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칼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칼텍어는 멕시코 치아파스주 라 트리니타리아 시의 엘 라가르테로 유적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멕시코 치아파스주와 캄페체주, 과테말라 후에후에테낭고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동부와 서부 방언으로 나뉜다. 하칼텍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사용하며, 복잡한 교착어 형태론과 능격-절대격 언어의 격 대립을 가진다. 또한 4개의 명사 및 수사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INPI의 라디오 방송국 XEVFS에서 하칼텍어 프로그래밍이 방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하칼텍어
개요
다른 이름폽티ʼ
사용 국가과테말라, 멕시코
사용 지역우에우에테낭고주, 치아파스주
사용자과테말라에 54,200명의 하칼텍족 (2019년 인구 조사)
언어 사용자 수33,130명 (2019년 인구 조사)
소수 언어과테말라
언어 관리 기구
언어 코드
ISO 639-3jac
Glottologpopt1235
Glottolog 이름Poptiʼ
언어 유형
표기 문자라틴 문자
음성IPA (국제 음성 기호)
언어 계통
어족마야어족
어파칸호발어파
어군칸호발어군
세부 어군칸호발-하칼텍어군
멕시코 관련 정보
국가멕시코
언어 존속 정도
존속 위협 정도심각하게 위협받음

2. 역사

하칼텍어는 과거 멕시코 치아파스주 라 트리니타리아 시에 위치했던 엘 라가르테로 유적지의 거주민들이 사용했던 언어로 추정된다. 이 엘 라가르테로 유적지는 중앙 아메리카의 후기 고전기부터 후기 후고전기에 해당하는 서기 300년부터 1400년까지 사람들이 거주했던 곳이다.[4]

3. 분포

하칼텍어는 주로 멕시코치아파스주, 캄페체 주[5]과테말라의 후에후에테낭고 주 지역에서 사용된다.

3. 1. 멕시코

멕시코에서 하칼텍어는 주로 치아파스주와 캄페체 주에서 사용된다.[5]

치아파스주 내 하칼텍어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시 (Municipio)지역 (Localidad)
아마테낭고 데 라 프론테라비엔에스타르 소셜(Bienestar Social), 플로르 데 마요(Flor de Mayo), 과달루페 빅토리아(Guadalupe Victoria), 오호 데 아과(Ojo de Agua), 파카얄리토(Pacayalito), 우익스퀼라르(Huixquilar)
벨라 비스타로스 포시토스(Los Pocitos)
프론테라 코말라파엘 망고(El Mango), 프론테라 코말라파(Frontera Comalapa), 순사포테(Sunzapote)
라 트리니타리아엘 베르헬 도스(El Vergel Dos), 라 캄파나(La Campana), 라 글로리아(La Gloria), 엘 콜로라도(El Colorado), 누에보 비야플로레스(Nuevo Villaflores)



캄페체 주에서는 캄페체 시와 샴포톤 시에 하칼텍어 공동체가 존재한다.[5]

3. 2. 과테말라

과테말라의 후에후에테낭고 지역 여러 시에서 하칼텍어가 사용된다(''Variación Dialectal en Poptiʼ, 2000''):

  • 콘셉시온 위스타
  • 하칼테낭고 (다음 마을 포함)
  • * ''산 마르코스 위스타''
  • * ''산 안드레스 위스타''
  • * ''Yinhchʼewex''
  • 넨톤
  • 산 안토니오 위스타
  • 산타 아나 위스타
  • Buxup
  • Tzisbʼaj

4. 음운론

하칼텍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파열음/파찰음p pt ttz t͡sch t͡ʃtx t͡ʂk/c/qu kq/k qʼ ʔ
내파음 ɓcolspan=2|
방출음tzʼ t͡sʼchʼ t͡ʃʼtxʼ t͡ʂʼ/cʼ/qʼu/
마찰음s sx ʃxh/ ʂj xh h
비음m mn nnh//ŋ ŋ
접근음w wl ly j
전동음r r



동부 하칼텍어는 다음과 같은 음소를 포함한다. 아래 표는 각 음소의 국제음성기호(IPA)와 주요 표기법(괄호 안)을 보여준다. 표기법에는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아의 방식 등이 포함된다.

colspan="2" |순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 (m)n (n)ŋ (nh or n̈/ŋ)
파열음/ 파찰음평음p (p)t (t)t͡s (tz)t͡ʃ (ch)t͡ʂ (tx)k (k or c/qu)q (q or k)ʔ (ʼ)
성문 파열음화ɓ (b or bʼ)tʼ (tʼ)t͡sʼ (tzʼ)t͡ʃʼ (chʼ)t͡ʂʼ (txʼ)kʼ (kʼ or cʼ/qʼu)qʼ (qʼ or kʼ)
마찰음f (f)s (s)ʃ (xh or ẍ)ʂ (x)χ (j)h (h)
접근음w (w)l (l)j (y)
전동음r (r)



또한 a /a/, e /e/, i /i/, o /o/, u /u/와 같은 모음을 가지고 있다.

'''n̈'''

동부 하칼텍어는 마다가스카르말라가시어 외에, 자모에 n-분음 부호 문자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두 언어 모두에서 n-분음은 연구개 비음 자음 /ŋ/ ("bang"의 "ng"와 같음)을 나타낸다.

5. 문법

하칼텍어는 동사-주어-목적어 (VSO) 구문을 사용한다.[10][8]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교착어 형태론을 가지며, 능격-절대격 언어의 격 대립을 사용한다. 이러한 인도유럽어족 언어와의 차이점, 비교적 건강한 언어 사용 인구, 과테말라 접근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하칼텍어는 언어 유형론을 연구하는 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대상이 되었다.

5. 1. 방언

하칼텍어는 크게 동부 하칼테코와 서부 하칼테코의 두 방언으로 나뉜다. 이 두 방언 사용자들은 서로 말을 할 때는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글로는 서로 이해하지 못한다.[6]

5. 2. 명사 및 수사 분류 체계

하칼텍어는 명사와 수사 분류 체계를 4개나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7]

6. 미디어에서의 사용

하칼텍어 프로그래밍은 INPI의 라디오 방송국 XEVFS에서 방송되며, 치아파스주 라스 마르가리타스에서 방송된다.

7. 참고 문헌


  • 크레이그, 콜레트 G. (1977). 자칼텍어의 구조.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 출판부. 432쪽.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2] 웹사이트 Popti' https://glottolog.or[...] 2020
[3] 뉴스 Atlas de los Pueblos Indígenas de México. Jakaltekos – Lengua https://atlas.inpi.g[...]
[4] 웹사이트 INAH: El Lagartero, Chiapas https://difusion.ina[...]
[5] 웹사이트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Jakalteko-popti' https://www.inali.go[...]
[6] 간행물 Jakalteko, Western. SIL International 2005
[7] 논문 Jacaltec Noun Classifiers: A Study in Grammaticalization http://www.ddl.cnr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1986
[8] 문서 2015
[9] 문서 2016
[10] 문서 2013
[11] 웹사이트 Jakaltek https://www.ethnolog[...]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