은 가족들이 암스테르담뿐만 아니라 런던, 함부르크, 단치히로 망명했기 때문에 그곳에서 자금을 모을 수 있었다.

이 칙령은 루이 16세 시대인 1787년 11월 7일 베르사유 칙령 서명으로 폐지되었다.

5. 칙령의 폐지와 그 이후

얀센주의자[9]들은 퐁텐블로 칙령의 폐지를 반대했으며, 특히 상류층의 신중한 구성원들 사이에서 루이 15세 치세 동안 완화되었다. R.R. Palmer는 "100년 후, 개신교도들이 다시 관용을 받았을 때, 그들 중 많은 수가 상업적으로 번창하고 정치적으로 충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은 그들이 아일랜드 가톨릭 신도보다 훨씬 더 잘 지냈음을 나타낸다"라고 결론지었다.[2]

18세기 말, Anne-Robert-Jacques Turgot를 포함한 수많은 저명한 프랑스 철학자와 문인들이 종교적 관용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루이 16세의 재상인 Guillaume-Chrétien de Malesherbes와 개신교 공동체의 대변인인 Jean-Paul Rabaut Saint-Étienne, 그리고 구체제의 지방 항소 법원 또는 ''파르망''의 구성원들의 노력은 왕이 프랑스 사회를 개방하도록 설득하는데 효과적이었다. 1787년 11월 7일, 루이 16세는 베르사유 칙령에 서명했는데, 이는 2½개월 후인 1788년 1월 29일 ''파르망''에 등록된 관용 칙령으로 알려져 있다. 이 칙령은 102년 동안 금지된 칼뱅주의 위그노, 루터교 및 유대교 신앙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민사 및 법적 인정을 부여하고 공개적으로 회중을 형성할 권리를 부여했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제정으로 완전한 종교의 자유는 2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87년 칙령은 종교 분쟁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단계였으며, 프랑스에서 종교적 박해를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10] 1789년에서 1815년 사이에 프랑스 혁명군이 다른 유럽 국가를 침략했을 때, 그들은 박해받거나 제한된 종교 공동체 (로마 가톨릭, 개신교, 유대교)를 해방하는 일관된 정책을 따랐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World 1956
[2] 기타 Palmer, eo. loc.
[3] 서적 Coexister dans l'intolérance Geneva 1998
[4] 웹사이트 The Edict of Fontainebleau (October 22, 1685) https://sourcebooks.[...] 2024-07-12
[5] 서적 Western Civilization—Volume II: Since 1500 2003
[6] 웹사이트 Immigration: The New Comers https://www.kulturar[...] 2020-04-26
[7] 웹사이트 MEMORIAL OBELISK https://fredericiahi[...] Fredericia Museum 2020-04-26
[8] 웹사이트 Huguenot Society :: Blog https://www.huguenot[...]
[9] 논문 The Jansenist Campaign for Toleration of Protestants in Late Eighteenth-Century France: Sacred or Secular? 1985
[10] 웹사이트 Edict of Versailles (1787) http://booking-help.[...] Encyclopedia of the Age of Political Ideals 2012-01-29
[11] 웹사이트 Allocution de M. François Mitterrand,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aux cérémonies du tricentenaire de la Révocation de l'Edit de Nantes, sur la tolérance en matière politique et religieuse et l'histoire du protestantisme en France, Paris, Palais de l'UNESCO, vendredi 11 octobre 1985. - vie-publique.fr https://web.archive.[...] Discours.vie-publique.fr 1985-10-11
[12] 기타 독일민주공화국
[13] 기타 프로이센 왕
[14]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5]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위그노가 프랑스에서 달아나다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이클 우드, 피터 퍼타도, 박누리, 김희진)' https://terms.naver.[...]
[16]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7] 간행물 프로테스탄티즘과 민주주의 1992-02
[18] 웹사이트 낭트칙령 (두산백과)
[19] 서적 The Huguenots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868
[20] 학위논문 17세기 망명 위그노의 삶의 궤적과 정체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