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는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의 지역을 의미하며,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돌다" 또는 "방향을 바꾸다"라는 뜻을 지닌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최한월 평균 기온이 18℃ 이상이고 연 평균 강수량이 건조 한계 이상인 지역을 열대 기후로 분류하며, 강수량에 따라 열대 우림 기후, 열대 몬순 기후, 사바나 기후, 열대 하계 소우 기후로 나뉜다. 열대 지역은 일사량이 많아 기온이 높고, 열대 수렴대의 이동에 따라 건기와 우기가 나타나며, 다양한 생태계와 식물이 존재한다. 열대성은 열대 지역에 대한 외부인의 이미지를 포괄하는 용어로, 에덴 동산과 같은 낙원, 또는 야생적이고 정복되지 않은 자연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열대 - 사헬
    사헬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위치한 열대 반건조 지역으로, 아카시아 사바나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급격한 인구 증가, 사막화, 가뭄, 테러 등으로 환경 및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여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열대
개요
정의지구의 적도 주변 지역
범위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
북쪽 경계북위 23° 26′ 13.1″ (북회귀선)
남쪽 경계남위 23° 26′ 13.1″ (남회귀선)
면적지구 표면의 36%
특징태양 복사열 집중, 고온다습 기후
어원그리스어 "트로페(τροπή)" (돌아옴, 방향 전환)
기후
주요 기후열대 우림 기후(Af)
열대 몬순 기후(Am)
열대 사바나 기후(Aw/As)
특징연중 고온, 강수량 풍부
생태계
주요 생태계열대 우림, 열대 초원, 맹그로브 숲
생물 다양성지구상 생물 종의 대부분 서식
사회
인구전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 거주
경제농업, 어업, 관광업 등 발달
문제점지구 온난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 및 기후 변화
관련 이슈열대 지역의 거주 가능성 유지 노력 필요 (https://gizmodo.com/we-have-a-chance-to-keep-the-tropics-habitable-1846430164)
추가 정보
열대 확장극지방으로 확장되는 경향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29/2020JD033158)
온난화 추세기록적인 고온 발생 빈도 증가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29/2020GL091626)

2. 어원

"열대"라는 단어는 라틴어를 거쳐 고대 그리스어 τροπή|트로페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돌다" 또는 "방향을 바꾸다"라는 의미를 지닌다.[6]

3. 정의

열대 지방은 북반구의 북회귀선(북위 23.5°)과 남반구의 남회귀선(남위 23.5°) 사이의 지역으로 정의된다.[8] 이 위도들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일치한다. 북회귀선은 태양천정에서 보이는 가장 북쪽 위도이며, 남회귀선은 가장 남쪽 위도이다.[8] 이는 열대 지역이 태양년 동안 적어도 한 번은 태양 직하점이 되는 지구상의 모든 곳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50px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열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기후열대온대
온도평균 온도가 덥거나 따뜻하다.지구 자전 각도에 의해 약 30도가량 연간 온도차가 발생한다.
습도연중 일정하게 높다.가을철과 겨울철을 통해 건조해졌다가 봄과 여름에 습도가 상승한다.
강우량연간 온도와 일조량이 높아 강우량이 많다.사계절이 형성되어 우기와 건조기가 정기적으로 번갈아가며 순환한다.
토양연중 식물의 활발한 재이용(plant recycle)으로 토양 내 낙엽 등에 의한 유기물 함량이 온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낙엽 등 분해량 대비)겨울철을 전후한 저온 현상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다. (낙엽 등 분해량 대비 약 50%)


3. 1.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분류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기후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20]

  • 최한월(가장 추운 달) 평균 기온이 18℃ 이상 (야자가 생육할 수 있음)
  • 연 평균 강수량이 건조 한계 이상


위 조건에 따르면, 최난월(가장 더운 달)에 대한 조건은 없다. 따라서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열대"는 "겨울에도 춥지 않은 지역"이며, "여름에 더워지는 지역"은 아니다.

또한, 강수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열대 우림 기후(Af)''':[26] 12개월 평균 강수량이 60mm 이상인 지역. 이 기후는 일반적으로 적도에서 위도 5-10° 내에 포함되지만, 여러 동해안 지역에서는 적도로부터 25° 떨어진 지역에 분포한다. 1년 내내 저기압이 정체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사계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 '''열대 몬순 기후(Am)''':[26] 남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에서 일반적이며, 계절 구분은 몬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월간 최소 강수량이 60mm 미만, 그리고 (100-0.04×연간 강수량) mm 이상인 지역이다.
  • '''사바나 기후(Aw)''':[26] 일반적으로 위의 두 기후보다 건조하며, 월간 최소 강수량이 60mm 미만, 그리고 (100-0.04×연간 강수량) mm 미만인 지역이다.
  • '''열대 하계 소우 기후(As)''':[27] 현실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식생 면에서는 사바나 기후와 거의 다르지 않기 때문에, 광의에서는 사바나 기후에 포함된다.


위도에 따른 구분에 의해 정의된 열대에 속하는 장소가 반드시 열대 기후는 아니다.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이 있다. 반대로, 케냐 산은 열대에 있지만 그 산 정상은 기온이 낮다. 그러나 열대에 속하는 저지대에서는 기온의 계절 변화는 거의 없다.

4. 특징

많은 열대 지역은 건기우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 우기는 1개월 이상으로, 이 기간에 해당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의 대부분이 내린다.[9]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기후의 경우 우기 달은 평균 강수량이 60mm 이상인 달을 1개월 이상으로 정의한다.[11] 우기가 따뜻한 계절, 즉 여름에 발생하면 강수는 주로 늦은 오후와 초저녁 시간에 내린다. 우기는 대기 질이 개선되고, 담수의 수질이 개선되며, 식생이 크게 성장하여 계절 말에 작물 수확량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월별 강수량의 대략적인 평균을 보여주는 그래프. 열대 지역은 고위도 지역보다 강수량이 더 많다.


양 회귀선 사이에 위치한 지역은 일사량이 많아 연중 따뜻하며, 이로 인해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저기압 지대가 된다(열대 수렴대 또는 적도 저압대). 이 저기압으로 인해 풍부한 강수량을 얻을 수 있으며, 바로 아래에 열대 우림이 형성된다. 이 열대 수렴대는 계절에 따라 태양이 지나는 위도가 바뀌므로, 그에 맞춰 남북으로 움직인다. 이로 인해 여름에만 열대 수렴대에 들어가는 지역은 겨울에 건기가 오는 사바나 기후가 된다. 그러나 대륙 동쪽 해안에서는 몬순의 영향으로 건기가 뚜렷하지 않거나, 뚜렷한 건기가 있더라도 우기의 강수량이 이를 보충하고도 남을 정도로 매우 많아 열대 몬순 기후라고 불린다.

7월의 열대 수렴대. 상승 기류(음수)는 적도에 가까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하강 기류(양수)는 더 넓게 분포한다.


태양 고도의 기후에 대한 영향 때문에, 열대에 속하는 대부분의 지역은 1년 내내 기온이 높고,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보다 하루의 기온 변화가 더 크다. 열대 기후 지역의 계절 변화는 강수량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열대 우림 기후대나 열대 수렴대(ITCZ)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

기후열대온대
온도평균온도가 덥거나 따뜻하다지구 자전 각도에 의해 약 30도가량 연간 온도차가 발생한다.
습도연중으로 일정하게 높다가을철과 겨울철을 통해 건조해졌다가 봄과 여름에 습도가 상승
강우량연간 온도와 일조량이 높아 강우량이 많다.사계절이 형성되어 우기와 건조기가 정기적으로 번갈아가며 순환한다.
토양연중 식물의 활발한 재이용(plant recycle)으로 토양 내 낙엽 등에 의한 유기물 함량이 온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낙엽 등 분해량 대비)겨울철을 전후한 저온 현상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다. (낙엽 등 분해량 대비 약 50%)


5. 분포 지역

열대 기후의 기후 구역별 분포도


열대 기후는 주로 적도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다음과 같은 지역을 포함한다.

지역세부 지역
아마존강 유역
카리브해 연안 주변 지역
콩고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아프리카 대륙 중부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및 그 주변 지역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멜라네시아태평양의 섬들
일본



브라질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열대 지역의 분포는 남북 또는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온대 지역에서 열대 지역과 경계에 가까운 지역은 평년값 상승으로 인해 온대에서 열대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오키나와현 미야코 섬은 1971년 - 2000년의 평년값에서 1월 평균 기온이 17.7°C, 2월이 17.8°C로 간신히 온대에 포함되었지만, 1981년 - 2010년의 평년값에서는 각각 18°C, 18.3°C로 상승했기 때문에 정의상 열대 우림 기후로 변경된 셈이다.

2016년에 발표된 내셔널 지오그래픽지에 소개된 논문에 따르면, 열대 태평양에서는 강수량이 4배가 되는 반면, 남북 아메리카에서는 최악의 경우 3분의 1로,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지중해, 아프리카 남부, 아마존 일부 지역에서는 2분의 1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지구 규모의 열대화로 인해 기후 균형이 무너져가고 있다고 한다[25].

6.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온실 가스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열대 지역의 기후도 변화하고 있다.[13] 열대 지역은 지난 세기 동안 0.7~0.8°C 따뜻해졌는데, 이는 전 세계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강력한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1998년이 대부분 지역에서 가장 따뜻한 해였으며, 그 이후로 뚜렷한 온난화는 없었다. 기후 모델은 2050년까지 1~2°C, 2100년까지 1~4°C 더 온난화될 것으로 예측한다.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열대 지역의 분포는 남북 또는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온대 지역에서 열대 지역과 경계에 가까운 지역은 평년값 상승으로 인해 온대에서 열대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 섬은 1971년 - 2000년 평년값에서 1월 평균 기온이 17.7℃, 2월이 17.8℃로 간신히 온대에 포함되었지만, 1981년 - 2010년 평년값에서는 각각 18.0℃, 18.3℃로 상승했기 때문에 정의상 열대 우림 기후로 변경되었다.

2016년에 발표된 내셔널 지오그래픽지에 소개된 논문에 따르면, 열대 태평양에서는 강수량이 4배가 되는 반면, 남북 아메리카에서는 최악의 경우 3분의 1로,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지중해, 아프리카 남부, 아마존 일부 지역에서는 2분의 1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지구 규모의 열대화로 인해 기후 균형이 무너져가고 있다고 한다.[25]

7. 생태계

열대 우림의 분포


열대 생태계는 열대 우림, 계절성 열대림, 건조림(종종 낙엽성), 가시 숲, 사막, 사바나, 초원 및 기타 서식지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열대 우림과 계절성 숲에서 광범위한 생물 다양성과 종의 고유종이 존재한다. 중요한 생물 다양성과 높은 고유종 생태계의 몇 가지 예로는 푸에르토리코의 엘 윤케 국립 산림, 코스타리카니카라과의 열대 우림, 여러 남아메리카 국가의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 마다가스카르 건조 낙엽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워터버그 생물권], 그리고 동부

8. 식물

열대 정원도 참고

식물군은 특정 지역에서 특정 시기에 발견되는 식물이다. 열대 지역에서만 발견되거나, 열대 지역이 원산지이거나, 열대 지역과 자주 연관되는 잘 알려진 식물로는 다음이 있다.



9. 열대성 (Tropicality)

'''열대성'''은 열대 지역 외부 사람들이 그 지역에 대해 갖는 이미지, 비판적인 시각에서 숭배에 가까운 시각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용어이다.[14] 열대성은 프랑스 지리학자 피에르 구루가 1940년대 후반에 ''Les pays tropicaux'' (영어로 ''The Tropical World'')를 출판하면서 지리학적 담론에서 새롭게 주목받았다.[15]

열대성은 두 가지 주요 이미지를 포함한다. 하나는 열대 지역이 '에덴 동산', 즉 지구상의 천국,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가진 땅, 또는 열대 낙원을 나타낸다는 것이다.[16] 다른 하나는 열대 지역이 야생적이고 정복할 수 없는 자연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후자의 견해는 전자에 비해 옛 서양 문헌에서 더 자주 논의되었다.[16]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중 문학에서 열대에 대한 그러한 견해가 더 균형 잡히고 세련된 해석으로 대체되었다는 증거가 있다.[17]

서양 학자들은 열대 지역이 북반구의 더 추운 지역보다 인간 문명에 상대적으로 더 적대적인 이유를 이론화하려고 했다. 한 가지 인기 있는 설명은 기후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열대 정글과 열대우림은 북반구의 더 춥고 건조한 기후보다 훨씬 더 습하고 더운 날씨를 가지고 있어 더 다양한 생물권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주제는 일부 학자들이 습하고 더운 기후가 자연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한 인간 집단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하게 했다. 예를 들어 '야생 아마존 열대우림'과 같다.[18]

참조

[1] 웹사이트 How much land is in the tropics? http://godplaysdice.[...] 2017-06-26
[2] 웹사이트 tropic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7-06-26
[3] 논문 Tropical Expansion Driven by Poleward Advancing Midlatitude 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s 2020-08-27
[4] 논문 Quantifying the Occurrence of Record Hot Years Through Normalized Warming Trends https://onlinelibrar[...] 2021-05-28
[5] 웹사이트 We Have a Chance to Keep the Tropics Habitable https://gizmodo.com/[...] 2022-11-10
[6] 웹사이트 tropic https://www.oxfordle[...]
[7] 웹사이트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ropic of Cancer, Tropic of Capricorn, Arctic Circle and Antarctic Circle? http://curious.astro[...] 2022-11-19
[8] 웹사이트 Tropical zone https://content.mete[...] 2022-11-19
[9] 웹사이트 Rainy season.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8-12-27
[10] 웹사이트 CHAPTER 9: Introduction to the Biosphere. http://www.physicalg[...] PhysicalGeography.net 2008-12-27
[11] 웹사이트 Updated world Ko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map http://www.hydrol-ea[...]
[12] 간행물 Rainstorm characteristics affecting water availability for agriculture. http://www.cig.ensmp[...] IAHS Publication Number 140 1983
[13] 서적 Climate Change 2013 – The Physical Science Basis http://dx.doi.org/10[...] 2014-03-24
[14] 웹사이트 TROPICALITY https://www.lexico.c[...] 2022-03-25
[15] 문서 Illusory Riches: Representations of the Tropical World, 1840-1950
[16] 문서 Illusory Riches: Representations of the Tropical World, 1840-1950
[17] 논문 Trysts Tropiques: The Torrid Jungles of Science Fiction https://researchonli[...] 2017-05-30
[18] 문서 Illusory Riches: Representations of the Tropical World, 1840-1950
[19] 문서 1989
[20] 웹사이트 Historical Weather for Bandung, Indonesia https://www.weatherb[...] 2022-01-27
[21] 문서 日本気候表 全国の平年値一覧(統計期間1971~2000) 気象庁 2001
[22] 문서 沖ノ鳥島における海上気象観測,日本気象学会機関誌「天気」49巻(2002年)p.569-575 https://www.metsoc.j[...]
[23] 문서 地域気象観測(アメダス)平年値表 CD-ROM
[24] 웹사이트 気象庁|月ごとの平年値(宮古島) https://www.data.jma[...]
[25] 웹사이트 https://natgeo.nikke[...]
[26] 서적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Prentice Hall
[27] 웹사이트 気候区分 キコウクブン https://kotobank.jp/[...] 2017-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