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동남아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양 동남아시아는 200만 km²가 넘는 육지와 해양 면적을 가지며, 2만 5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군도에는 말레이시아 반도,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필리핀 등이 있으며, 지질학적으로는 활발한 화산 활동과 조산 운동이 일어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열대 기후를 보이며, 월리스선을 경계로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상이 구분된다. 역사적으로 해양 연결성을 통해 독특한 문화와 경제를 형성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해상 무역과 해상 실크로드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7년 기준 5억 4천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며, 이슬람교가 주를 이루고 기독교, 불교, 힌두교, 애니미즘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지명 - 인도차이나반도
인도차이나반도는 동남아시아의 일부로 인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여 양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 본토 동남아시아로도 불리며 티베트 고원에서 뻗어 나온 산맥과 주요 강들로 이루어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의 국가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ASEAN 회원국이다. - 아시아의 지명 - 말레이 제도
말레이 제도는 2만 5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군도로,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필리핀 제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국가가 위치하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열대 기후, 독특한 생물 다양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진 3억 8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 동남아시아의 나라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1912년 신해혁명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현재는 타이완 섬과 부속 도서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하나의 중국" 원칙 하에 독자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국제적으로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동남아시아의 나라 - 라오스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내륙 국가로, 1353년 란쌍 왕국 건국 이후 프랑스 식민 지배, 내전 등을 거쳐 1975년 공산 정권 수립 후 라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되었으며, 현재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일당 독재 체제 하에 농업 중심의 혼합 경제 체제를 운영한다. - 아시아의 지역 - 인도차이나반도
인도차이나반도는 동남아시아의 일부로 인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여 양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 본토 동남아시아로도 불리며 티베트 고원에서 뻗어 나온 산맥과 주요 강들로 이루어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의 국가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ASEAN 회원국이다. - 아시아의 지역 - 말레이 제도
말레이 제도는 2만 5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군도로,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필리핀 제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국가가 위치하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열대 기후, 독특한 생물 다양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진 3억 8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해양 동남아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해양 동남아시아 |
면적 | 2,870,000 제곱킬로미터 |
섬 개수 | 25,000개 |
주요 섬 | 보르네오 자바 루손 민다나오 술라웨시 수마트라 |
최고봉 | 키나발루산 |
해발고도 | 4,095 미터 |
국가 | |
국가 | 브루나이 |
최대 도시 | 반다르스리베가완 |
국가 | 동티모르 |
최대 도시 | 딜리 |
국가 | 인도네시아 |
최대 도시 | 자카르타 |
국가 | 말레이시아 |
최대 도시 | 쿠알라룸푸르 |
국가 | 필리핀 |
최대 도시 | 케손시티 |
국가 | 싱가포르 |
최대 도시 | 싱가포르 |
인구 정보 | |
인구 | 380,000,000 명 |
민족 구성 | 주로 오스트로네시아인 소수 네그리토 파푸아인 멜라네시아인 화교 (페라나칸 포함) 아랍 디아스포라 후손 유라시아인 메스티소 오랑 아슬리 인도계 및 스리랑카계 후손 |
추가 정보 | |
주요 특징 | 동남아시아의 해양 지역 대략적인 말레이 제도와 일치 해양 동남아시아와 섬 동남아시아(Island Southeast Asia)는 서로 교환 가능한 용어. |
지리적 범위 | 타이완, 필리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의 사라왁 및 사바 주, 인도네시아의 뉴기니 서쪽 모든 섬. 동남아시아 본토와 타이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사이의 열대 섬들. |
역사적 중요성 | 과거 동서양 교류의 중요한 통로 누산타라 개념과 관련 |
2. 지리
해양 동남아시아의 육지 및 해양 면적은 2000000km2를 초과한다.[8] 이 지역에는 2만 5천 개가 넘는 섬들이 있으며, 이들은 많은 작은 군도를 이룬다.[9]
주요 군도는 다음과 같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7개의 섬은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 수마트라, 술라웨시, 자바, 그리고 필리핀의 루손, 민다나오이다.
자연과학에서 이 지역을 ''해양 대륙''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한, 생물지리학의 식물상에서는 말레이시아 식물구계구에 해당한다.[38]
지질학적으로 이 군도는 세계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 지역 중 하나이며, 특히 자바, 수마트라, 그리고 대부분 3000m가 넘는 화산이 있는 소순다 열도 지역에서 많은 화산을 생성한다. 지각 융기는 또한 높이 4095.2m의 말레이시아 사바주에 있는 키나발루산과 높이 4884m의 인도네시아 파푸아에 있는 자야봉을 포함한 높은 산맥을 만들었다. 이 군도의 다른 높은 산으로는 높이 4760m의 인도네시아 만달라봉과 높이 4750m의 인도네시아 트리코라봉이 있다.
군도 전체의 기후는 적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열대 기후이다.
3. 생물지리
섬 동남아시아는 월리스선을 경계로 나뉘며, 월라세아라고 불리는 전이대가 있다. 이 지역의 생물지리적 구분은 현대 인류와 고대 인류가 이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의 빙하기에도 해양 장벽이 지속되었다.[1]
동남아시아 해역의 육해 면적은 200만 평방킬로미터를 넘으며,[36] 2만 5천 개 이상의 섬이 존재한다.[37]
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
면적 상위 7개 섬은 인도네시아의 뉴기니섬,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술라웨시섬, 자바섬, 필리핀의 루손섬과 민다나오섬이다.
자연과학에서는 이 지역을 “해양 대륙”으로 알고 있으며, 생물지리학의 식물상에서는 말레이시아 식물구계구에 해당한다.[38]
지질학적으로, 이 군도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지대 중 하나이며, 특히 자바섬, 수마트라섬, 소순다 열도 지역에 해발 3,000미터를 넘는 화산 대부분이 위치해 있다. 또한, 판구조론에 의한 조산 운동으로 사바주의 키나발루산(4095.2m)이나, 뉴기니섬의 푼차크 자야(4884m)와 같은 고산이 만들어졌다.
군도의 다른 고산으로는, 인도네시아의 푼차크 만달라 (4760m)와 푼차크 트리코라(4750m) 등이 있다.
군도의 기후는 거의 전역이 적도 근처에 있기 때문에 열대 기후이다.
3. 1. 월라세아 (Wallacea)
필리핀의 많은 무인도 중 하나이다. 해양 동남아시아는 인도양, 남중국해 및 서쪽 태평양 사이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두 개의 군도로 이루어져 있다.
섬 동남아시아는 월리스선을 경계로 나뉜다. 이 선은 아시아의 동식물상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의 동식물상을 구분하며, 식물과 동물 종들이 쉽게 건널 수 없을 정도로 넓은 수역으로 나뉜다. 이 간극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우연히 뗏목을 타고 건너가는 것이 드문 일이 될 만큼 충분히 크다고 여겨진다. 조류를 제외하고 이 선을 건너는 데 성공한 종들은 인간에 의해 이동된 종들이다. 월리스선 인근에는 월라세아라고 불리는 전이대가 있다. 이곳은 양쪽의 동식물 종의 예가 모두 발견되는 지역이지만, 특히 작은 섬에서는 육상 종의 수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1]
4. 역사
해양 동남아시아 지역은 해양 연결성으로 인해 동남아시아의 다른 '본토' 사회와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 및 경제 지역으로 발전했다.[13] 이 지역은 중국 양쯔강 삼각주에서 말레이 반도까지 남중국해, 태국 만, 자바 해를 포함하며,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탈라소크라틱 문화가 지배적이었다.[15][14][18]
최초의 해상 무역망은 해양 동남아시아 출신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형성했으며, 이들은 최초로 외항선을 건조하였다.[43][46] 기원전 1500년 이전에 남인도와 스리랑카와의 무역로를 확립하여 물질문화와 재배 식물을 전파했다. 인도네시아인들은 동아프리카까지 항해하여 향신료를 거래했고, 이 무역망은 아라비아 반도를 거쳐 마다가스카르까지 확장되었다.[43] [47] [45] [48] [49]
4. 1. 고대 인도양 무역

인도양에서 최초로 장거리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은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었다.[16][15] 이들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이미 남인도와 스리랑카와 무역로를 개척하여, 카타마란, 아웃리거 보트, Lashed-lug|래시드-러그영어 선박, 꿰맨 판자 배, 파안과 같은 물질 문화와 코코넛, 샌달우드, 사탕수수와 같은 재배 식물을 교환하였다. 또한 인도와 중국의 물질 문화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인도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과 아웃리거 보트를 이용하여 인도양의 편서풍을 타고 주로 계피와 카시아와 같은 향신료를 동아프리카와 교역하였다.[15][17][18][19][20] 이 무역 네트워크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까지 확장되어, 기원전 1천년기 전반기에 마다가스카르의 오스트로네시아인 식민화로 이어졌다.[15][17][18][19][20] 이 무역은 역사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4. 2. 해상 실크로드
고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무역망은 서기 900년경부터 중국 송 왕조의 무역 선단에 의해 이용되었다. 이는 해상 실크로드로 알려진 중국과 동남아시아 간의 무역의 새로운 번영으로 이어졌다. 동남아시아 제품과 무역의 수요는 이 시대 중국 인구가 7,500만 명에서 1억 5,000만 명으로 두 배 증가하면서 확대되었다.[50]송 왕조 붕괴 후, 침략과 기근으로 중국과의 무역은 중단되었다가 14세기부터 16세기 명 왕조 시대에 부활하였다.[51] 1405년부터 1431년까지 정화의 원정 항해는 동남아시아와의 무역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52]
중국의 무역은 궁정에 의해 엄격하게 관리되었지만, 복건성민의 확산은 동남아시아와의 비공식적인 무역과 문화 교류를 촉진했고, 이들은 동남아시아 각지에 정착해 갔다. 중국 정부의 공인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동체는 말라카, 호이안, 아유타야 등의 도시 간 비즈니스와 무역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53] [54] 이들 화교들은 이주지 각지의 정부에서 관리나 외교관이 되기도 하였다.[55]
4. 3. 유럽의 식민지배와 그 영향
역사가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해상 연결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지중해 연안과 마찬가지로 단일한 문화적, 경제적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42] 이 지역은 중국의 양쯔강 삼각주에서 남중국해, 태국 만, 자바해를 포함한 말레이 반도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해양 국가적인 문화에 지배되었다.[43][44][45]5. 문화와 인구 통계
2017년 기준으로 이 지역에는 5억 4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인구가 가장 많은 섬은 자바이다. 이 지역 주민은 주로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으로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한다. 이 지역은 동남아시아 본토와 태평양의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인들과 사회, 문화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섬 동남아시아"라고 불리는 이 지역은 세데스의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39]에서 볼 수 있듯이 대인도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다.[40] 오스트로네시아 또는 오세아니아와 공통된 민족 언어와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이 지역에서 후자의 그룹(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그룹)이 발생하여 그 지역들로 확산되어 나갔기 때문이다.[41]
5. 1. 종교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며, 필리핀과 동티모르에서는 기독교가 주류이다. 불교, 힌두교, 전통적인 애니미즘 또한 많은 신자들이 믿고 있다.[41]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and Asian regional g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11-30
[2]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able A.2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07-06-30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ttps://www.rand.org[...]
[3]
서적
The Limits of Alignment: Southeast Asia and the Great Powers Since 197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ffrsity Press
[3]
학술지
Demographics and Security in Maritime Southeast Asia
https://www.rand.org[...]
2006
[4]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archaeology and globalization
Routledge
2017
[5]
서적
First islanders: prehistory and human migration in Island Southeast Asia
Wiley Blackwell
2017
[6]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Springer
2014
[7]
학술지
Nusantara: History of a Concept
2016
[8]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and Asian regional g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11-30
[9]
웹사이트
Philippines: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09-11-06
[9]
보도자료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6-04-01
[9]
웹사이트
Indonesia Regions
http://www.indonext.[...]
Indonesia Business Directory
2007-04-24
[10]
학술지
Maritime Southeast Asia, Not Just a Crossroads
https://www.asianstu[...]
2014
[1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Southeast Asian History and the Mediterranean Analogy
https://research.vu.[...]
2003
[14]
서적
Brides of the sea: port cities of Asia from the 16th-20th centu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15]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16]
학술지
Maritime Southeast Asia Between South Asia and China to the Sixteenth Century
2014-01-01
[17]
학술지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1974
[18]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19]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
[20]
학술지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04
[21]
학술지
The Maritime Silk Road: History of an Idea
https://www.iseas.ed[...]
2016
[22]
서적
The Maritime Silk Road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3]
학술지
Early Voyaging in the South China Sea: Implications on Territorial Claims
2015-08-01
[24]
서적
Strange parallels: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 800-18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5]
학술지
Chinese and Muslim Diasporas and Indian Ocean Trade under the Mongol Hegemony
https://www.academia[...]
[26]
학술지
"The Sea Common to All": Maritime Frontiers, Port Cities, and Chinese Traders in the Southeast Asian Age of Commerce, ca. 1400–1750
2010-08-01
[27]
서적
Sojourners and settlers: histories of Southeast Asia and the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28]
학술지
The Formation of Chinese Maritime Networks to Southern Asia, 1200-1450
2006
[29]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Yale University Press
1988
[30]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Early Modern Era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31]
학술지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1980-09-01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학술지
海域東南アジア史研究の回顧と展望
https://cir.nii.ac.j[...]
東洋史研究会
[34]
학술지
Nusantara: History of a Concept
2016
[35]
서적
Seascapes: Maritime Histories, Littoral Cultures, and Transoceanic Exchang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36]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and Asian regional g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11-30
[37]
웹사이트
Indonesia Regions
http://www.indonext.[...]
Indonesia Business Directory
2020-11-16
[38]
위키
[39]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ACLS HEB)
https://quod.lib.umi[...]
E. de Boccard
[40]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41]
기타
[42]
학술지
Southeast Asian History and the Mediterranean Analogy
https://research.vu.[...]
2003-00-00
[43]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44]
서적
Brides of the sea : port cities of Asia from the 16th-20th centuri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00-00
[45]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46]
뉴스
Austronesians were first to sail the seas
https://www.smh.com.[...]
2008-12-11
[47]
학술지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1974-00-00
[48]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00-00
[49]
학술지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04-00-00
[50]
서적
Strange parallels :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 800-18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2009
[51]
학술지
The Formation of Chinese Maritime Networks to Southern Asia, 1200-1450
2006-00-00
[52]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Yale University Press
1988-1993
[53]
학술지
Chinese and Muslim Diasporas and Indian Ocean Trade under the Mongol Hegemony
https://www.academia[...]
[54]
학술지
"The Sea Common to All": Maritime Frontiers, Port Cities, and Chinese Traders in the Southeast Asian Age of Commerce, ca. 1400–1750
2010-08-01
[55]
서적
Sojourners and settlers : histories of Southeast Asia and the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