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피루브산을 이산화 탄소와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량체 구조를 가지며, 각 활성 부위는 티아민 피로인산(TPP)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효소는 티아민 피로인산의 일리드 형태를 통해 피루브산의 탈카복실화를 촉매하며, 효모에서 혐기성 발효 중 피루브산을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인자로 티아민 피로인산과 마그네슘 이온을 필요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4.1.1 - 루비스코
루비스코는 식물, 조류, 시아노박테리아 등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캘빈 회로에서 이산화 탄소 고정 반응을 촉매하며 Form I, Form II, Form III, Form IV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낮은 활성 속도와 광호흡 발생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EC 4.1.1 -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복시키네이스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복시키네이스(PEPCK)는 옥살로아세트산을 포스포엔올피루브산과 이산화 탄소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며, 포도당신생합성, 탄소 고정, 대사 과정 등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하고 호르몬 등에 의해 활성이 조절된다.
|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 | |
|---|---|
| 개요 | |
![]() 피루브산 + 티아민 피로인산(TPP) → 하이드록시에틸-TPP + CO₂ | |
| EC 번호 | 4.1.1.1 |
| CAS 등록번호 | 9001-04-1 |
| GO 코드 | 0004737 |
| 상세 정보 | |
| 다른 이름 | 2-옥소산 카르복실화효소 α-케토산 카르복실화효소 |
| 촉매 반응 | |
| 반응식 | 피루브산 + 티아민 피로인산(TPP) → 하이드록시에틸-TPP + CO₂ |
| 관련 효소 | |
| 관련 효소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Pyruvate dehydrogenase) 피루브산 카르복실화효소 (Pyruvate carboxylase) |
2. 구조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각 이량체의 단량체 사이에 공유되는 두 개의 활성 부위를 갖는 이량체의 이량체로 생성된다. 효소는 β-α-β 구조를 포함하여 평행한 β-시트를 생성한다. 각 이합체에 563개의 잔기의 소단위체가 포함되어 있다. 효소는 강한 단량체 간의 인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량체는 느슨하게 상호작용하여 느슨한 사량체를 형성한다.[15][7] 분자량 약 60kDa의 펩타이드가 호모이량체로 기능하며, 거기에 2개의 쌍이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다.[8]
2. 1. 활성 부위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의 각 활성 부위는 티아민 피로인산(TPP) 고리와 상호작용하는 산성 Glu477 및 보조 인자 결합에 참여하는 Glu51을 포함하여 2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지고 있다.[12][4] 이들 글루탐산은 양성자 공여체로 작용하여 티아민 피로인산의 일리드를 안정화시킨다.[12][4] Glu477 주변은 비극성 환경이며, 이는 정상적인 pKa보다 높은 값(작은 단백질에서 정상적인 Glu 및 Asp의 pKa는 약 4.6)을 갖게 한다.[12][4] 친유성 잔기 Ile476, Ile480, Pro26은 Glu477 주변 영역의 비극성에 기여한다.[12][4] 티아민 피로인산(TPP) 조효소 외에 음으로 하전된 유일한 잔기는 Asp28이며, 이는 Glu477의 pKa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12][4] 따라서 효소 환경은 Glu477의 γ-카복실기가 pH 6 정도에서 양성자화되도록 한다.[12][4]티아민 피로인산(TPP)의 아미노피리미딘 고리는 이민 형태일 때 염기 역할을 하여 티아민 피로인산의 C2 양성자를 끌어내어 친핵체 일리드를 형성한다.[15][7] 효소에는 티아민 피로인산의 C2를 탈양성자화할 수 있는 염기성 곁사슬이 없기 때문에 이 과정이 필요하다.[15][7] 활성 부위에서 Glu와 관련된 돌연변이는 효소의 비효율성 또는 불활성을 초래할 수 있다.[15][7] 핵자기 공명(NMR) 분석 결과, 티아민 피로인산이 기질 유사체인 피루바마이드와 효소에 결합할 때 일리드 생성 속도가 정상적인 효소 속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15][7] Glu51에서 Gln으로의 돌연변이는 이 속도를 감소시킨다.[15][7]
Asp444 및 Asp28 잔기는 Mg2+와 결합한다.[13][5] 2개의 Cys221(각 부위에서 20 Å 이상 떨어져 있음) 및 His92는 기질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효소를 저해하거나 활성화시키는 입체구조적 변화를 유발한다.[13][5] 활성 부위에 결합된 기질이 피루브산이면 효소는 조절 부위에서의 입체구조적 변화에 의해 활성화된다.[13][5] 이 입체구조적 변화는 1,2 친핵성 첨가를 수반하며, 싸이오케탈을 형성하여 효소를 불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화시킨다.[13][5]
XC6H4CH=CHCOCOOH 부류의 저해제/기질 유사체 및 신남알데하이드와 같은 화합물의 탈카복실화 생성물은 효소 활성을 저해한다.[13][5] 저해제의 다른 잠재적인 친핵성 부위로는 Cys152, Asp28, His114, His115, Gln477이 있다.[13][5]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의 정상적인 촉매 속도는 kcat = 10 s−1이지만, Glu51이 Gln으로 돌연변이된 효소의 속도는 kcat = 1.7 s−1이다.[15][7]
2. 2. 티아민 피로인산 (TPP) 보결분자단
보조 인자인 티아민 피로인산(TPP)은 효소에 대한 보결분자단이다.[11] 티아졸 고리에서 황과 질소 원자 사이에 위치한 CH 중심은 산성이다. 탈양성자화시 티아민 피로인산은 일리드를 생성하고 탄소 음이온으로 음전하를 띤다.[11] 이것은 피루브산의 케톤 탄소에서 친핵체로 반응할 수 있다.[3] 피루브산의 탈카복실화 동안 티아민 피로인산은 비공유결합에 의해 탄소 음이온 중간생성물을 친전자체로 안정화시킨다.[15] 구체적으로 피리딜 질소 N1' 및 티아민 피로인산의 4'-아미노기는 효소-티아민 피로인산 복합체의 촉매 기능에 필수적이다.[12]3. 메커니즘
효소는 피루브산을 이산화 탄소와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한다.[14][6] 반응은 티아민 피로인산(TPP)의 일리드 형태의 친핵성 티아졸 탄소가 케토기를 공격하면서 시작된다. 그 후 중간생성물이 비가역적인 단계에서 이산화 탄소를 잃고 엔올을 생성한다. 이어서 유리 알데하이드가 방출되고 티아민 피로인산이 재생된다.[14]
4. 효모에서의 역할
효모에서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혐기성 발효 동안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피루브산을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이산화 탄소로 분해한다.[15]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세포가 제거하는 CO2 제거 수단을 생성한다.[15][7]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또한 경쟁하는 생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항생제로 사용되는 에탄올을 생성하는 수단이기도 하다.[15]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는 전이 상태에서 카보닐 탄소 원자에서 일어나는 음전하의 축적 때문에 α-케토산의 탈카복실화를 돕는 데 필요하다. 따라서 효소는 티아민 피로인산(TPP)과 α-케토산(피루브산)이 만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15][7]
5. 성질
참조
[1]
웹사이트
NiceZyme View of ENZYME: EC 4.1.1.1.
http://us.expasy.org[...]
ExPASy Proteomics Server
[2]
서적
Surviving Hypoxia
CRC Press
1993
[3]
서적
The organic chemistry of biological pathways
Roberts and Co. Publishers
[4]
논문
Pyruvate Decarboxylase: A Molecular Modeling Study of Pyruvate Decarboxylation and Acyloin Formation
[5]
논문
Reactivity at the substrate activation site of yeast pyruvate decarboxylase: inhibition by distortion of domain interactions
1998-02
[6]
서적
Biochemistr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13
[7]
논문
Catalytic centers in the thiamin diphosphate dependent enzyme pyruvate decarboxylase at 2.4-A resolution
1993-06
[8]
논문
Catalytic centers in the thiamin diphosphate dependent enzyme pyruvate decarboxylase at 2.4-A resolution
1993-06
[9]
웹인용
NiceZyme View of ENZYME: EC 4.1.1.1.
http://us.expasy.org[...]
ExPASy Proteomics Server
2023-06-26
[10]
서적
Surviving Hypoxia
https://archive.org/[...]
1993
[11]
서적
The organic chemistry of biological pathways
https://archive.org/[...]
Roberts and Co. Publishers
[12]
논문
Pyruvate Decarboxylase: A Molecular Modeling Study of Pyruvate Decarboxylation and Acyloin Formation
[13]
논문
Reactivity at the substrate activation site of yeast pyruvate decarboxylase: inhibition by distortion of domain interactions
1998-02
[14]
서적
Biochemistry
Brooks/Cole, Cengage Learning
2013
[15]
논문
Catalytic centers in the thiamin diphosphate dependent enzyme pyruvate decarboxylase at 2.4-A resolution
199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