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오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오마는 아베스타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식물 또는 신성한 음료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이란어군 언어에서 '홈'으로 불리며, 고대 페르시아어 비문에도 등장한다. 아베스타 경전에서는 줄기, 뿌리, 가지를 가진 식물로 묘사되며, 치유, 각성, 영혼의 영양 공급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대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의례에 사용되는 식물로, 에페드라 속 식물로 추정된다. 하오마는 조로아스터의 탄생 설화와 같은 신화적, 종교적 전승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명의 나무인 가오케레나와 관련되기도 한다. 하오마와 소마는 기원과 의례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학술적으로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의 신 -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는 일본 신화에서 벚꽃의 화려함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오야마츠미의 딸이자 니니기노미코토의 아내이며, 후지산본궁 센겐타이샤를 비롯한 아사마 신사에서 모셔지는 순산과 육아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 술의 신 - 바쿠스
  • 조로아스터교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조로아스터교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의식용 환각제 - 담배
    담배는 마야, 아즈텍인들이 종교 의식에 사용하던 잎담배에서 유래하여 유럽에 전파된 후 기호식품으로 유행하고 궐련 기술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확산되었지만, 유해 성분과 니코틴 중독성으로 인해 건강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전 세계적으로 금연 정책과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 궐련, 전자담배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 식물이다.
  • 의식용 환각제 - 마파초
    마파초는 재배 환경과 니코틴 함량이 독특하며 마야 문명에서 종교 의식과 약용으로, 소비에트 연방에서 담배 생산용으로, 여러 문화권에서 흡연 및 환각제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식물이다.
하오마
기본 정보
하오마 준비를 위한 박격포와 유봉
하오마 준비를 위한 박격포와 유봉
종류식물, 제물
문화적 의미조로아스터교의 신성한 식물과 음료
명칭
아베스타어(하오마)
로마자 표기Haoma
산스크리트어(소마)
로마자 표기Soma
종교적 의미
조로아스터교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신성한 식물과 음료
신성함, 치유, 영적 깨달음 상징
관련 개념
인도 신화소마 (리그베다의 신성한 음료)
비교 신화신성한 음료와 식물 숭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
조로아스터교고대부터 현대까지 종교 의식의 핵심 요소
인도-이란 문화신화, 종교, 의례에 깊이 뿌리내림

2. 어원

아베스타어산스크리트어 는 모두 원시 인도이란어 *에서 유래되었으며, 어근은 각각 '누르다' 또는 '찧다'를 의미하는 와 이다.

고대 페르시아어 설형 문자 DNa 비문(기원전 490년)에는 로 알려진 "''하우마''를 마시는 스키타이인" ()이 언급되었다.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는 이며, 이는 현대 페르시아어 및 기타 살아있는 이란어군 언어(هومfa)에서도 사용된다.

2. 1. 어원

아베스타어산스크리트어 는 모두 원시 인도이란어 *에서 유래되었다. 의 어근인 와 의 어근인 는 '누르다' 또는 '찧다'를 의미한다.

고대 페르시아어 설형 문자 DNa 비문(기원전 490년)에서는 "''하우마''를 마시는 스키타이인" ()을 언급하는 것처럼 로 알려졌다.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는 이며, 이는 현대 페르시아어 및 기타 살아있는 이란어군 언어(هومfa)에서도 이름으로 사용된다.

2. 2. 명칭 변화

아베스타어산스크리트어 는 모두 원시 인도이란어 *에서 유래되었다. 의 어근인 와 의 어근인 는 '누르다' 또는 '찧다'를 의미한다.[1]

고대 페르시아어 설형 문자에서는 DNa 비문 (기원전 490년)에서 "''하우마''를 마시는 스키타이인" ()을 언급하는 것처럼 로 알려졌다.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는 이며, 이는 현대 페르시아어 및 기타 살아있는 이란어군 언어(هومfa)에서도 이름으로 사용된다.

3. 식물학적 특징

아베스타 경전에 묘사된 내용과 현재 조로아스터교 의례에서 사용되는 식물의 특징, 그리고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하오마는 마황속 식물, 그 중에서도 특히 ''Ephedra procera''일 가능성이 높다.

19세기 후반, 이란 야즈드의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이 ''hum'' 또는 ''homa''라고 불리는 ''에페드라'' 속 식물을 사용하고 인도에 수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 또한, 여러 이란어와 페르시아 방언에서 ''hom'' 또는 유사한 용어가 ''에페드라''의 변종을 지칭하는 현지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팔크(Falk)는 ''에페드라''가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덥고 습한 인도에서는 자라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1] 이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인 ''에페드라''가 하오마일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에페드라 속의 대표적인 식물.


일부 학자들은 하오마가 환각제일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현재 조로아스터교에서 ''에페드라''를 사용하는 점과 추출물 발효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에페드라''가 하오마의 유력한 후보라는 결론이 힘을 얻고 있다.[1]

1999년 레이덴에서 열린 하오마-소마 워크숍에서도 "리그베다 소마와 아베스타 하오마에 대한 유력한 후보로서 에페드라의 지위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오늘날까지 파르시인들이 사용하는 유일한 식물인 ''에페드라'' 외에 다른 식물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팔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3. 1. 아베스타에서의 묘사

아베스타 텍스트에 묘사된 하오마의 물리적 속성은 다음과 같다.

  • 줄기, 뿌리, 가지를 가지고 있다.( 10.5).
  • 가 있다.( 9.16). 라는 용어는 의 묘사와 함께 사용되며, 확립된 번역어는 없다. 디터 타이유에 따르면 '잔가지', 로버트 와슨에 따르면 '줄기', 일리야 게르셰비치에 따르면 '섬유' 또는 '살', 로렌스 헤이워스 밀스에 따르면 '싹'을 의미한다.
  • 키가 크다( 10.21, 19.19).
  • 향기롭다( 10.4).
  • 황금빛 녹색이다(표준 명칭, 9.16 외).
  • 짜낼 수 있다( 9.1, 9.2).
  • '많은 길에 흩어져' '빠르게 퍼지는' 산에서 자란다( 9.26, 10.3-4 외). '협곡과 심연으로'( 10–11) 그리고 '산맥에서'( 10.12) 자란다.


간접적인 속성(즉, 섭취의 효과)은 다음과 같다.

  • 치유를 촉진한다( 9.16-17, 9.19, 10.8, 10.9).
  • 성적 흥분을 촉진한다( 9.13-15, 9.22).
  • 신체적 강화를 시킨다( 9.17, 9.22, 9.27).
  • 각성과 인식을 자극한다( 9.17, 9.22, 10.13).
  • 약간의 취기를 유발하는 추출물은 부작용 없이 섭취할 수 있다( 10.8).
  • 영양을 공급한다( 9.4, 10.20). 그리고 '영혼에 가장 영양가 있다'( 9.16).

3. 2. 하오마 섭취의 효과


  • 9.16-17, 9.19, 10.8, 10.9에 따르면 하오마는 치유를 촉진한다.
  • 9.13-15, 9.22에 따르면 성적 흥분을 촉진한다.
  • 9.17, 9.22, 9.27에 따르면 신체적 강화를 시킨다.
  • 9.17, 9.22, 10.13에 따르면 각성과 인식을 자극한다.
  • 10.8에 따르면 약간의 취기를 유발하는 추출물은 부작용 없이 섭취할 수 있다.
  • 9.4, 10.20에 따르면 영양을 공급하며, 9.16에 따르면 '영혼에 가장 영양가 있다'.

3. 3. 현대 조로아스터교에서의 사용

아베스타에 묘사된 많은 물리적 속성은 현재 조로아스터교 의례에서 사용되는 식물과 일치한다. 오늘날 Ab-Zohr에서 사용되는 ''파라호마''를 준비할 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물이 약간 있는 상태에서 가지를 반복적으로 찧는데, 이는 고대 또한 수용성이었음을 시사한다.
  • 가지는 기후적 이유로 인도 아대륙에서 구할 수 없다고 믿는 인도 조로아스터교인들이 수입해야 한다.
  • 아주 소량만 생산된다.


팔크(Falk)에 따르면, 파르시 조로아스터교인들은 에페드라의 변종, 보통 아프가니스탄의 하리 강 계곡에서 수입한 ''Ephedra procera''를 사용한다.[1]

3. 4. 식물학적 정체

18세기 후반, 앙케틸 뒤페론을 비롯한 학자들이 아베스타의 일부를 서구 학계에 공개한 이후, 여러 학자들이 텍스트에 묘사되고 실제 조로아스터교 의례에서 사용되는 에 해당하는 식물을 찾고자 했다. 대부분의 제안은 언어학적 증거, 비교 약리학, 또는 의례적 사용에 집중되었고, 이 세 가지가 모두 함께 고려되는 경우는 드물어 이러한 제안들은 대개 빠르게 거부되었다.[1]

19세기 후반, 야즈드 (이란)의 매우 보수적인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이 현지에서 ''hum'' 또는 ''homa''로 알려진 ''에페드라'' 속 식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인도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에게 수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Falk는 이 식물이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를 필요로 하며, (너무 덥거나 습하거나 둘 다인) 인도에서는 자라지 않고 중앙 아시아에서 잘 자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다수의 이란어와 페르시아 방언에서 ''hom''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가 ''에페드라''의 일부 변종을 지칭하는 현지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언어학적 증거와 의례적 증거를 종합해 볼 때, 가 ''에페드라''의 어떤 변종이라는 것을 결정적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보였다.

20세기 후반, 여러 연구에서 를 향정신성 물질로 밝히려고 시도했는데, 이는 원시 인도-이란어 *가 환각제라는 가정에 근거했다. 이 가정은 리그베다 만다라 8, 찬가 48에 의존한다. 가 환각제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소우마''에 헌정된 115개의 찬가를 모두 고려하고, 실천자들이 현재 ''에페드라''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Falk와 Houben은 ''에페드라''가 ''소우마''의 유일한 논리적인 정체성일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더욱이, 환각제적 특성에 대한 언급은 식물 추출물의 발효와 관련이 있었는데, 이는 실제 관습에서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

1999년 레이덴에서 열린 하오마-소마 워크숍에 대한 관찰의 결론에서, Jan E. M. Houben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를 환각제로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에페드라를 제거하려는 강력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리그베다 소마와 아베스타 하오마에 대한 유력한 후보로서의 지위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이는 Falk를 지지하는 것으로, Falk는 그의 요약에서 "오늘날까지 파르시인들이 사용하는 유일한 식물인 ''에페드라'' 외에 다른 식물을 찾을 필요가 없다"고 언급했다.

4. 신화와 전승

하오마는 조로아스터의 탄생 설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아버지 푸로샤스파는 하오마 식물을 우유와 섞어 아내 둑도바와 함께 마셨고, 그 결과 조로아스터를 잉태했다. 조로아스터는 강가에서 물의 정화를 상징하는 ''파라하오마''를 준비하던 중 계시를 받았다.[1]

페르도우시의 샤나메에서 하옴은 산속의 은둔자이자 강인한 인물로, 아프라시압을 신성한 허리띠로 묶어 지구 깊숙한 곳으로 끌고 간다.[1] 또한 비방하트는 인간 최초로 하오마를 짜 아들 잠쉬드를 얻었다. 조로아스터가 하오마를 준비한 신과 그 보상에 대해 묻자, 하오마는 잠쉬드를 낳은 비방흐반트, 페레이둔을 낳은 아트와, 카르샤스프와 가르샤스프를 낳은 트리티를 언급하며, 조로아스터교 사제들은 자녀를 원하는 이들이 하오마에게 기도한다고 전한다.

인도 베다 신화는 이란 아베스타와 유사하게 야마와 마누의 아버지 비바스바트와 트리타 압티야가 소마를 처음 준비했다고 기록한다.

파르시들은 에페드라 줄기가 썩지 않는다고 믿으며, 이는 식물계의 생명력을 의미한다. 조로아스터교 경전에는 흰 하오마와 고통 없는 나무, 두 종류의 호마가 있다고 한다.[1]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신생아나 임종을 앞둔 이에게 ''파라호마''를 주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썩지 않는 식물이 생명의 연속성을 상징한다는 믿음에서 기인한다. 전설에 따르면 '하오마'는 큰 강이 만나는 "물의 집합 장소"에서 자라며, 종말에 선한 이들은 '하얀 하오마'로 만든 ''파라호마''를 나누어 마시고 부활한 육신으로 불멸을 얻는다.

4. 1. 조로아스터의 탄생 설화

하오마 식물은 조로아스터의 잉태와 관련된 전설의 중심 요소이다.

이야기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 푸로샤스파는 하오마 식물 조각을 가져다가 우유와 섞었다. 그는 아내 둑도바에게 그 혼합물의 절반을 주고, 자신은 나머지 절반을 섭취했다. 그들은 그 후 식물의 정신을 심어 조로아스터를 잉태했다.

전통에 따르면, 조로아스터는 압-조르(Zatspram 21.1)를 위해 ''파라하오마''를 준비하는 강둑에서 계시를 받았다. 즉, "물"인 ''아반''의 상징적인 정화를 위해서였다. 이 상징적인 정화는 68.1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집전자는 인류가 물에 가한 피해에 대해 보상한다. "이 제물들은 를 소유하고, 우유를 소유하고, 석류를 소유하고, 당신을 보상할 것이다."

4. 2. 전통 의례에서의 ''바르솜''

10.17에서 "여자들이 묶을 묶음으로 잘라낸" 바르솜 줄기는 조로아스터교 사제의 상징이자 도구이다. 원래 하오마 줄기 묶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바르솜(아베스타어: ''baresman'') 나뭇가지 묶음은 하오마 신성과 동일시되며(신으로서의 하오마 참조), 오늘날에는 석류 나뭇가지로 만들어진다(압-조르를 위한 파라하오마 준비와 비교).

4. 3. 샤나메에서의 하오마

페르도우시의 샤나메에는 아베스타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하옴은 산속의 은둔자이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인물로 등장한다. 그는 아프라시압(중기 페르시아어, 아베스타어: "사악한 투란족 ", 11.7)을 신성한 허리띠로 묶어, 아프라시압이 인간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금속으로 둘러싸인" 왕국을 가진 지구 깊숙한 곳 (아베스타어로는 , 중기 페르시아어로는 )에서 끌어낸다.[1]

또 다른 이야기에서 비방하트는 인간 중 처음으로 를 짜는 인물이며, 하옴은 그에게 아들 잠쉬드를 하사한다. 9.3-11에서 조로아스터가 를 (가장 먼저) 준비한 신과 그 보상에 대해 묻자, 하오마는 이마 크샤에타 (잠쉬드)가 태어난 비방흐반트(페르시아어: Vivaŋhat), 트라에타오나 (페레이둔)가 태어난 아트와 (Abtin), 그리고 우르박샤야와 케레사스파 (카르샤스프와 가르샤스프)가 태어난 트리티를 회상한다. 이들 중 후자 둘은 사제 영웅 전승에도 등장하며, 보수적인 조로아스터교 세습 사제들은 자녀(특히 사제가 될 존경받는 아들)를 원하는 사람들이 하오마에게 여전히 기도를 드린다.[1]

4. 4. 베다 신화와의 연관성

페르도우시의 샤나메에는 아베스타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하옴은 산속에 사는 은둔자이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인물로 등장한다. 그는 아프라시압(아베스타어: , 11.7)을 신성한 허리띠로 묶어, 아프라시압이 인간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금속으로 둘러싸인" 왕국을 가진 지구 깊숙한 곳(아베스타어: )에서 끌어낸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비방하트가 인간 중 처음으로 를 짜는 인물로 나오며, 하옴은 그에게 아들 잠쉬드를 준다. 9.3-11에서 조로아스터가 를 (가장 먼저) 준비한 신과 그 보상에 대해 묻자, 하오마는 이마 크샤에타(잠쉬드)가 태어난 비방흐반트(페르시아어: ), 트라에타오나(페레이둔)가 태어난 아트와(페르시아어: ), 그리고 우르박샤야와 케레사스파(카르샤스프와 가르샤스프)가 태어난 트리티를 떠올린다. 이들 중 뒤의 둘은 사제 영웅 전승에도 등장하며, 보수적인 조로아스터교 세습 사제들은 자녀(특히 사제가 될 존경받는 아들)를 원하는 사람들이 하오마에게 여전히 기도를 드린다고 한다.

인도 베다에 나오는 이야기는 이란 아베스타의 내용과 거의 같다. 소마를 처음 준비한 사람들은 야마와 마누의 아버지인 비바스바트와 트리타 압티야로 기록되어 있다.

4. 5. 기타 전승

제임스 다름스테터는 1875년 아베스타 신화에 대한 논문에서 파르시들이 에페드라 줄기가 썩지 않는다고 믿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이것은 모든 식물계의 생명력을 포함한다... 베다아베스타 모두 이를 '치유 약초의 왕'이라고 부른다... 조로아스터교 경전은 호마가 두 종류, 즉 흰 호마와 고통 없는 나무가 있다고 말한다. 소마가 생명 나무일까? 불멸을 주는 자일까?"라고 썼다.[1]

인도-조로아스터교의 믿음은 현재 조로아스터교에서 신생아나 죽어가는 사람에게 몇 방울의 ''파라호마''를 투여하는 관습으로도 나타난다. (압-조르 참조). 이 믿음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여러 문화에 걸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우렐 스타인이 서기 1세기의 타림 분지 매장지에서 에페드라 식물을 발견한 것을 회상하며, 팔크는 "생명의 연속성을 나타내거나 상징하는 썩지 않는 식물은 장례 의식에 매우 적합하다"고 언급한다.

전설적인 '하오마'는 "물의 위대한 집합 장소"와 거대한 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자란다. ''위지다기하-이 자드스프람''에 따르면, 오르마즈드아흐리만을 이기는 종말에 선한 종교를 따르는 자들은 '하얀 하오마'로 만든 ''파라호마''를 함께 나누어 부활한 육신에 불멸성을 얻을 것이다. (''자드스프람'' 35.15)

5. 가오케레나

페르시아 신화조로아스터교 전설에 따르면, 보루카샤(:en:Vourukasha)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생명(하오마)의 거목(식물)인 가오케레나는 먹으면 치유 효과가 있으며, 죽은 자를 부활시키고 불로불사하게 한다. 이 열매로 만든 주스는 불로불사의 영약이 된다. 가오케레나는 "황소의 뿔", "암소의 귀"라는 뜻이다.

악령이 도마뱀과 개구리를 만들어 이 나무를 공격하려 했지만, 10마리의 카라 물고기와 9개의 입과 6개의 눈을 가진 로바에 의해 보호받았다. 이 나무에는 시무르그가 둥지를 짓고 있다.

5. 1. 특징

페르시아 신화조로아스터교 전설에 따르면, 세계의 바다인 보루카샤 한가운데에 서 있는 생명(하오마)의 거목(식물)인 가오케레나는 이것을 먹으면 치유 효과가 있으며, 죽은 자를 부활시키고 불로불사하게 한다. 이 열매로 만들어진 주스는 불로불사의 영약이 된다. 가오케레나는 "황소의 뿔", "암소의 귀"라는 뜻이다.

악령이 도마뱀과 개구리를 만들어 이 나무를 공격하려 했지만, 10마리의 카라 물고기와 9개의 입과 6개의 눈을 가진 로바에 의해 보호받았다. 이 나무에는 시무르그가 둥지를 짓고 있다.

5. 2. 보호

페르시아 신화조로아스터교 전설에 따르면, 생명(하오마)의 거목(식물)인 가오케레나는 세계의 바다인 보루카샤(:en:Vourukasha) 한가운데에 서 있다. 악령이 도마뱀과 개구리를 만들어 이 나무를 공격하려 했지만, 10마리의 카라 물고기와 9개의 입과 6개의 눈을 가진 로바에 의해 보호받았다.[1] 이 나무에는 시무르그가 둥지를 짓고 있다.[1]

6. 하오마와 소마의 비교

인도학자 얀 후벤(Jan Houben)은 1999년 하오마-소마에 관한 워크숍에서 "베다 및 조로아스터교 의례의 구조와 세부 사항의 유사성에 대한 산발적인 언급 외에는, 두 가지를 체계적으로 비교하는 작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2003년까지 문화적/신성한 하오마/소마에 대한 의미 있는 비교 검토는 알프레드 힐레브란트(Alfred Hillebrandt)가 1891년에 베다 신과 조로아스터교 신을 비교한 것을 넘어서지 못했다.

공통성을 다루는 최근 연구는 모두 원시 인도-이란어 *sauma의 식물학적 식별에만 국한되었다. 후벤의 워크숍은 "소마/하오마 식물의 본질과 그로부터 짜낸 즙"을 다룬 최초의 워크숍이었으며, "워크숍의 주요 주제는 소마/하오마의 정체성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