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평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평론》은 1919년 미국에서 창간된 잡지로,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미국 내 여론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서재필(필립 제이슨)이 창간했으며, 3·1 운동 이후 한국의 독립을 옹호하고 일본의 식민 통치 실상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일본의 잔혹 행위 고발, 국제 정치적 야망 경고, 한국 기독교 탄압 문제 등이 있으며, 한인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학생 코너'를 운영하기도 했다. 《한국평론》은 미국 내에서 한국 독립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 독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 학술지 - 네이처
    1869년 노먼 로키어가 창간한 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는 다양한 과학 분야를 다루며 과학적 지식의 발전과 과학자 간 토론 촉진을 목표로, 획기적인 논문들을 게재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인종차별적 논란 등의 비판도 있었으며, 현재는 스프링거 네이처의 일부로서 다수의 자매지를 발행한다.
  • 영어 학술지 - 미국 사회학 저널
    미국 사회학 분야의 학술지인 《미국 사회학 저널》은 1895년 창간되어 사회이론과 사회심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미국 사회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년 우수 논문에 로저 V. 골드 상을 수여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한국평론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국평론
원어명KOREA REVIEW
표지
국가미국
언어영어
분야평론
발행 정보
간행 주기월간
창간일1919년
폐간일1922년
출판사불명
발행 법인불명
발행인불명
편집인불명
기타 정보
정치적 입장불명
ISSN불명
웹사이트Korea Review

2. 역사적 배경

《한국평론》이 창간된 배경에는 복잡한 국제 정세와 대한제국 말기 및 일제 강점기라는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이 자리 잡고 있었다. 특히, 과거 슈펠트 조약(1882)을 통해 우호 관계와 유사시 지원을 약속했던 미국 정부가 1910년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 과정에서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것에 대한 실망감이 컸다.[3][4] 이러한 경험은 한국 독립운동가들로 하여금 미국 정부뿐만 아니라 미국 대중의 여론을 움직여 지지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만들었다.

2. 1. 미·일 관계와 한국

많은 한국인은 미국 정부가 과거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미국 대중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3] 1882년, 미국은 슈펠트 조약을 통해 조선과 처음으로 수교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한국이 다른 나라의 공격을 받을 경우 도움을 주기로 약속했다.[3]

그러나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제로 병합되었을 때 미국은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당시 일부 한국의 정치인들은 미국 정부에 수십 년 전 맺은 조약에 따라 한국을 도울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지원을 요청했다. 여러 차례 도움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한국 문제에 개입하지 않았고, 결국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에 패배하는 1945년까지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했다.[4] 이러한 미국의 태도는 많은 한국인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으며, 이후 한국 독립을 위해서는 미국 정부뿐만 아니라 미국 국민들의 여론을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2. 2. 서재필의 독립운동

1895년 한국의 서재필과 머리엘 암스트롱


서재필은 오랫동안 한국의 개혁을 추구해 온 인물이다. 1884년, 그는 신분제 차별과 양반 등 상류층의 법적 특권을 폐지하고자 했던 갑신정변에 참여했다. 그러나 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미국으로 망명하여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그곳에서 아내 머리엘 암스트롱을 만났다.

1895년 한국으로 돌아온 서재필은 다시 한번 국민 의식 개혁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다양한 평화적 개혁 운동을 주도하며 윌슨의 자결주의 이상을 지지하고 한국의 자결권을 옹호했다.[5] 하지만 1898년, 그는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한국 독립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얻어내는 데 집중하기 시작했다.

1919년 3월 1일, 한국 전역에서 비폭력적인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현재 3·1 운동으로 알려진 이 사건 당시, 서울에서 독립 선언문이 낭독되었고, 전국 1,000곳 이상에서 군중이 모여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했다.[6] 서재필은 이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1차 한인 회의를 조직했다. 이 회의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3일간 열렸으며 한국인과 미국인들이 함께 참여했다. 회의에서는 윌슨 대통령에게 청원서를 제출하고,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호소와 세계 평화에 대한 열망을 담아 한국의 입장을 세계에 알리는 여러 소책자를 배포했다." 또한 서재필은 한국우호연맹 창설을 지원했는데, 이 단체는 이후 영국을 포함한 21개 도시에서 10,000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하며 성장했다.[2]

제1차 한인 회의 회원들; 필라델피아, 1919

2. 3. 3.1 운동과 국제 여론

1919년 3월 1일, 한국에서는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는 전국적인 비폭력 시위가 일어났다. 현재 3·1 운동으로 알려진 이 사건 동안, 서울에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고, 전국 1,000곳이 넘는 장소에서 군중이 모여 독립을 외쳤다.[6] 이 운동은 국제 사회에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서재필(필립 제이슨)은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 재미 한인 사회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한국인과 미국인이 함께 참여하는 제1차 한인 회의를 3일간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는 윌슨 대통령에게 한국 독립을 지지해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했으며,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호소와 세계 평화를 향한 열망을 담아 한국의 입장을 세계에 알리는 여러 소책자를 배포했다." 또한 서재필은 한국우호연맹(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 창설을 주도했는데, 이 단체는 이후 영국을 포함한 21개 도시에 지부를 두며 회원 수가 1만 명이 넘는 조직으로 성장했다.[2]

3. 창간과 발행

《한국평론》의 첫 번째 호는 1919년 3월에 인쇄되었지만, 창간자인 서재필(필립 제이슨)은 이미 1918년부터 이 잡지의 발행을 구상하고 있었다. 그는 오랫동안 한국의 개혁과 독립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5] 특히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를 지원하고 한국 독립에 대한 국제적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한국평론》을 창간했다.[6][2]

3. 1. 창간 목적

《한국평론》의 모토는 "진실은 세상을 밝힌다"였다.[7] 이 잡지는 미국인들이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도록 여론을 형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창간자인 서재필(필립 제이슨)은 당시 일본이 정부 차원에서 조직적이고 영리한 선전 활동을 통해 미국 내 여론을 호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의 실상이 잘못 알려지고 있다고 판단했다.[2] 따라서 《한국평론》은 이러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미국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제에 집중했다.[8]

3. 2. 발행 과정

《한국평론》의 첫 번째 호는 1919년 3월에 인쇄되었으나, 창립자인 필립 제이슨(서재필)은 이미 1918년부터 이 잡지를 구상하고 있었다. 그는 오랫동안 한국의 개혁을 위해 노력해 온 인물이다. 1884년에는 신분 차별과 상류층의 법적 특권을 폐지하려 했던 갑신정변에 참여했다. 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그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그곳에서 부인 머리엘 암스트롱을 만났다.

1895년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다시 한번 국민 의식을 개혁하고자 다양한 평화적 개혁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윌슨주의 이상에 공감하며 한국의 자결권을 옹호했다.[5] 그러나 1898년, 그는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한국의 독립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얻는 데 집중하기 시작했다.

한국평론 1920년 표지


1919년 3월 1일, 한국에서는 전국적인 비폭력 시위인 3·1 운동이 일어났다. 서울에서 독립 선언문이 낭독되었고, 전국 1,000곳 이상에서 사람들이 모여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했다.[6] 이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이슨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3일간 한국인과 미국인이 참여하는 제1차 한인 회의를 조직했다. 이 회의는 윌슨 대통령에게 청원서를 제출했으며, "기독교 정신에 대한 호소와 세계 평화에 대한 열망을 담아 한국의 메시지를 세계에 알리는" 여러 홍보 책자를 배포했다. 또한 제이슨은 한국우호연맹의 창설을 도왔는데, 이 단체는 이후 영국을 포함한 21개 도시에 1만 명이 넘는 회원을 확보하며 성장했다.[2] 이러한 활동 속에서 《한국평론》이 창간되었다.

4. 주요 내용

《한국평론》은 "진실은 세상을 밝힌다"는 모토 아래, 미국인들이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도록 설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7] 창간자 필립 제이슨은 일본이 조직적인 선전 활동으로 미국 내 여론을 왜곡하고 있다고 보았다.[2] 이에 《한국평론》은 미국 대중의 신뢰를 얻고자 세 가지 핵심 주제에 집중했다: 일제강점기 일본 식민 통치의 잔혹성 고발, 일본의 정치적 야욕과 국제 정세에 미칠 영향 분석, 그리고 한국 기독교 박해 문제였다.[8]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주요 기고자로 참여하여 일본의 불법적인 한국 점령을 비판하고 팽창주의적 야욕을 경고했으며,[9] 초기 발행본에는 재미 한인 학생들의 독립운동 활동과 생각을 공유하는 "학생 코너"도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 코너는 이후 재정 문제 등으로 폐지되었다.

4. 1. 일본의 만행 고발

《한국평론》은 "진실은 세상을 밝힌다"는 표어 아래, 미국인들이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도록 독려하는 데 주력했다.[7] 창간자인 필립 제이슨은 당시 한국이 "매우 교육받은 사람들로 구성되고 정부의 지원을 받는 매우 영리한 일본 언론 기관에 의해 미국에서 잘못 알려졌다"고 판단했다.[2]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미국 대중의 신뢰를 얻기 위해, 《한국평론》은 세 가지 영역에 집중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일본 식민 정부의 잔혹성을 고발하는 것이었다. 이 외에도 일본의 정치적 야욕과 국제 정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한국 기독교에 대한 탄압 문제도 주요하게 다루었다.[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 역시 《한국평론》의 주요 기고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글들은 주로 일본의 불법적인 한국 점령을 강력히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일본이 아시아 대륙에서 더 많은 영토를 차지하려는 야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결국 미일 관계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제 사회의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했다.[9] 《한국평론》은 이러한 글들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실상을 알리고 한국 독립의 정당성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려 노력했다.

4. 2. 일본의 야욕 경고

《한국평론》은 일본의 정치적 야망과 이것이 국제 정치에 미칠 영향을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다루었다.[8]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한국평론》에 자주 글을 기고하며 일본의 한국 불법 점령을 비판했다. 그는 일본이 아시아 대륙에서 더 많은 영토를 차지하려는 팽창주의적 야욕을 가지고 있음을 경고했으며, 이러한 일본의 행보가 미일 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9]

4. 3. 한국 기독교 탄압 문제

《한국평론》은 미국 대중의 신뢰를 얻고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일본 식민 정부가 자행한 한국 기독교 탄압 문제를 주요하게 다루었다.[8] 이는 종교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 사회의 여론을 환기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평론》은 일본 식민 정부의 잔혹성, 일본의 제국주의적 야욕 및 국제 정치 문제와 함께 기독교 탄압 문제를 집중 조명하며 미국 내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고자 노력했다.[8]

4. 4. 한인 학생들의 참여

학생들 또한 《한국평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19년과 1920년에 발행된 호에는 뒷부분에 "학생 코너"라는 섹션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 코너는 재미 한인 학생들의 독립운동 관련 활동 성과를 알리고, 당시 한일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공유하는 장이었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의 독립 의지를 북돋우고, 재미 한인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후 미국 한국 학생 연맹이 발행 과정에서 제외되고 재정 문제에 더 집중하게 되면서 이 섹션은 사라지게 되었다.

5. 평가 및 의의



《한국평론》은 미국 사회에 일제강점기 한국의 실상을 알리고 한국의 독립운동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창립자 필립 제이슨3·1 운동 직후 미국 내 우호 여론을 형성하고 일본 제국주의 언론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현실을 바로 알리고자 잡지를 창간했다.[7][2]

잡지는 일본 식민 통치의 잔혹성, 제국주의적 야욕, 기독교 탄압 실태 등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8]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 등 주요 인사들의 기고를 통해 일본의 한국 점령이 불법임을 알리고 국제 사회에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호소했다.[9] 또한, 재미 한인 학생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독려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비록 발행 기간은 짧았으나, 《한국평론》은 윌슨주의가 제창한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억압받는 한국 민족의 독립 열망을 대변하고 일본 제국주의의 부당함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한국 독립운동을 위한 국제적 연대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5. 1. 긍정적 평가

《한국평론》은 3·1 운동 직후 미국 내에서 한국의 독립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창립자 필립 제이슨은 "진실은 세상을 밝힌다"는 모토 아래, 일본 제국주의 언론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실상을 바로 알리고 미국인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7][2] 이를 위해 잡지는 일본 식민 통치의 잔혹성, 일본의 제국주의적 야욕, 그리고 한국 내 기독교 탄압 실태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8]

특히,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한국평론》의 주요 기고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글은 일본의 한국 점령이 불법임을 강조하고, 일본의 침략 야욕이 계속될 경우 미국-일본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하며 국제 사회에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9]

또한, 《한국평론》은 재미 한인 학생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독려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19년과 1920년에 발행된 호에는 "학생 코너"를 마련하여 학생들이 독립운동과 관련된 활동 소식을 공유하고 한국과 일본 관계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펼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이는 젊은 세대가 민족 문제에 관심을 갖고 독립 의지를 다지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한국평론》은 윌슨주의가 제창한 자결의 원칙에 입각하여, 억압받는 한국 민족의 독립 열망을 대변하고 일본 제국주의의 부당함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5. 2. 한국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한국평론》의 창간은 창립자 필립 제이슨의 오랜 한국 개혁 및 독립 염원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1884년 갑신정변에 참여하여 신분 차별 철폐 등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머리엘 암스트롱과 결혼한 그는 1895년 한국으로 돌아와 평화적 개혁 운동을 이끌며 윌슨주의 이상에 기반한 한국의 자결을 주장했다.[5] 1898년 다시 미국으로 돌아간 그는 한국 독립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얻는 데 집중했다.

1918년부터 구상된 《한국평론》은 1919년 3월 첫 호가 발행되었다. 이는 같은 해 3월 1일 한국에서 일어난 3·1 운동과 시기적으로 맞물린다. 3.1 운동은 서울을 비롯한 전국 1,000여 곳에서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한 비폭력 만세 시위였다.[6] 이 운동을 미국 내에서 지원하기 위해 필립 제이슨은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한인 회의를 개최했다. 3일간 열린 이 회의에는 한국인과 미국인이 함께 참여했으며, 미국 윌슨 대통령에게 한국 독립을 청원하고 한국의 입장을 알리는 여러 홍보물을 배포했다. 또한 제이슨은 한국우호연맹 창설을 지원했는데, 이 단체는 미국과 영국 등 21개 도시에서 1만 명이 넘는 회원을 확보하며 한국 독립 지지 기반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2]

《한국평론》은 이러한 활동들과 함께 미국 사회에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고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독려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잡지 자체의 발행 기간은 길지 않았으나, 《한국평론》이 전달한 메시지와 그 영향력은 이후 한국 독립운동을 위한 국제적 연대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 Review http://anthony.sogan[...] 2023-05-10
[2] 논문 The March First Movement in America: The Campaign to Win American Support 2020
[3] 논문 American Relations with Korea 1882-1895 1932-10
[4] 웹사이트 Key Points Across East Asia—by Era 20th Century 1900-1950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5] 논문 The "Wilsonian Moment" in East Asia: The March First Movement in Global Perspective 2009
[6] 웹사이트 March First Movement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7] 웹사이트 Korea Review https://e-gonghun.mp[...]
[8] 논문 Living with the Enemies: Japanese Imperialism, Protestant Christianity, and Marxist Socialism in Colonial Korea, 1919-1945 2022
[9] 논문 The Rabbi, the Lawyer, and the Prophet: American Exceptionalism and the Question of Korean Independenc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