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탄소 음이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소 음이온은 탄소 원자가 음전하를 띠는 유기 화합물로, 친핵체 및 염기로 작용한다. 탄소 음이온의 기하 구조는 공액계의 유무에 따라 다르며, 국소화된 탄소 음이온은 삼각뿔형, 굽은형, 선형 구조를 갖는 반면, 비편재화된 탄소 음이온은 평면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탄소 음이온은 탄화수소에 강한 염기를 작용시키거나, 유기 할로겐화물에 금속 시약을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으며, 유도 효과, 혼성, 공명 효과에 의해 안정성이 결정된다. 탄소 음이온의 짝산인 탄소산의 pKa 값은 탄소 음이온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며, 키랄 탄소 음이온 연구도 진행되었다. 탄소 음이온 개념은 1907년 벤조인 축합 반응 메커니즘에서 처음 제안되었으며, 1933년 '카바니온'이라는 용어가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응성 중간체 - 엔올레이트
    엔올레이트는 케톤, 알데히드, 에스터 등의 탈양성자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음이온으로, 산소와 탄소에 전하가 비편재화되어 알콕사이드와 카르바니온의 성질을 가지며 유기 합성에서 중요한 중간체로 활용된다.
  • 반응성 중간체 - 카벤
    카벤은 6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진 탄소 화합물로, 스핀 상태에 따라 단일항과 삼중항으로 나뉘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하고 유기금속화학에서 리간드로 활용되는 등 산업적 응용과 초기 연구를 통해 반응성이 밝혀졌다.
  • 음이온 - 황화물
    황화물은 황이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로, 금속 황화물, 황화광물, 유기 황화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반도체 특성, 안료, 촉매 등으로 활용되지만 부식성과 유해성을 지니기도 한다.
  • 음이온 - 산화물
    산화물은 산소와 다른 원소의 화합물로, 다양한 화학량론적 조성을 가지며,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화학 조성이 같더라도 결정 구조가 다른 다형성을 띠기도 하는 비화학량론적 화합물이다.
탄소 음이온
개요
정의음전하를 띤 탄소 원자를 가진 이온
화학식R3C−
관련 화합물카보양이온
자유 라디칼
구조 및 안정성
구조일반적으로 삼각뿔형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유도 효과
혼성화
방향족성
반응성
반응친핵성 치환 반응
첨가 반응
산-염기 반응
강염기로 작용양성자를 쉽게 제거함
합성
형성 방법유기 금속 시약 사용
강염기 사용
예시
대표적인 카바니온아세틸라이드
엔올레이트
활용
응용 분야유기 합성
중합 반응

2. 기하 구조

탄소 음이온의 기하 구조는 음전하의 비편재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비편재화되지 않은(국소화된) 탄소 음이온은 삼각뿔형, 굽은형, 선형 등의 구조를 띠는 반면, 비편재화된 탄소 음이온은 평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알킬 탄소 음이온은 고립 전자쌍을 꼭짓점 중 하나로 하는 sp3 혼성 사면체 구조를 띤다. 고립 전자쌍과 그 외 3개의 공유 결합을 가짐으로써 옥텟 규칙을 만족시킨다. 알케닐 탄소 음이온은 평면 삼각형(sp2 혼성), 알키닐 탄소 음이온은 선형(sp 혼성) 구조를 취한다.

알릴 음이온, 벤질 음이온, 시클로펜타디에닐 음이온 등은 공명에 의해 안정화되므로 공액계를 포함하는 평면 구조를 취한다.

2. 1. 국소화된 탄소 음이온

π 비편재화가 없을 경우, 탄소 음이온의 음전하는 탄소상의 sp''x'' 혼성 오비탈 내의 고립 전자쌍에 국한된다. 결과적으로, ''국소화된'' 알킬, 알케닐/아릴, 알키닐 탄소 음이온은 각각 삼각뿔형, 굽은형, 선형 기하 구조를 띤다. 벤트의 법칙에 따르면, 탄소 음이온의 고립 전자쌍을 상당한 s 성질을 가진 오비탈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각각 알킬 및 알케닐 탄소 음이온의 피라미드형 및 굽은형 기하 구조를 설명한다.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VSEPR) 이론도 유사한 예측을 한다. 이는 알킬 및 알케닐 탄소 양이온의 경우, 각각 평면 및 선형 기하 구조를 유도하는 순수한 원자 p 성질의 비점유 비결합 오비탈을 선호하는 탄소 양이온과는 대조적이다.

알킬 탄소 음이온은 삼각뿔형이다.


비닐 음이온은 굽은형이다. 1,2-이치환된 비닐 음이온은 선형 전이 상태를 통해 반전되는 ''E'' 및 ''Z'' 이성질체를 갖는다.

2. 2. 비편재화된 탄소 음이온



인접한 π 시스템과 공액을 이루는 경우, 탄소 음이온은 평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알릴 음이온, 에놀레이트, 니트로네이트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비편재화된 알케닐 탄소 음이온은 굽은형과 선형 기하 구조 사이에서 평형을 이룰 수 있다. 탄소 음이온의 고립 전자쌍은 혼성 오비탈 대신 p 오비탈(또는 높은 p 성질의 오비탈)을 점유할 수 있는데, 이는 p 오비탈이 인접한 π 시스템과 중첩되기에 더 적합한 모양과 방향을 가지며, 더욱 효과적인 전하 비편재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공액기를 가진 알킬 탄소 음이온(예: 알릴 음이온, 에놀레이트, 니트로네이트 등)은 일반적으로 피라미드형이 아닌 평면형이다. 마찬가지로, 비편재화된 알케닐 탄소 음이온은 때때로 굽은형 대신 선형 기하 구조를 선호한다. 더 자주, 치환된 알케닐 음이온의 경우 굽은형 기하 구조가 여전히 선호되지만, 선형 기하 구조는 단지 ''약간'' 덜 안정하여, 선형 전이 상태를 통해 (굽은형) 음이온의 (''E'') 및 (''Z'') 이성질체 간의 용이한 평형을 초래한다.[2] 예를 들어, 계산 결과에 따르면, 모 비닐 음이온(에틸렌화물, )의 반전 장벽은 27kcal/mol인 반면, 음전하가 비편재화에 의해 안정화된 알레닐 음이온(알렌화물, )은 단지 4kcal/mol의 반전 장벽을 가지며, 이는 더 나은 π 비편재화에 의한 선형 전이 상태의 안정화를 반영한다.[3]

3. 생성 방법

탄소 음이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 '''산-염기 반응''': 탄화수소에 강한 염기를 작용시켜 탄소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 '''유기금속 화합물 생성''': 유기 할로젠화물에 금속 등을 작용시켜 탄소 음이온성을 갖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3. 1. 산-염기 반응

탄화수소에 충분히 강한 염기를 작용시키면 탄소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비교적 안정한 아릴 음이온, 알키닐 음이온을 얻을 때 유효하다. (B: 염기)

:R3C-H\ + B^- -> R3C^-\ + H-B

3. 2. 유기금속 화합물 생성

유기 할로젠화물에 금속 단체나 저전자 금속 착체, 또는 다른 유기금속 화합물을 반응시켜 탄소 음이온성을 갖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냐르 시약, 유기 리튬 등이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이다.[1]

4. 성질 및 반응성

탄소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친핵체염기로 작용한다. 탄소 음이온의 안정성과 반응성은 다음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유도 효과: 전하에 인접한 전기음성 원자는 전하를 안정화시킨다.
  • 공명 효과: 음이온의 공액 정도에 따라 음이온이 안정화될 수 있다. 특히 음이온이 방향족성의 결과로 안정화될 때 그러하다.


기하학적 구조는 또한 전하를 띠는 탄소 음이온의 혼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전하를 띠는 원자의 s-성격이 클수록 음이온은 더 안정하다.

탄소 음이온은 약한 탄소 산에서 유도된 경우 산소 및 물에 민감하다. 일부는 공기에 노출되면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분해되지만, 다른 것들은 즉시 공기와 반응하여 자연 발화될 수 있다.

뷰틸리튬이나 브롬화 메틸마그네슘과 같은 유기금속 시약은 종종 "탄소 음이온"이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클러스터 또는 복합체이다.

용액에서 탄소 음이온을 검출하는 한 가지 도구는 양성자 NMR이다.[12] 및 NMR을 사용하면 다양한 유기리튬 종에 대한 구조 및 반응성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4. 1. 유도 효과

유도 효과는 탄소 음이온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나 전자 끌개는 탄소 음이온에 인접한 전하를 안정화시킨다.[4]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기에 의한 탄소 음이온의 안정화는 이 효과에 의한 것이다.

4. 2. 혼성

탄소 음이온의 안정성은 탄소 원자의 혼성 궤도에 영향을 받는다. 전하를 띤 탄소 원자의 s-오비탈 성격이 클수록 음이온은 더 안정하다.

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안정 ← sp > sp2 > sp3 → 불안정)

예를 들어, 아세틸리드 음이온은 비교적 안정하다.

알킬 탄소의 카바니온은 고립 전자쌍을 꼭짓점 중 하나로 하는 sp3 혼성형 사면체 구조를 취한다. 고립 전자쌍과 그 외 3개의 공유 결합을 가짐으로써 옥텟 규칙을 만족시킨다.

알케닐 탄소의 카바니온은 평면 삼각형형(sp2 혼성형), 알키닐 탄소의 카바니온은 직선형(sp 혼성형)을 취한다.

알릴 음이온, 벤질 음이온,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음이온 등은 공명에 의해 안정화되므로 공액계를 포함하는 평면 구조를 취한다.[6]

4. 3. 공명 효과

공명 효과는 음이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음이온이 방향족성의 결과로 안정화될 때 특히 그러하다. 공명은 탄소 음이온을 비편재화시켜 안정화시킨다. 벤질 음이온,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음이온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6]

1984년, Olmstead와 Power는 트리페닐메탄, ''n''-부틸리튬 및 12-크라운-4 (리튬 양이온과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함)로부터 저온에서 트리페닐메탄화물 탄소 음이온의 리튬 크라운 에테르 염을 제시했다.[7]

트리페닐메탄 음이온의 형성


''n''-부틸리튬을 트리페닐메탄 (DMSO에서 p''K''a = 30.6)에 THF에서 저온에서 첨가한 후 12-크라운-4를 첨가하면 붉은색 용액이 생성되고 염 복합체 [Li(12-crown-4)]가 −20 °C에서 침전된다. 중앙 C–C 결합 길이는 145 pm이며 페닐 고리가 평균 31.2° 각도로 프로펠러 모양을 이룬다.

공액·공명의 효과에 의해 탄소 음이온은 비편재화·안정화된다.

4. 4. 탄소산의 산도(pKa)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에서 측정된 짝산의 p''K''a 값은 탄소 음이온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는 DMSO에서 측정된 다양한 탄소산의 p''K''a 값을 나타낸 표이다.[16]

DMSO에서 탄소산의 산도 p''K''a에 따른 분류.[16]
이름분자식구조식DMSO에서의 pKa
시클로헥세인
45x45px
~60
메테인
~56
벤젠
~49[17]
프로펜
~44
톨루엔
~43
암모니아 (N–H)
100x100px
~41
디티안
60x60px
~39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35.1
다이페닐메테인
32.3
아세토니트릴
120x120px
31.3
아닐린 (N–H)
30.6
트라이페닐메테인
30.6
플루오로포름
82x82px
30.5[18]
잔텐
30.0
에탄올 (O–H)
29.8
페닐아세틸렌
28.8
티오잔텐
28.6
아세톤
26.5
클로로포름
70x70px
24.4[18]
벤족사졸
24.4
플루오렌
22.6
인덴
20.1
사이클로펜타디엔
18.0
니트로메테인
60x60px
17.2
다이에틸 말로네이트
frameless
16.4
아세틸아세톤
120x120px
13.3
시안화 수소HCN
12.9
아세트산 (O–H)
12.6
말로노니트릴
11.1
다이메돈
10.3
멜드럼산
7.3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
120x120px
2.3
염산 (Cl–H)HClHCl (g)−2.0[19]
트라이플리드산
120x120px
~ −16



:::아세트산, 암모니아, 아닐린, 에탄올 및 염산은 탄소산이 아니지만 비교를 위해 표시된 일반적인 산이다.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음전하가 비편재화될 때 산도(p''K''a 감소)가 증가한다. 탄소산은 일반적으로 아세트산이나 페놀과 같은 "고전적인" 브뢴스테드 산보다 훨씬 약한 산이지만, 여러 전자 수용성 치환기의 누적 효과는 무기 광물산만큼 강하거나 더 강한 산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라이니트로메테인, 트라이시아노메테인, 펜타시아노시클로펜타디엔, 및 풀민산은 모두 물로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양성자 전달을 나타내는 수용성 p''K''a 값을 갖는 강산이다. 세 개의 강한 전자 끌개 트라이플릴기를 갖는 트라이플리드산은 −10보다 훨씬 낮은 추정 p''K''a를 갖는다. 반대쪽 끝에서 알킬기만 갖는 탄화수소는 55~65 범위의 p''K''a 값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탄소산에 대한 산 해리 상수 범위는 70개 이상의 차수를 나타낸다.

카보닐 화합물에서 α-수소의 산도는 이러한 화합물이 알돌 반응 및 마이클 반응을 포함한 합성적으로 중요한 C–C 결합 형성 반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5. 안정화된 탄소 음이온의 분리

델리컬라이제이션에 의해 충분히 안정화된 탄소 음이온은 이온성 종으로 분리될 수 있다. 1984년, Olmstead와 Power는 트리페닐메탄, ''n''-부틸리튬 및 12-크라운-4 (리튬 양이온과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함)로부터 저온에서 트리페닐메탄화물 탄소 음이온의 리튬 크라운 에테르 염을 제시했다.[7]

''n''-부틸리튬을 트리페닐메탄 (DMSO에서 p''K''a = 30.6)에 THF에서 저온에서 첨가한 후 12-크라운-4를 첨가하면 붉은색 용액이 생성되고 염 복합체 [Li(12-crown-4)]가 −20 °C에서 침전된다. 중앙 C–C 결합 길이는 145 pm이며 페닐 고리가 평균 31.2° 각도로 프로펠러 모양을 이룬다. 이러한 프로펠러 모양은 테트라메틸암모늄 반대 이온이 있는 경우 덜 두드러진다. 유사한 디페닐메탄화물 음이온 ([Li(12-crown-4)]), 디페닐메탄에서 제조 (DMSO에서 p''K''a = 32.3)에 대한 결정 구조도 얻었다. 그러나, 톨루엔 (DMSO에서 p''K''a ≈ 43)으로부터 벤질 음이온의 복합체를 분리하려는 시도는 형성된 음이온이 THF 용매와 빠르게 반응했기 때문에 실패했다.[8]

6. 키랄 탄소 음이온

탄소 음이온의 분자 기하학이 삼각뿔형으로 묘사될 때, 탄소 음이온이 키랄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는 기하학적 반전의 활성화 장벽이 너무 낮으면 키랄성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라세미화로 끝날 것이기 때문이며, 이는 질소 반전과 유사하다. 그러나 특정 유기리튬 화합물을 이용한 연구에서 탄소 음이온이 실제로 키랄성을 가질 수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존재한다.[22]

키랄 유기리튬 화합물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1950년에 얻어졌다. 키랄 2-아이오도옥탄을 ''s''-부틸리튬과 석유 에테르에서 -70°C에서 반응시킨 후 드라이 아이스와 반응시키면 대부분 라세미체인 2-메틸뷰티르산이 생성되었지만, 광학 활성 2-메틸옥탄산도 생성되었는데, 이는 리튬에 연결된 탄소 원자가 탄소 음이온인 광학 활성 2-메틸헵틸리튬으로부터만 형성될 수 있었다.[22]

광학 활성 유기리튬


반응물을 0°C로 가열하면 광학 활성이 사라진다. 1960년대에 더 많은 증거가 제시되었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인 2-메틸시클로프로필 브로마이드와 ''s''-부틸리튬을 반응시킨 후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카복실화 반응은 ''시스''-2-메틸시클로프로필카복실산을 생성했다. ''트랜스'' 이성질체의 형성은 중간 탄소 음이온이 불안정했음을 나타낸다.[23]

유기리튬의 입체화학


같은 방식으로 (+)-(''S'')-''l''-브로모-''l''-메틸-2,2-디페닐시클로프로판과 ''n''-부틸리튬을 반응시킨 후 메탄올로 퀜칭하면 배위 유지를 가진 생성물이 얻어졌다.[24]

1-메틸-2,2-디페닐시클로프로필리튬의 광학적 안정성


최근에는 키랄 메틸리튬 화합물이 연구되었다.[25]

키랄 옥시[2''H''1]메틸리튬. Bu는 부틸, ''i''-Pr은 아이소프로필을 나타낸다.


유기인 화학에서 인산염 '''1'''은 수소와 중수소 치환기를 가진 키랄 그룹을 포함한다. 스타닐 그룹은 리튬으로 치환되어 중간체 '''2'''가 되며, 이 중간체는 인산염-포스포란 전위를 거쳐 포스포란 '''3'''이 되고, 이것이 아세트산과 반응하여 알코올 '''4'''를 생성한다. 다시 한번 -78°C에서 0°C 범위에서 이 반응 시퀀스에서 키랄성이 유지된다. (에난티오선택성은 Mosher산으로 유도체화 후 핵자기 공명 분광법으로 측정되었다.)

7. 역사

1907년 클라크(Clarke)와 아서 랩워스는 벤조인 축합 반응 메커니즘에서 탄소 음이온 구조를 처음 제안했다.[26] 1904년 빌헬름 슐렌크는 테트라메틸암모늄(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유기나트륨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물질)을 준비했고,[27] 1914년에는 삼아릴메틸 라디칼이 알칼리 금속에 의해 탄소 음이온으로 환원될 수 있음을 보였다.[28] 1933년 윌리스(Wallis)와 애덤스(Adams)는 카보늄 이온의 음전하를 띤 대응물로 '탄소 음이온'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29][30]

참조

[1] GoldBookRef carbanion
[2] 학술지 The influence of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s on the geometries and barriers to inversion of vinyl anions https://dx.doi.org/1[...] 1981-01-01
[3] 서적 Stereoelectronic Effects: A Bridge Between Structure and Reactivity http://doi.wiley.com[...] John Wiley & Sons, Ltd 2016-09-19
[4] 학술지 Electron Affinity of the Methyl Radical: Structures of CH3 and {{chem|CH|3|-}} 1977
[5] 학술지 An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geometry and electron affinity of methyl radical 1978-04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ss spectrometry Elsevier 2005
[7] 학술지 The isolation and X-ray structures of lithium crown ether salts of the free phenyl carbanions [CHPh2] and [CPh3]
[8] 학술지 Schlenk's Early "Free" Carbanions
[9] 학술지 Submicrosecond formation and observation of reactive carbanions 2002-05-01
[10] 학술지 Über Benzyl-tetramethyl-ammonium https://zenodo.org/r[...] 1917
[11] 학술지 Schlenk's Early "Free" Carbanions 2002-07-15
[12] 학술지 A Simple and Convenient Method for Generation and NMR Observation of Stable Carbanions 1999-06
[13] 학술지 pKa values 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troducing pKa values measured in DMSO to illustrate solvent effects https://doi.org/10.1[...] 2020-04-23
[14] 학술지 p''K''a Values 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What is the Real p''K''a of Water? 2017-04-17
[15] 웹사이트 Chem 206 p''K''a Table http://evans.rc.fas.[...] 2005
[16] 학술지 Equilibrium acidities in dimethyl sulfoxide solution
[17] 학술지 Equilibrium acidities of carbon acids. III. Carbon acids in the membrane series 2002-05-01
[18] 학술지 Effective nucleophilic trifluoromethylation with fluoroform and common base 1998-11-05
[19] 학술지 Acidity of Strong Acids in Water and Dimethyl Sulfoxide 2016-05-06
[20] 학술지 Equilibrium Acidities of Superacids 2011
[21] 학술지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p''K''a Values for Organic Acids in Nonaqueous Solution 2009
[22] 학술지 Formation of Optically Active 1-Methylheptyllithium
[23] 학술지 The Configurational Stability of ''cis''- and ''trans''-2-Methylcyclopropyllithium and Some Observations on the Stereochemistry of their Reactions with Bromine and Carbon Dioxide
[24] 학술지 Cyclopropanes. XV. The Optical Stability of 1-Methyl-2,2-diphenylcyclopropyllithium
[25] 학술지 Preparation of Chiral α-Oxy-[2''H''1]methyllithiums of 99% ee and Determination of Their Configurational Stability
[26] 학술지 LXV. An extension of the benzoin synthesis https://zenodo.org/r[...]
[27] 학술지 Ueber Triphenylmethyl und Analoga des Triphenylmethyls in der Biphenylreihe https://zenodo.org/r[...]
[28] 학술지 Über Metalladditionen an freie organische Radikale. XII. Über Triarylmethyle https://zenodo.org/r[...]
[29] 학술지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Valences in Tricovalent Carbon Compounds1
[30] 학술지 The first century of physical organic chemistry: A prologue
[31] 문서 The isolation and x-ray structures of lithium crown ether salts of the free phenyl carbanions [CHPh2]- and [CPh3]-
[32] GoldBookRef carba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