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루토늄 이야기 도움이 되는 친구 플루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루토늄 이야기: 도움이 되는 친구 플루토군은 동핵연이 제작한 홍보 비디오로, 플루토늄의 평화적 이용과 안전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비디오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플루토군'을 등장시켜 플루토늄에 대한 오해를 풀고 장기간 에너지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설명하지만,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한다는 국제적인 비판을 받아 절판되었다. 이후 개정판이 나왔으며, 몬주 원자력 발전소 반대 주민들의 반발과 미국 에너지부 장관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인터넷에 다시 게재되어 재조명되었으며, 마스코트 캐릭터 '플루토군'은 아톰 플라자 홍보에 활용되었다.

2. 비디오 "플루토늄 이야기: 믿음직한 동료"

동핵연이 제작한 홍보 비디오 "플루토늄 이야기: 믿음직한 동료"는 실사 영상 중간에 애니메이션 캐릭터 '플루토군'이 등장하여 플루토늄의 평화적 이용과 안전성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비디오는 플루토늄의 역사와 유래를 설명하고, 플루토늄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플루토늄이 청산가리처럼 즉사하는 독극물이 아니며, 피부로 흡수되지 않고 물과 함께 삼켜도 대부분 몸 밖으로 배출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에 들어가도 대부분 배설되며, 혈액에 직접 흡수되거나 호흡을 통해 흡입되지 않는 이상 큰 위험이 없다고 설명한다. 플루토늄으로 인해 이 발생했다고 단정된 사례가 없으며, 위험성이 강조되는 것은 지식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플루토늄이 장기간에 걸쳐 공급 가능한 믿음직한 동료임을 강조한다.[9][10][11]

2. 1. 제작 배경

몬주 고속 증식로가 위치한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파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본래 위험한 물질이다. 지나친 안전 PR은 문제가 있다"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홍보실은 "플루토늄은 삼켜도 거의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설되기까지의 방사선의 영향도 거의 없다. 비디오의 내용은 전문가의 감수를 거친 것으로 자신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9]

당시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항의문을 보냈으며,[10] 이 비디오의 내용은 국제적인 비판을 받아 절판 후 개정판이 나왔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1]

학연 과학 만화 등으로 알려진 만화가 아사리 요시토는 자신의 작품 라지오만 제6화에서 이 비디오를 소재로 다루었다.

2008년 9월 3일 홋카이도 방송(HBC)의 Hana * 텔레비전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관람객 깜짝"에서 마린 관 직원이 내민 물건과 그 위험성에 대해 다루면서 이 비디오가 거론되었다.

동북 지방 태평양 바다 지진 ( 동일본 대지진 )의 해일 피해에 따른 후쿠시마 제 1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후 2011년 3월 하순경부터 인터넷의 동영상 투고 사이트에 이 비디오가 게재되어 다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 2. 내용 구성

실사 중간에 애니메이션 "플루토군"이 등장하여 플루토늄의 평화적 이용과 안전성을 설명한다.

플루토늄의 역사와 유래에서 시작하여 플루토늄에 대한 오해를 푸는 입장에서 다음과 같이 해설한다.

  • 플루토늄은 청산가리처럼 마시면 바로 죽는 극약이 아니다.
  • 플루토늄은 피부에서 흡수되지 않으며, 과 함께 삼켜져도 거의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된다.
  • 에 들어간 경우에도 대부분 배설되어 몸 밖으로 배출된다.
  • 다만, 혈액에 직접 흡수된 경우에는 배출이 쉽지 않고, 호흡을 통해 흡입된 경우에도 전신으로 퍼져 머무르므로 이러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
  • 플루토늄이 원인이 되어 이 되었다고 단정된 사례는 없다.
  • 위험성이 강조되는 것은 사람들의 지식 부족에 기인한다.
  • 플루토늄은 장기간에 걸쳐 공급 가능한 믿음직한 동료이다.


이상의 내용은 실제 비디오 작품에 근거한다.[1]

3. 비판과 논란

이 비디오는 공개 이후 국내외에서 많은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다. 주요 논점은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지나치게 축소하고, 안전성을 과장했다는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 장관의 항의 서한[10] 등 국제적인 비판이 있었고, 결국 절판 후 개정판이 나왔다.[11] 고속 증식로 몬주가 위치한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 주민들도 비판에 참여했다. 만화가 아사리 요시토는 자신의 만화 '라디오맨' 제6화에서 이 비디오를 소재로 다루기도 했다. 2008년 9월 3일 홋카이도 방송(HBC)의 한 특집 프로그램에서도 이 비디오가 언급되었다.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 이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서, 2011년 3월 하순부터 인터넷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다시 게재되어 재조명되기도 했다.

3. 1. 국내 반응

고속 증식로 몬주가 있는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파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본래 위험한 물질이다. 지나친 안전 홍보다"라며 반발했다. 이에 대해 홍보실은 "플루토늄은 삼켜도 대부분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설될 때까지의 방사선 영향도 거의 없다. 비디오의 내용은 정밀 검토를 거쳤으며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9][2]

2008년 9월 3일 홋카이도 방송(HBC)의 Hana*텔레비전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견학객 깜짝 '토마린 관' 직원이 내민 것은? 위험성은?"에서 이 문제를 다루었다.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 피해에 따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후 2011년 3월 하순경부터 인터넷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이 비디오가 게재되어 다시금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 2. 국제 반응

고속 증식로 몬주가 위치한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파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본래 위험한 물질이다. 지나친 안전 홍보다"라며 반발했다. 이에 대해 동연 홍보실은 "플루토늄은 삼켜도 대부분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설될 때까지의 방사선 영향도 거의 없다. 비디오의 내용은 정밀 검토를 거쳤으며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9]

당시 미국 에너지부 장관으로부터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항의 서한이 보내지는 등[10] 국제적인 비판을 받아 절판된 후 개정판이 나왔다고 전해진다.[11]

학연의 과학 만화 등으로 알려진 만화가 아사리 요시토가 '라디오맨' 제6화에서 소재로 삼았다.

2008년 9월 3일 방영된 홋카이도 방송(HBC) 'Hana*텔레비전'의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견학객 깜짝 '토마린 관' 직원이 내민 것은? 위험성은?"에서 다뤄졌다.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 피해에 따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후 2011년 3월 하순경부터 인터넷의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게재되어 다시금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 3. 과학적 검증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파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본래 위험한 물질이다. 지나친 안전 홍보는 문제가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홍보실은 "플루토늄은 삼켜도 거의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설되기까지의 방사선의 영향도 거의 없다. 비디오의 내용은 감시한 것으로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9]

당시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항의문을 보냈으며,[10] 국제적인 비판을 받아 절판된 후 개정판이 나왔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1]

만화가 아사리 요시토는 라지오만 제6화에서 이 비디오를 소재로 다루었다. 2008년 9월 3일 방영된 홋카이도 방송(HBC) Hana * 텔레비전의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관람객 깜짝"이라는 제목으로 마린 관 직원이 내민 물건과 그 위험성에 대해 이 비디오가 언급되었다.

동북 지방 태평양 바다 지진 ( 동일본 대지진 )의 해일 피해에 따른 후쿠시마 제 1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후, 2011년 3월 하순경부터 인터넷의 동영상 투고 사이트에 게재되어 다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디오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 "플루토군"은 플루토늄의 평화적 이용과 안전성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다.

  • 플루토늄은 청산가리처럼 마시면 바로 죽는 극약이 아니다.
  • 플루토늄은 피부에서 흡수되지 않으며, 과 함께 삼켜져도 거의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된다.
  • 에 들어간 경우에도 대부분 배설되어 몸 밖으로 배출된다.
  • 다만, 혈액에 직접 흡수된 경우에는 배출이 쉽지 않고, 호흡을 통해 흡입된 경우에도 전신으로 퍼져 머무르므로 이러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
  • 플루토늄이 원인이 되어 이 되었다고 단정된 사례는 없다.
  • 위험성이 강조되는 것은 사람들의 지식 부족에 기인한다.
  • 플루토늄은 장기간에 걸쳐 공급 가능한 믿음직한 동료이다.

4. 마스코트 캐릭터 '플루토군'

플루토군은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숨기고 친근한 이미지를 주기 위해 만들어진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2등신 캐릭터로, 플루토늄 원소 기호 "Pu"가 새겨진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12][13] 후쿠이현 쓰루가시에 있는 일본 원자력 연구 개발기구의 홍보 시설 아톰 플라자의 [https://web.archive.org/web/20110323071708/http://www.jaea.go.jp/04/xturuga/gallery.html 공식 사이트]에서 사용되었다.

4. 1. 캐릭터 활용

플루토군은 안내 역할을 맡는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2등신 캐릭터이며, 플루토늄 원소 기호 "Pu"를 본뜬 헬멧을 쓰고 있다.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의 홍보 시설인 아톰 플라자는 후쿠이현 쓰루가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http://www.jaea.go.jp/04/xturuga/gallery.html 공식 사이트]에서 플루토군을 사용하고 있다.

2011년 4월경 트위터에 비공식 계정 "[https://x.com/Plutokun_Bot 플루토군]"이 나타났으며[4], T셔츠 도안에도 플루토군이 사용되었다.[6]

4. 2. 패러디와 풍자

2011년 4월경 트위터의 비공식 계정 "[https://x.com/Plutokun_Bot 플루토군]"이 나타났으며[4], T셔츠 도안에도 사용되었다.[6]

5.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2011년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이 비디오와 '플루토군' 캐릭터는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5. 1. 재조명과 비판

2011년 3월 하순,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의 해일 피해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이후, 인터넷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이 비디오가 다시 게재되면서 큰 관심을 받았다.[11]

  • 고속 증식로 몬주가 있는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본래 위험한 물질인데, 지나치게 안전을 홍보한다"며 반발했다. 이에 동연 홍보실은 "플루토늄은 삼켜도 거의 배설되며, 배설되기까지 방사선의 영향도 거의 없다. 비디오 내용은 정밀 검토를 거쳤으며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9]
  • 당시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항의문을 보냈으며,[10] 국제적인 비판으로 인해 비디오는 절판되었고, 이후 개정판이 나왔다고 전해진다.[11]
  • 학연 과학 만화 등으로 알려진 만화가 아사리 요시토는 '라디오맨' 제6화에서 이 비디오를 소재로 다루었다.
  • 2008년 9월 3일 홋카이도 방송(HBC) 'Hana*텔레비전'의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관람객 깜짝 '토마린 관' 직원이 내민 것은? 위험은?"에서 이 비디오가 언급되었다.
  • 2011년 4월경 트위터에 비공식 인 '플루토군'이 나타나거나,[12] 티셔츠 도안에 도입되기도 했다.[13]

5. 2. 일본 원자력 정책의 변화

동해안 대지진(동일본 대지진)과 그로 인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2011년 3월 하순경부터 이 비디오가 인터넷 동영상 투고 사이트에 게재되며 다시금 주목받았다.[9] 이는 일본 원자력 정책 변화의 큰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플루토늄 홍보 비디오와 플루토군은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고속증식로 몬주가 있는 후쿠이현의 원전 반대 주민들은 "플루토늄은 위험한 물질인데, 지나치게 안전만 홍보한다"라고 비판했다.[2] 미국 에너지부 장관도 "플루토늄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한다"라며 항의 서한을 보냈다.[4] 국제적인 비판에 직면한 비디오는 절판되었고, 이후 개정판이 나왔다.[5]

2008년 9월 3일, 홋카이도 방송(HBC)의 Hana*텔레비전 특집 "진짜 우라늄? 설명에 견학객 깜짝 '토마린 관' 직원이 내민 것은? 위험성은?"에서 이 비디오가 다뤄지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株式会社三和クリーン http://www.sanwaclea[...]
[2] 뉴스 '『行き過ぎた安全PR』--動燃のPRビデオに住民反発' 毎日新聞 1994-01-01
[3] 간행물 '「悪性リンパ腫」多発地帯の恐怖' 1997
[4] 뉴스 プルトニウムは呑んでも平気? 旧動燃キャラ「プルト君」の妄言 http://news.nifty.co[...] 週刊朝日 2011-04-19
[5] 뉴스 臨界事故と日本の原子力行政――現地調査をふまえて、志位和夫書記局長に聞く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1999-11-08
[6] 뉴스 プルトニウムの「プルトくん」Tシャツ発売される http://rocketnews24.[...] ロケットニュース24 2011-04-26
[7] 웹사이트 株式会社三和クリーン http://www.sanwaclea[...]
[8] 간행물 '「悪性リンパ腫」多発地帯の恐怖' 1997
[9] 뉴스 '『行き過ぎた安全PR』--動燃のPRビデオに住民反発' 毎日新聞 1994-01-01
[10] 뉴스 プルトニウムは呑んでも平気? 旧動燃キャラ「プルト君」の妄言 http://news.nifty.co[...] 週刊朝日 2011-04-19
[11] 뉴스 臨界事故と日本の原子力行政――現地調査をふまえて、志位和夫書記局長に聞く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1999-11-08
[12] 뉴스 プルトニウムは呑んでも平気? 旧動燃キャラ「プルト君」の妄言 http://news.nifty.co[...] 週刊朝日 2011-04-19
[13] 뉴스 プルトニウムの「プルトくん」Tシャツ発売される http://rocketnews24.[...] ロケットニュース24 2011-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