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다테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시다테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마쓰시마급 방호순양함 중 하나이다. 프랑스 해군 고문 루이-에밀 베르탱의 젊은 학파 이론에 따라 건조되었으며, 320mm 카네식 대포를 주포로 장착했다.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25년 퇴역 후 1927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선박 - 제너럴 슬로컴
제너럴 슬로컴은 1891년 건조된 미국의 외륜 증기선으로, 1904년 뉴욕 이스트 강에서 발생한 화재로 천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참사로 유명하며, 이 사고는 해상 안전 규정 강화에 기여했다. - 청일 전쟁의 해군 함정 - 다카치호 (방호순양함)
다카치호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자매함 나니와와 함께 당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순양함으로 평가받았으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칭다오 공략전 후 독일 해군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하여 일본 해군 군함 중 최초로 교전 중 격침된 함선이 되었다. - 청일 전쟁의 해군 함정 - 이쓰쿠시마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는 189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인도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12년 2등해방함으로 분류가 변경된 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1926년 해체되었다. - 일본의 순양함 - 이쓰쿠시마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는 189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인도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12년 2등해방함으로 분류가 변경된 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1926년 해체되었다. - 일본의 순양함 - 요시노 (방호순양함)
요시노는 1893년 영국에서 건조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군함이었으나 1904년 러일 전쟁 중 장갑순양함 가스가와 충돌하여 침몰했다.
하시다테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선 정보 | |
![]() | |
함선 명칭 | 하시 다테 (橋立) |
함선 종류 | 해방함(海防艦) 또는 방호순양함 |
함선 기원 | 일본 제국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동형함 | 마쓰시마 이쓰쿠시마 |
함선 이력 | |
발주 | 1886년 회계년도 |
기공 | 1888년 8월 6일 |
진수 | 1891년 3월 24일 |
준공 | 1894년 6월 26일 |
제적 | 1922년 4월 1일 |
최종 운명 | 1927년 해체 |
건조 정보 | |
건조 | 요코스카 해군공창 |
건조 비용 | 1,553,405 엔 |
제원 | |
기준 배수량 | 4,210 톤 |
만재 배수량 (1894년 6월 기준) | 4,278 톤 (영국식 톤) |
길이 | 91.81 미터 (수선 간) |
전체 길이 | 99.21 미터 |
수선 길이 | 91.74 미터 |
수선간 길이 | 94.75 미터 또는 89.92 미터 |
폭 | 15.6 미터 또는 15.62 미터 |
깊이 | 10.64 미터 또는 10.67 미터 |
흘수 (평균) | 6.05 미터 |
추진 체계 | |
축 수 | 2축 |
엔진 형식 | 수평 3기통 3단 팽창 왕복 증기 기관 |
보일러 | 원형 보일러 6기 (1920년 미야하라식 보일러 8기로 변경) |
엔진 회전수 | 108rpm (내회전) |
출력 | 계획 5,400 마력, 공시 4,573 마력 |
속력 | 16.0 노트 |
연료 | 석탄 |
석탄 저장량 | 680 톤 (1904년 만재 660톤, 1920년 672톤) |
승조원 | |
승조원 수 (1890년 10월 기준) | 377명 |
승조원 수 (1920년 기준) | 298명 |
무장 | |
1894년 무장 | 32cm 카네 포 1문 12cm 포 2문 47mm 중포 6문 8mm 5연장포 4기 어뢰 발사관 4문 |
1920년 무장 | 가式 32cm 포 1문 안式 15cm 포 4문 안式 12cm 포 7문 안式 8cm 포 6문 보式 8cm 포 6문 보式 단 5cm 포 2문 마式 6.5mm 기관포 1정 (경비 시 2정) 탐조등 2기 |
장갑 | |
갑판 | 평탄부: 40mm 경사부: 30mm 또는 50.8mm |
포탑 | 300mm 또는 305mm |
포 방패 | 102mm |
탑재정 | |
탑재정 수 (1920년) | 6척 |
기타 정보 | |
본적 | 요코스카 진수부 |
2. 배경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3척 가운데 유일하게 일본에서 제작한 일본산 함정이다. 일본 해군은 어떻게 해서든 주요 함정을 국산화하려는 강한 의지가 있었지만, 당시 일본의 기술력으로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건조 기간이 다른 두 척보다 길었고, 청일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준공할 수 있었다. 일설에는 이 '하시다테'의 준공을 기다려 전쟁을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1]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3척 중 유일하게 일본에서 제작한 함정이다. 일본 해군은 주요 함정을 국산화하려는 강한 의지가 있었지만, 당시 일본 기술력으로는 어려움이 많았다. 건조 기간은 다른 2척보다 길었지만, 청일 전쟁 직전에 준공되었다. 일설에는 이 '하시다테'의 준공을 기다려 전쟁을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 주포인 32cm 단장포가 앞부분 갑판에 거치되어 순양함 이쓰쿠시마와 함의 외형이 닮았지만, 부포 이하의 무장 장비는 약간 달랐다.
원래 이 급의 네 번째 함선을 건조할 계획이 있었으나, 설계에 대한 우려로 인해 취소된 것이 루이-에밀 베르탱이 사임하고 프랑스로 돌아간 요인 중 하나였다.
3. 함형
3. 1. 설계
''하시다테''는 자매함인 ''이쓰쿠시마''와 비교했을 때, 주로 창문의 모양이 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이고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쓰쿠시마''와 마찬가지로 ''하시다테''는 연강으로 제작된 94개의 프레임과 방수 구획으로 나뉜 이중 바닥을 갖춘 강철 선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벌크헤드와 장갑 사이의 공간은 코프라로 채워졌다. 선수에는 함선 충각이 보강되었다.
보일러 및 탄약고를 포함한 중요한 장비는 포방패와 마찬가지로 경화 강철 장갑으로 보호되었다. 주포는 함선의 선수에 장착된 1문의 320mm 카네식 대포로 구성되었으며, 450kg의 철갑탄 또는 350kg의 고폭탄을 유효 사거리 8000m에서 발사할 수 있었다. 최대 발사 속도는 시간당 2발이었고, 함선에는 60발이 탑재되었다. 부무장은 11문의 QF 4.7인치 Mk I–IV 포 암스트롱 포로 구성되었으며, 최대 사거리는 9000m였고, 최대 발사 속도는 분당 12발이었다. 10문은 포갑판에 좌우 5문씩 장착되었고, 11번째 포는 선미 갑판의 상부 갑판에 위치했다. 각 포에는 120발의 탄약이 장착되었다. 3차 방어는 상부 갑판의 스폰슨에 장착된 6문의 QF 6파운더 호치키스 포로 이루어졌으며, 최대 사거리는 6000m였고, 발사 속도는 분당 20발이었다. 각 포에는 300발의 탄약이 있었다. 또한, 11문의 QF 3파운더 호치키스 포가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었으며, 사거리는 2200m였고, 발사 속도는 분당 32발이었으며, 포당 800발의 탄약이 있었다. 이 급의 각 함선에는 4문의 356mm 슈바르츠코프 어뢰 발사관이 있었으며, 3문은 선수에, 1문은 선미에 있었고, 총 20발의 어뢰가 탑재되었다. 이 모든 무기의 무게로 인해 설계는 위험할 정도로 상부에 무게가 쏠렸고, 무게를 줄이기 위해 장갑이 희생되었다.[2]
이 함선은 2개의 수평 삼단 팽창 증기 기관에 의해 구동되었다. 그러나 설계가 내항성에 문제가 있어 운항 중 설계 속도인 16.5노트에 도달하는 경우가 드물었다.[2] 주포인 32cm(38구경) 단장포는 전부 갑판에 설치되었으며, 이츠쿠시마와 함형이 유사하지만, 부포 이하의 장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수리용 함내 공장을 설치했다.[25] 1902년 5월에 보일러를 모두 미야하라식 수관 보일러로 변경했다.[26]
3. 2. 무장
주포는 선수에 장착된 1문의 320mm 카네식 대포로, 450kg의 철갑탄 또는 350kg의 고폭탄을 유효 사거리 8000m에서 발사할 수 있었다. 최대 발사 속도는 시간당 2발이었고, 함선에는 60발이 탑재되었다.[2] 부무장은 11문의 QF 4.7인치 Mk I–IV 포 암스트롱 포로 구성되었으며, 최대 사거리는 9000m였고, 최대 발사 속도는 분당 12발이었다. 10문은 포갑판에 좌우 5문씩 장착되었고, 11번째 포는 선미 갑판의 상부 갑판에 위치했다. 각 포에는 120발의 탄약이 장착되었다. 3차 방어는 상부 갑판의 스폰슨에 장착된 6문의 QF 6파운더 호치키스 포로 이루어졌으며, 최대 사거리는 6000m였고, 발사 속도는 분당 20발이었다. 각 포에는 300발의 탄약이 있었다. 또한, 11문의 QF 3파운더 호치키스 포가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었으며, 사거리는 2200m였고, 발사 속도는 분당 32발이었으며, 포당 800발의 탄약이 있었다. 이 급의 각 함선에는 4문의 356mm 슈바르츠코프 어뢰 발사관이 있었으며, 3문은 선수에, 1문은 선미에 있었고, 총 20발의 어뢰가 탑재되었다.[2] 주포인 32cm(38구경) 단장포는 전부 갑판에 설치되었으며, 이츠쿠시마와 함형이 유사하지만, 부포 이하의 장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3. 3. 기관
하시다테는 2개의 수평 삼단 팽창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었다. 그러나 설계 문제로 인해 실제 운항 중에는 설계 속도인 16.5노트에 도달하는 경우가 드물었다.[2] 1902년 5월에는 보일러를 모두 미야하라식 수관 보일러로 변경했다.[26] 함내에는 수리용 공장이 설치되어 있었다.[25]
4. 함력
마쓰시마형 방호순양함 3척 중 유일하게 일본에서 제작한 함정이다. 일본 해군은 주요 함정을 국산화하려는 강한 의지가 있었지만, 당시 일본의 기술력으로는 어려움이 많았다. 건조 기간은 다른 2척보다 길어졌고, 청일 전쟁 발발 직전에 준공되었다. 일설에는 ''하시다테''의 준공을 기다려 전쟁을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
주포인 32cm 단장포는 앞부분 갑판에 거치되어 이쓰쿠시마와 함의 외형이 비슷했지만, 부포 이하의 무장 장비는 약간 달랐다.
청일 전쟁에서는 마쓰시마, 이쓰쿠시마와 함께 분전하여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하는데 일조하였다. 러일전쟁에서는 마쓰시마, 이쓰쿠시마, 진원 3척과 함께 제3함대 제5전대를 구성하였고, 이 5전대의 기함으로 활약했다.
''하시다테''의 함력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888년 8월 6일 |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 |
1891년 3월 24일 | 진수 |
1894년 6월 26일 | 준공 |
1894년 8월 1일 | 청일 전쟁 발발, 연합함대 본대 배속 |
1894년 9월 17일 | 황해해전 참가 |
1895년 2월 | 웨이하이웨이 공격 종료, 청나라 항복 |
1898년 3월 21일 | 2등순양함으로 재분류 |
1904년 2월 10일 | 러일 전쟁 발발, 제3함대 제5전대 기함 |
1905년 5월 27일 - 28일 | 쓰시마 해전 참가 |
1912년 8월 28일 | 2등해방함으로 재분류 |
1922년 4월 1일 | 잡역선(연습선) |
1925년 12월 25일 | 퇴역 |
1927년 | 해체 |
4. 1. 건조
1887년 10월 10일, 普第4962호에 의해 요코스카 조선소에 제조 착수가 명해졌다.[27] 1888년 8월 6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다.[23] ''하시다테''는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건조되었으며, 많은 자재를 해외에서 수입했다. 건조자들의 미숙함으로 인해 건조에 3년이 걸렸다.[3] 1891년 3월 24일 진수되었으며,[23] 진수는 메이지 천황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3] 1894년 6월 26일 준공되었다.[23] 제1종으로 편입되었다.[9] 해상 시운전은 보일러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복잡해졌으며, 테스트에서 고장난 보일러 중 하나가 아직 수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 배치되었다.[3]4. 2. 청일 전쟁 (1894년 - 1895년)
1894년 8월 1일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하시다테''는 연합함대 본대에 배속되었다. 9월 17일 황해해전에 참가하였으며,[4] 다롄, 뤼순, 펑후 제도 공략 작전 등에도 참가하였다.[9] ''하시다테''는 뤼순 전투에서 일본군을 호위하였고, 11월 6일과 7일에는 다롄 항구의 육상 요새를 공격하는 임무를 지원했다.1895년 2월 웨이하이웨이 전투에서 청나라가 항복하였다. ''하시다테''는 함포 사격을 통해 영국령 웨이하이웨이를 지키는 육상 요새를 포격했으며, 2월 12일에는 청나라의 항복을 받기 위해 항구 안으로 진입했다.
일설에는 ''하시다테''의 준공을 기다려 청일전쟁 개전에 돌입했다고도 한다. 청일 전쟁에서 ''하시다테''는 마쓰시마, 이쓰쿠시마와 함께 분전하여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했다.
4. 3. 전간기 (1895년 - 1904년)
1898년 3월 21일 2등순양함으로 재분류되었다.[9] 청일 전쟁 직후 보일러 수리를 받았지만, 여전히 10kn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없었다. 1900년 4월에는 요코스카 항에서 해상 봉쇄 기술을 연습하는 대규모 해상 기동 훈련에 참여했다. 그러나 보일러 문제로 인해 1900년 의화단 운동에 대한 원정군 파병에는 참여하지 못했다.1901년 2월 25일, ''하시다테''와 이츠쿠시마는 요코스카를 출발하여 마닐라, 바타비아, 홍콩, 인천, 부산, 원산,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치는 장거리 항해 훈련을 실시한 후 1901년 8월 14일 요코스카로 귀환했다.
1902년, 일본에서 설계한 8기의 미야바라 수관 보일러로 완전히 교체되었고, 일본 해군 최초로 이 개조를 받은 함선이 되었다.[2] 1902년 10월 20일 속도 시험에서, 이전에는 신조 시에도 도달할 수 없었던 16kn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또한 이 개조 과정에서 부무장은 2문의 76mm 포와 18문의 QF 3 파운더 호치키스 47mm 포로 교체되었다. 그 후 1903년에 1901년 훈련 항해를 반복했다.
4. 4. 러일 전쟁 (1904년 - 1905년)
1904년 2월 10일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하시다테’는 제3함대 제5전대 기함으로 참전했다.[9] ‘하시다테’(함장 가토 사다키치)는 제3함대 제5전대에 배속되어 가타오카 시치로 제독의 지휘 하에 철갑함 鎮遠|전원중국어과 함께 운용되었다.‘하시다테’는 쓰시마 섬의 다케시키 경비부에 배치되어 2월에 대한 해협을 순찰했고, 일본 제2군의 수송선을 한반도로 호송하여 5월 말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뤼순항 봉쇄 작전에 참여하여 7월 9일 러시아 순양함 Bayan|바얀영어과 교전했다. 8월 10일 순찰 중 ‘하시다테’는 러시아 함대를 처음으로 발견한 일본 함선 중 하나였으며, 이로 인해 황해 해전이 시작되었다. 전투 초반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포격을 가할 수 있었고, 퇴각하는 러시아 함선을 뤼순항까지 추격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2월 10일, ‘이쓰쿠시마’와 함께 기뢰에 접촉한 순양함 明石|아카시일본어를 지원했다.
1905년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벌어진 쓰시마 해전에서 ‘하시다테’는 러시아 함대의 후미를 공격하여 순양함 Oleg|올레크영어에 명중탄을 기록했고, 이후 전함 Князь Суворов|크냐지 수보로프ru와 수리함 ‘캄차카’의 격침을 지원했다.[5] 전투 중 ‘하시다테’는 두 번 피격되어 사관 1명과 승무원 6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후 제4함대에 배속된 ‘하시다테’는 1905년 7월부터 8월까지 일본군의 사할린 섬 침공을 지원했다. 10월 20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으로 돌아가 수리를 받았으며, 10월 23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해군 관함식에 참가하여 일본의 승리를 축하했다.
4. 5. 말년
하시다테는 1912년 8월 28일에 2등 해방함으로 재분류되었다.[9] 1922년 4월 1일에는 해군 함정 목록에서 삭제되었고,[23] 잡역선(연습선)으로 편입되어 요코스카 해병단에서 사용되었다.[9]1925년 12월 25일 퇴역하였고,[29] 1927년에 해체되었다.[9] 1926년 5월 1일, 선체는 170000JPY에 매각되어,[30] 요코스카에서 해체되었다.[9]

5. 함장
취임일 | 이름 | 계급 | 비고 |
---|---|---|---|
1894년 6월 23일 | 히다카 소노조 | 대령 | |
1895년 5월 18일 |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 | 대령 | |
1895년 7월 25일 | 아리마 신이치 | 대령 | |
1895년 12월 27일 | 가타오카 시치로 | 대령 | |
1897년 6월 1일 | 가미무라 마사노조 | 대령 | |
1898년 9월 1일 | 오쿠라 뵤이치로 | 대령 | |
1899년 5월 1일 | 사쿠라이 키쿠노스케 | 대령 | |
1899년 5월 24일 | 나시하 토키오키 | 대령 | |
1900년 11월 6일 | 미야오카 나오키 | 대령 | |
1902년 10월 6일 | 이데 린로쿠 | 대령 | |
1903년 10월 12일 | 가토 사다키치 | 대령 | |
1905년 1월 7일 | 후쿠이 마사요시 | 대령 | |
1905년 11월 21일 | 이시바시 하지메 | 대령 | |
1906년 8월 30일 | 야마가타 분조 | 대령 | |
1907년 8월 5일 | 니시야마 사네치카 | 대령 | |
1908년 9월 25일 | 야마구치 규쥬로 | 대령 | |
1908년 12월 10일 | 이마이 카네타네 | 대령 | 겸임 |
1908년 12월 23일 | 이마이 카네타네 | 대령 | |
1909년 12월 1일 | 아키야마 사네유키 | 대령 | |
1910년 4월 9일 | 마치다 코마지로 | 대령 | |
1910년 12월 1일 | 후나코시 카지시로 | 대령 | |
1911년 12월 1일 | 누노메 만조 | 대령 | |
1912년 12월 1일 | 요시오카 한사쿠 | 대령 | |
1914년 12월 1일 | 마사키 요시타 | 대령 | |
1915년 2월 22일 | 이누즈카 스케지로 | 중령 | 사전 |
1915년 9월 13일 | 오이시 쇼키치 | 중령 | 사전 |
1916년 4월 1일 | 오이시 쇼키치 | 대령 | |
1916년 4월 4일 | 오카다 미요시 | 대령 | 겸임 |
1918년 12월 1일 | 무라카미 키요시 | 대령 | 겸임 |
1919년 11월 20일 | 마스다 코이치 | 대령 | 겸임 |
1920년 11월 12일 | 카바야마 노부유키 | 중령 | [31] |
1921년 9월 17일 | 요시토미 신하치 | 대령 | [32] |
※ 『일본 해군사』 제9권·제10권의 「장관 이력」 및 『관보』에 근거함. 계급은 취임 당시의 계급.
참조
[1]
서적
The Jeune École: The Strategy of the Weak
[2]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3]
서적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4]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 Power, and Primacy
[5]
서적
The Fighting Ships of the Rising Sun
[6]
문서
海軍艦艇史2(1980) p.68、写真No.2092
[7]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355-358頁。
[8]
문서
海軍軍備沿革 p.48
[9]
문서
主要艦艇艦歴表 全艦艇史(1994)資料篇p.3、橋立
[10]
문서
戦史叢書31海軍軍戦備1 付表第一その一「大正九年三月調艦艇要目等一覧表 その一 軍艦」
[11]
문서
内令提要7版/艦船(1) 画像1-3、艦艇本籍別一覧表 大正四年四月一日調。
[12]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106
[13]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376頁。
[14]
문서
日本の戦艦(下)2001p.48
[15]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434頁。
[16]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413頁。
[17]
문서
日本の戦艦(下)2001p.42
[18]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下巻p.263、戦役中艦艇石炭搭載成績表
[19]
문서
帝国海軍機関史(1975) 下巻p.279、戦役従軍艦艇及其の最近高力運転成績。
[20]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 pp.190-192、明治23年10月18日(勅令235)軍艦団隊定員
[21]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216
[22]
문서
日本の戦艦(上)2001 p.27
[23]
문서
浅井(1928) pp.68-69、「72 橋立 はしだて Hasidate.」
[24]
웹사이트
特務艇「はしだて」型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2022-07-16
[25]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377頁。
[26]
문서
日本近世造船史明治(1973) 414頁。
[27]
문서
横須賀海軍船廠史(1973) 第2巻p.384
[28]
문서
T14公文備考25/練習艦橋立売却 画像5、大正14年11月30日横鎮機密第960号の3「練習艦橋立廃却ノ件 首題練習艦橋立ハ別紙検査證ノ通船体其ノ他一般ニ老衰甚シク修理ヲ加フノ価値無之ニ付廃却処分致度候條御認許相成度 右上申ス」
[29]
문서
T14公文備考25/練習艦橋立売却 画像2、大正14年12月25日官房第4139号「十一月三十日附横鎮機密第九六〇号ノ三上申雑役船橋立廃却ノ件認許ス」
[30]
문서
T15-S1公文備考30/公称第512号汽艇廃船処分の件(3) 画像26、横廠第63号の2の11
[31]
뉴스
官報
1920-11-13
[32]
뉴스
官報
1921-09-19
[33]
문서
艦艇写真集(2005)巡洋艦 p.25、写真No.052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