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루어는 /a i u/ 세 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을 가지며, 형태론적으로 매우 복잡한 언어이다. 네 개의 인칭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동사 활용과 문장 접미사를 통해 문법 정보를 전달한다. 문장 접미사는 문장의 유형을 나타내며, 명사구와 동사구의 구문 구조를 가진다. 하카루어에는 부정, 인사, 특수 입자 등 세 종류의 입자가 존재하며, 증거 표시 또한 언어의 중요한 요소이다.
하카루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2. 음운론
하카루어는 모음의 길이를 구별하며, 파열음은 무성음, 유기음, 방출음으로 구분된다.
2. 1. 모음
하카루어는 /a i u/ 3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모음의 길이를 구별한다. 장모음은 ‹a: i: u:›처럼 나타낸다.[5]
2. 2. 자음
하카루어는 양순음, 치경음/치조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등 다양한 위치에서 소리 나는 자음을 가지고 있다. 파열음은 무성음, 유기음, 방출음으로 구분된다.
양순음 | 치경음/치조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
---|---|---|---|---|---|---|---|---|
비음 | colspan="3" | | |||||||
파열음 | 무성음 | tʲ | ||||||
유기음 | pʰ | tʰ | tʲʰ | t͡sʰ | ʈʰ | cʰ | kʰ | qʰ |
방출음 | tʲ’ | |||||||
마찰음 | colspan="3" | | |||||||
접근음 | 중설음 | colspan="3" | | ||||||
설측음 | colspan="3" | | |||||||
탄음 | colspan="3" | |
하카루어는 교착어적인 특징을 보이며, 접미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표현한다. 형태론은 매우 복잡하며, 대부분의 문법 정보는 형태론에서 전달된다. 기본 인칭 체계는 4개 인칭으로 구성된다. 문법적 표시를 위해 광범위한 모음 탈락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모음 탈락을 제한하는 규칙은 광범위하다.[1]
3. 형태론
주요 형태소 종류는 어근과 접미사이다. 어근은 동사, 명사, 입자가 있으며, 접미사는 명사형, 동사형, 주제형, 문장형이 있다. 증거 표시는 언어의 모든 문장에 반영되며, 세 가지 주요 문법 범주(개인적 지식, 언어를 통한 지식, 비개인적 지식)가 있다.[1]
3. 1. 명사 형태론
하카루어의 명사 형태론은 접미사를 포함하며, 소유와 수식의 두 종류로 나뉜다. 명사 접미사는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명사와 문장의 나머지 부분과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접미사(소유격 4개, 방향격 5개, 목적격 표지 1개로 총 10개)이고, 다른 하나는 복합 명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접미사이다.[1]
명사 형태론은 화자에 대한 2인칭의 관계를 나타내는 4인칭 패러다임에 기반한다. 1인칭은 청자를 제외하고, 2인칭은 화자를 제외하며, 3인칭은 화자와 청자 모두를 제외하고 무표(無標) 또는 널(null) 사례에 사용된다. 4인칭은 화자와 청자 모두를 포함한다.[1]
3. 2. 동사 형태론
하카루어의 동사 형태론은 굴절 및 파생 모두에서 매우 복잡하다. 언어의 문법적 기능 상당 부분이 동사 형태론 체계 내에서 수행된다. 표준 패러다임은 10개의 인칭으로 구성되며, 이는 네 가지 기본 인칭 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하카루어(그리고 다른 모든 자키어)에서 주어와 목적어 간의 관계는 결합의 관계이다. 즉, 형태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으며, 활용은 두 요소 모두를 하나의 단위로 동시에 지정해야 한다. 동사는 주절(10개 시제)과 종속절(12개 시제)에 따라 다른 두 세트로 활용된다. 동사는 일반적으로 최소 세 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지만, 전형적인 동사는 훨씬 더 많은 형태소를 포함한다.
4. 통사론
하카루어의 구문은 주로 문장 접미사 체계로 구성된다. 이 접미사들은 문장의 유형(의문형, 서술형 등)을 나타낸다. 접미사는 문장당 하나 이상 나타날 수 있으며, 흔히 그렇게 나타나 문장 유형을 표시하고 복잡한 구문을 생성한다. 간단히 말해서, 하카루어에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이 되려면 굴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문장 접미사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론적 단어와 구문적 구절은 원어민에게 문법적으로 부적절하며, 어떤 경우에는 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4. 1. 문장 접미사
하카루어의 문장 접미사는 다른 모든 형태론적 과정 이후에 발생하며 모든 형태론적 단어나 구문에 나타날 수 있다. 문장 접미사의 특성으로 인해 단어 순서에 대한 자유도가 높아지고 문장 구성에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이야기꾼에게 유용하다.하카루어에는 7가지 종류의 문장 접미사가 있다.
순서 | 종류 | 기능 | 예시 |
---|---|---|---|
I | 시간 | -kasa (완료), -ra (계속) | |
II | 집약 | -rk"a (부가), -sk"a (순차) | |
III | 범주화 | -sa (정보), -txi (부정; 예/아니오), -wa (PK—개인적 지식), -qa (약화; 주제), -psa (집약) | |
IV | KTL (언어를 통한 지식) | -mna (말해진다) | |
V | 놀라움 | -ja (수사) | |
VI | 강조 | -illi (정말!) | |
VII | FinalDS | -ashi (아마도), -ishi (기억하다) |
이러한 접미사들은 단어에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I종 접미사는 다른 접미사 없이 형태론적 단어에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다. II, III, IV종은 가장 자주 나타나며 구문 굴절의 핵심으로 간주된다. 이론적으로는 모든 문장 접미사가 문장에 나타날 수 있지만, 그러한 사례는 발견된 적이 없다. 2000년 기준으로 텍스트에서 최대 3~4개의 문장 접미사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많은 형태론적 접미사도 중첩될 수 있기 때문에 구문 단어는 종종 최대 7~8개의 접미사를 포함한다.
4. 2. 구 (Phrases)
하카루어에는 명사구와 동사구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의 구문이 있다.명사구명사구에는 수식어구, 숫자구, 소유격구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수식어구는 모음 탈락으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수식 명사 앞에 오는 핵심 명사로 구성된다. 하카루어의 숫자는 10진법이다. 숫자구는 10, 100, 1000의 곱셈기를 사용하여 더 큰 숫자를 만들도록 신중하게 정렬된다. 숫자구 순서는 '숫자 × 곱셈기 + 숫자'이다. 중립적이고 표시되지 않은 소유격구는 '소유자 + -na + 소유물 + 네 가지 개인 소유 접미사 중 하나' 순서를 따른다(Hardman, 2000).[1]
동사구하카루어의 동사구는 드물며 두 부분 이상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조심 구문, 선택 구문, 노력 구문, OV 구문(모음 탈락 수식어 + 동사 어근)의 네 가지 고정된 순서 유형이 있다. 동사는 수량사 수식어로 수정될 수 있다(Hardman, 2000).[1]
4. 3. 품사
하카루어에는 부정, 인사, 그리고 몇 가지 특수한 입자 등 세 종류의 입자가 있다. 부정 입자는 명령형 부정, 원리 부정, 종속 부정으로 나뉜다. 인사말은 화자와 청자의 성별을 나타내며,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 네 가지 특수 입자는 자체로 발화를 구성하며 어떠한 접미사도 붙지 않는다: Jira ("가자"), Jalli ("모르겠어, 그럴 수도 있어."), Wala ("계속해, 가, 안녕."), 그리고 Chiku ("가, 갈게, 안녕.")[1]5. 증거 표시
하카루어는 증거 표시를 문법적으로 반영하며, 이는 화자가 정보를 어떻게 얻었는지를 나타낸다. 증거의 세 가지 주요 범주는 다음과 같다.[1]
- 개인적 지식(PK): 일반적으로 시각을 나타낸다.
- 언어를 통한 지식(KTW):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읽어서 배우는 모든 것을 나타낸다.
- 비개인적 지식(NPK): 모든 신화, 살아있는 기억보다 오래된 역사, 이야기, 그리고 현재 상황에 화자가 관여하지 않는 데 사용된다.
6. 참고 문헌
- 벨레자 카스트로, N. (1995). ''Vocabulario jacaru-castellano/castellano-jacaru (aimara tupino)'' (Monumenta Lingüística Andina, 3.). 쿠스코: Centro "Bartolome de Las Casas".
- 하드만, 마사 제임스. 1978. "Jaqi: The Linguistic Famil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44권. pp. 146–153.
- 하드만-데-바우티스타, 마사 제임스. 1978. "Linguistic Postulates and Applied Anthropological Linguistics". V. 혼사, M. J. 하드만-데-바우티스타 (공저) ''Papers on Linguistics and Child Language''. 뉴욕: Mouton Publishers.
- 하드만, 마사 제임스. 1983. "'And if We Lose Our Name, Then What About Our Land', or What Price Development?" ''Evaluating Gender Relations'' 35권 3호. pp. 151–161.
- 하드만, 마사 제임스. 2000. ''Jaqaru''. 독일: Lincom Europa.
참조
[1]
웹사이트
Jaqaru
http://www.ethnologu[...]
[2]
웹사이트
Jaqaru
http://linguistics.b[...]
[3]
웹사이트
Jaqaru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2021-06-21
[4]
URL
http://www.ethnologu[...]
[5]
웹인용
Jaqaru
http://linguistics.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