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지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지광은 1914년부터 1930년까지 발행된 잡지로, 계몽, 민족의식 고취, 사회주의 사상,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게재했다. 주요 필진으로는 독립운동가, 정치인, 언론인, 소설가, 시인, 교육자, 학자 등이 참여했다. 학지광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한국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일제의 탄압과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으로 인한 논쟁 등 한계점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창간 - 뉴 리퍼블릭
    뉴 리퍼블릭은 1914년 창간된 미국의 자유주의 성향 잡지로, 진보 운동의 흐름 속에서 정치, 문화, 사회 문제에 대한 논평과 분석을 제공하며 여러 편집장과 소유주를 거치며 정치적 입장이 변화해 왔다.
  • 일제강점기의 잡지 - 개벽 (잡지)
    1920년 천도교청년회가 창간한 월간 종합 잡지 《개벽》은 천도교의 "후천개벽" 사상을 바탕으로 3·1 운동 이후 민족의 현실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망하는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문학,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게재하며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1926년 폐간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잡지 - 폐허 (잡지)
    《폐허》는 1920년에 창간되어 3·1 운동 이후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 자유주의와 낭만주의 경향의 작품을 게재했으나 비판과 검열로 인해 폐간되었지만 한국 문학사에 영향을 미쳤다.
학지광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학지광
원어명學之光
종류기관지
창간일1914년 4월
폐간일1930년 4월
간행 주기연 2~4회

2. 창간 배경 및 목적

1910년대 초,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에서 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새로운 지식을 보급하여 민족의 역량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학지광》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창간되었다.

2. 1. 창간 주체

《학지광》은 도쿄 유학생 친목회(東京留學生親睦會)를 모체로 한 조선유학생학우회(朝鮮留學生學友會)가 중심이 되어 창간되었다.[1] 이 잡지의 창간에는 장덕수, 현상윤, 김철수, 이광수, 최두선 등이 주요 인물로 참여하였다.[1]

2. 2. 창간 목적

학지광한국어은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새로운 지식을 널리 알리며, 학문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사회를 개혁하고 민족운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유학생과 지식인들이 서로 교류하고 결속을 다지는 것 또한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1]

3. 각 호별 주요 내용

《학지광》은 창간호부터 폐간될 때까지 다양한 주제의 글을 실었다. 다음은 각 호별 주요 내용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다.

발행일페이지정가우편 요금비고
제1호1914년 4월 2일창간호
제2호1914년미상
제3호1914년 12월 3일53비매품
제4호1915년 2월 27일55비매품
제5호1915년 5월 2일6813전2전
제6호1915년 7월 23일100간기 없음
제7호판매 금지
제8호1916년 초(?)49판매 금지
제9호판매 금지
제10호1916년 9월 4일6015전2전
제11호1917년 1월(?)56
제12호1917년 4월 19일6315전2전
제13호1917년 7월 19일10420전2전
제14호1917년 12월 20일7518전2전
제15호1918년 3월 25일8220전2전
제16호1918년기타 불상
제17호1918년 8월 15일7525전2전
제18호?82간기 없음
제19호1920년 1월 26일7840전2전
제20호1920년 7월 6일4860전2전정정 재간행
제21호1921년 1월 31일8445전2전정정 재간행
제22호1921년 6월 21일10250전2전
제23호미상미상
제24호미상미상
제25호미상미상
제26호미상미상
제27호1926년 5월 24일16050전
제28호1927년 3월 10일142간기 없음
제29호1930년 4월 5일9430전

[1]

"○"는 다이가쿠샤(太學社)에서 영인된 호이고, "※"는 후테이 토시히로(布袋敏博)가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발견한 호이다.

3. 1. 제1호 ~ 제10호 (1914년 ~ 1916년)

학지광한국어 제1호는 1914년 4월 2일에 창간되었다. 제2호는 발행일이 미상이다. 제3호는 1914년 12월 3일에 간행되었으며, 53쪽 분량으로 비매품이었다. 제4호는 1915년 2월 27일에 간행되었으며, 55쪽 분량으로 비매품이었다. 제5호는 1915년 5월 2일에 간행되었으며, 68쪽 분량으로 정가는 13전, 우편 요금은 2전이었다. 제6호는 1915년 7월 23일에 간행되었으며, 100쪽 분량으로 간행 기록이 없다. 제7호는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8호는 1916년 초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49쪽 분량으로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9호 역시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 제10호는 1916년 9월 4일에 간행되었으며, 60쪽 분량으로 정가는 15전, 우편 요금은 2전이었다.[1]

제5호에 실린 글은 다음과 같다.[1]

쪽수제목필자
2사상 개혁론한국어송진우
5부활자의 세상은 아름다워한국어몽몽
9공화국의 멸망 (기서)한국어고주
12너를 혁명하라한국어최승구
18새 도덕론한국어이상천
23사회의 비판과 표준한국어현상윤
27반도 금후의 금융과 생활 쇄신의 급무한국어노익근
30이천 년래 유학의 결점과 오늘의 각오한국어안확
33학지광에 부침한국어윤현진
34신 충돌과 신 타파한국어김철수
39의지의 약동한국어장덕수
39생활인가 싸움인가한국어문희천
47조선의 미술한국어안확
52역대 가 (기서)한국어단향
56야반 외 수종한국어김억
57비 오는 저녁한국어소성생
58산녀한국어류암
59적막한국어WC생
60못생긴 소견한국어우몽
62한시 수 편한국어우산야인
62회우시 외 일편한국어박하징
62구곡 신조한국어양구생
65천사의 미소한국어한세복



제6호에 실린 글은 다음과 같다.[1]

쪽수제목필자
17여의직관적소감한국어박이규
23귀로에임하여한국어신석우
28출진하는용사제군에게한국어김리준
32오서의장래문제한국어검산촌인
35우리의 의무한국어오병은
37아아형제여한국어정충원
39졸업생이되어제군의게희망하난바한국어강주한
40청년의활약한국어하상욱
41담력을양하라한국어무명인
42때와졸업생한국어김교현
42송춘유감한국어김영준
43강력주의와조선청년한국어현상윤
49조선산직장려계에대하야한국어이강현
52경제진흥한여의의견한국어노익근
57오늘우리의갈길한국어한결한국어
58오인의이상한국어추송생
60예술의생활(H군에게)한국어김억
62오인의특유한력의가치를발휘하여라한국어이응남
64조선의문학한국어안곽
73불만과요구한국어최승구
80한끗한국어류암
82외국인한국어몽몽


3. 2. 제11호 ~ 제22호 (1917년 ~ 1921년)

(정정 재간행)48페이지60전2전제21호1921년 1월 31일
(정정 재간행)84페이지45전2전제22호1921년 6월 21일102페이지50전2전





제8호에는 변봉현의 《강자의 노력》, 윤현진의 《네이마에 바늘 한 개》, 이광수의 《살아라》, 일 기자의 《설노래》, 외배의 《어린 벗에게》, 이병도의 《우리의 부끄러움》, 흰옷의 《용동(농촌문제연구에 관한 실례)》, 전영택의 《과학과 종교》, 김철수의 《아관의 유학생》, 일 기자의 《사회단평》, 동상의 《종교의 진수와 필요》, 류암의 《세계의 처음》, 노익근의 《조선 현하의 경제상 공황과 청년의 자각》, 현상윤의 《조선인의 3대 결점》, 노준영의 《농촌 재산가의 반성을 구함》, 거울의 《"크리스마스 밤"》, 몽몽의 《"늑대"(싸에체프)》 등이 실렸다.

3. 3. 제23호 ~ 제29호 (1922년 ~ 1930년)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됨에 따라, 『학지광』에는 계급 문제와 관련된 글들이 많이 실렸다. 이 시기에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 간의 논쟁이 심화되었다.[1]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학지광』은 발행 금지 및 정간을 반복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1922년부터 1930년까지 제23호부터 제29호가 발행되었으나, 일부 호는 발행 기록을 찾기 어렵다. 확인된 발행 정보는 다음과 같다.[1]

호수발행일페이지정가비고
제27호1926년(다이쇼 15년) 5월 24일160페이지50전
제28호1927년(쇼와 2년) 3월 10일142페이지간기 없음
제29호1930년(쇼와 5년) 4월 5일94페이지30전


4. 주요 필진

《학지광》 11호에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이 참여하여 글을 기고했다. 주요 필진과 기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1. 독립운동가



요약에 언급된 인물들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이다.

이름출생-사망
김도태1891-1956
김명식1891-1924
김철수1893-1986
김철수1896-1977
백관수1889-?
신석우1894-1953
신익희1894-1956
유원우1902-1938
윤창만1896-1967
윤현진1892-1921
장덕수1895-1947
정광호1895-1955
최근우생몰년 미상
현상윤1893-?


4. 2. 정치인

김도연, 김동명, 김용무, 김준연, 김효석, 백관수, 백남운, 백남훈, 송진우, 신익희, 이상철, 이인, 장덕수, 정노식 등이 『학지광』에 관여한 정치인으로 언급된다.

4. 3. 언론인/평론가

김명식, 김억, 김준연, 민태원, 서춘, 송진우, 신석우, 이관구, 이광수, 이상철, 이익상, 이헌구, 장덕준, 최두선 등이 언론인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4. 4. 소설가/시인

지는 꽃잎을 밟으며한국어…………염상섭

묘지에서・기타한국어…………이태준

겨울의 불々한국어…………마해송

창전의 녹 일지한국어……민태원

가을한국어…………전영택

4. 5. 교육자/학자

4. 6. 기술자/기능자

5. 《학지광》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학지광》은 한국 최초의 종합 잡지 중 하나로, 일제강점기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학지광》은 민족의 현실을 알리고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여성, 교육, 경제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개혁 논의를 주도했다. 또한, 사회주의, 민주주의 등 새로운 사상을 소개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3.1 운동 이후 민족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민족운동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등 민족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1]

그러나 일제의 검열과 탄압으로 인해 자유로운 논의가 어려웠고 발행 금지 및 정간을 반복했다. 주로 지식인들의 글을 중심으로 다루어 일반 대중들의 참여가 부족했고,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 간의 갈등, 개인적인 이념 차이 등으로 인해 내부 분열을 겪기도 했다.[1]

5. 1. 역사적 의의

학지광한국어은 한국 최초의 종합 잡지로, 다양한 분야의 글을 통해 독자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였다. 민족의 현실을 알리고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또한 여성 문제, 교육 문제, 경제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개혁 논의를 주도했으며, 사회주의, 민주주의 등 새로운 사상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1]

학지광한국어은 문학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정서를 표현하고 새로운 문학 형식을 실험하며 한국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3.1 운동 이후 민족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민족운동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등 민족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1]

5. 2. 한계

학지광한국어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일제의 탄압: 일제의 검열과 탄압으로 인해 자유로운 논의가 어려웠다. 학지광한국어은 발행 금지 및 정간을 반복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지식인 중심의 논의: 주로 지식인들의 글을 중심으로 다루어, 일반 대중들의 참여가 부족했다.
내부 분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 간의 갈등, 개인적인 이념 차이 등으로 인해 내부 분열을 겪기도 했다.

6.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학지광》은 억압적인 환경 속에서도 지식인들이 사회 변화를 위해 노력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는 언론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 지식인의 역할, 다양한 사상의 공존과 토론의 중요성 등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학지광》 21호에 실린 글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쪽수제목필자
5어찌하여 지선이라 하는가(지선론)부조양
11사회의 의의박정식
15사회와 법률김종필
18외관내성윤상필
22천부인권론최원순
28현대의 조선과 종교(1)김진묵
33사회와 단결의 정신CS생
37종교와 문예신태악
39인내력의 수양고영환
48이것이 인생이다김항복
52반도 교육의 현상이상창
56동학당과 갑오역고광규
58생각나는 그대로추강
61신비주의(MYSTICISM)이훈
69망우 최의군의 추억성해
72C군의 게김우평
73작은 돌의 노래석송


참조

[1]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웹인용 학지광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