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선 (대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안선은 대만철로공사가 관리하는 철도 노선으로, 먀오리 현 주난 역에서 장화 현 장화 역까지 연결된다. 1919년, 타이완 총독 아카시 모토지로는 타이중 시를 경유하는 산선의 수송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해안선 건설을 결정했다. 1920년 12월 15일에 왕톈 지선이 개통되었고, 1922년 10월 11일에 해안선이 완공되어 타이완의 남북 수송을 개선했다. 1978년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으며, 현재 구간차, 쥐광호, 쯔창호 등의 열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큐 이타미선
한큐 이타미선은 한큐 전철이 운영하며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와 이타미시를 잇는 3.1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쓰카구치역과 이타미역을 연결하며 1920년 개업 후 지진 피해 복구를 거쳐 4량 편성 열차가 운행 중이다. - 192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우치코선
우치코선은 시코쿠 여객철도 관할 하에 총 5.3km 길이로, 에히메 철도에 의해 개업 후 국유화와 개궤를 거쳐 요산 본선의 단축 루트로 편입되어 현재 요산선과 직통 운행하며 특급 "우와카이"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19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구간차
타이완 철로 관리국에서 운행하는 구간차는 중·단거리 수송을 담당하며, 2006년부터 여러 등급의 열차를 통합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첩운화 정책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를 투입하여 수송력을 증대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해안선 (대만)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해안선 |
로마자 표기 | Haeanseon |
한자 표기 | 海岸線 |
중국어 간체 | 海岸线 |
병음 | Hăiànxiàn |
통용 병음 | Hăiànsiàn |
주음 부호 | ㄏㄞˇㄢˋ ㄒㄧㄢˋ |
타이완어 | Hái-hoāⁿ-soàⁿ |
객가어 백화자 | Hói-ngan-sien |
영어 | Coastal Line |
![]() | |
노선 개요 |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기점 | 주난역 |
종점 | 장화역 |
역 수 | 18역 (기점과 종점 포함) |
영업 거리 | 90.2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단선, 복선 |
복선 구간 | 주난역 - 담원남 신호장 다산역 - 바이샤둔역 신푸역 - 퉁샤오역 위안리역 - 리난역 다자역 - 칭수이역 주이펀역 - 장화역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60Hz 가공 전차선 방식 |
운영 정보 | |
소유자 | 대만 철로 회사 |
운영자 | 대만 철로 회사 |
개업 | 1920년 12월 25일 |
전체 개통 | 1922년 10월 11일 |
2. 역사
대만총독부가 대만 종관철도를 계획했을 때, 타이중 시를 경유하는 산선(현재의 타이중선)이 여객 및 화물 운송 수요가 크고, 유사시 함포 사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선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산간부를 지나는 먀오리 역 - 펑위안 역 구간은 급경사로 인해 수송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화물 수요가 증가하면서 종관선의 수송력 부족이 심각해졌고, 운반하지 못한 대량의 화물이 역에 쌓이는 "체화 사건(滯貨事件)"이 발생했다. 1919년(다이쇼 시대 8년), 당시 타이완 총독 아카시 모토지로는 평탄한 해안부에 신선을 건설하여 종관선의 수송력 증강을 도모하기로 결정했다.
1920년 12월 15일, 산선의 왕톈 역(현 청궁 역)에서 칭수이 역까지, 통칭 왕톈 지선(현재는 일부가 청추이선)이 개통되었고, 1922년 10월 11일에 해안선이 완공되면서 주이펀 역을 설치, 장화 역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하여 타이완의 남북 수송이 대폭 개선되었다.
2. 1. 건설 배경
대만총독부가 대만 종관철도를 계획했을 때, 타이중 시를 경유하는 산선(현재의 타이중선)이 여객 및 화물 운송 수요가 크고, 유사시 함포 사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선이 건설되었다.그러나 산간부를 지나는 먀오리 역 - 펑위안 역 구간은 급경사로 인해 수송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화물 수요가 증가하면서 종관선의 수송력 부족이 심각해졌고, 운반하지 못한 대량의 화물이 역에 쌓이는 "체화 사건(滯貨事件)"이 발생했다. 1919년(다이쇼 시대 8년), 당시 타이완 총독 아카시 모토지로는 평탄한 해안부에 신선을 건설하여 종관선의 수송력 증강을 도모하기로 결정했다.[3]
1920년 12월 15일, 산선의 왕톈 역(현 청궁 역)에서 칭수이 역까지, 통칭 왕톈 지선(현재는 일부가 청추이선)이 개통되었고[3], 1922년 10월 11일에 해안선이 완공되면서 주이펀 역을 설치, 장화 역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하여 타이완의 남북 수송이 대폭 개선되었다.[4]
2. 2. 건설 과정
대만 농작물의 수출량이 증가하여 수송량 증대가 요구되면서, 산간부를 통과하는 산선(山線)에서는 기관차 능력 부족으로 수송 개선이 어려워 많은 화물이 역에 쌓이는 "체화 사건"이 발생했다. 1919년, 당시 타이완 총독 아카시 모토지로는 산선 연선의 보수 세력을 누르고 해안선 건설을 통해 수송량 증대에 착수했다.1920년 12월 15일, 산선의 왕톈 역(현 청궁 역)에서 칭수이까지, 통칭 왕톈 지선(현재는 일부가 청주이선)이 개통되었으며,[3] 1922년 10월 11일에 해안선이 완공되었다.[4] 그와 동시에 종관 선의 일부에 편입, 주이펀 역을 설치, 장화 역까지의 직통운행을 하도록 하고, 화물열차가 산간부의 타이중시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지고, 타이완의 남북수송이 대폭으로 개선되었다.
2. 3. 개통 이후
대만총독부가 타이완 종관철도를 계획했을 당시, 산선과 해안선 양쪽을 비교한 결과 타이중시를 경유하는 산선(현재의 타이중선)이 여객 및 화물 운송 수요가 크고, 유사시 함포사격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선이 건설되었다.그러나 산간 지역을 통과하는 먀오리 역-펑위안 역 구간의 급경사로 인해 수송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화물 수요가 증가하면서 종관선의 수송력 부족 문제가 발생했고, 운반하지 못한 화물이 역에 쌓이는 "체화 사건(滯貨事件)"이 발생했다. 1919년, 당시 타이완 총독 아카시 모토지로는 평탄한 해안 지역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여 열차를 분산시키고 종관선의 수송 능력을 증강하기로 결정했다.
1920년 12월 15일, 산선의 왕톈 역(현 청궁 역)에서 칭수이까지의 왕톈 지선(현재 청주이선의 일부)이 개통되었고[3], 1922년 10월 11일 해안선이 완공되면서 종관 선의 일부로 편입, 주이펀 역이 설치되어 장화 역까지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다.[4] 이로 인해 화물 열차가 산간 지역의 타이중 시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졌고, 타이완의 남북 수송이 크게 개선되었다.[4]
전후에는 10대 건설의 일환으로 1978년 10월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부분적인 복선화도 진행되어, 1974년 7월, 1977년 2월, 2008년 1월, 2009년에 걸쳐 여러 구간이 복선화되었다.[5][6][7] 탄원, 다시산, 신푸, 르난, 추이펀 5개 역은 일본 통치 시대부터의 목조 건축 역사가 남아있어 타이중 시 정부 및 먀오리 현 정부의 문화 자산으로 등록되었으며, "해선오보/海線五寶중국어"라고 불리며 철도 팬들에게 인기가 높다.[9][10]
2. 4. 현대
1978년 10대 건설의 일환으로 10월에 해안선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부분적인 복선화도 진행되어, 1974년 7월에 신푸와 통샤오 간, 위안리와 르난 간 및 지아난(타이중항)과 칭수이 간이, 1977년 2월 11일에는 다지아와 지아난 간이,[5] 2008년 1월 25일에는 주난부터 탕원난(신) 간이,[6] 2009년에는 다시산부터 호우롱 간이 복선화되었다.[7]다지아 이남 구간은 전선 고가화 및 복선화가 린자룽 시장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후임 루슈옌 시장 취임 후에는 진전이 없다.[8] 린자룽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루슈옌은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그의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2. 5. 역사적 건축물
일본 통치 시대에 건설된 탄원, 다시산, 신푸, 르난, 추이펀 5개 역은 목조 역사로, 타이중 시 정부 및 먀오리 현 정부의 문화 자산으로 등록되어 있다.[9][10] 이들 역사는 철도 팬들에게 "해선오보(海線五寶)"로 불리며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외에도 타이완 역사 건축 백경에 선정된 칭수이 역사[11], 바이샤툰 터널군/白沙屯隧道群중국어[12], 구 다안시교 등도 문화 자산으로 지정되어 있다.[13]3. 운행 형태
구간차(區間車)는 주난 진, 허우룽 진, 퉁샤오 진, 다자 구, 장화 시를 중심으로 왕복 운행된다. 하루 9개 열차는 청주이 선을 경유해 타이중 선으로 직통 운행된다.
과거 해안선을 경유했던 대호쾌차/對號快車중국어는 전쟁 전에는 급행 열차를 포함한 장거리 열차의 대부분이 해안선을 경유하는 등 실질적인 종관선 본선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전후에는 전철화의 진전과 산선의 노선 개량으로 인해 산선이 종관선의 메인 루트로 취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호 열차가 산선을 경유하고 있다.
현재 해안선에는 쥐광호나 쯔창호가 핑둥, 가오슝 ~ 치두, 지룽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쑤아오나 화롄까지 운행된다. 2010년 12월 22일 시간표 개정으로, 본 노선에서의 푸싱호 운행은 폐지되었다.
3. 1. 구간차
주난 진, 허우룽 진, 퉁샤오 진, 다자 구, 장화 시를 중심으로 구간차(區間車)가 왕복 운행된다. 하루 9개 열차는 청주이 선을 경유해 타이중 선으로 직통 운행된다.3. 2. 대호쾌차
과거 해안선을 경유했던 대호쾌차(대호쾌차)는 전쟁 전에는 급행 열차를 포함한 장거리 열차의 대부분이 해안선을 경유하는 등 실질적인 종관선 본선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전후에는 전철화의 진전과 산선(타이중선)의 노선 개량으로 인해 산선이 종관선의 메인 루트로 취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호 열차가 산선을 경유하고 있다. 현재 해안선에는 쥐광호나 쯔창호가 핑둥, 가오슝 ~ 치두, 지룽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쑤아오나 화롄까지 운행된다. 2010년 12월 22일 시간표 개정으로, 본 노선에서의 푸싱호 운행은 폐지되었다.3. 3. 기타 열차
대호 열차에는 쥐광호나 쯔창호가 있으며, 이 열차들은 본 노선을 경유하여 핑둥, 가오슝 ~ 치두, 지룽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쑤아오나 화롄까지 운행된다. 2010년 12월 22일 시간표 개정으로 본 노선에서의 푸싱호 운행은 폐지되었다.4. 차량
자강호는 E1000 (푸시풀 방식), EMU300, TEMU1000 (매일 1왕복)[15] 차량으로 운행된다. 거광호와 구간차, 구간쾌차도 운행되며, 구간차는 EMU500, EMU600, EMU700, EMU800 차량으로 운행된다.
과거 해안선에서 운행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자강호는 EMU100, EMU1200, TEMU2000 등이 운행되었다. EMU1200은 2016년 10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북부에서 철수하여 장화역 이남에서 운행되었다.[16] TEMU2000은 타이중선 고가화에 따라 승강장과의 단차가 발생하여 해선 경유가 된 TEMU1000 사용 열차와 교체되는 형태로 투입되었지만, 2016년 10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해선에서 철수하고 TEMU1000이 복귀했다.[17] 부흥호와 구간차/구간쾌차로 EMU400도 운행되었고, 푸콰이처도 운행되었다.
4. 1. 현재 사용 차량
자강호는 E1000 (푸시풀 방식), EMU300, TEMU1000 (매일 1왕복)[15] 차량으로 운행된다. 거광호와 구간차, 구간쾌차도 운행되며, 구간차는 EMU500, EMU600, EMU700, EMU800 차량으로 운행된다.4. 2. 과거 사용 차량
과거 해안선에서 운행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자강호는 EMU100, EMU1200, TEMU2000 등이 운행되었다. EMU1200은 2016년 10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북부에서 철수하여 장화역 이남에서 운행되었다.[16] TEMU2000은 타이중선 고가화에 따라 승강장과의 단차가 발생하여 해선 경유가 된 TEMU1000 사용 열차와 교체되는 형태로 투입되었지만, 2016년 10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해선에서 철수하고 TEMU1000이 복귀했다.[17] 부흥호와 구간차/구간쾌차로 EMU400도 운행되었고, 푸콰이처도 운행되었다.5. 노선 데이터
관리자는 대만철로공사이며,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는 주난역 - 장화역 구간 90.2km이다. 궤간은 1,067mm이다. 역 수는 18개이며, 복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 주난역 - 탄원난 신호장 간 6.3km
- 따산역 - 바이사툰역 간 15.5km
- 신푸역 - 퉁샤오역 간 5.8km
- 위안리역 - 르난역 간 7.7km
- 다자역 - 칭수이역 간 11.3km
- 추이펀역 - 장화역 간 7.1km
전 구간이 교류 25,000V, 60Hz로 전철화되어 있다. 전보 약어는 ㄏㄞㄒzh-tw이다. 1920년 12월 15일에 부분 개업, 1922년 10월 11일에 전 구간이 개업했다.
5. 1. 관리 및 거리
관리자는 대만철로공사이며,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는 주난역 - 장화역 구간 90.2km이다. 궤간은 1,067mm이다. 역 수는 18개이며, 복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주난역 - 탄원난 신호장 간 6.3km
- 따산역 - 바이사툰역 간 15.5km
- 신푸역 - 퉁샤오역 간 5.8km
- 위안리역 - 르난역 간 7.7km
- 다자역 - 칭수이역 간 11.3km
- 추이펀역 - 장화역 간 7.1km
전 구간이 교류 25,000V, 60Hz로 전철화되어 있다. 전보 약어는 ㄏㄞㄒzh-tw이다. 1920년 12월 15일에 부분 개업, 1922년 10월 11일에 전 구간이 개업했다.
5. 2. 기술 정보
대만철로공사가 관리하는 해안선은 주난역에서 장화역까지의 구간은 90.2km이다. 궤간은 1,067mm이고, 역 수는 18개이다. 복선 구간은 주난역 - 탄원난 신호장 간 6.3km, 따산역 - 바이사툰역 간 15.5km, 신푸역 - 퉁샤오역 간 5.8km, 위안리역 - 르난역 간 7.7km, 다자역 - 칭수이역 간 11.3km, 추이펀역 - 장화역 간 7.1km이다. 전 구간은 교류 25,000V, 60Hz로 전철화되어 있다. 전보 약어는 이다. 1920년 12월 15일에 부분 개업, 1922년 10월 11일에 전 구간이 개업했다.5. 3. 개업일
1920년 12월 15일 부분 개업, 1922년 10월 11일 전 구간 개업.6. 역 목록
wikitable
번호 | 이름 | 중국어 이름 | Station Name | 다른 노선 |
---|---|---|---|---|
118 | 주난 | 竹南 | Zhunan | 종관선 북쪽 타이중 선 |
119 | 탄원 | 談文 | Tanwen | |
--- | 탄원 남 신호기 | 談文南號誌 | Baishatun North Signal | |
120 | 다산 | 大山 | Dashan | |
121 | 허우룽 | 後龍 | Houlong | |
122 | 룽강 | 龍港 | Longgang | |
123 | 바이사툰 | 白沙屯 | Baishatun | |
124 | 신푸 | 新埔 | Xinpu | |
125 | 퉁샤오 | 通霄 | Tongxiao | |
126 | 위안리 | 苑裡 | Yuanli | |
127 | 르난 | 日南 | Rinan | |
128 | 다자 | 大甲 | Dajia | |
129 | 타이중항 | 台中港 | Taichung Port | 타이중항 선 |
130 | 칭수이 | 清水 | Qingshui | |
131 | 사루 | 沙鹿 | Shalu | |
132 | 룽징 | 龍井 | Longjing | |
133 | 다두 | 大肚 | Dadu | |
134 | 주이펀 | 追分 | Zhuifen | 청주이 선 |
--- | 다두시 남 신호기 | 大肚溪南號誌 | Dadu River South Signal | |
149 | 장화 | 彰化 | Changhua | 종관선 남쪽 타이중 선 |
6. 1. 역 정보
해안선 | |||||||||||
---|---|---|---|---|---|---|---|---|---|---|---|
번호 | 이름 | 중국어 이름 | Station Name | 다른 노선 | |||||||
118 | 주난 | 竹南 | Zhunan | 종관선 북쪽 타이중 선 | |||||||
119 | 탄원 | 談文 | Tanwen | style="text-align:center"| | |||||||
--- | 탄원 남 신호기 | 談文南號誌 | Baishatun North Signal | style="text-align:center"| | |||||||
120 | 다산 | 大山 | Dashan | style="text-align:center"| | |||||||
121 | 허우룽 | 後龍 | Houlong | style="text-align:center"| | |||||||
122 | 룽강 | 龍港 | Longgang | style="text-align:center"| | |||||||
123 | 바이사툰 | 白沙屯 | Baishatun | style="text-align:center"| | |||||||
124 | 신푸 | 新埔 | Xinpu | style="text-align:center"| | |||||||
125 | 퉁샤오 | 通霄 | Tongxiao | style="text-align:center"| | |||||||
126 | 위안리 | 苑裡 | Yuanli | style="text-align:center"| | |||||||
127 | 르난 | 日南 | Rinan | style="text-align:center"| | |||||||
128 | 다자 | 大甲 | Dajia | style="text-align:center"| | |||||||
129 | 타이중항 | 台中港 | Taichung Port | 타이중항 선 | |||||||
130 | 칭수이 | 清水 | Qingshui | style="text-align:center"| | |||||||
131 | 사루 | 沙鹿 | Shalu | style="text-align:center"| | |||||||
132 | 룽징 | 龍井 | Longjing | style="text-align:center"| | |||||||
133 | 다두 | 大肚 | Dadu | style="text-align:center"| | |||||||
134 | 주이펀 | 追分 | Zhuifen | 청주이 선 | |||||||
--- | 다두시 남 신호기 | 大肚溪南號誌 | Dadu River South Signal | style="text-align:center"| | |||||||
149 | 장화 | 彰化 | Changhua | 종관선 남쪽 타이중 선 | |||||||
선로는 복선 또는 단선이며, 일부 역에서는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 다두시 북 신호장, 다두시 남 신호장, 창화역은 해안선을 경유하여 거리가 계산된다. 폐지된 역은 ''※''로 표시되어 있다. 배경색이 ■인 부분은 현재 시설이 사용되지 않거나 완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6. 2. 역 목록표
킬로미터누계
킬로미터
누계
킬로미터
타이중선, 타이중 첩운 록선(창화 연장선) (계획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