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지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지광은 1914년부터 1930년까지 발행된 잡지로, 계몽, 민족의식 고취, 사회주의 사상,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게재했다. 주요 필진으로는 독립운동가, 정치인, 언론인, 소설가, 시인, 교육자, 학자 등이 참여했다. 학지광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한국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일제의 탄압과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으로 인한 논쟁 등 한계점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창간 - 뉴 리퍼블릭
뉴 리퍼블릭은 1914년 창간된 미국의 자유주의 성향 잡지로, 진보 운동의 흐름 속에서 정치, 문화, 사회 문제에 대한 논평과 분석을 제공하며 여러 편집장과 소유주를 거치며 정치적 입장이 변화해 왔다. - 일제강점기의 잡지 - 개벽 (잡지)
1920년 천도교청년회가 창간한 월간 종합 잡지 《개벽》은 천도교의 "후천개벽" 사상을 바탕으로 3·1 운동 이후 민족의 현실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망하는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문학,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게재하며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1926년 폐간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잡지 - 폐허 (잡지)
《폐허》는 1920년에 창간되어 3·1 운동 이후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 자유주의와 낭만주의 경향의 작품을 게재했으나 비판과 검열로 인해 폐간되었지만 한국 문학사에 영향을 미쳤다.
학지광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학지광 |
원어명 | 學之光 |
종류 | 기관지 |
창간일 | 1914년 4월 |
폐간일 | 1930년 4월 |
간행 주기 | 연 2~4회 |
2. 창간 배경 및 목적
1910년대 초,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에서 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새로운 지식을 보급하여 민족의 역량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학지광》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창간되었다.
2. 1. 창간 주체
《학지광》은 도쿄 유학생 친목회(東京留學生親睦會)를 모체로 한 조선유학생학우회(朝鮮留學生學友會)가 중심이 되어 창간되었다.[1] 이 잡지의 창간에는 장덕수, 현상윤, 김철수, 이광수, 최두선 등이 주요 인물로 참여하였다.[1]2. 2. 창간 목적
학지광한국어은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새로운 지식을 널리 알리며, 학문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사회를 개혁하고 민족운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유학생과 지식인들이 서로 교류하고 결속을 다지는 것 또한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1]3. 각 호별 주요 내용
《학지광》은 창간호부터 폐간될 때까지 다양한 주제의 글을 실었다. 다음은 각 호별 주요 내용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
호 | 발행일 | 페이지 | 정가 | 우편 요금 | 비고 |
---|---|---|---|---|---|
제1호 | 1914년 4월 2일 | 창간호 | |||
제2호 | 1914년 | 미상 | |||
제3호 | 1914년 12월 3일 | 53 | 비매품 | ||
제4호 | 1915년 2월 27일 | 55 | 비매품 | ||
제5호 | 1915년 5월 2일 | 68 | 13전 | 2전 | |
제6호 | 1915년 7월 23일 | 100 | 간기 없음 | ||
제7호 | 판매 금지 | ||||
제8호 | 1916년 초(?) | 49 | 판매 금지 | ||
제9호 | 판매 금지 | ||||
제10호 | 1916년 9월 4일 | 60 | 15전 | 2전 | |
제11호 | 1917년 1월(?) | 56 | |||
제12호 | 1917년 4월 19일 | 63 | 15전 | 2전 | |
제13호 | 1917년 7월 19일 | 104 | 20전 | 2전 | |
제14호 | 1917년 12월 20일 | 75 | 18전 | 2전 | |
제15호 | 1918년 3월 25일 | 82 | 20전 | 2전 | |
제16호 | 1918년 | 기타 불상 | |||
제17호 | 1918년 8월 15일 | 75 | 25전 | 2전 | |
제18호 | ? | 82 | 간기 없음 | ||
제19호 | 1920년 1월 26일 | 78 | 40전 | 2전 | |
제20호 | 1920년 7월 6일 | 48 | 60전 | 2전 | 정정 재간행 |
제21호 | 1921년 1월 31일 | 84 | 45전 | 2전 | 정정 재간행 |
제22호 | 1921년 6월 21일 | 102 | 50전 | 2전 | |
제23호 | 미상 | 미상 | |||
제24호 | 미상 | 미상 | |||
제25호 | 미상 | 미상 | |||
제26호 | 미상 | 미상 | |||
제27호 | 1926년 5월 24일 | 160 | 50전 | ||
제28호 | 1927년 3월 10일 | 142 | 간기 없음 | ||
제29호 | 1930년 4월 5일 | 94 | 30전 |
[1]
"○"는 다이가쿠샤(太學社)에서 영인된 호이고, "※"는 후테이 토시히로(布袋敏博)가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발견한 호이다.
3. 1. 제1호 ~ 제10호 (1914년 ~ 1916년)
학지광한국어 제1호는 1914년 4월 2일에 창간되었다. 제2호는 발행일이 미상이다. 제3호는 1914년 12월 3일에 간행되었으며, 53쪽 분량으로 비매품이었다. 제4호는 1915년 2월 27일에 간행되었으며, 55쪽 분량으로 비매품이었다. 제5호는 1915년 5월 2일에 간행되었으며, 68쪽 분량으로 정가는 13전, 우편 요금은 2전이었다. 제6호는 1915년 7월 23일에 간행되었으며, 100쪽 분량으로 간행 기록이 없다. 제7호는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8호는 1916년 초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49쪽 분량으로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9호 역시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10호는 1916년 9월 4일에 간행되었으며, 60쪽 분량으로 정가는 15전, 우편 요금은 2전이었다.[1]제5호에 실린 글은 다음과 같다.[1]
쪽수 | 제목 | 필자 |
---|---|---|
2 | 사상 개혁론한국어 | 송진우 |
5 | 부활자의 세상은 아름다워한국어 | 몽몽 |
9 | 공화국의 멸망 (기서)한국어 | 고주 |
12 | 너를 혁명하라한국어 | 최승구 |
18 | 새 도덕론한국어 | 이상천 |
23 | 사회의 비판과 표준한국어 | 현상윤 |
27 | 반도 금후의 금융과 생활 쇄신의 급무한국어 | 노익근 |
30 | 이천 년래 유학의 결점과 오늘의 각오한국어 | 안확 |
33 | 학지광에 부침한국어 | 윤현진 |
34 | 신 충돌과 신 타파한국어 | 김철수 |
39 | 의지의 약동한국어 | 장덕수 |
39 | 생활인가 싸움인가한국어 | 문희천 |
47 | 조선의 미술한국어 | 안확 |
52 | 역대 가 (기서)한국어 | 단향 |
56 | 야반 외 수종한국어 | 김억 |
57 | 비 오는 저녁한국어 | 소성생 |
58 | 산녀한국어 | 류암 |
59 | 적막한국어 | WC생 |
60 | 못생긴 소견한국어 | 우몽 |
62 | 한시 수 편한국어 | 우산야인 |
62 | 회우시 외 일편한국어 | 박하징 |
62 | 구곡 신조한국어 | 양구생 |
65 | 천사의 미소한국어 | 한세복 |
쪽수 | 제목 | 필자 |
---|---|---|
17 | 여의직관적소감한국어 | 박이규 |
23 | 귀로에임하여한국어 | 신석우 |
28 | 출진하는용사제군에게한국어 | 김리준 |
32 | 오서의장래문제한국어 | 검산촌인 |
35 | 우리의 의무한국어 | 오병은 |
37 | 아아형제여한국어 | 정충원 |
39 | 졸업생이되어제군의게희망하난바한국어 | 강주한 |
40 | 청년의활약한국어 | 하상욱 |
41 | 담력을양하라한국어 | 무명인 |
42 | 때와졸업생한국어 | 김교현 |
42 | 송춘유감한국어 | 김영준 |
43 | 강력주의와조선청년한국어 | 현상윤 |
49 | 조선산직장려계에대하야한국어 | 이강현 |
52 | 경제진흥한여의의견한국어 | 노익근 |
57 | 오늘우리의갈길한국어 | 한결한국어 |
58 | 오인의이상한국어 | 추송생 |
60 | 예술의생활(H군에게)한국어 | 김억 |
62 | 오인의특유한력의가치를발휘하여라한국어 | 이응남 |
64 | 조선의문학한국어 | 안곽 |
73 | 불만과요구한국어 | 최승구 |
80 | 한끗한국어 | 류암 |
82 | 외국인한국어 | 몽몽 |
3. 2. 제11호 ~ 제22호 (1917년 ~ 1921년)
(정정 재간행)(정정 재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