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상윤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교육계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1893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에서 영문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유학 시절 조선유학생향우회 기관지 《학지광》의 편집인을 맡았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48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고, 광복 후에는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교장과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고, 1950년 황해도에서 미군 폭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서로는 《기당 현상윤 전집》, 《조선유학사》 등이 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문학자 - 주요섭
주요섭은 소설가, 번역가, 시인,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사랑 손님과 어머니》, 《개밥》, 《살인》 등의 작품을 남겼고 3·1 운동 참여, 유학, 신경향파 활동 등을 거쳐 한국 문학에 기여하다가 1972년 사망했다. - 병기 사고로 죽은 사람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병기 사고로 죽은 사람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경성보성고등보통학교 동문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 경성보성고등보통학교 동문 - 장발 (화가)
장발은 일제강점기 조선미술가협회 평의원으로 활동했고 광복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화가이며 장면 전 국무총리의 동생이다.
현상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현상윤 |
출생일 | 1893년 6월 14일 |
사망일 | 1950년 9월 15일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정주군 남면 남면통리 (1994 이후 지금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정주시 남면구역 남면통리)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폭격 작전 당시 오발 피폭 사망 추정 |
활동 기간 | 1925년~1950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철학자 겸 대학 교수 및 사학자 겸 교육인 및 전직 소설가 |
분야 | 동양 한국 철학 |
사용 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
경력 | 경성보성전문학교 문과 교수 경성보성전문학교 교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 |
묘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시 룡성구역 소재 '재북인사의 묘' |
부모 | 현석태(부), 죽산 박씨 부인(모) |
필명 | 호(號)는 소성(小星)·집중(執中)·기당(幾堂) |
배우자 | 수원 백숙량(白淑良) |
자녀 | 3남 1녀(4남매) (그 가운데 장남 현규섭, 외동 딸 현희규, 차남 현인섭, 막내 아들 현양섭) |
친척 | 현재경(친장손자) 현재천(친차손자) 현재민(친3손자) 현재현(친4손자) 현재희(친장손녀) 현재란(친차손녀) 남기진(자부) 박치형(외조부) 백이행(장인) 남여백(사돈댁) 장도영(사돈댁) 이인기(사돈댁) 김봉환(사돈댁) 이양구(사돈댁) 백인제(처갓댁 육촌 재종처남) 백붕제(처갓댁 육촌 재종처남) 백낙조(처갓댁 칠촌 처재종질) 백낙청(처갓댁 칠촌 처재종질) 계용묵(법적 형식상 외가친척 육촌재종뻘) |
학력 | 일본 도쿄 사립 와세다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철학 석사(1925년 8월) 대한민국 서울 사립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 박사 학위 추서(1953년 3월 25일) |
업적 |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1949년)와 《조선사상사(朝鮮思想史)》(1950년)를 집필하여, 한국형 동양 인문과학 분야의 새 지평과, 한국 철학 분야의 신기원을 각각 개창. |
웹사이트 | 두피디아 현상윤 |
2. 생애
2. 1. 일제 강점기
1893년 조선 평안도 정주군(지금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정주시)에서 출생했다.[3] 숭실고보, 평양광성고보, 평양대성고보, 경성보성고보를 거쳐 일본 와세다 대학에서 영문과 철학과를 공부했다.[3] 유학 시절 조선유학생향우회 기관지 《학지광》에 글을 기고하고,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았다.[3]1919년 3·1 운동 당시 송진우와 함께 민족대표 48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으나, 1920년 일제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3] 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 한문 교사로 재직했다.
2. 2. 광복 이후
광복 후,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오로지 교육에 투신하였다.[4]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교장(1943년~1946년)을 맡았다.[4] 1947년 보성전문학교가 고려대학교로 승격되면서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1947년~1950년)에 취임하였다.[4]1948년 3월 5일, 미군정청 군정장관 존 리드 하지 육군 중장의 비서실장 존 브레이틀링 콜터 육군 소장과 전속부관 존 러셀 딘 주니어 육군 대위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는 미군정청 중앙선거위원회 중앙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정치에 직접 관여가 아닌 객관적인 공명선거를 위한 중앙선관위 간부를 지낸 것이다.
고려대 총장 재임 중이던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납북되었지만,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공식 활동 기록은 없고, 1950년 9월 황해도에서 미군 폭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4]
3. 사후
현상윤은 일제강점기 말기 태평양 전쟁 지원을 위한 친일 관련 글을 다수 남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교육/학술 부문에 선정되었다. 그러나 1940년의 창씨개명 권고에는 거절하였다. 현재 현상윤의 유해는 평양시 룡성구역에 있는 '재북인사의 묘'에 안장되어 있다. 1953년 고려대학교에서 《조선유학사》로 문학박사 학위를 추서하였다.
4. 학력
5. 저서
5. 1. 단편 소설
현상윤은 〈한의 일생〉(1914), 〈박명〉(1914), 〈재봉춘〉(1915)을 청춘에 발표하였고, 〈청류벽〉(1916)을 학지광에, 〈광야〉(1917)와 〈핍박〉(1917)을 청춘에 발표하였다.5. 2. 전집
현상윤은 《기당 현상윤 전집》(1948년 2월), 《조선유학사》(1949년 5월), 《조선사상사》(1950년 3월)를 집필하였다.[6]5. 3. 유고 서적
- 《현상윤의 조선사상사》, 校註 이형성, 심산, 2010년 8월 15일
6. 가족 및 친인척 관계
현상윤의 친손자는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이다.[5] 소설가 계용묵은 현상윤의 외가친척 육촌재종아우뻘이 된다.
참조
[1]
문서
개명 이전 이름 및 사망 정보
[2]
뉴스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민족21
2004-05-01
[3]
웹사이트
현상윤(玄相允)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10-18
[4]
뉴스
죽어서도 남쪽 하늘만 보십니다
http://www.minjog21.[...]
민족21
2002-07-01
[5]
뉴스
재계 '사위리스트' 총 공개 - 아들보다 낫다(?) 그룹 재벌세습 핵심 역할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4-01-15
[6]
문서
대한사상사(大韓思想史) 및 한국사상사(韓國思想史) 재편 및 재출간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