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아트 300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트 3000은 이탈리아가 르노 FT-17 경전차를 기반으로 개발한 전차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1년에 피아트 3000 Mod. 21(3000A)이 완성되었다. 6.5mm 기관총 2정을 장착했으나, 1929년에는 37mm 포를 장착한 피아트 3000 Mod. 30(3000B)이 개발되었다. 1940년에는 분류 기준 변경에 따라 L5/21 및 L5/30으로 재명명되었다. 피아트 3000은 1926년 리비아에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사용되었으나 구식화되어 치안 유지 등에 사용되었다. 여러 국가에 수출되었으며, 일본 제국에서도 소량 수입하여 중일 전쟁에 투입되었다. 파생형으로는 발연 장치를 장착한 네비오제노,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Lf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전차 - 아리에테
    아리에테는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하는 3세대 주력전투전차로, 120mm 활강포와 복합 장갑, 우수한 화력통제시스템, 1,300마력의 엔진을 탑재했으며, 현재 수명 연장을 위한 현대화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경전차 - 피아트 M14/41
    피아트 M14/4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중형전차로, M13/40 전차의 개선 버전이며 디젤 엔진을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와 화재에 취약했고, 약 800대가 생산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노획된 차량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고, 세모벤테 da 90/53 구축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 경전차 - 피아트 M11/39
    피아트 M11/39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중형 전차로, 돌파 전차로서 개발되었으나 고정된 주포 배치와 리벳 접합식 장갑 등의 결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며 M13/40 전차로 대체되었다.
피아트 3000
개요
Fiat 3000 mod.21
Fiat 3000 mod.21
종류경전차
원산지이탈리아
사용 정보
사용 기간1921년–1945년
사용 국가이탈리아
에티오피아
알바니아
헝가리
중국
라트비아
덴마크
일본
참전리비아 평정
1928년 에티오피아 쿠데타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중일 전쟁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생산 정보
생산 대수152대 (mod 21 100대, mod 30 52대)
제원
무게6톤
전장4.29m
전폭1.65m
전고2.20m
승무원2명
장갑
장갑 두께6 mm-16 mm
무장
주무장2x 6.5 mm 기관총 3000A 또는 1x 37 mm 3000B
부무장1x 6.5 mm 기관총
기동 정보
엔진피아트 4기통 엔진
엔진 출력50 마력 (37 kW)
현가 장치수직 스프링
항속 거리100 km
속도21 km/h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이탈리아는 프랑스에서 도입한 르노 FT-17 경전차를 기반으로 신형 전차 개발에 착수했다. 1921년, 피아트사는 르노 FT-17을 기반으로 한 피아트 3000 Mod. 21 (피아트 3000A)을 완성했다.[2] 초기에는 1,400대가 주문되었으나, 전쟁 종결로 인해 100대만 인도되었다.

1929년에는 주포를 37mm 포로 교체하고 엔진 출력을 높인 개량형 피아트 3000 Mod. 30 (피아트 3000B)가 개발되었다.[1] Mod. 30은 Mod. 21에 비해 엔진 출력이 향상되었고, 주무장이 강화되었다.

1940년, 이탈리아군은 전차 분류 기준을 변경하면서 피아트 3000 Mod. 21은 L5/21로, Mod. 30은 L5/30으로 재명명되었다.[1]

2. 1. 개발 배경 및 과정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는 자체적인 전차 개발 능력이 부족하여 동맹국인 프랑스에 전차 공급을 요청했다. 1917년 3월부터 1918년 5월 사이에 르노 FT-17 경전차(이하 FT) 4대를 제공받았는데, 이탈리아는 이 전차의 성능에 만족하여 국산화(라이선스 생산)를 추진했다.[8]

FT 전차 4대에 대한 시험 결과, 이탈리아 육군은 1918년 8월 2일에 FT의 라이선스 생산을 결정했다. 생산은 안살도, 비커스 암스트롱, 브레다, 피아트, 테르니 각사가 결성한 컨소시엄에 맡겨졌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면서 1,400대의 FT 발주는 취소되었다.[2]

1919년 4월, 피아트사는 FT를 기반으로 한 신형 전차 개발에 착수했다. 이탈리아 기술자들은 "Ufficio Carri d'Assalto"와 "Commissariato Armi e Munizioni Ansaldo"의 도움으로 설계를 변경, 개량하여 포탑 형태, 무장, 엔진 등 각 부위가 FT와 다른 신형 전차를 개발했다. 1920년 8월에 첫 시험이 시작되었으나 곧 중단되었고, 1921년 11월에 시험이 재개되어 1923년까지 이어졌다.[9]

시험 결과, 신형 전차는 "피아트 3000 돌격 전차 1921년형"(Carro d'Assalto FIAT 3000 modello 1921) 또는 "피아트 3000A"로 명명되었고, 1923년에 양산이 시작되어 100대가 생산되었다. 그러나 모델 21의 시험 결과, 6.5mm 기관총 2정으로 구성된 무장이 부적절하다는 것이 드러났고, 37mm 포를 주무장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3]

1928년부터 37mm 포 탑재형 개발이 시작되었고, 1929년에 37mm 포 1문을 탑재한 개량형 "피아트 3000 돌격 전차 1930년형"(Carro d'Assalto FIAT 3000 modello 1930) 또는 "피아트 3000B"의 시제 차량이 완성되었다. 1930년에 정식 채택되었으며, 52대가 생산되었다.[1]

모델 30은 향상된 무장 외에도 더 강력한 엔진, 개선된 현가 장치, 다른 엔진실 실루엣, 외부 적재물 보관 방식의 차이로 모델 21과 달랐다. 이탈리아 기술자들은 선체를 약간 넓힌 후 엔진을 처음으로 옆으로 돌려 배치함으로써 전투실을 덜 답답하게 만들고 전차를 더 짧고 가볍게 만들 수 있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이탈리아군은 전차 식별 체계를 변경하면서 모델 21은 '''L5/21''', 모델 30은 '''L5/30'''으로 재명명되었다.

2. 2. 제원 및 성능

피아트 3000 제원[1]
항목Mod. 21 (L5/21)Mod. 30 (L5/30)
전투 중량5.5톤5.5톤
길이4.29m4.29m
높이2.20m2.20m
넓이1.65m1.65m
승무원2명2명
주무장6.5mm 기관총 2문37mm 포 1문
최대 장갑16mm16mm
최소 장갑6mm6mm
속도21km/h21km/h
출력50hp50hp
항속 거리100km100km



피아트 3000은 르노 FT-17 경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하고 차체 및 포탑 설계를 개선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4] Mod. 21은 6.5mm 기관총 2문을 주무장으로 장착했으나, 1930년에 채택된 Mod. 30은 37mm 포 1문을 주무장으로 장착했다.[1]

이탈리아 기술자들은 엔진 배치를 가로로 변경하여 전투실 공간을 확보하고 전차의 전장을 줄였다.[4]

3. 운용

피아트 3000은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이탈리아군의 주력 전차였다. 1926년 리비아에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고,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에티오피아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1] 스페인 내전에는 직접 투입되지 않았지만,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그리스-알바니아 전선에 제한적으로 투입되었다.[1]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상륙 당시, 시칠리아 섬에 주둔한 두 개의 이탈리아 전차 중대가 피아트 3000을 장비하고 있었다.[1] 한 중대는 전차를 고정 요새처럼 사용했고, 다른 중대는 젤라 전투에서 기동 부대로 투입되었으나 연합군의 진격에 큰 피해를 보았다.[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이미 구식화되어 치안 유지 및 요지 경비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시칠리아 섬에서는 연합군과 교전하기도 했다.

3. 1. 해외 운용

1931년 만주 사변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의 피아트 3000 전차


피아트 3000은 여러 국가에 수출되었다.

  • 아르헨티나는 1921년에 피아트 3000 모델 1대를 구매했다.[7]
  • 알바니아 왕국은 1920년대 후반에 피아트 3000 2대를 구매했다.[7]
  • 소련은 1927년에 피아트 3000 3대를 구매하여 1928년 3월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 덴마크 왕국은 1928년 6월에 평가 목적으로 피아트 3000 1대를 구매했다.
  • 에티오피아 제국은 1925년에 피아트 3000 1대를 구매했고, 1930년에 3대를 추가 구매했다.
  • 라트비아는 1927년에 피아트 3000 6대를 구매하여 리가에 위치한 제1전차 중대 2개 소대를 장비했다.
  • 스페인 왕국은 1924년 10월에 시험용으로 1대를 구매했으나, 시험 운행 실패 후 마드리드 카라반첼의 Escuela Central de Tiro에 남겨졌다.
  • 헝가리 왕국은 1930년대에 피아트 3000 5대를 구매했다.
  • 일본 제국은 시험용으로 피아트 3000 1대를 구매하여 중일 전쟁에 투입했다.[11] 1930년대 초 일본은 피아트 3000B를 소량 수입했는데, 궤도 중앙에 구멍이 뚫린 중기형 이후 타입으로 대형 전조등이 차체 전면에 2개 추가되었다. 무장은 6.5mm 기관총 연장이었으며, 포탑 방패 형상이나 기관총은 오리지널 피아트 3000B와 달랐다. 르노 NC27 경전차나 비커스 6톤 전차와의 비교 검토용으로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4. 파생형


  • 피아트 3000 네비오제노 (FIAT 3000 Nebbiogeno): 피아트 3000A (1921년형)의 서스펜션 유닛 공간에 연막 발생 장치를 장착한 모델이다.[12] 연막 발생 장치는 전차와 함께 이동하는 보병이나 전차 스스로가 공격할 때 모습을 숨겨 적의 공격을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1925년에 몇 대가 개조되어 군사 훈련에서 실험되었고, 1935년에도 시연되었다. 대량 생산되지는 않았다.
  • 피아트 3000 Lf (FIAT 3000 Lf): 피아트 3000A (1921년형)를 개조하여 포탑에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모델이다.[13][14] 1932년에 시제품 1대가 제작되었다.
  • 피아트 3000 개조 피아트 M1929 6.5 mm 항공 기관총 장비형: 1937년 이후 일부 피아트 3000은 프로펠러 동조 장치를 제거하고 40발 탄창으로 급탄되는 피아트 M1929 6.5 mm 항공 기관총을 장착했다.
  • 피아트 3000 1921년형 개조 .303 (7.7 mm) 루이스 경기관총 장비형: 포탑에 .303 (7.7 mm) 루이스 경기관총을 장착한 모델이다.[15] 1930년대 후반에 몇 대 제작되었다. SIA M1918보다 신뢰성이 높고 발사 속도가 빨랐다.
  • 피아트 4000 (FIAT 4000): 1920년대 후반에 중구경포 견인 수송차로 설계되었으나 설계 단계에 머물렀다.[16] 무게는 3톤이며 피아트 3000과 같은 엔진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대중문화

불도저를 개조한 레플리카 차량이 사막의 라이온에 등장한다.[1] 월드 오브 탱크에는 "피아트 3000"(Fiat 3000)이라는 명칭으로 이탈리아군 기술 트리에 L5/30 사양으로 등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Fiat 3000 (1921) https://tanks-encycl[...] 2021-12-06
[2] 웹사이트 Fiat 3000 http://www.historyof[...] 2021-12-06
[3] 웹사이트 FIAT 3000 (Carro d-assalto 3000 / L.5 Series) https://www.military[...] 2021-12-06
[4] 웹사이트 The Best Renault FT Clone https://www.tankarch[...]
[5] 웹사이트 Zudusī Latvija - Rīga. Autotanku pulka novietnē Pulka ielā http://www.zudusilat[...]
[6] 서적 U.S. Army in World War II - Mediterranean Theater of Operations - Sicily and the Surrender of Italy
[7] 서적 Gli autoveicoli da combattimento dell'Esercito Italiano, vol.1 Ufficio Storico dello Stato Maggiore dell'Esercito, Roma 2002
[8] 이미지 https://i.imgur.com/[...]
[9] 이미지 https://i.imgur.com/[...]
[10] 이미지 https://i.imgur.com/[...]
[11] 이미지 https://i.imgur.com/[...]
[12] 이미지 https://i.imgur.com/[...]
[13] 웹사이트 http://www.wardrawin[...]
[14] 이미지 https://i.imgur.com/[...]
[15] 이미지 https://i.imgur.com/[...]
[16] 이미지 https://i.imgur.com/[...]
[17] 이미지 https://i.imgur.com/[...]
[18] 이미지 https://i.imgur.com/[...]
[19] 이미지 https://i.imgu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