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시마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시마 해전은 1905년 러일 전쟁 중 일본 해군이 러시아 발트 함대를 격파한 해전이다. 뤼순항 봉쇄로 인해 발트 함대를 파견한 러시아는, 장기간의 항해와 보급 문제, 그리고 일본의 우수한 전술과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했다. 일본은 이 승리로 포츠머스 조약 체결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으며, 세계 열강에 대한 승리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반면 러시아는 막대한 해군력 손실과 함께 로마노프 왕조의 권위가 실추되었다. 쓰시마 해전은 대함거포주의와 무선 통신의 중요성을 입증했으며,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상대로 거둔 첫 번째 승리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가 참가한 해전 - 나바리노 해전
나바리노 해전은 1827년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 함대가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를 격파하여 그리스 독립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한 해전이다. - 1905년 전투 - 여순항 포위전
여순항 포위전은 1904년 러일 전쟁 중 일본군이 러시아의 여순항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로, 치열한 전투 끝에 일본이 승리하였으나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대한제국의 국권 침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1905년 전투 - 산데푸 전투
산데푸 전투는 1905년 1월 러일 전쟁 중 러시아군이 일본군 좌익을 공격하여 전술적 교착 상태로 끝났지만, 막대한 피해와 기관총의 본격적인 사용, 그리고 러시아군의 주도적인 대규모 회전 불능을 야기하며 러일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데 영향을 주었다.
쓰시마 해전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전투 이름 | 쓰시마 해전 |
다른 이름 | 일본해 해전 |
로마자 표기 | Nihonkai kaisen |
러시아어 표기 | Цусимское сражение |
부분 전쟁 | 러일 전쟁 |
전투 기간 | 1905년 5월 27일 – 5월 28일 |
장소 | 쓰시마 해협 |
결과 | 일본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일본 제국 |
교전국 2 | 러시아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도고 헤이하치로 가미무라 히코노조 가타오카 시치로 |
지휘관 2 |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오스카 엔크비스트 |
병력 | |
병력 1 | 전함 4척 순양함 29척 포함 4척 구축함 21척 어뢰정 45척 보조함 22척 |
병력 2 | 전함 8척 해안 방어 전함 3척 순양함 9척 구축함 9척 보조함 9척 |
피해 규모 | |
피해 1 | 사망 117명 부상 583명 어뢰정 3척 침몰 (255 톤 침몰) |
피해 2 | 사망 5,045명 부상 803명 포로 6,016명 전함 6척 침몰 해안 방어 전함 1척 침몰 기타 선박 14척 침몰 전함 2척 나포 해안 방어 전함 2척 나포 구축함 1척 나포 6척 무장 해제 (135,893 톤 침몰) |
기타 정보 | |
![]() |
2. 배경
러일전쟁 중 러시아는 일본을 압박하기 위해 함대를 동원했지만, 각 지역에 흩어진 함대를 모으기는 쉽지 않았다. 흑해 함대는 오스만 제국 때문에 출동이 불가능했고, 태평양 함대[87]만으로는 일본 해군에 대항하기 어려웠다. 이에 러시아 해군 사령부는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발트 함대[88]와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이 이끄는 제3태평양함대를 추가로 파견했다.
그러나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주력함대를 이동시키는 것은 당시로서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고, 증기선이 주력이었던 함대는 석탄 보급이 필수적이었다. 보급 항구가 필요했고, 수에즈 운하를 통과해야 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영국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1904년 10월 21일 북해에서 발생한 도거 뱅크 사건에서 러시아 해군은 영국 어선을 일본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은 일본을 지지했고, 스페인에 압력을 가해 러시아 발트 함대에 대한 보급을 막고, 영국 식민지 항구에도 발트 함대의 입항을 금지했다. 영국은 공식적으로는 발트 함대의 선박이 너무 커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었다.
결국 수에즈 운하 통과는 일부 소형 선박만 가능했고, 제2태평양함대 주력은 아프리카 대륙 남쪽 끝 희망봉을 돌아 마다가스카르섬의 노스베항에서 합류했다. 발트 함대는 의도치 않게 세계 일주를 하게 되었다. 인도양에서 러시아의 우호국 항구는 매우 적었고, 동맹국 프랑스마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석탄과 식량 등 군수물자를 원래 가격의 10배나 요구하여 제대로 보급받지 못했다. 결국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물자를 조달하기로 하고, 제2, 제3 태평양함대는 190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캄란 만에서 합류한 뒤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해 항해를 시작했다.
한편, 일본 연합함대는 황해 해전과 울산 해전에서 러시아 태평양함대를 격파하고 발트 함대와의 결전을 준비했다.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은 발트 함대가 쓰시마 해협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한반도 남해안에 주력함대를 배치하고 경계를 강화했다.
5월 14일 발트 함대가 캄란항을 출항했지만, 5월 19일부터 소식이 끊겼다. 5월 24일 도고는 일본 대본영에 홋카이도로 이동하겠다는 전보를 보냈지만, 대본영은 신중하게 기다리라는 연락을 했다. 5월 26일 오전, 발트 함대의 석탄운반선 6척이 상해에 5월 25일 저녁에 입항했다는 정보가 들어왔고, 이는 발트 함대가 태평양 루트로 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도고는 쓰시마 해협에서 발트 함대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
1905년 5월 27일 오전 2시 45분, 연합함대의 순양함 시나노마루가 발트 함대를 발견하고, 4시 45분에 “적함 발견”을 알리는 무전을 보냈다.
2. 1. 러일전쟁 발발과 러시아의 상황
19세기 말, 러시아는 만주와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고, 이는 일본 제국의 이익과 충돌했다. 1904년 2월 8일, 일본은 뤼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극동 함대를 기습 공격하며 러일전쟁을 일으켰다.[87]러시아는 일본에 비해 압도적인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함대가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흑해 함대는 오스만 제국 때문에 출동이 불가능했고, 태평양 함대는 일본 해군에 의해 뤼순항에 봉쇄되었다.[87]
러시아 해군 사령부는 태평양함대만으로는 일본 함대에 대항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발트 함대[88]와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이 이끄는 제3태평양함대를 추가로 파견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다. 주력 함대를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당시로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고, 함대의 대부분이 증기선이었기 때문에 항상 석탄 공급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수시로 보급할 수 있는 항구가 필요했고,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해야 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이들 항구와 운하를 지배하던 영국과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다. 1904년 10월 21일 북해에서 발생한 도거 뱅크 사건에서 러시아 해군은 영국 어선을 일본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은 일본을 지지했고, 스페인에 러시아 발트 함대에 보급을 하지 말라는 압력과 함께 영국 식민지 항구에도 발트 함대의 입항을 금지시켰다. 영국은 러시아 발트 함대 측에 '귀하의 배는 너무 커서 이 좁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지 못합니다.'라는 공식적인 사유를 들어 수에즈 운하 통과를 막았다.
결국 수에즈 운하 통과는 일부 소형 선박을 보유한 함대만 가능했고, 함대는 둘로 나뉘어 제2태평양함대 주력은 아프리카 대륙 남쪽 끝 희망봉을 돌았고, 마다가스카르섬의 노스베항에서 합류했다. 이로 인해 발트 함대는 본의 아니게 세계 일주를 하게 되었다.
이후 인도양에서는 러시아의 우방국의 항구가 매우 적었고, 동맹국 프랑스에게도 냉대를 받아 약 반년간의 항해는 피로가 극에 달했고, 사기도 매우 떨어졌다. 발트 함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석탄과 식량 등 군수 물자를 보충하려 했으나, 프랑스 측에서 물자를 원래 가격의 10배로 요구하여 제대로 보급받지 못했다. 결국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물자를 조달하기로 결정하고 제2, 제3 태평양함대는 190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캄란 만에서 합류한 뒤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해 항해를 시작했다.
2. 2. 발트 함대의 여정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는 일본을 압박하기 위해 함대를 동원했지만, 각지에 흩어진 함대를 모으는 것은 쉽지 않았다. 흑해 함대는 오스만 제국 때문에 출동이 불가능했고, 결국 태평양 함대[87]만으로는 일본 함대에 대항하기 어려웠다. 이에 러시아 해군 사령부는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발트 함대[88]와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이 이끄는 제3태평양함대를 추가로 파견했다.하지만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주력함대를 이동시키는 것은 당시로서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고, 함대의 대부분이 증기선이었기 때문에 석탄 보급이 필수적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보급 항구가 필요했고, 수에즈 운하를 통과해야만 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영국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1904년 10월 21일 북해에서 발생한 도거 뱅크 사건에서 러시아 해군은 영국 어선을 일본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은 일본을 지지했고, 스페인에 압력을 가해 러시아 발트 함대에 대한 보급을 막고, 영국 식민지 항구에도 발트 함대의 입항을 금지했다. 영국은 공식적으로는 발트 함대의 선박이 너무 커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었다.
결국 수에즈 운하 통과는 일부 소형 선박만 가능했고, 제2태평양함대 주력은 아프리카 대륙 남쪽 끝 희망봉을 돌아 마다가스카르섬의 노스베항에서 합류했다. 이로 인해 발트 함대는 의도치 않게 세계 일주를 하게 되었다.
인도양에서 러시아의 우호국 항구는 매우 적었고, 동맹국 프랑스마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석탄과 식량 등 군수물자를 원래 가격의 10배나 요구하여 제대로 보급받지 못했다. 결국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물자를 조달하기로 하고, 제2, 제3 태평양함대는 190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캄란 만에서 합류한 뒤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해 항해를 시작했다.
한편, 일본 연합함대는 황해 해전과 울산 해전에서 러시아 태평양함대를 격파하고 발트 함대와의 결전을 준비했다.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은 발트 함대가 쓰시마 해협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한반도 남해안에 주력함대를 배치하고 경계를 강화했다.
5월 14일 발트 함대가 캄란항을 출항했지만, 5월 19일부터 소식이 끊겼다. 5월 24일 도고는 일본 대본영에 홋카이도로 이동하겠다는 전보를 보냈지만, 대본영은 신중하게 기다리라는 연락을 했다. 5월 26일 오전, 발트 함대의 석탄운반선 6척이 상해에 5월 25일 저녁에 입항했다는 정보가 들어왔고, 이는 발트 함대가 태평양 루트로 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도고는 쓰시마 해협에서 발트 함대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
1905년 5월 27일 오전 2시 45분, 연합함대의 순양함 시나노마루가 발트 함대를 발견하고, 4시 45분에 “적함 발견”을 알리는 무전을 보냈다.
3. 전투 과정
시나노마루는 야간에 병원선이 조타관제를 지키지 않아 발트 함대의 병원선을 발견했다. 발트 함대는 시나노마루가 무선으로 통보하는 동안에도 포격을 가하지 않았고, 전파방해도 하지 않았다.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은 강력한 무선기를 가진 우랄 함장에게 일본 측 무선을 방해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당시 무선방위 측정기는 실용화 이전이었기에, 시나노마루는 야간동안 발트 함대를 관측하면서 전파를 발신했지만 러시아 함대는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5시 5분, 진해만에 대기 중이던 연합함대가 출항했다. 거친 바다 때문에 기뢰 작전 대신 포격전 위주로 전투를 진행하기로 했다.
10시, 연합함대 제5, 6 전대가 발트 함대를 확인했다. 11시, 발트 함대가 위협 포격을 가했고, 양측 간 포격이 벌어졌으나 전투 상태로 번지지는 않고 일정 거리를 유지했다. 양측 모두 명중탄은 없었지만, 일본 연합함대 일부가 발트 함대 앞을 가로질러 발트 함대 대열은 2열 종대에서 3열 종대로 바뀌었고, 순양함 함대는 후열로 밀려났다.
13시 39분, 연합함대 모든 함대가 집결했고, 연합함대 주력 제1, 제2 전대가 발트 함대를 좌현 남쪽에서 확인, 전투 깃발을 내걸고 전투 개시를 명령했다. 13시 55분, 도고는 연합함대 기함 미카사에 Z기를 게양하라고 지시했다. Z기는 "황국의 흥폐, 이 전투에 달려있다. 각 대원은 한층 분발노력하라."라는 의미였다.
14시 2분, 남서쪽으로 침로를 정한 연합함대와 북동쪽으로 침로를 정한 발트 함대는 반항로(평행과 다름)상에 있었다. 14시 3분, 양측 함대 거리가 11,000m까지 접근했다. 8,500m에 이르자 포술장교가 포격전 사격 준비를 우현으로 할지 좌현으로 할지 물었다.
8,000m가 되자, 도고는 오른손을 높이 들어 왼쪽으로 반원을 그렸고, 선두에 있던 기함 미카사는 크게 좌현으로 돌아 러시아군 앞에서 대반전하는 ‘정자전법’(도고 턴)을 시작했다.[65]
3. 1. 일본의 전략과 준비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이 이끄는 일본 해군 연합함대는 발트 함대를 쓰시마 해협에서 맞아 싸우기 위해 철저한 준비를 했다. 연합함대는 발트 함대가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는 세 가지 예상 경로(쓰시마 해협, 쓰가루 해협, 소야 해협) 중 쓰시마 해협에 전력을 집중하기로 결정했다.[68]일본 해군은 뤼순 봉쇄 기간 동안 철저한 훈련을 통해 함대의 숙련도를 높였다. 특히 포술 훈련에 집중하여 명중률을 크게 향상시켰다. 1904년(메이지 37년) 4월 12일에는 전투 전략을 확정하고,[68] 포격전 전술로 '단독 부대는 정자전법, 2개 부대 공동 작전은 을자전법'을 따르기로 했다.
- 정자전법(丁字戦法): 유력한 전함으로 단종진을 구성하여 적 함대 단종진의 선두를 억누르는 형태로 공격한다.
- 을자전법(乙字戦法): 전함으로 구성된 제1전대와 장갑순양함으로 구성된 제2전대가 상황에 따라 기동하며, 적에게 십자포화 공격을 가한다.
당시 해전의 상식으로는 적의 전면에서 큰 각도로 순차 회두(1척당 2분 이상 소요되는 150도 회두)하는 것은 위험한 행위였다. 실제로 선두함이었던 미카사는 회두 직후부터 적 함대의 집중 포격을 받았다. 그러나 연합함대는 이러한 불리함을 감수하고 실행했다.
연합함대 사령부는 아키야마 사네유키, 사토 데쓰타로 등을 참모로 두고, 상층부도 그 의견을 중시하며 조직적이고 유기적으로 최선의 판단을 하도록 항상 노력했다.
일본 해군은 화력 강화에도 힘썼다. 흑색화약 대신 성능이 우수한 시모세 화약을 사용하고, 정밀한 이주인 고로 신관[31]을 장착하여 포탄의 파괴력을 높였다. 시모세 화약은 폭발 속도와 온도가 높아 당시 다른 고성능 폭약보다 강력했다.[30] 이 포탄들은 접촉 시 폭발하도록 설계되어 함선의 상부 구조물을 파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발명한 무선전신 기술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아키야마 사네유키는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무선전신의 능력을 직접 목격하고 해군참모본부에 보고서를 보내 이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85] 일본 해군은 기무라 슌키치 교수를 중심으로 무선 연구 위원회를 설립하여 자체 무선 장치를 개발했고, 1901년에는 최대 110km의 무선 전송을 달성하는 34식 장치를 개발하여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1903년에는 36식 무선 장치를 개발하여 전쟁 시작 무렵 연합함대의 모든 주요 군함에 신속하게 설치했다.[85]
시마즈 겐조가 일본 최초의 납축전지 개발에 성공하여, 36식 무선전신기는 일본 해군에게 충분한 통신 능력을 제공했다. 당시 무선 전신 기술은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1894년경 발명했지만, 일본 해군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력을 조기에 갖추게 된 것이다. 이 36식 무선전신기는 시나노마루의 발트 함대 발견 보고와 전투 중 각 함선 간 정보 교환에 활용되어 전황을 유리하게 이끌었다.
반면, 러시아는 알렉산드르 포포프가 무선 전신을 발명했지만, 해군 수뇌부의 선견지명 부족으로 보급이 늦어졌다.
3. 2. 해전의 시작
1905년 5월 27일 새벽, 일본 해군의 순양함 시나노마루가 발트 함대의 병원선을 발견했다.[59] 시나노마루는 병원선이 조타관제를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발트 함대는 시나노마루가 무선으로 보고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시나노마루는 "적 함대를 203 구역에서 발견"이라는 무선 메시지를 보냈고, 이 메시지는 순양함 이쓰쿠시마(Itsukushima)함을 거쳐 연합함대 기함 미카사(Mikasa)함에 전달되었다. 이 보고를 받은 도고 제독은 즉시 출격 준비를 명령했다.[60]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은 강력한 무선기를 가진 우랄 함장에게 일본 측 무선 통신을 방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당시 무선 방위 측정기는 실용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시나노마루가 밤새 발트 함대를 관측하며 무선 통신을 하는 동안에도 러시아 함대는 이를 알아채지 못했다.
새벽 5시 5분, 진해만에 대기하고 있던 연합함대가 출항했다. 거친 바다 때문에 원래 계획했던 기뢰 작전 대신 포격전 위주로 전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오전 10시, 연합함대 제5, 6 전대가 발트 함대를 처음으로 확인했다. 오전 11시, 발트 함대가 위협 포격을 가했고, 양측 사이에 포격이 오갔지만 본격적인 전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양측 모두 명중탄은 없었지만, 일본 연합함대의 일부가 발트 함대 앞을 여러 번 가로지르면서 발트 함대의 대열은 2열 종대에서 3열 종대로 바뀌었고, 순양함 함대는 후열로 밀려났다.
오후 1시 39분, 연합함대의 모든 함대가 집결했다. 연합함대 주력 제1, 제2 전대가 발트 함대를 좌현 남쪽에서 시야로 확인하고 전투 깃발을 내걸며 전투 개시를 명령했다. 오후 1시 55분, 도고는 연합함대 기함 미카사에 Z기를 게양하라고 지시했다. Z기는 "황국의 흥폐, 이 전투에 달려있다. 각 대원은 한층 분발노력하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1903년에 제식 채용된 三六式無線電信機(36식 무선전신기)는 시나노마루(信濃丸)의 발트 함대 발견 보고와 전투 중 각 함선 간의 정보 교환에 활용되어 일본군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당시 일본 해군은 구리엘모 마르코니가 1894년경 발명한 무선 전신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력을 갖추고 있었다. 반면 러시아 측에서는 알렉산드르 포포프가 무선 전신을 발명했지만, 해군 수뇌부의 선견지명 부족으로 보급이 늦어져 어려움을 겪었다.[85]
3. 3. 정자전법(丁字戰法)과 러시아 함대의 붕괴
14시 2분, 남서쪽으로 침로를 잡은 연합함대와 북동쪽으로 침로를 잡은 발트 함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항해하고 있었다. 14시 3분, 양측 함대 거리가 11,000m로 가까워졌고, 8,500m에 이르자 포술장교는 포격 준비를 우현으로 할지 좌현으로 할지 물었다. 8,000m가 되자, 도고 헤이하치로는 오른손을 높이 들어 왼쪽으로 반원을 그렸고, 선두의 기함 미카사는 크게 좌현으로 회전하며 러시아군 앞에서 대반전을 하는 이른바 '정자전법' 혹은 '도고 턴'을 시작했다.[70]당시 해전 상식으로는 적 앞에서 대각도로 순차 회두(1척당 2분 이상 걸리는 150도 회두)는 위험한 행동이었다. 실제로 기함이자 선두함이었던 미카사는 회두 직후부터 적 함대의 집중 공격을 받아 피탄 48발 중 40발이 우현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연합함대는 이러한 불리함을 감수하고 실행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척당 2분 이상 무력화되지만, 적의 공격도 회두 중에는 장래 위치가 특정되지 않아 포격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포격은 자함과 적함 모두 정침한 후, 제1탄을 쏘고 그 착탄 위치(수주)에서 조준을 수정하여 제2탄부터 명중을 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70]
- 자이로컴퍼스가 발명되지 않았던 당시에는 한 지점에 포탄을 집중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 당시 조준기 정확도가 낮아 제1탄이 함교나 주포 등 주요 부분에 한 발로 명중하는 것은 매우 드물었다.
- 발트 함대는 기함 미카사를 집중 포격했지만, 도고 헤이하치로는 최신예이자 가장 장갑이 두꺼운 미카사에 피탄을 집중시켜 다른 함선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의도했다.[63] 도고 헤이하치로는 미카사가 대파하고 자신이 전사하더라도 정자 형태를 완성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했다.
3. 4. 야간 전투와 러시아 함대의 괴멸
밤이 되자 일본 해군은 구축함과 어뢰정을 동원하여 러시아 함대에 야간 공격을 감행했다. 러시아 함대는 탐조등을 사용하여 일본 함대를 찾으려 했으나, 오히려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켜 일본 함대의 공격 목표가 되었다.[79]러시아 함대는 이 야간 공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전함 나바린이 침몰했고,[79] 시소이 벨리키, 아드미랄 나히모프, 1등 순양함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피해를 입고 블라디보스토크행을 포기, 자침하기 위해 쓰시마로 향했다.[79]
일본 해군 역시 피해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구축함 아카츠키와 충돌한 수뢰정 제69호정,[79] 적함의 포격을 받은 수뢰정 제34호정, 제35호정이 침몰했다.[79] 그 외에도 구축함 유키카제와 하루사메가 충돌하여 경상을 입었다.[79]
야간 전투가 끝날 무렵, 발틱 함대는 뿔뿔이 흩어졌고, 인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를 따라온 함선은 해방전함 게네랄 아드미랄 아프락신, 아드미랄 세냐빈, 2등 순양함 이주무루트 4척뿐이었다.[79]
3. 5. 러시아의 항복
5월 28일, 궤멸 직전의 러시아 함대를 이끌던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은 항복을 결정했다. 오전 10시 34분, 네보가토프의 지시에 따라 기함 '인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는 흰 깃발을 게양하여 항복 의사를 표시했다.[9] 그러나 전시 국제법에서 요구하는 기관 정지를 하지 않아 연합함대는 포격을 계속했다. 오전 10시 53분, 네보가토프는 기관을 정지시켰고, 연합함대도 포격을 중지했다.[9]일본 측은 제1, 제2함대의 각 함선을 동원하여 이 4척의 함선 포획에 나섰으나, '이즈무르트'는 동쪽으로 도주를 시도했다. '치토세'와 제6함대가 추격했지만 속도가 미치지 못해 도주를 허용했고, '이즈무르트는'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했지만 러시아 연안에서 좌초되어 폭파 후 버려졌다.[9]
'시소이 벨리키', '아드미랄 나히모프',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는 대한해협 주변에서 침몰했고, 승무원들은 일본 측에 구조되었다.[9]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와 함께 있던 구축함 '그롬키'는 구축함 '시라누이'와 수뢰정 제63호정에 추격당해 울산 앞바다에서 항복했으나, 일본 측의 포획 시도 중 침몰했다.[9]
'아드미랄 우샤코프'는 일본 장갑순양함 '이와테'와 '야쿠모'의 항복 권고를 거부하고 포격을 개시했으나, 오후 6시 10분 저항을 포기하고 자폭하여 침몰했다.[9]
로제스트벤스키를 태우고 북상하던 '부이뉘이'는 기관 고장과 석탄 부족으로 블라디보스토크 도착이 어려워, 28일 새벽 '드미트리 돈스코이'와 구축함 '베도비', '그로즈뉘이'와 합류했다. 로제스트벤스키는 '베도비'로 옮겨 타고 '그로즈뉘이'와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했으나, 구축함 '사자키'와 '카게로'에 발견되어 '베도비'는 항복했고, 로제스트벤스키는 포로가 되었다. '그로즈뉘이'는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9]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울릉도 근해에서 일본 제4함대와 '오토와', '신타카'의 공격을 받고 자침했다.[9]
순양함 '올레그', '아브로라', '젬추크'는 마닐라로 도피하여 미국에 억류되었고, '보르도이'는 상하이에 입항하여 청에 억류되었다.[9]
4. 결과
러시아 함대는 이 해전에서 전함과 순양함 대부분을 잃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반면 일본 함대의 피해는 경미하여, 해전 역사상 드문 대승으로 기록되었다.[10] 이 승리는 세계를 놀라게 했으며, 일본이 포츠머스 조약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10]
양국 함대의 피해 상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러시아 함대 | 일본 함대 |
---|---|---|
함선 피해 | 격침 16척(전함 6척, 기타 10척), 자침 5척, 나포 6척, 중립국 도피 6척, 자국항 도착 3척(순양함 Алмаз|알마즈ru, 구축함 Бравый|브라브이ru, Грозный|크로즈누이ru) | 침몰 3척(수뢰정 3척) |
승무원 피해 | 전사 4,830명, 포로 6,106명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 포함) | 전사 117명, 부상 583명 |
5월 27일, 일본 연합함대는 적함 발견 보고를 받고 출동 준비를 시작했다. 대본영에는 "적함 발견 경고를 접수, 연합함대는 즉시 출동하여 이를 격멸하려 한다. 오늘 날씨는 맑으나 파도가 높다"라는 전문이 타전되었다.
4. 1. 일본의 압도적인 승리
러시아 함대는 주력 함선인 전함과 순양함 대부분을 잃었고, 극동에서의 제해권을 완전히 상실했다. 일본 해군의 피해는 경미하여, 해전 역사상 유례없는 일방적인 승리로 기록되었다.[10]양국 함대의 피해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 함대 | 일본 함대 |
---|---|
격침 16척 (전함 6척, 기타 10척), 자침 5척, 나포 6척, 중립국 도피 6척, 자국항 도착 3척 (순양함 Алмаз|알마즈ru, 구축함 Бравый|브라브이ru, Грозный|크로즈누이ru) | 침몰 3척 (수뢰정 3척) |
승무원: 전사 4,830명, 포로 6,106명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 포함) | 승무원: 전사 117명, 부상 583명 |
5월 28일, 도고 헤이하치로는 독도 남쪽에서 니콜라이 네보가토프의 잔여 함대를 포위하고 사격을 개시했다. 자신의 함포 사거리가 일본 함포보다 짧고, 전날 일본 전함이 자함보다 빠르다는 것을 확인한 네보가토프는 항복을 명령했다. 그는 국제 항복 신호인 'XGE'를 게양했지만, 일본 해군은 이를 바로 인지하지 못하고 사격을 계속했다. 네보가토프는 돛대에 흰 천을 올렸지만, 도고 헤이하치로는 과거 청일 전쟁 당시 풍도 해전에서 고승호 격침 사건을 경험()했기 때문에 이 신호가 '항복'이 아닌 휴전 요청이라고 판단했다.
부관들이 XGE 신호가 엔진 정지를 요구하는 신호임을 확인하고, 도고는 "정지" 신호를 보내며 사격을 계속했다. 네보가토프는 성 안드레아 십자기를 내리고 일장기를 게양하고 모든 엔진을 정지시켰다. 신호 요건이 충족된 것을 확인한 도고는 휴전을 선포하고 네보가토프의 항복을 받아들였다. 네보가토프는 항복하면 총살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너희들은 젊고, 언젠가 러시아 해군의 명예와 영광을 되찾을 사람들이다. 이 배에 있는 2,400명의 생명은 나의 생명보다 더 중요하다."라며 부하들을 설득했다.
러시아 전함 Орёл|오를ru호는 12인치 포탄 5발, 8인치 포탄 9발, 6인치 포탄 39발 등 수많은 포탄을 맞았다. 이로 인해 배가 기울었고, 일본 해군이 사세보로 예인하는 과정에서 엔진이 작동을 멈췄다.
발트 함대는 이 해전으로 전력의 거의 전부를 상실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것은 3척뿐이었다.
4. 2. 러일전쟁의 종결과 동아시아 정세 변화
러일전쟁의 결과는 쓰시마 해전의 승리로 일본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이 해전에서 일본 함대는 러시아 함대의 대부분을 격침시키거나 나포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 체결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47]구체적인 양국 함대의 피해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러시아 함대 | 일본 함대 |
---|---|---|
함선 피해 | 격침 16척(전함 6척, 기타 10척), 자침 5척, 나포 6척, 중립국 도피 6척, 자국항 도착 3척(순양함 아르마즈, 구축함 브라브이, 크로즈누이) | 침몰 3척(수뢰정 3척) |
승무원 피해 | 전사 4,830명, 포로 6,106명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니콜라이 네보가토프 제독 포함) | 전사 117명, 부상 583명 |
이처럼 일본은 쓰시마 해전의 압도적인 승리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강대국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러시아는 이 해전의 패배로 인해 국내외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로마노프 왕조의 권위가 실추되었고, 이는 1905년 러시아 혁명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47]
바버라 터크먼은 저서 ''8월의 대포''에서 러시아의 패배가 유럽의 세력 균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했다.[47]
쓰시마 해전은 아시아 국가가 근대사에서 유럽 열강을 상대로 거둔 최초의 대규모 승리였다.[54] 이 승리는 황색 위험론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고, 서구 열강의 백인 우월주의 사상을 약화시켰다.[55] 마하트마 간디(인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튀르키예), 쑨원(중국), 자와할랄 네루(인도) 등 여러 지도자들은 이 사건을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여겼다.[56]
일본은 이 승리로 해군 강국으로 부상했지만, 영국 역사가 제프리 리건은 일본이 승리에 도취되어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길을 걷게 되었다고 평가했다.[47]
5. 역사적 의의 및 영향
쓰시마 해전은 근대 해전 역사상 유례없는 일방적인 승리로 기록되며, 당시 세계 정세와 해군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해전은 일본 제국이 러시아 제국을 상대로 거둔 승리라는 점에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일본 해군은 시모세 화약과 이주인 신관 등 신기술을 적극 활용했다.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발명하고 1903년 제식 채용된 36식 무선전신기는 발트 함대를 발견하고 본국에 연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0] 나가와 케이(成川揆) 대좌가 지휘하는 가장순양함(仮装巡洋艦) 신농마루(信濃丸)는 1905년 5월 27일 새벽, 발트 함대의 병원선(病院船) 알리올을 발견하고 이를 본국에 보고했다. 신농마루(信濃丸)는 위험을 무릅쓰고 러시아 함대를 추적하며 무선으로 계속 보고했지만, 당시 러시아는 무선 방위 측정기가 실용화되기 전이라 이를 알아채지 못했다. 반면, 러시아 측 기록에 따르면, 알리올 승무원들은 일본 초계선을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우랄함에서 통신 방해 허가를 요청했으나, "일본 측의 무선 방해를 하지 마라"는 응답을 받고 통신 방해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농마루(信濃丸)의 보고서에는 방해 전파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어, 러시아 측의 대응에 의문을 남긴다.
도고는 적전에서 급선회를 명령하여 유리한 위치를 선점했다. 14시 8분, 미카사를 선두로 한 일본 함대는 북동동으로 방향을 잡았고, 이를 본 발트 함대는 미카사에 포격을 집중했다. 일본 함대는 14시 10분, 미카사가 크냐지 스보로프를 향해 발포를 시작하며 본격적인 전투에 돌입했다. 발트 함대는 미카사에 공격을 집중했지만, 불리한 위치 때문에 제대로 된 포격을 가하지 못했다.
5. 1. 국제적 파장
쓰시마 해전은 근대 해전 역사상 유례없는 일방적인 승리로, 당시 세계를 놀라게 했다. 특히,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상대로 거둔 승리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54] 이 승리는 일본 제국 내 민족주의를 고취시키고, 군국주의 확장의 계기가 되었다.당시 쇄국이 풀린 지 50년 남짓밖에 지나지 않았고, 열강과 달리 식민지도 없이, 유럽과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아시아의 작은 개발도상국으로 여겨졌던 일본이, 강대국 러시아 제국에 승리한 것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해전 결과, 극동 해역에서 일본 제국 해군의 제해권이 확보되었다. 러시아 제국군은 만주에서 대치하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보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사라졌다. 1905년 3월 봉천회전에서 러시아 제국 육군 주력의 섬멸에 실패한 일본으로서는 해전에서의 결정적 승리는 평화협상의 실마리가 되었고, 포츠머스 조약으로 이어져, 그 후 열강 5대국 진입으로 연결되었다.
이 해전은 세계적으로 심대한 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미쳤다. 근대사에서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처음으로 패배시킨 사건이었다.[54] 또한 "황색 위험론"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고, 일부 서구 국가에서 널리 퍼져 있던 백인 우월주의 사상을 약화시켰다.[55] 마하트마 간디(인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튀르키예), 쑨원(중국), 자와할랄 네루(인도) 등 미래의 국가 지도자들은 식민 열강의 패배를 축하했다.[56] 이 승리는 일본을 6대 해군 강국으로 자리매김시켰고, 러시아 해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보다 약간 강한 수준으로 쇠퇴했다.
러시아 제국의 명성은 크게 실추되었고, 이 패배는 로마노프 왕조에 큰 타격을 입혔다. 러시아 함대의 대부분이 침몰했으며, 고속 무장 요트 ''알마즈''(2등 순양함으로 분류됨)와 구축함 ''그로즈니'', ''브라비''만이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다. 미국의 역사가이자 작가인 바버라 터크먼은 저서 ''8월의 포성''에서 러시아의 패배로 유럽의 세력 균형이 불안정해져 중앙 연합국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었고, 제1차 세계 대전 개입 결정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역사가 제프리 리건은 저서 ''기네스 세계 기록: 결정적 전투''에서 이 승리가 일본의 점점 더 공격적인 정치 및 군사 조직을 강화했다고 주장한다. 리건에 따르면 쓰시마 해전에서의 일본의 압도적인 승리는 40년 동안 일본 지도자들을 괴롭힐 전설을 만들었다. 일본은 이 승리가 불과 몇 년 만에 전통을 만드는 과업을 완료했다고 생각했다. 도고 헤이하치로가 세계적인 강대국 중 하나를 물리친 것을 보면서 일부 일본 군인들은 더 많은 배, 더 크고 더 나은 배를 가지고 태평양 전역에서 비슷한 승리를 거둘 수 있다고 확신했다. 아마도 영국과 미국조차도 일본 해군을 당해낼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리건은 또한 이 승리가 일본의 후일 재앙으로 이어진 길에 기여했다고 믿는다. "결과가 너무 오해의 소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 해군은 선전했지만, 상대가 약했고, 일본 해군이 무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도고의 승리는 일본을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끌었다."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함대가 러시아 장갑함 12척을 격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백인 특유의 인종차별적 감정으로 인해 황색 인종이 백인에게 이길 리 없다며, 그 보도가 잘못되었다는 판단하에 "러시아 함선의 수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킹스턴 밸브를 뽑았다"는 보도를 했다.[84]
5. 2. 군사적 영향
쓰시마 해전은 해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된다. 이 해전은 대함거포주의(大艦巨砲主義)와 함선의 속도, 그리고 함포 사격 통제 시스템의 중요성을 명확히 입증하였다.[58] 특히, 더 빠른 속도와 더 긴 사거리를 가진 대구경 함포를 장착한 함대가 다양한 크기의 함포를 혼합하여 장착한 함대보다 우월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58]영국의 제1해군경 재키 피셔 제독은 쓰시마 해전에서의 일본 해군의 승리를 통해 현대 전함에 있어 대구경 함포와 속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58] 당시 일본 전함 ''아사히''에 탑승하여 전투를 관찰했던 영국 해군의 윌리엄 파켄햄 대령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모든 함포의 사격 효과는 그보다 한 단계 큰 함포의 사격 효과보다 훨씬 떨어져서, 12인치 함포가 사격할 때 10인치 함포의 포탄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전쟁의 모든 것은 함선의 모든 단계에서 가능한 가장 무겁고 사거리가 긴 함포를 탑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58]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1905년 10월 영국은 HMS 드레드노트의 건조를 시작하였고, 이는 1914년 이전 몇 년 동안 영국과 독일 사이의 해군 군비 경쟁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58]
쓰시마 해전은 지정학적 차원에서도 해군 군비 경쟁을 가속화시켰다. 1897년에 시작된 영국-독일 해군 군비 경쟁은 1905년 러시아 해군력의 붕괴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영국은 극동에서 동맹국 일본의 해군 우세에 안심하고 해군의 대부분을 다른 지역으로 보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럽에 더 큰 영국 함대가 주둔하게 되면서, 독일은 티르피츠의 존재 함대 원칙에 따라 동일한 상대적 힘을 유지하기 위해 더 큰 함대를 건조해야 했다. 영국 해군은 다시 2강 기준에 따라 상대적인 힘을 유지하기 위해 함대 규모를 늘려야 했다. 결국 독일은 쓰시마 해전 후 6년 만에 5개의 함대 법안 중 3개를 통과시켰다.[58]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영국과 독일은 쓰시마 해전과 같은 규모의 해전에서 패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괴적인 결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윈스턴 처칠은 영국 해군 제독 존 젤리코를 "양측 중에서 오후 한때 전쟁에서 패배시킬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묘사했다.[58] 이러한 신중함 때문에 영국과 독일 함대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단 한 번의 주요 해전인 유틀란트 해전에서만 교전하게 되었다.[58]
또한, 쓰시마 해전은 무선전신 기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 해전은 "무선이 어떤 역할을 한 최초의 주요 해전"으로 평가받는다.
5. 3. 한국에 대한 영향
鎖国일본어이 풀린 지 50년 남짓밖에 지나지 않았고, 열강과 달리 식민지도 없이, 유럽과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아시아의 작은 개발도상국으로 여겨졌던 일본이 강대국 러시아에 승리한 것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해전 결과, 극동 해역에서 일본 해군의 제해권이 확보되었다. 러시아군으로서는 만주에서 대치하는 일본군의 보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사라졌다. 1905년 3월 봉천회전에서 러시아 제국 육군 주력의 섬멸에 실패한 일본으로서는 해전에서의 결정적 승리가 평화협상의 실마리가 되었고, 포츠머스 강화 회의로 이어져, 그 후 열강 5대국 진입으로 연결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the Sea of Japan started off Munakata, Fukuoka: The history evidenced from Okinoshima Island by two men.
https://sasatto.jp/a[...]
2024-04-13
[2]
웹사이트
Dogger Bank – Voyage of the Damned
http://www.hullwebs.[...]
2007-09-08
[3]
웹사이트
The Russian navy's surprising losses against Ukraine are reminders of another humiliating defeat 117 years ago
https://www.business[...]
[4]
웹사이트
Canal Characteristics
https://www.suezcana[...]
[5]
문서
Balfour papers
British Library
1904-09-30
[6]
웹사이트
Battle of Tsushima {{!}} Russo-Japanese war
https://www.britanni[...]
2023-05-20
[7]
뉴스
After Terrible GDP Report, Japan Is Getting Ready To Calling A Snap Election
http://www.businessi[...]
2017-07-05
[8]
웹사이트
Admiral Tōgō's report on the Battle of Tsushima
http://www.russojapa[...]
Japanese Imperial Navy General Staff
1905-09
[9]
간행물
St. Petersburg Gazette
1906-03-10
[10]
서적
Russo-Japanese Naval War Record, 1904–1905
芙蓉書房出版
2004-11-01
[11]
웹사이트
Battle of Sea of Japan
https://www.weblio.j[...]
[12]
웹사이트
St Catherine's Chapel: the final resting place of Nicholas II and his family
https://tsarnicholas[...]
2023-03-06
[13]
웹사이트
Fleet Placement Chart for the Naval Review
https://shoryobu.kun[...]
1905
[14]
웹사이트
관함식
ja:관함식#대일본제국해군
[15]
웹사이트
Office of the Navy Minister, Record Nr. 1963, 1905 (in Japanese)
https://www.jacar.ar[...]
2022-05-11
[16]
웹사이트
Second pacific squadro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hips. Command structure and tactical organization. Passage from Indochina to the Korea Strait
https://vk-spy.ru/en[...]
[17]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Records, Navy Office Intelligence Nr. 433
https://www.jacar.ar[...]
1904-11-12
[18]
서적
for {{harvnb|Semenoff|1907|page=xxii in Translator's Preface}}
1907
[19]
간행물
The Russo-Japanese War: Primary Causes of Japanese Success
https://www.jstor.or[...]
2024-04-19
[20]
웹사이트
Earth Fact Sheet
https://nssdc.gsfc.n[...]
[21]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3(7)
https://www.jacar.ar[...]
2024-04-16
[22]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3(7)
https://www.jacar.ar[...]
2024-04-16
[23]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3(6)
https://www.jacar.ar[...]
2024-04-15
[24]
웹사이트
AEG Radio receiver in the style of the Slaby Arco System
https://artsandcultu[...]
2022-04-24
[25]
웹사이트
Laws of War: Laws and Customs of War on Land (Hague II); July 29, 1899
https://avalon.law.y[...]
[26]
웹사이트
Laws of War: Rights and Duties of Neutral Powers in Naval War (Hague XIII); October 18, 1907
https://avalon.law.y[...]
[27]
웹사이트
Fuelling mobility: coal and Britain's naval power, c. 1870–1914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Portsmouth
2020-10-26
[28]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Records, Navy General Office Intelligence, 1904 Nr. 418 on p. 4 (p. 58 in the original) (in Japanese)
https://www.jacar.ar[...]
[29]
웹사이트
하세 화약
ja:하세 화약
[30]
간행물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system of SHIMOSE gunpowder
http://www1.tcue.ac.[...]
Takasaki City University of Economics
2020-09-18
[31]
웹사이트
이주인 신관
ja:이주인 신관
[32]
웹사이트
페레세벳(전함)#황해해전
ru:페레세벳(전함)#황해해전
[33]
웹사이트
체사레비치(전함)#황해해전
ru:체사레비치(전함)#황해해전
[34]
웹사이트
Russia / USSR 12"/40 (30.5 cm) Pattern 1895
http://www.navweaps.[...]
NavWeaps
2022-08-20
[35]
웹사이트
Japan 12"/40 (30.5 cm) EOC
http://www.navweaps.[...]
NavWeaps
2022-08-20
[36]
논문
2015b
[37]
논문
2015b
[38]
웹사이트
Japanese Navy, Russo-Japanese War
https://waterline.ha[...]
2017-08-15
[39]
웹사이트
Hamburg-American Line (theshipslist.com)
https://www.theships[...]
[40]
웹사이트
Irtysh (Иртыш) (+1905)
https://www.wrecksit[...]
[41]
웹사이트
The Irtysh surrender incident
https://www.japanese[...]
2022-04-21
[42]
웹사이트
Tyne built ships, OREL
https://www.tynebuil[...]
[43]
웹사이트
On captured Russian hospital ships Angara and Oryol
https://www.jacar.ar[...]
[44]
웹사이트
On captured Russian hospital ships Angara and Oryol
https://www.jacar.ar[...]
[45]
웹사이트
Russian Tugboat Rus - 1903
https://www.scalemat[...]
[46]
웹사이트
SS Rus (Руси) (+1905)
https://www.wrecksit[...]
[47]
논문
2015b
[48]
웹사이트
Convention (III) for the Adaptation to Maritime Warfare of the Principles of the Geneva Convention of 22 August 1864. The Hague, 29 July 1899
https://ihl-database[...]
2022-05-24
[49]
웹사이트
Article 1
https://ihl-database[...]
2022-05-24
[50]
논문
2015b
[51]
웹사이트
Picture of ''Bodriy'' in Shanghai.
https://war-book.ru/[...]
2024-03-28
[52]
웹사이트
TYNE BUILT SHIPS -A history of Tyne shipbuilders and the ships that they built
http://www.tynebuilt[...]
[53]
웹사이트
Steamboat-cruiser "Smolensk"
https://retroflot.co[...]
[54]
논문
Back cover
[55]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in Asia
http://www.globaled.[...]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2010-04-25
[56]
뉴스
The guns of Tsushima, and the birth of modern Asia
https://nationalpost[...]
2013-03-20
[57]
웹사이트
Yamamoto Isoroku, who fought the Imperial Russian Navy: One Scene from Battle of the Sea of Japan
https://jp.rbth.com/[...]
Russia Beyond
2024-04-19
[58]
웹사이트
Battle of Jutland | History, Facts, & Outcom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24
[59]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4(2)
https://www.jacar.ar[...]
2024-04-18
[60]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4(4)
https://www.jacar.ar[...]
2024-04-19
[61]
웹사이트
Imperial Japanese Navy records, 27 May 1905, Classified, Detail reports on battle of the Japan Sea Nr.2, submitted by the commander of Mikasa
https://www.jacar.ar[...]
2022-05-14
[62]
웹사이트
Battleship Mikasa Wartime Daily Log 4(2)
https://www.jacar.ar[...]
2024-04-19
[63]
서적
日本海海戦
双葉社
2004-04-30
[64]
간행물
露国増遣艦隊東航始末
[65]
간행물
日本海海戦当日朝敵艦発見時に於る哨艦配備図
[66]
간행물
第1編 露国増遣艦隊に対する作戦準備/第2章 連合艦隊一般の行動
[67]
간행물
第12編 台湾総督府海軍幕僚の施設/第2章 敵情監視
[68]
간행물
第1編 露国増遣艦隊に対する作戦準備/第2章 連合艦隊一般の行動
[69]
간행물
日露戦役参加者 史談会記録 日本海々戦(極秘)(2)
[70]
서적
ツシマ:バルチック艦隊の壊滅
原書房
1984-06
[7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第3編 通信/第3章 無線電信
[72]
영화
日本海大海戦
[73]
서적
暗号
ダイヤモンド社
[7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日本海海戦電報報告1 (1)
[7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第3艦隊司令官海軍少将山田彦八の提出せる第7戦隊の日本海海戦に於る戦闘報告
[76]
웹사이트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日露戦争特別展
https://www.jacar.go[...]
[7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第47号 信濃丸艦長海軍大佐成川揆の提出せる仮装巡洋艦信濃丸の日本海海戦に於る戦闘報告
[7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信濃丸戦時日誌 (2)
[7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日本海海戦電報報告1 (1)
[80]
서적
日本海海戦
並木書房
[8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日露戦役参加者・史談会記録・日本海々戦(極秘)(1)
[82]
논문
『ドンスコイ』の捕虜収容過程
[83]
웹사이트
日露戦争時・鳥取県域に漂着したロシア兵
https://www.pref.tot[...]
鳥取県公文書館
2024-11-11
[84]
서적
朝日新聞の魂胆を見破る法
テーミス
[85]
학술지
まさにNCW であった日本海海戦
http://janafa.com/bo[...]
日米ネービー友好協会
2018-10-23
[86]
서적
日本海海戦とメディア
講談社
2018-10-23
[87]
문서
제1태평양함대
[88]
문서
제2태평양함대
[89]
문서
발간 전사의 다른 일반 서적의 대부분도 구축함으로 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