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전자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전자체는 유기 화학 반응에서 전자가 풍부한 부위를 공격하여 반응을 시작하는 분자 또는 이온을 의미하며, 크리스토퍼 켈크 잉골드가 명명했다. 친전자성은 알켄의 친전자성 첨가 반응, 방향족 화합물의 친전자성 치환 반응 등 다양한 유기 화학 반응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친전자성 지수는 친전자체의 반응성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며, 초친전자체는 초강산 환경에서 반응성이 크게 향상된 양이온성 시약을 지칭한다. 친전자체는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친핵체와 반응하며, 산성도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반응 속도와 평형 상태를 각각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친전자체 |
---|
2. 명칭
크리스토퍼 켈크 잉골드가 "nucleophile"과 함께 "electrophile"이라는 명칭을 제안했다. 과거 일본에서는 "electrophile"의 번역어로 '''친전자'''라는 단어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친전자제'''라고 불리기도 한다. 친전자제를 반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할 때, 영어 이름에서 따와 E로 줄여서 표기한다.
친전자체는 반응 대상이 되는 친핵체의 전자 밀도가 높은 부위를 공격한다. 유기 반응의 대부분은 전자쌍의 이동으로 일어나므로, 이 경우 친전자체를 루이스 산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3. 친전자체와 유기 화학 반응
친전자체에는 양이온(H+, 등), 분극에 의해 양성을 띠는 부위를 가진 중성 분자(HCl, 각종 루이스 산, 할로겐화 알킬,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카르보닐 화합물 등), 친핵체의 접근에 의해 분극이 유도되는 분자(Cl2, Br2 등), 산화제(과산 RC(=O)OOH 등),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카르벤이나 라디칼 및 기타 분자(BH3, DIBAL 등) 등이 있다.
알켄의 주요 반응 중 하나는 '''친전자성 첨가 반응'''이다. 사이클로프로페인 고리도 친전자성 첨가 반응을 받기 쉽다. '''친전자성 치환 반응'''은 방향족 화합물에서 주로 나타난다.
3. 1. 친전자성 첨가 반응
알켄과 같은 불포화 화합물에 친전자체가 첨가되는 반응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할로젠 첨가 반응, 할로젠화 수소 첨가 반응, 수화 반응 등이 있다.[3][5]
사이클로프로페인 고리도 친전자성 첨가 반응을 할 수 있다.
아세트산 수은(II)을 알켄에 부가한 후 수소화 붕소 나트륨으로 처리하면 마르코프니코프 규칙을 따르는 알코올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다이알킬-치환 알킨(예: 3-헥신)의 경우, 중간 비닐 양이온이 매우 불안정하여 '''AdE3''' ("첨가, 친전자성, 삼차 반응") 메커니즘으로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알킨에 대한 친핵체의 동시 양성자화와 공격이 일어나는 것으로, 염화 수소화 생성물의 주로 ''anti'' 첨가와 삼분자 속도 법칙 (속도 = ''k''[알킨][HCl]2)과 일치한다.[7][8] 반대로, 페닐프로핀은 '''AdE2ip''' ("첨가, 친전자성, 이차 반응, 이온 쌍") 메커니즘에 의해 반응하여 주로 ''syn'' 생성물을 생성한다.[10]
3. 1. 1. 할로젠 첨가 반응
할로젠 분자(Cl2, Br2, I2)가 알켄에 첨가되어 다이할로알케인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반응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3]
# '''π-복합체의 형성''': 친전자성 Br-Br 분자는 전자 밀도가 높은 알켄 분자와 반응하여 π-복합체 '''1'''을 형성한다.
# '''3원자 브로모늄 이온의 형성''': 알켄은 전자 공여체로 작용하고, 브롬은 친전자체로 작용한다. 두 개의 탄소 원자와 하나의 브롬 원자로 구성된 3원자 브로모늄 이온 '''2'''가 Br−의 방출과 함께 형성된다.
# '''브로마이드 이온의 공격''': 브로모늄 이온은 뒷면에서 Br−의 공격을 받아 열린다. 이로 인해 인접 다이브로마이드가 안티페리플래너 배치를 갖게 된다.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다른 친핵체가 존재할 경우, 이들은 '''2'''를 공격하여 알코올 또는 에테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은 '''AdE2 메커니즘'''("첨가, 친전자성, 2차 반응")이라고 한다. 아이오딘 (I2), 염소 (Cl2) 또한 유사한 경로를 통해 반응한다.[4] 브로모늄 이온 '''2'''의 분리 사례가 있다.[4]
3. 1. 2. 할로젠화 수소 첨가 반응
할로젠화 수소는 알켄에 첨가되어 할로알케인을 생성하는데, 이를 할로젠화 수소 첨가 반응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염화 수소(HCl)와 에텐의 반응은 클로로에테인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카보양이온 중간체를 거쳐 진행되며, 할로젠 첨가 반응과는 다르다. 반응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5]
:--
# 양성자(H+)가 알켄의 탄소 원자 중 하나에 첨가되어 (친전자체로 작용) 양이온 '''1'''을 형성한다.
# 염화 이온(Cl−)은 양이온 '''1'''과 결합하여 부가물 '''2'''와 '''3'''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물의 입체 선택성, 즉 Cl−이 어느 쪽에서 공격할 것인지는 사용된 알켄의 종류와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H+가 어떤 두 탄소 원자를 공격할지는 일반적으로 마르코프니코프 규칙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H+는 치환기가 적은 탄소 원자를 공격하여 더 안정화된 카보양이온(더 안정화된 치환기를 가짐)을 형성한다.
이것은 AdE2 메커니즘의 한 예이다. 플루오르화 수소(HF)와 요오드화 수소(HI)는 유사한 방식으로 알켄과 반응하며, 마르코프니코프 규칙을 따르는 생성물이 생성된다. 브로민화 수소(HBr) 또한 이 경로를 따르지만, 때로는 라디칼 과정이 경쟁하여 이성질체의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6]
3. 1. 3. 수화 반응
황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켄에 물(H₂O)을 첨가하여 알코올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첨가 반응과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OSO3H 기가 OH 기로 치환되어 알코올을 형성하는 추가 단계가 있다.
:C2H4 + H2O → C2H5OH
H₂SO₄는 전체 반응에 참여하지만 변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촉매로 분류된다.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1. H–OSO3H 분자는 초기 H 원자에 δ+ 전하를 띤다. 이것은 이중 결합에 끌려 반응한다.
2. 나머지 (음전하를 띤) −OSO3H 이온은 카보 양이온에 부착되어 에틸 수소 황산염을 형성한다(위 그림의 위쪽 경로).
3. 물(H₂O)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면 에탄올(C2H5OH)이 생성된다. 물에서 "남은" 수소 원자는 "잃어버린" 수소를 "대체"하는 데 사용되어 황산을 재현한다. 물 분자가 중간체 카보 양이온과 직접 결합하는 또 다른 경로(아래쪽 경로)도 가능하다. 이 경로는 수성 황산을 사용할 때 더 우세해진다.
전반적으로 이 과정은 에텐 분자에 물 분자를 첨가한다.
이것은 에탄올을 생산하는 산업에서 중요한 반응이며, 에탄올은 연료 및 기타 화학 물질의 출발 물질로 사용된다.
치환기를 가진 알켄의 경우 마르코프니코프 규칙형 부가물의 알코올이 얻어지지만, 중간체 카보 양이온이 전위된 생성물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바그너-메르바인 전위 참조).
3. 2. 친전자성 치환 반응
방향족 화합물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친전자체가 방향족 고리의 수소를 치환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4. 친전자성 척도
로버트 파가 고안한 '''친전자성 지수'''(ω)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4]
:
여기서 는 전기 음성도이고 는 화학적 경도이다. 이 방정식은 전력에 대한 고전적인 방정식과 관련이 있다.
:
여기서 은 전기 저항(옴)이고 는 전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친전자성 지수는 일종의 친전자적 힘이다. 다양한 화학 화합물의 친전자성과 생화학 시스템에서의 반응 속도,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과 같은 현상 사이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물질 | 친전자성 지수 |
---|---|
플루오린 | 3.86 |
염소 | 3.67 |
브로민 | 3.40 |
아이오딘 | 3.09 |
차아염소산염 | 2.52 |
이산화 황 | 2.01 |
이황화 탄소 | 1.64 |
벤젠 | 1.45 |
나트륨 | 0.88 |
일부 선택된 값 [15] (차원 없음) |
라디칼에 대한 친전자성 지수도 존재한다.[16] 할로겐과 같이 강한 친전자성 라디칼은 전자가 풍부한 반응 부위와 반응하며, 2-하이드록시프로필-2-일 및 tert-부틸 라디칼과 같은 강한 친핵성 라디칼은 전자가 빈약한 반응 부위를 선호하여 반응한다.
5. 초친전자체 (Superelectrophiles)
조지 A. 올라가 처음으로 초친전자체(Superelectrophiles)를 보고하였다.[17] 초친전자체는 초강산 환경에서 반응성이 크게 향상된 양이온성 친전자성 시약으로 정의된다. 초친전자체는 양이온성 친전자체가 양성자화되어 이중으로 전하를 띠는 경우가 많다.
올라의 관찰에 따르면, 아세트산과 삼플루오르화 붕소 혼합물은 BF3와 HF로부터 초강산이 형성되어 불산과 결합할 때 아이소부테인으로부터 수소화물 이온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반응 중간체는 [CH3CO2H3]2+ 이중 양이온이다. 또한 메테인은 니트로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 NOBF을 플루오로황산과 같은 강산 존재 하에서 양성자화된 니트로늄 이중 양이온을 통해 니트로메테인으로 니트로화될 수 있다.
초친전자체는 하전 중심의 분리 정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6. 친핵체와의 관계 및 산성도
친전자체는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전자쌍을 받으며, 친핵체(루이스 염기)와 반응한다.[1] 유기 반응의 대부분은 전자쌍의 수수를 통해 일어나므로, 친전자체는 루이스 산으로 간주될 수 있다.[1]
E+ = 친전자체, Nu- = 친핵체, ''k'' = 반응 속도 상수
친전자성(electrophilicity)은 친전자체의 반응성의 강약을 나타내는 척도이다.[1] 어떤 화학 반응에서 "친전자성이 크다"는 것은 반응 상대(친핵체)의 전자에 대한 친화성이 높고 반응 속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1] 위 그림의 반응에서 "E+의 친전자성이 크다"는 것은 반응 속도 상수 ''k''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1]
친전자성의 크기는 양전하의 세기뿐만 아니라, 전자를 공유함으로써 생성 또는 개변되는 분자 궤도(친전자체 측에서는 대부분 LUMO)의 에너지 준위나 입체 인자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1] 이러한 요인들이 전이 상태에서의 활성화 자유 에너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반응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1] HSAB 규칙은 어떤 친핵체에 대한 친전자체의 반응성을 반경험적으로 정식화한 것으로, 반응 상대의 친핵성에 따라 변화하는 친전자성의 크기를 예측·평가하는 지표가 된다.[1]
A = 루이스 산, :B = 루이스 염기, ''k'' = 정반응(착물 형성, 회합)의 반응 속도 상수, ''k''-1 = 역반응(해리)의 반응 속도 상수, ''K''a = ''k'' / ''k''-1 (평형 상수, 회합 상수)
한편, 산성도(acidity)는 산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산-염기 반응의 반응 생성물이 평형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로 생성되는가를 나타낸다.[1] 위 그림의 루이스 산-염기 반응에서 "A의 산성이 크다"는 것은 평형 상수 ''K''a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1]
산성도는 평형 상태에서의 기질과 생성물과의 존재비에 기초하기 때문에,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 상수의 비, 즉 평형 상수(회합 상수)의 크기로 평가된다.[1] 이는 역반응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친전자성의 평가와 다르다.[1] 특히 입체 장애가 큰 화학종 등에서는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느려지기 때문에, 친전자성(반응 속도)이 작은 친전자체에서 산성도도 작다고 단정할 수 없다.[1] 즉, 착물 형성에서 친전자성은 결합 생성의 속도론적 지배 인자(Kinetic factor)이며, 산성도는 열역학적 지배 인자(Thermodynamic factor)이다.[1]
브뢴스테드 산(H+을 주는 산)의 경우, 산성도는 공액 염기와의 산-염기 평형 반응과 산 해리 상수(''K''a = [A-][H+] / [AH])를 사용하여 유사하게 생각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Nucleophiles and Electrophiles
https://web.archive.[...]
2020-09-21
[2]
웹사이트
Electrophile chemistry
https://www.britanni[...]
2020-09-21
[3]
논문
What is the Nature of the First-Formed Intermediates in the Electrophilic Halogenation of Alkenes, Alkynes, and Allenes?
[4]
논문
Investigation of the Early Steps in Electrophilic Bromina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Reaction with Sterically Encumbered Olefins
[5]
문서
A-SE2 mechanism
[6]
서적
Organic chemistry : structure and function
https://www.worldcat[...]
2014-01-01
[7]
논문
Polar additions to olefins and acetylenes. V. Bimolecular and termolecular mechanisms in the hydrochlorination of acetylenes
1968-04-01
[8]
서적
Perspectives on structure and mechanism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2010
[9]
논문
2-Butyne and hydrogen chloride cocrystallized: solid-state geometry of Cl-H.cntdot..cntdot..cntdot..pi. hydrogen bonding to the carbon-carbon triple bond
1992-07-01
[10]
서적
Mechanism and theory in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87
[11]
논문
An Efficient Catalytic Asymmetric Epoxidation Method
[12]
논문
Chemistry of oxaziridines. 16. A short, highly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the AB-ring segments of γ-rhodomycionone and α-citromycinone using (+)-[(8,8-dimethoxycamphoryl)sulfonyl]oxaziridine
[13]
논문
Novel Polymer-Bound Chiral Selenium Electrophiles
[14]
논문
Electrophilicity Index
[15]
논문
Electrophilicity Index
[16]
논문
Electrophilicity and Nucleophilicity Index for Radicals
[17]
논문
Electrophilic reactions at single bonds. XVIII. Indication of protosolvated de facto substituting agents in the reactions of alkanes with acetylium and nitronium ions in superacidic media
[18]
논문
Knorr Cyclizations and Distonic Superelectrophiles
[19]
논문
A Cell-Penetrating Scorpion Toxin Enables Mode-Specific Modulation of TRPA1 and Pain
2019-09-05
[20]
논문
Irritant-evoked activation and calcium modulation of the TRPA1 receptor
2020-07-08
[21]
논문
Chem. Eur. J.
[22]
논문
Acc. Chem. Res.
[23]
논문
J. Chem. Phy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