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크람니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크람니아과는 타리르산이 주요 지방산으로 존재하며, 피크람니아속, 알바라드아속, 노토타리시아속의 3개 속으로 구성된 식물 과이다. 피크라미아속은 약 41종으로 가장 큰 속이며, 노토타리시아속은 열대 아메리카, 피크라미아속은 미국 남동부와 중남미 및 카리브해 제도, 알바라드아속은 플로리다, 중앙 아메리카, 바하마 등 건조한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피크람니아과는 장미군 아욱군에 속하며, 한때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에 포함되었으나 1995년 독립된 과로 기재되었고, 2009년 APG III 이후 피크람니아목으로 채용되었다. 피크라미니아과 식물은 약재, 식용, 목재 및 땔감 등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기재된 식물 - 미국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고,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귀화종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 1995년 기재된 식물 - 바닐라아과
    바닐라아과는 난초과에 속하는 아과로, 포고니애족과 바닐라족으로 나뉘며 의란아과와 계통적으로 가깝고 복주머니란아과보다 먼저 분기되었으며 석곡아과, 난초아과와 함께 후대에 분기된 아과이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피크람니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학명Picramniaceae
명명자Fernando & Quinn
상위 분류군Doweld
Aenigmanu
Alvaradoa
Nothotalisia
Picramnia
''[[Alvaradoa amorphoides]]'' 잎과 열매
Alvaradoa amorphoides

2. 특징

피크람니아과를 구성하는 은 모두 암수딴그루이며, 대부분 관목이다. 수피는 쓴맛이 나는 경우가 많다. 잎은 우상복엽이며 어긋나기이고, 탁엽은 없다.

은 방사대칭의 작은 단성화로,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기부가 유착하여 꽃받침통이 되고, 열편은 3-5개로 꽃받침통보다 길다. 꽃잎은 3-5개, 드물게 0개 또는 6개이다. 수꽃은 통상 3-5개, 드물게 6개의 잘 발달된 수술을 갖는다. 암꽃에는 1개의 씨방이 있으며, 1-4개의 심피성이다. 암술대는 짧으며, 때로는 가수술이 있다.

피크라니아속과 노토탈리시아속은 액과, 알바라두아속은 날개열매를 맺는다.[9][10] 때로는 줄기열매로 직접 줄기나 가지에 열매를 맺는다.

피크라니아속은 열대 우림 속에 드물게 존재하며, 꽃도 작지만, 암수딴그루이기 때문에 타가수분에 의존한다. ''P. magnifolia''는 줄기에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개미와 공생 관계에 있다. 알바라두아속은 보다 건조한 환경에 많으며, 주로 바람에 의해 수분한다고 생각된다.

타리르산이 주요 지방산이라는 점과 탈린산이 주요 지방산이라는 점은 피크람니아과의 전형적인 특성이다.[6][11][12]

3. 하위 분류


  • 피크람니아속(''Picramnia'' Sw.)
  • 알바라드아속(''Alvaradoa'' Liebm.)
  • 노토타리시아속(''Nothotalisia'' W.W.Thomas)[15]


타리르산의 주요 지방산으로의 존재는 피크람니아과에서 전형적이다.[6]

피크람니아과에는 약 50종이 존재한다.[13][14] 가장 큰 속인 피크라미아속은 4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토타리시아속은 2011년에 새롭게 기재되었다.[15] 피크라미아속과 노토타리시아속은 열대 우림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된다. 알바라드아속은 건조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종 수분포 지역
알바라드아속5종플로리다, 중앙 아메리카, 바하마, 대앤틸리스 제도,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종간에 분리 분포가 나타남)
노토타리시아속열대 아메리카
피크라미아속41종미국 남동부, 중남미, 카리브해 제도


4. 계통 분류

다음은 장미군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18]

{| class="wikitable"

|-

! 장미군

|-

|

{| class="wikitable"

|-

! 포도목

|-

! 콩군

|-

|

{| class="wikitable"

|-

| 남가새목

|-

! COM군

|-

|



|}

|-

! 질소고정군

|-

|

{| class="wikitable"

|-

| 콩목

|-

| 장미목

|-

|



|}

|}

|-

! 아욱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크로소소마목

|-

| '''피크람니아목'''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후에르테아목

|-

|



|}

|}

|}

|}

|}

|}




다음은 아욱군의 계통 분류이다.

{| class="wikitable"

|-

! 아욱군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크로소소마목

|-

| '''피크람니아목'''

|-

|

{| class="wikitable"

|-

| 무환자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후에르테아목

|-

|



|}

|}

|}

|}

|}

|}

5. 이용

피크람니아속 나무껍질, 뿌리, 잎 등은 매우 쓴맛이 강하여 소화기 계통의 불량과 성병, 말라리아 치료에 쓰인다. ''Picramnia latifolia''의 열매는 식용으로 쓰인다. ''Alvaradoa amorphoides''는 목재나 땔감으로 쓰인다. ''Alvaradoa'' 중에는 달인 약이 소화기 계통의 불량, 류머티즘, 피부병 및 요로 결석 치료에 쓰이는 것도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Picramniaceae Fernando & Quinn https://powo.science[...] 2024-04-18
[2] 논문 Nothotalisia, a new genus of Picramniaceae from tropical America
[3]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4] 웹사이트 'Mystery Plant' Finally Declared A New Species Decades After Its Discovery https://www.zenger.n[...] 2021-10-06
[5] 뉴스 Mystery plant" from the Amazon declared a new species after nearly 50 years of flummoxing scientists https://www.eurekale[...] 2021-10-06
[6] 서적 Pharmakognosie Phytopharmazie 9. Aufl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Heidelberg
[7] 논문 Nothotalisia, a new genus of Picramniaceae from tropical America
[8]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www3.intersci[...]
[9] 웹사이트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icramniaceae http://delta-intkey.[...]
[10] 서적 Flowering Plants of the Neotrop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Pharmakognosie Phytopharmazie 9. Aufl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Heidelberg
[12] 논문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cluding petroselinic and tariric acids in the fruit and seed oils of the Pittosporaceae, Araliaceae, Umbelliferae, Simarubaceae and Rutaceae.
[13]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14] 간행물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Magnolia Press
[15] 서적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http://www.ipni.org/[...]
[16]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17] 문서 Taxon 44: 177
[18] 저널 인용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