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자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자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1367년 진사를 거쳐 대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지평, 이조정랑 등을 역임했고, 형조참판, 풍해도 관찰출척사, 전라도관찰사, 병부상서를 지냈다. 조선 시대에는 공조참의, 홍주목사, 황해도관찰사, 공안부윤, 판청주목사를 역임했다. 1433년에 사망했으며, 세종 때 좌의정에 증직되었다. 두문동 72현 중 한 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병부상서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병부상서 - 한언공
    한언공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광문원 서생으로 시작해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송나라 사신으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중추원 설치에 기여하여 목종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정신이다.
  • 1433년 사망 - 고코마쓰 천황
    고코마쓰 천황은 남북조 시대 혼란을 종식시키고 북조 황통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나, 남북조 교대 약속을 어기고 아들에게 양위하여 비판받은 일본 제100대 천황이다.
  • 1433년 사망 - 레러이
    레러이는 후 레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로, 람선 봉기를 통해 명나라로부터 대월의 독립을 쟁취하고 국가 제도를 정비하며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쳐 베트남 민족의 독립과 국가 재건에 기여했다.
  • 고려의 성리학자 - 안향
    안향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한국 최초의 주자학자로,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들여와 고려에 전파하고 국자감을 정비하는 등 유생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개혁적인 정치 활동으로 사후 문묘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성리학자 - 이색
    이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성리학을 공부하고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성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격변기 속에서 관료 생활을 이어가면서 고려 시대 문학의 대가로 평가받고 《목은고》 등의 저서를 남겼다.
하자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려의 왕기
고려의 왕기
조선의 국왕기
조선의 국왕기
이름하자종
원어명大匡輔國崇祿大夫左議政領經筵事 河自宗
출생일1350년
출생지고려 경상도 진주 여사촌
사망지조선 충청도 청주
사망일1433년 (84세)
정당무소속
본관진양
종교유교(성리학)
서훈대광보국숭록대부좌의정영경연사(大匡輔國崇祿大夫左議政領經筵事)
학력
학력1367년 고려 대과 을과 1등 장원 급제
고려 관직
군주고려 공민왕 왕기
직책고려국 사헌부 지평(高麗國 司憲府 持平)
섭정영문하부사 신돈
임기1367년 8월 1일 ~ 1368년 2월 29일
군주고려 우왕 왕우
직책고려국 가선대부 겸 형조참판(高麗國 嘉善大夫 兼 刑曹參判)
섭정공원왕태후 남양 홍씨, 문하시중 이인임
임기1379년 3월 1일 ~ 1381년 5월 31일
군주고려 우왕 왕우, 고려 창왕 왕창
직책고려국 병부상서(高麗國 兵部尙書)
섭정문하찬성사 반복해, 수문하시중 이성계, 왕대비 죽주 안씨, 문하시중 이색, 수문하시중 이성계
임기1386년 3월 1일 ~ 1389년 3월 31일
조선 관직
군주조선 태종 이방원
직책조선국 공조참의(朝鮮國 工曹參議)
섭정왕세자 이제(前)
임기1407년 3월 1일 ~ 1412년 8월 31일
직책조선국 판청주목사(朝鮮國 判淸州牧使)
군주조선 세종대왕 이도
섭정상왕 이방원(前), 영의정 유정현(前)
임기1422년 3월 1일 ~ 1423년 3월 31일
기타 정보
경력병부상서(병조판서)
자녀하연(아들)
부모하윤원(부), 청주 한씨 부인(모)

2. 고려조

1367년 진사를 거쳐 대과 을과에 1등 장원급제하여 사헌부지평, 이조정랑, 형조의 좌우참의를 역임하였다.[1] 1379년 우왕 때 가선대부, 형조참판에 임명되었고,[1] 1381년 풍해도 관찰출척사를 역임하였으며,[1] 1383년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1] 이후 병부상서를 지냈다.[1]

3. 조선조

1407년(태종 7) 공조참의로서 세공마 50필을 압령하여 명나라에 다녀왔다. 돌아올 때 황제가 하사한 『고황후전』을 가지고 왔다.[1] 1412년에 홍주목사를, 1415년에는 황해도관찰사로 봉직했다.[1]

1418년(세종 1)에 공안부윤을 지냈고 이어 1422년에 판청주목사를 역임하였다.[1] 1433년(세종 15) 세상을 떠난 이후, 1447년(세종 47)에 세종은 그를 좌의정에 증직하였다.[1]

4. 가계

증조부는 하직의, 조부는 하즙(문하찬성사)이다. 조모는 철성 이씨(진한대부인)이다. 아버지는 하윤원(대사헌)이며, 어머니는 청주 한씨(정경부인)이다. 부인은 진양 정씨(정경부인)이다.

슬하에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병조판서 하왕, 관찰사 하형, 영의정 하연, 대사간 하결, 증영의정 하보(河溥)이다. 딸 진양 하씨(정부인)는 덕수 이씨 참의공 증공조판서 이양(李揚)에게 시집갔다. 외손자는 강평공 이명신과 군수공 이양신이다.

4. 1. 직계 후손

5. 추증

1447년(세종 29년) 좌의정에 추증되었다.[7][8]

참조

[1] 논문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2015
[2]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수상 연합뉴스 http://m.yna.co.kr/k[...] 2018-05-12
[3]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 수상 매일종교신문 http://m.dailywrn.co[...] 2018-05-12
[4] 웹사이트 하승무 가문, 부산지역 유일,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http://m.viva100.com[...]
[5] 뉴스 전주서 하경덕 박사 탄생 110주년 학술대회 연합뉴스 http://m.news.naver.[...]
[6] 뉴스 '이홍구 칼럼' 하경덕의『사회법칙』80주년 중앙일보 http://mnews.joins.c[...]
[7] 서적 고려충열록
[8] 간행물 광산김씨족보 권1'서문 고려두문동72현선생제명기' 18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