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퍼그래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퍼그래프는 정점 집합과 하이퍼에지 집합으로 구성되며, 하이퍼에지는 정점 집합의 부분 집합이다. 그래프 이론의 개념을 확장하여 램지의 정리 등 많은 정리가 성립하며, 준동형, 동형, 자기동형 등의 개념이 적용된다. 하이퍼그래프는 횡단, 쌍대 등의 속성을 가지며, k-균일, k-정규 등의 특성을 갖는 하이퍼그래프도 존재한다. 하이퍼그래프는 접속 행렬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련 하이퍼그래프와 행렬 표현, 사이클, 동형, 대칭, 동일성, 분할, 채색 등의 개념이 존재한다. 하이퍼그래프는 만족 문제, 데이터베이스, 머신 러닝, 추천 시스템, 이미지 검색, 생물 정보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하이퍼그래프 드로잉 기법을 통해 시각화할 수 있다. 그래프와 관련된 정리와 개념이 하이퍼그래프에도 적용되며, 간선이 다른 간선을 가리키도록 허용하는 추가적인 일반화도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합족 - 가측 공간
    가측 공간은 집합과 그의 멱집합의 부분 시그마 대수로 이루어진 순서쌍으로, 시그마 대수는 여집합과 가산 합집합에 대해 닫혀 있는 성질을 가지며, 가측 공간과 가측 함수는 구체적 범주를 이룬다.
  • 집합족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 전자 설계 자동화 - FPGA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사용자가 하드웨어 설계를 변경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이며, CPLD에서 파생되어 다양한 제조 기술을 사용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 통신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전자 설계 자동화 - 래더 로직
    래더 로직은 PLC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그래픽 기반 언어로, 릴레이 회로를 연상시키는 접점과 코일을 사용하여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을 구현,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한다.
  • 전자공학 - 전자전
    전자전은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군사 작전이며, 전자 공격, 전자 보호, 전자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통신 방해, 레이더 교란, 스텔스 기술 등을 포함한다.
  • 전자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하이퍼그래프
개요
하이퍼그래프의 예시
하이퍼그래프의 예시. 각 하이퍼에지는 여러 개의 정점을 연결할 수 있다.
유형그래프 이론
정의
수학적 정의하이퍼그래프는 순서쌍 H = (X, E)으로, 여기서 X는 정점의 집합이고 E는 X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이다.
참고 용어하이퍼에지, 정점
특징
일반 그래프와의 차이점일반 그래프에서는 에지가 정확히 두 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반면, 하이퍼그래프에서는 에지(하이퍼에지)가 임의의 개수의 정점을 연결할 수 있다.
표현 방법
시각적 표현하이퍼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정점을 점으로, 하이퍼에지를 이러한 점들을 둘러싸는 곡선으로 표현한다.
행렬 표현하이퍼그래프는 연결 행렬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이 행렬은 정점과 하이퍼에지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활용 분야
컴퓨터 과학데이터베이스, 병렬 컴퓨팅, 머신 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생물학유전자 네트워크,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모델링에 사용된다.
사회 과학사회 네트워크 분석, 협업 네트워크 분석 등에 사용된다.
관련 개념
그래프하이퍼그래프는 그래프의 일반화된 형태이다.
이분 그래프하이퍼그래프는 이분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셋 시스템하이퍼그래프는 셋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추가 정보
역사하이퍼그래프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후반부터 활발히 진행되었다.
연구 분야하이퍼그래프 색칠 문제, 하이퍼그래프 동형 문제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2. 역사

하이퍼그래프의 개념은 1960년대 클로드 베르주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그래프 이론의 많은 정리는 하이퍼그래프에서도 성립한다. 전형적인 예로 램지의 정리가 있다. 그래프의 대칭성에 관한 연구도 하이퍼그래프로 확장하여 적용 가능하다.

3. 정의

그래프 이론에서, 하이퍼그래프는 그래프를 일반화한 것이다. 일반적인 그래프의 에지(edge)는 두 개의 정점(vertex)을 연결하지만, 하이퍼에지(hyperedge)는 여러 개의 정점을 연결할 수 있다.

하이퍼그래프는 정점 집합과 하이퍼에지 집합으로 구성된다. 하이퍼에지는 정점 집합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다. 형식적으로 하이퍼그래프 ''H''는 순서쌍 H = (X, E)로 표현된다. 여기서 ''X''는 정점들의 집합이고, ''E''는 ''X''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으로, 하이퍼에지들의 집합이다.

단순 하이퍼그래프는 루프(단일 정점을 가진 하이퍼에지)나 반복되는 하이퍼에지가 없다.

4. 성질


  • '''비어있음''' - 변(hyperedge)이 없다.
  • '''비단순''' (또는 '''다중''') - 루프(단일 정점을 가진 하이퍼에지) 또는 반복되는 변이 있다. 이는 동일한 정점 집합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변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단순''' - 루프와 반복되는 변이 없다.
  • '''d영어-정규''' - 모든 정점의 차수는 d영어이며, 정확히 d영어개의 하이퍼에지에 포함된다.
  • '''2-채색 가능''' - 정점을 두 개의 클래스 ''U''와 ''V''로 분할하여, 최소 2의 기수를 가진 각 하이퍼에지가 두 클래스 모두에서 최소 하나의 정점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속성 B'''라고도 한다.
  • * '''이분'''과 '''균형'''은 더 강력한 속성이다.
  • '''k영어-균일''' - 각 하이퍼에지는 정확히 k영어개의 정점을 포함한다.
  • '''k영어-분할''' - 정점은 k영어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각 하이퍼에지는 각 유형의 정점을 정확히 하나씩 포함한다.
  • * 모든 '''k영어-분할''' 하이퍼그래프 (k영어 ≥ 2)는 '''k영어'''-균일하고 이분 그래프(및 2-채색 가능)이다.
  • '''축소됨'''[26] - 어떤 하이퍼에지도 다른 하이퍼에지의 진정한 부분 집합이 아니다. 즉, 모든 하이퍼에지는 포함에 대해 최대이다. 하이퍼그래프의 '''축소'''는 다른 하이퍼에지에 포함된 모든 하이퍼에지를 제거하여 얻는다.
  • '''하향 폐쇄''' - 무방향 하이퍼그래프의 변의 모든 하위 집합도 하이퍼에지이다. 하향 폐쇄 하이퍼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추상 단순 복합체'''라고 한다. 모든 하이퍼에지가 기수 1을 갖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축소되지 않는다.
  • * ''확장 속성''을 가진 추상 단순 복합체는 '''매트로이드'''라고 한다.
  • '''층상''' - 임의의 두 하이퍼에지에 대해, 서로소이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포함된다. 즉, 하이퍼에지 집합은 층상 집합족을 형성한다.

5. 관련 하이퍼그래프

부분 하이퍼그래프는 일부 정점이 제거된 하이퍼그래프이다. 공식적으로, A \subseteq X 에 의해 유도된 부분 하이퍼그래프 H_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_A=\left(A, \lbrace e \cap A \mid e \in E, e \cap A \neq \emptyset \rbrace \right).

이를 ''H''를 ''A''로 '''제한'''한다고도 한다.[27]

부분 하이퍼그래프의 확장은 H_A에 부분적으로 포함된 H의 각 하이퍼에지가 확장 Ex(H_A)에 완전히 포함된 하이퍼그래프이다. 공식적으로

:Ex(H_A) = (A \cup A', E' )이고, A' = \bigcup_{e \in E} e \setminus AE' = \lbrace e \in E \mid e \subseteq (A \cup A') \rbrace이다.

부분 하이퍼그래프는 일부 에지가 제거된 하이퍼그래프이다.[27] 에지 인덱스 집합의 부분 집합 J \subset I_e가 주어지면, J에 의해 생성된 부분 하이퍼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eft(X, \lbrace e_i \mid i\in J \rbrace \right).

부분 집합 A\subseteq X가 주어지면, 섹션 하이퍼그래프는 부분 하이퍼그래프이다.

:H \times A = \left(A, \lbrace e_i \mid i\in I_e, e_i \subseteq A \rbrace \right).

H의 쌍대 H^*는 정점과 에지가 서로 바뀐 하이퍼그래프이므로, 정점은 \lbrace e_i \rbrace로 주어지고, 에지는 \lbrace X_m \rbrace로 주어지는데,

:X_m = \lbrace e_i \mid x_m \in e_i \rbrace.

하이퍼그래프의 쌍대를 구하는 연산은 대합이다. 즉,

:\left(H^*\right)^* = H.

연결된 하이퍼그래프 ''H''와 동일한 정점 집합을 가진 연결 그래프 ''G''는 ''H''의 모든 하이퍼에지가 ''G''에서 연결된 부분 그래프를 유도된 부분 그래프하는 경우 ''H''의 호스트 그래프이다. 연결되지 않은 하이퍼그래프 ''H''의 경우, ''G''는 ''G''의 연결 요소와 ''H''의 연결 요소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있고, 각 연결 요소 ''G''가 해당 ''H''의 호스트인 경우 호스트 그래프이다.

하이퍼그래프의 2-섹션 (또는 클리크 그래프, 표현 그래프, 프라이멀 그래프, 가이프만 그래프)은 하이퍼그래프와 동일한 정점을 가지며, 동일한 하이퍼에지에 포함된 모든 정점 쌍 사이에 에지를 가진 그래프이다.

6. 행렬 표현

접속 행렬(Incidence matrix영어)은 하이퍼그래프의 정점과 하이퍼에지 간의 포함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무방향 하이퍼그래프의 경우, I = (b_{ij})로 표현되며, 여기서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6][30][41]

:b_{ij} = \left\{ \begin{matrix} 1 & \mathrm{만약} ~ v_i \in e_j \\ 0 & \mathrm{그렇지 않으면}. \end{matrix} \right.

여기서 v_i는 정점, e_j는 하이퍼에지를 나타낸다. 이 행렬의 전치 행렬 I^t는 원래 하이퍼그래프의 쌍대 하이퍼그래프를 정의한다.[6]

방향 하이퍼그래프의 경우, 각 하이퍼에지 e_j는 머리(head) H(e_j)와 꼬리(tail) T(e_j)를 가진다. 이 경우 접속 행렬 I = (b_{ij})의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8]

:b_{ij} = \left\{ \begin{matrix} -1 & \mathrm{만약} ~ v_i \in T(e_j) \\ 1 & \mathrm{만약} ~ v_i \in H(e_j) \\ 0 & \mathrm{그렇지 않으면}. \end{matrix} \right.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영어)은 그래프의 인접 행렬을 일반화한 것으로, 하이퍼에지의 가중치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일반적인 하이퍼그래프에서 하이퍼에지 e_{k \leq m}가 실수 가중치 w_{e_{k}} \in \R를 가질 때, 인접 행렬 A = (a_{ij})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_{ij} = \left\{ \begin{matrix} w_{e_{k}} & \mathrm{if} ~ (v_i, v_j) \in E \\ 0 & \mathrm{otherwise}. \end{matrix} \right.
이분 그래프 표현 (사건 그래프): 하이퍼그래프 ''H''는 이분 그래프 ''BG''로 표현될 수 있다. ''X''와 ''E''는 ''BG''의 부분 집합이며, 정점 ''x1''이 ''H''의 에지 ''e1''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x1'', ''e1'')은 에지로 연결된다. 이러한 이분 그래프는 사건 그래프라고도 불린다.

7. 사이클

일반적인 무방향 그래프는 사이클과 비순환 그래프라는 하나의 개념을 가지지만, 하이퍼그래프에서는 일반 그래프의 비순환성과 일치하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비순환성 정의가 존재한다.[29]

클로드 베르주는 하이퍼그래프의 인접 그래프(위에 정의된 이분 그래프)가 비순환적일 경우 베르주-비순환적이라는 정의를 제시했다.[29] 하지만 이 정의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서로 다른 두 정점 v \neq v'와 서로 다른 두 하이퍼에지 f \neq f'에 대해 v, v' \in f 이고 v, v' \in f'인 경우 베르주-사이클을 가진다. 베르주-사이클성은 인접 그래프를 탐색하여 선형 시간 안에 확인할 수 있다.

더 약한 개념의 하이퍼그래프 비순환성으로 α-비순환성이 있다.[30] 이 개념은 하이퍼그래프가 컨포멀하고 (프라이멀 그래프의 모든 클릭이 일부 하이퍼에지에 의해 덮여 있음) 프라이멀 그래프가 현 그래프인 것과 동일하며, GYO 알고리즘(그레이엄의 알고리즘이라고도 함)[31][32]을 통해 빈 그래프로 축소 가능한 것과 동일하다. 이는 귀의 일반화된 정의를 사용하여 하이퍼에지를 제거하는 합류 반복 프로세스이다. 데이터베이스 이론에서 기본 하이퍼그래프가 α-비순환적이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특정 바람직한 속성을 가지며,[33] 1차 논리의 가드 프래그먼트의 표현력과도 관련이 있다. 하이퍼그래프가 α-비순환적인지 여부는 선형 시간 안에 테스트할 수 있다.[34]

α-비순환성은 α-사이클적인 하이퍼그래프에 하이퍼에지를 추가하면 α-비순환적이 될 수 있다는 직관에 반하는 속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이퍼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는 하이퍼에지를 추가하면 항상 α-비순환적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로널드 페이긴[35]은 β-비순환성과 γ-비순환성이라는 더 강력한 개념을 정의했다. β-비순환성은 하이퍼그래프의 모든 서브하이퍼그래프가 α-비순환적이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그레이엄의 정의와 같다.[32][35] γ-비순환성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여러 바람직한 속성과 동일하며 바흐만 다이어그램과 관련된 더 제한적인 조건이다. β-비순환성과 γ-비순환성 모두 다항 시간 안에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비순환성 개념은 서로 비교 가능하다. 베르주-비순환성은 γ-비순환성을, γ-비순환성은 β-비순환성을, β-비순환성은 α-비순환성을 의미한다. 하지만 역은 성립하지 않아 네 가지 개념은 모두 다르다.[35]

8. 동형, 대칭, 동일성

준동형 사상은 한 하이퍼그래프의 정점 집합에서 다른 하이퍼그래프로의 사상으로, 각 변이 다른 하나의 변으로 매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이퍼그래프 H=(X,E)가 하이퍼그래프 G=(Y,F)와 ''동형''이라는 것은 H \simeq G로 표기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전단사 함수 \phi:X \to Y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phi(e_i) = f_{\pi(i)} (여기서 \piI순열)

이때, \phi를 그래프의 동형 사상이라고 한다. H \simeq GH^* \simeq G^*와 동치이다.

하이퍼그래프의 변에 명시적으로 레이블이 지정된 경우, ''강력 동형''이라는 개념이 추가된다. HG와 ''강력 동형''이라는 것은 순열 \pi가 항등원인 경우를 의미하며, H \cong G로 표기한다. 모든 강력 동형 그래프는 동형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하이퍼그래프의 정점에 명시적으로 레이블이 지정된 경우, ''동치''와 ''같음''의 개념이 있다. HG와 ''동치''라는 것은 H\equiv G로 표기하며, 다음을 만족하는 동형 사상 \phi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phi(x_n) = y_n

:\phi(e_i) = f_{\pi(i)}

H\equiv GH^* \cong G^*와 동치이다.

또한, 순열 \pi가 항등원일 경우, HG와 같다고 하며, H=G로 표기한다. 이러한 같음의 정의에 따르면, 그래프는 자기 쌍대적이다. 즉, \left(H^*\right) ^* = H이다.

하이퍼그래프 자기 동형 사상은 정점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동형 사상, 즉 정점의 재 레이블링이다. 하이퍼그래프 ''H'' (= (''X'', ''E''))의 자기 동형 사상의 집합은 을 이루며, 합성 연산에 대해 닫혀 있다. 이를 하이퍼그래프의 자기 동형 군이라고 하며 Aut(''H'')로 표기한다.

예시로, 다음과 같은 변을 가진 하이퍼그래프 HG를 고려해 보자.

:H = \lbrace

e_1 = \lbrace a,b \rbrace,

e_2 = \lbrace b,c \rbrace,

e_3 = \lbrace c,d \rbrace,

e_4 = \lbrace d,a \rbrace,

e_5 = \lbrace b,d \rbrace,

e_6 = \lbrace a,c \rbrace

\rbrace

:G = \lbrace

f_1 = \lbrace \alpha,\beta \rbrace,

f_2 = \lbrace \beta,\gamma \rbrace,

f_3 = \lbrace \gamma,\delta \rbrace,

f_4 = \lbrace \delta,\alpha \rbrace,

f_5 = \lbrace \alpha,\gamma \rbrace,

f_6 = \lbrace \beta,\delta \rbrace

\rbrace

HG는 동형( \phi(a)=\alpha 등)이지만 강하게 동형은 아니다. 예를 들어 H에서 정점 a는 변 1, 4, 6과 만나지만(e_1 \cap e_4 \cap e_6 = \lbrace a\rbrace), 그래프 G에서는 변 1, 4, 6을 모두 만나는 정점이 존재하지 않는다(f_1 \cap f_4 \cap f_6 = \varnothing).

이 예에서 HG는 동치이며(H\equiv G), 이중 그래프는 강하게 동형이다(H^*\cong G^*).

하이퍼그래프 ''H''의 랭크 r(H)는 하이퍼그래프 내 모든 간선의 최대 크기이다.

두 정점 ''x''와 ''y''가 \phi(x)=y를 만족하는 자기동형사상 \phi가 존재하면 ''대칭적''이라고 한다. 두 간선 e_ie_j\phi(e_i)=e_j를 만족하는 자기동형사상\phi가 존재하면 ''대칭적''이라고 한다.

모든 정점이 대칭적이면 하이퍼그래프는 ''정점-추이적''(또는 ''정점-대칭적'')이다. 모든 간선이 대칭적이면 하이퍼그래프는 ''간선-추이적''이다. 하이퍼그래프가 간선-대칭적이고 정점-대칭적이면, ''추이적''이다.

하이퍼그래프 쌍대성에 의해, 간선-추이성에 대한 연구는 정점-추이성에 대한 연구와 동일하다.

9. 분할

E. 다우버의 분할 정리에 따르면, 변 추이적 하이퍼그래프 H=(X,E)에 대해, 정점 집합 X의 분할[36]

:(X_1, X_2,\cdots,X_K)

이 존재하여, 각 1\le k \le K에 대해 X_k에 의해 생성된 부분 하이퍼그래프 H_{X_k}가 추이적이며,

:\sum_{k=1}^K r\left(H_{X_k} \right) = r(H)

가 성립한다. 여기서 r(H)는 ''H''의 랭크이다.

따름 정리에 따르면, 정점 추이적이지 않은 변 추이적 하이퍼그래프는 이색적이다.

그래프 분할(특히 하이퍼그래프 분할)은 IC 설계[37]병렬 컴퓨팅에 많은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38][39][40]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하이퍼그래프 분할 알고리즘은 머신 러닝 작업에서 대규모 하이퍼그래프를 처리하는 데에도 중요하다.[41]

10. 채색

집합 \{1, 2, 3, ..., λ\}의 색상 중 하나를 하이퍼그래프의 모든 꼭짓점에 할당하여 각 하이퍼에지(hyperedge)가 서로 다른 색상의 꼭짓점을 최소한 두 개 이상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고전적인 하이퍼그래프 채색이라고 한다. 즉, 크기가 2 이상인 단색 하이퍼에지는 없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는 그래프 채색의 직접적인 일반화이다. 모든 채색에 사용된 최소 고유 색상 수를 하이퍼그래프의 채색 수라고 한다.

최대 ''k''개의 색상을 사용하여 채색이 존재하는 하이퍼그래프를 ''k-채색 가능''이라고 한다. 2-채색 가능한 하이퍼그래프는 정확히 이분 그래프이다.

고전적인 하이퍼그래프 채색의 일반화는 많다. 그중 하나는 단색 모서리가 허용될 때의 혼합 하이퍼그래프 채색이다. 일부 혼합 하이퍼그래프는 어떤 수의 색상으로도 채색할 수 없다. 채색 불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은 알려져 있지 않다. 혼합 하이퍼그래프가 채색 가능한 경우, 사용된 색상의 최소 및 최대 수를 각각 하한 및 상한 채색 수라고 한다.[25]

하이퍼그래프의 채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 = (V, E)라는 하이퍼그래프에서 \Vert V\Vert = n이라고 한다. C = \{c1, c2, ..., cn\}가 H의 타당한 채색이라는 것은, 모든 e \in E, \vert e\vert > 1에 대해 임의의 정점 vi, vj \in e에서 ci \neq cj가 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11. 응용

무방향 하이퍼그래프는 만족 문제[5], 데이터베이스[30], 머신 러닝[41], 슈타이너 트리 문제[6] 등을 모델링하는 데 유용하다. 하이퍼그래프는 데이터 모델 및 분류기 정규화 (수학)로서 머신 러닝 작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7] 응용 분야에는 추천 시스템(하이퍼에지로서의 커뮤니티)[8][9], 이미지 검색(하이퍼에지로서의 상관 관계)[10], 생물 정보학(하이퍼에지로서의 생화학적 상호 작용)[11]이 있다. 대표적인 하이퍼그래프 학습 기술로는 하이퍼그래프 라플라시안으로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을 확장한 하이퍼그래프 스펙트럼 클러스터링과 학습 결과를 제한하기 위해 추가적인 하이퍼그래프 구조적 비용을 도입하는 하이퍼그래프 반지도 학습이 있다.[13] 대규모 하이퍼그래프의 경우, Apache Spark를 사용하여 구축된 분산 프레임워크도 사용할 수 있다.[41]

방향 하이퍼그래프는 전화 애플리케이션[14], 자금 세탁 탐지[15], 운영 연구[16], 운송 계획 등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혼 만족성을 모델링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28]

12. 하이퍼그래프 그리기

하이퍼그래프는 그래프보다 종이에 그리기 어렵지만, 여러 연구자들이 하이퍼그래프 시각화 방법을 연구해왔다.

회로도는 4개의 꼭짓점(흰색 사각형과 원으로 묘사됨)이 나무로 그려진 3개의 하이퍼에지로 연결된 하이퍼그래프의 그림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이퍼그래프의 가능한 시각적 표현 중 하나는 평면의 곡선을 사용하여 그래프 에지를 묘사하는 표준 그래프 드로잉 스타일과 유사하며, 하이퍼그래프의 꼭짓점은 점, 원 또는 상자로 묘사되고, 하이퍼에지는 꼭짓점을 잎으로 갖는 나무로 묘사된다.[17][18] 꼭짓점이 점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이퍼에지는 점 집합을 연결하는 부드러운 곡선이나 점 집합을 둘러싸는 단순 폐곡선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19][20][21]

4차 벤 다이어그램은 15개의 꼭짓점(15개의 색상 영역)과 4개의 하이퍼에지(4개의 타원)를 가진 하이퍼그래프의 세분화 그림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이퍼그래프 시각화의 또 다른 스타일인 하이퍼그래프 드로잉의 세분화 모델에서는[22] 평면이 영역으로 세분화되며, 각 영역은 하이퍼그래프의 단일 꼭짓점을 나타낸다. 하이퍼그래프의 하이퍼에지는 이러한 영역의 연속적인 부분 집합으로 표현되며,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윤곽선을 그리거나, 둘 다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수 ''n'' 벤 다이어그램은 ''n''개의 하이퍼에지(다이어그램을 정의하는 곡선)와 2''n'' − 1개의 꼭짓점(이러한 곡선이 평면을 세분화하는 영역으로 표현됨)을 가진 하이퍼그래프의 세분화 그림으로 볼 수 있다. 평면 그래프의 다항 시간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하이퍼그래프가 평면 세분화 그림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NP-완전이지만,[23] 이러한 유형의 그림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영역의 인접 패턴이 경로, 사이클 또는 트리로 제한될 때 효율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24]

PAOH[1]라고 하는 하이퍼그래프의 대체 표현이 이 기사의 맨 위에 있는 그림에 표시되어 있다. 에지는 꼭짓점을 연결하는 수직선이다. 꼭짓점은 왼쪽에 정렬되어 있다. 오른쪽의 범례는 에지의 이름을 보여준다. 이는 동적 하이퍼그래프를 위해 설계되었지만 간단한 하이퍼그래프에도 사용할 수 있다.

13. 그래프 개념의 확장

그래프와 관련된 많은 정리와 개념은 하이퍼그래프에도 적용된다. 특히 하이퍼그래프의 매칭, 하이퍼그래프의 정점 덮개(횡단이라고도 함), 하이퍼그래프의 선 그래프, 하이퍼그래프 문법, 램지 정리, 에르되시-코-라조 정리, 균일 하이퍼그래프에 대한 크루스칼-카토나 정리, 하이퍼그래프에 대한 홀 정리 등이 있다. 유향 하이퍼그래프에서는 추이 폐쇄와 최단 경로 문제도 확장 적용된다.[16]

램지의 정리가 대표적인 예로, 그래프 이론의 많은 정리는 하이퍼그래프에서도 성립한다. 그래프의 대칭성에 관한 연구도 하이퍼그래프로 확장하여 적용 가능하다. 하이퍼그래프에서 준동형은 어떤 하이퍼그래프의 정점 집합에서 다른 정점 집합으로의 사상이 존재하고, 하나의 에지가 다른 쪽의 에지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형은 반대 방향으로도 준동형인 경우를 말한다. 자기동형은 정점 집합이 라벨을 다시 붙인 정점 집합과 준동형임을 말한다. 하이퍼그래프의 자기동형 집합 ''H'' (= (''X'', ''E''))은 합성에 대해 이 되고, 하이퍼그래프의 자기동형군이라고 불리며 Aut(''H'')로 표시된다. 하이퍼그래프의 모임은 사상으로서의 하이퍼그래프 준동형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범주이다.

하이퍼그래프 ''H'' = (''X'', ''E'')의 "횡단(transversal)" 또는 "히팅 세트(hitting set)" T\subseteq X는 어느 에지든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닌 집합을 말한다. 즉, T와 각 에지 사이에 공통적인 노드가 반드시 존재한다. 횡단 ''T''는 그 진부분 집합으로서 횡단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없는 경우에 "최소"라고 한다. ''H''의 "횡단 하이퍼그래프"는 (''X'', ''F'')로 표시되는 하이퍼그래프이며, ''F''는 ''H''의 전체 최소 횡단으로 이루어진다. 횡단 하이퍼그래프의 계산은 기계 학습 등의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게임 이론,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화, 충족 가능성 문제, 최적화 등과 관련된다.

각 에지의 농도(원소의 개수)가 ''k''인 하이퍼그래프를 "k-균일(k-uniform)" 또는 "k-하이퍼그래프(k-hypergraph)"라고 부른다. 그래프는 2-균일 하이퍼그래프이다. 정점 ''v''의 차수 ''d(v)''는 그 정점이 속하는 에지의 개수이다. 모든 정점의 차수가 ''k''인 하이퍼그래프를 "k-정규(k-regular)"라고 한다.

V = \{v_1, v_2, ~\ldots, ~ v_n\}E = \{e_1, e_2, ~ \ldots, ~ e_m\}이 있다고 가정하면, 모든 하이퍼그래프에는 n \times m의 "접속 행렬" A = (a_{ij})가 있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a_{ij} = \left\{ \begin{matrix} 1 & \mathrm{if} ~ v_i \in e_j \\ 0 & \mathrm{otherwise} \end{matrix} \right.

접속 행렬의 전치 행렬 A^t에 의해 정의되는 하이퍼그래프 H^* = (V^*, E^*)H의 "쌍대(dual)"라고 하며, V^*는 ''m''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E^*는 ''n''개의 V^*의 부분 집합으로 이루어진 집합이다. v^*_j \in V^*e^*_i \in E^*에 대해 a_{ij} = 1일 때만 ~ v^*_j \in e^*_i이다. 균일 하이퍼그래프의 쌍대는 정규이며, 역도 성립한다. 쌍대를 고려함으로써 새로운 발견이 많다.

14. 추가 일반화

하이퍼그래프의 한 가지 가능한 일반화는 간선이 다른 간선을 가리키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이 일반화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한 가지는 간선이 정점의 집합뿐만 아니라 정점의 부분 집합, 정점의 부분 집합의 부분 집합 등을 ''무한정''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모든 간선은 트리 또는 방향 비순환 그래프의 내부 노드이며 정점은 잎 노드이다. 하이퍼그래프는 공통으로 공유된 노드(즉, 주어진 내부 노드 또는 잎이 여러 다른 트리에 나타날 수 있음)가 있는 트리의 모음일 뿐이다. 반대로, 트리의 모든 모음은 이러한 일반화된 하이퍼그래프로 이해할 수 있다. 트리는 컴퓨터 과학 및 다른 많은 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하이퍼그래프가 자연스럽게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반화는 항 대수의 모델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간선은 항에 해당하고 정점은 상수 또는 변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하이퍼그래프의 경우 집합 구성원은 순서를 제공하지만, 순서는 부분 순서도 전순서도 아니다. 이는 전이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일반화의 레비 그래프에 해당하는 그래프는 방향 비순환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정점 집합이 V= \{a,b\}이고 간선이 e_1=\{a,b\}e_2=\{a,e_1\}인 일반화된 하이퍼그래프를 생각해 보자. 그러면 b\in e_1이고 e_1\in e_2이지만 b\in e_2는 사실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퍼그래프에 대한 집합 구성원의 전이적 폐포는 부분 순서를 유도하고 하이퍼그래프를 부분 순서 집합으로 "평탄화"한다.

또는 간선이 방향, 비순환 그래프로 간선이 정렬되어야 한다는 요구 사항과 상관없이 다른 간선을 가리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점이 전혀 포함될 필요가 없는 간선 루프가 있는 그래프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간선 e_1e_2 및 0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일반화된 하이퍼그래프를 생각해 보자. e_1 = \{e_2\}이고 e_2 = \{e_1\}이다. 이 루프는 무한히 재귀적이므로 간선인 집합은 기초 공리를 위반한다. 특히, 이러한 하이퍼그래프에 대한 집합 구성원의 전이적 폐포는 없다. 이러한 구조는 처음에는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해당 레비 그래프의 동등한 일반화가 더 이상 이분 그래프가 아닌 일반 방향 그래프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퍼그래프에 대한 일반화된 인접 행렬은 정의상 정방 행렬이며, 정점과 간선의 총 개수와 같은 랭크를 갖는다. 따라서 위의 예에서 인접 행렬은 다음과 같다.

:\left[ \begin{matrix} 0 & 1 \\ 1 & 0 \end{matrix} \right].

참조

[1] 논문 Analyzing Dynamic Hypergraphs with Parallel Aggregated Ordered Hypergraph Visualization https://hal.inria.fr[...] IEEE 2020
[2] arXiv Hypergraphs: an introduction and review
[3] citation ε-nets and simplex range queries
[4] 서적 Heuristics: Intelligent Search Strategies for Computer Problem Solving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021-06-12
[5] 간행물 Witnesses for non-satisfiability of dense random 3CNF formulas https://ieeexplore.i[...] IEEE 2021-01-20
[6] 서적 Optimal Interconnection Trees in the Plane Springer 2021-01-20
[7] cit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MIT Press 2021-07-24
[8] citation Random Hypergraphs and their applications 2009
[9] citation Using rich social media information for music recommendation via hypergraph model https://www.research[...] 2011-10
[10] citation Hypergraph with sampling for image retrieval
[11] citation Predicting protein interactions via parsimonious network history inference
[12] citation Visual-textual joint relevance learning for tag-based social image search http://ink.library.s[...] 2017-09-22
[13] citation A hypergraph-based learning algorithm for classifying gene expression and arrayCGH data with prior knowledge
[14] 논문 A Directed Hypergraph Database: A Model for the Local Loop Telephone Plant https://archive.org/[...] 1982
[15] 간행물 Exchange Pattern Mining in the Bitcoin Transaction Directed Hypergraph http://fc17.ifca.ai/[...] Springer 2021-01-20
[16] 논문 Directed hypergraphs: Introduction and fundamental algorithms - A survey 2017
[17] citation Proc.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aph Drawing (GD 2003) Springer 2010-05-17
[18] citation Orthogonal hypergraph drawing for improved visibility http://jgaa.info/acc[...] 2010-05-17
[19] citation How to draw a hypergraph
[20] citation Graph Drawing Springer-Verlag
[21] citation Database and Expert Systems Applicati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2] citation Graph Drawing Springer-Verlag
[23] citation Hypergraph planarity and the complexity of drawing Venn diagrams
[24] citation Graph Drawing Springer-Verlag
[25] 웹사이트 Vitaly Voloshin: Mixed Hypergraph Coloring Website http://spectrum.troy[...] 2022-04-27
[26] 논문 Degrees of acyclicity for hypergraphs and relational database schemes 1983-07-01
[27] Citation Matching Theory North-Holland
[28] 논문 Directed hypergraphs and applications
[29] 서적 Graphs and Hypergraphs North-Holland
[30] 논문 On the Desirability of Acyclic Database Schemes http://cse.unl.edu/~[...] 2021-01-03
[31] 논문 An algorithm for tree-query membership of a distributed query https://www.computer[...] 2018-09-02
[32] 논문 On the universal relation University of Toronto
[33] 서적 Foundations of Databases Addison-Wesley
[34] 논문 Simple linear-time algorithms to test chordality of graphs, test acyclicity of hypergraphs, and selectively reduce acyclic hypergraphs
[35] 논문 Degrees of Acyclicity for Hypergraphs and Relational Database Schemes
[36] 서적 Graph Theo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
[37] 간행물 Multilevel hypergraph partitioning: applications in VLSI domain 1999-03
[38] 간행물 Graph partitioning models for parallel computing https://digital.libr[...] 2000
[39] 학회자료 A Hypergraph Model for Mapping Repeated Sparse Matrix–Vector Product Computations onto Multicomputers
[40] 간행물 Hypergraph-Partitioning Based Decomposition for Parallel Sparse-Matrix Vector Multiplication
[41] 서적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https://www.ruizhang[...]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