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적 (발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적》은 1856년 초연된 발레 작품으로, 이탈리아 발레리나 카롤리나 로사티를 위해 제작되었다. 조제프 마질리에의 오리지널 연출을 시작으로 마리우스 프티파가 여러 차례 부활시키며 다양한 파와 바리에이션을 추가했다. 1955년 표트르 구세프는 새로운 버전을 연출하여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버전이 되었으며, 콘스탄틴 세르게예프와 유리 그리고로비치도 각자의 버전을 선보였다. 발레는 해적 콘라드와 메도라의 사랑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노예 시장, 하렘, 해상에서의 사건들을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고든 바이런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두 사람의 포스카리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3막 오페라 《두 사람의 포스카리》는 조지 바이런의 희곡을 바탕으로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썼으며, 15세기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도제 프란체스코 포스카리와 그의 아들 자코포가 정치적 음모에 휘말려 파멸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베르디 초기 작품이다.
  • 아돌프 아당의 작품 - O Holy Night
    O Holy Night은 플라시드 카포가 작사하고 아돌프 아당이 작곡한 크리스마스 캐럴로, 존 설리번 드와이트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예수 탄생 경축과 사회 정의 메시지를 담아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현재까지 불리고 있다.
  • 아돌프 아당의 작품 - 지젤
    지젤은 낭만 발레의 대표작으로, 순수한 사랑과 배신, 용서라는 주제를 다루며 신분을 숨긴 귀족 알브레히트와 시골 소녀 지젤의 비극적인 사랑과 죽어서 윌리가 된 지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해적 (발레)
기본 정보
콘라드와 메도라
콘라드 역의 V・ムンタギロフ(왼쪽)과 메두라 역의 A・코죠카루(오른쪽).
발레 정보
원제Le Corsaire
장르발레
구성3막 5장 (마질리에 버전)
안무가J. 마질리에
작곡가A. 아당
대본V. 드 생-조르주, J. 마질리에
배경아드리아노폴리스
초연1856년 1월 23일
초연 장소파리 오페라 극장
초연 발레단파리 오페라 발레단
주요 초연자"메두라": C. 로자티
"콘라드": D. 세가렐리
마리우스 프티파 네 번째 버전 정보
안무가마리우스 프티파
초연1899년 1월 25일
초연 극장마린스키 극장
초연 발레단러시아 황실 발레단
음악

2. 역사

발레 《해적》은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여했던 영국의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이 1814년에 쓴 장편 서사시 『해적』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대본은 조제프 마질리에와 쥘-앙리 베르누아 드 생 조르주가 공동으로 작업했고, 안무는 조제프 마질리에가 맡았다.[4]

초연은 1856년 1월 23일, 파리 오페라에서 이루어졌으며, 당시 유명 발레리나였던 카롤리나 로사티를 위해 주로 제작되었다. 초연 및 이후 러시아와 소비에트 시대를 거치며 이루어진 주요 개정 과정은 아래 문단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초연 (1856)

''해적''의 변주곡, 2010년 로잔 콩쿠르에서.


《해적》은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여했던 영국의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이 1814년에 쓴 장편 서사시 『해적』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대본은 조제프 마질리에와 쥘-앙리 베르누아 드 생 조르주가 공동으로 작업했고, 안무는 조제프 마질리에가 맡았다.[4]

초연은 1856년 1월 23일, 파리 오페라에서 이루어졌다. 이 작품은 당시 오페라의 ''수석 무용수''였던 유명한 이탈리아 발레리나 카롤리나 로사티의 재능을 선보이기 위해 주로 제작되었다. 초연에서 주역인 메도라 역은 카롤리나 로사티가 맡았다.

콘라드 역은 이탈리아 출신의 도메니코 세가렐리가 연기했다. 세가렐리는 뛰어난 무용가였지만, 오페라 무대에서는 주로 그의 뛰어난 마임 능력 덕분에 많은 역할을 맡았다. 이 때문에 마질리에의 초연 연출에서 콘라드 역에는 춤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콘라드 역에 춤이 추가된 것은 그로부터 여러 해가 지난 후였다.

2. 2. 러시아에서의 발전

해적》은 쥘 페로에 의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황실 발레단을 위해 처음 무대에 올려졌다. 페로는 1849년부터 1858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 황실 극장의 수석 발레 마스터를 지냈다. 러시아 초연은 1858년 1월 24일 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에서 이루어졌으며, 프리마 발레리나 예카테리나 프리드부르크가 메도라 역을, 젊은 마리우스 프티파가 콘라드 역을 맡았다. 프티파는 이 공연을 위해 페로의 리허설을 돕고 일부 핵심 안무를 수정하기도 했다.

마리우스 프티파는 이후 러시아에서 《해적》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1863년, 1868년, 1880년, 1899년에 걸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네 차례 중요한 개정을 진행하며 작품을 발전시켰다. 각 개정마다 새로운 춤과 음악이 추가되었으며, 당대 최고의 무용수들을 위해 안무되었다. (프티파의 각 개정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시오.)

1899년, 프티파판 《해적》에 출연하는 콘라드 역의 파벨 게르트(왼쪽)와 메도라 역의 피에리나 레냐니(가운데)


프티파는 상트페테르부르크뿐만 아니라 모스크바에서도 《해적》 공연에 관여했다. 1858년 페로 버전의 공연을 모스크바 황실 볼쇼이 극장 발레단(현재 볼쇼이 발레단)을 위해 연출했으며, 1888년에는 직접 새로운 프로덕션을 감독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1894년 볼쇼이 극장의 발레 마스터 이반 클루스틴이 《해적》을 연출했는데, 프티파는 클루스틴이 자신의 안무를 표절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세기 초 모스크바에서는 알렉산더 고르스키의 개정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912년 1월 25일, 모스크바 황실 볼쇼이 극장의 수석 발레 마스터였던 고르스키는 예카테리나 겔처(메도라 역)와 바실리 티호미로프(콘라드 역)를 주역으로 《해적》을 새롭게 선보였다. 고르스키는 기존 아당의 악보를 대폭 수정하고, 에드바르 그리그, 안톤 시몬, 라인홀트 글리에르, 카를 골드마르크, 프레데리크 쇼팽, 표트르 차이콥스키, 안토닌 드보르자크 등 다양한 작곡가들의 음악을 삽입하여 새로운 장면과 춤을 추가했다. 특히 쇼팽의 녹턴을 배경으로 메도라가 콘라드를 꿈꾸는 장면이나, 1막 바자회 장면에서 터키, 페르시아, 아라비아 노예 여성들을 위한 디베르티스망 등이 주목할 만한 추가 요소였다. 고르스키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마질리에와 프티파가 추가했던 기존의 주요 안무는 상당 부분 유지했다. 고르스키 버전은 1927년까지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의 레퍼토리에 남아 있었다.

이후 볼쇼이 발레단은 오랫동안 《해적》의 일부 장면만을 공연하다가, 1992년에 콘스탄틴 세르게예프 버전으로 전체 작품을 다시 무대에 올렸다. 2007년 6월 21일에는 유리 불라카와 당시 예술 감독이었던 알렉세이 라트만스키가 안무한 새로운 버전의 《해적》이 볼쇼이 발레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버전은 세르게예프 컬렉션의 안무 표기법과 프랑스, 러시아 등지의 역사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고증을 거쳐 제작되었으며, 제작비가 약 150만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해적》의 음악은 여러 작곡가들의 기여로 복잡하게 구성되었다.

  • 1858년 프티파가 공연을 맡았을 때 체사레 푸니가 새로운 곡을 추가하고 기존 음악을 수정했다.
  • 1867년 파리 재공연을 위해 레오 들리브가 3막에 '꽃의 왈츠'(Pas des fleurs)[5]와 바리에이션 곡을 작곡했다. 이 음악은 1868년 프티파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개정판에도 포함되었다.
  • 1899년 프티파 개정판에는 리카르도 드리고와 레온 민쿠스의 곡이 추가되었다.
  • 이후에도 안톤 시몬, 올덴부르크 공작 등의 곡이 더해져 현재의 형태에 이르게 되었다.

2. 2. 1. 프티파의 개정 (1863, 1868, 1880, 1899)

마리우스 프티파는 긴 경력 동안 《해적》을 네 차례 개정했으며, 매번 상당수의 새로운 파, 바리에이션, 부수적인 춤들을 추가했다. 그의 개정 작업은 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과 황실 마린스키 극장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버전은 당대 최고의 무용수들을 위해 특별히 안무되었다.

마리우스 프티파의 《해적》 개정
개정 연도초연일극장주요 무용수 (메도라 / 콘라드)작곡가 (추가/수정)주요 특징
18631863년 2월 5일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마리아 수로프시치코바-프티파 / 크리스티안 요한슨체사레 푸그니프티파의 아내이자 프리마 발레리나였던 마리아 수로프시치코바-프티파를 위해 무대에 올림. 푸그니가 악보를 보강 및 수정. 프티파 발레 《장미, 제비꽃, 나비》의 노예의 파(Pas d'esclave) 파 드 되 포함.[3]
18681868년 2월 6일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아델 그란초프 / (언급 없음)체사레 푸그니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 황제 초청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공연하게 된 독일 발레리나 아델 그란초프의 데뷔를 위해 개정. 푸그니에게 새로운 춤을 위한 음악 작곡 의뢰. (참고: 레오 들리브 작곡 파 데 플뢰르(Pas des fleurs)는 1867년 파리 조제프 마질리에 개정판에 포함됨.)
18801880년 11월 22일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에우게니야 소콜로바 / (언급 없음)(언급 없음)러시아 발레리나 에우게니야 소콜로바를 위해 무대에 올림.
18991899년 1월 25일황실 마린스키 극장피에리나 레냐니 / 파벨 게르트(언급 없음)황실 마린스키 극장의 프리마 발레리나 아솔루타 피에리나 레냐니의 자선 공연을 위해 준비. 프티파의 마지막이자 가장 중요한 개정으로 평가됨. 굴나르 역은 올가 프레오브라젠스카야, 콘라드 역은 파벨 게르트가 맡음.



프티파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외에도 모스크바의 《해적》 제작에 관여했다. 1858년, 그는 쥘 페로 버전의 《해적》을 모스크바 황실 볼쇼이 극장 발레단(현재 볼쇼이 발레단)을 위해 연출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이후 1888년, 프티파는 볼쇼이 발레단을 위해 직접 새로운 《해적》 프로덕션을 감독했으며, 이 공연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프티파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최고의 안무가였다. 1894년, 볼쇼이 극장의 새로운 발레 마스터 이반 클루스틴이 《해적》을 연출했는데, 프티파는 나중에 클루스틴이 자신의 안무, 특히 '생동감 넘치는 정원'(Le Jardin animé) 장면을 표절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 3. 소비에트 시대의 개정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마린스키 극장의 레퍼토리였던 프티파의 1899년판 《해적》은 1928년까지 공연 목록에 남아 있었다.[1] 혁명 이후 소비에트 시대에 들어서면서 《해적》은 새로운 시대적 요구와 예술적 해석에 따라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치게 된다.

알렉산더 고르스키가 1912년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에서 선보인 버전은 비록 혁명 이전에 제작되었지만, 아당의 원곡을 대폭 수정하고 그리그, 쇼팽, 차이콥스키 등 다양한 작곡가의 음악을 삽입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담고 있었다. 이 버전은 1927년까지 볼쇼이 극장의 레퍼토리에 남아 소비에트 초기 발레에 영향을 미쳤다.[1]

소비에트 시대에 이루어진 첫 번째 중요한 《해적》 개정은 러시아 발레 교육의 대가로 꼽히는 아그리피나 바가노바에 의해 이루어졌다. 바가노바는 1931년 키로프 발레단(현 마린스키 발레단)을 위해 혁명 이후 첫 《해적》 부활 공연을 감독했다. 특히 1936년에는 나탈리아 두딘스카야의 졸업 공연을 위해 안무했던 '해적 파 드 되' 개정 버전을 포함시킨 새로운 프로덕션을 선보였는데, 이는 이후 《해적》 공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1] 바가노바의 개정은 작품의 고전적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해적》은 표트르 구세프(1955년)와 콘스탄틴 세르게예프(1973년)에 의해 더욱 중요한 변화를 겪게 된다. 구세프 버전은 수정된 대본과 음악, 그리고 새로운 캐릭터 '알리'의 추가 등으로 오늘날 러시아에서 가장 대중적인 《해적》 버전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세르게예프 역시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과 안무를 더한 버전을 선보였다. 이 두 버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이처럼 소비에트 시대 동안 이루어진 여러 개정 작업들은 《해적》을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닌, 살아 숨 쉬는 고전 레퍼토리로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은 후대에 다양한 재해석과 부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2007년 볼쇼이 발레단의 알렉세이 라트만스키와 유리 불라카가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제작한 버전이나, 안나-마리 홈스가 세르게예프 버전을 재구성하여 서방 세계에 소개한 사례 등 현대 《해적》 공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1]

2. 3. 1. 구세프 버전 (1955)

발레 마스터 표트르 구세프는 1955년 레닌그라드의 말리 극장 발레단을 위해 ''해적''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었다. 이 프로덕션은 구세프와 발레 역사학자 유리 슬로님스키가 함께 수정한 원본 대본을 사용했다.

구세프는 지휘자 예브게니 코른블리트에게 새로운 악보 작곡을 의뢰했다. 그는 프티파의 제정 시대 프로덕션에서 내려온 전통적인 삽입곡은 유지했지만, 아당의 1856년 원곡 대부분을 버리고, 대신 아당의 1840년 발레 ''L′Écumeur de mer'' (''해적'')와 1852년 오페라 ''Si j’étais roi''에서 가져온 음악을 사용했다. 이 새로운 음악으로 주요 등장인물들의 주제 선율(라이트모티프)을 만들었다.

또한 새로운 캐릭터인 노예 알리가 추가되었다. 이 역할은 마린스키 극장에서 상연된 초기 소비에트 시대의 전막 프로덕션에서 ''해적 파 드 되''에 등장했던 노예 역할에서 발전한 것이다.

구세프 버전은 1955년 5월 31일에 초연되었고, 러시아에서 ''해적''의 가장 인기 있는 버전이 되었다. 1977년 키로프 발레단(현 마린스키 발레단)의 감독 올레그 비노그라도프는 이 버전을 자신의 발레단을 위해 도입했으며, 이 발레단은 여전히 이 프로덕션을 레퍼토리에 보유하고 있다. 노보시비르스크 발레단 역시 구세프 버전을 레퍼토리에 포함하고 있다. 2009년 미하일로프스키 극장 발레단은 예술 감독 파루크 루지마토프가 개정한 구세프 버전을 무대에 올렸다.

키로프 발레단의 구세프 버전 ''해적'' 공연은 1989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린 발레단 공연을 위해 새로운 프로덕션으로 제작되었다. 이 새 프로덕션 공연은 같은 해 마린스키 극장에서 발레리나 알티나이 아실무라토바(메도라 역), 예프게니 네프(콘라드 역), 콘스탄틴 자클린스키(아이작 랭케뎀 역), 엘레나 판코바(굴나르 역), 파루크 루지마토프(알리 역)의 캐스트로 촬영되어 DVD/비디오로 출시되었다.

다음 줄거리는 1955년 소련에서 제작된 구세프 버전의 내용이다.

2. 3. 2. 세르게예프 버전 (1973)

1973년, 키로프 발레단의 발레 마스터 콘스탄틴 세르게예프는 새로운 곡과 수정된 안무를 포함한 자신의 《해적》 버전을 무대에 올렸다. 이 버전에서 세르게예프는 1막에 아당의 원곡 주제를 바탕으로 콘라드와 비르반토 역을 위한 새로운 바리에이션을 추가했다.[1]

그러나 세르게예프가 연출한 이 버전은 단 9번의 공연 만에 키로프 발레단의 레퍼토리에서 제외되었다. 이는 당시 나탈리아 마카로바와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와 같은 주요 무용수들의 소련 망명 사건으로 인해 세르게예프가 정부의 미움을 샀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실제로 마카로바의 망명은 1970년 세르게예프가 예술 감독직에서 해임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했다.[1]

이후 키로프 발레단은 1977년에 올레그 비노그라도프가 표트르 구세프의 1955년 버전을 다시 무대에 올릴 때까지 전막 《해적》을 공연하지 않았다. 1989년, 키로프 발레단이 세계 투어를 위해 《해적》의 부활을 결정했을 때, 구세프 버전과 세르게예프 버전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국 구세프 버전이 채택되어 현재까지 공연되고 있다.[1]

한편, 1992년 모스크바 볼쇼이 발레단의 감독이었던 유리 그리고로비치는 세르게예프에게 그의 1973년 버전 《해적》을 볼쇼이 발레단을 위해 연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볼쇼이 극장의 지휘자 알렉산더 소트니코프가 악보를 대대적으로 재편집하고 재편곡한 이 프로덕션은 1992년 3월 11일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그리고로비치는 단 7번의 공연 이후 이 작품을 레퍼토리에서 제외시켰고, 1994년에는 자신의 버전을 새로 무대에 올렸다.[1]

세르게예프가 1992년 모스크바 공연을 위해 제작했던 이리나 티빌로바의 무대 세트와 의상은 약 5년간 볼쇼이 극장 창고에 보관되어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세르게예프의 아내 나탈리아 두딘스카야의 제안으로, 안무가 안나-마리 홈스는 두딘스카야, 타티아나 테레호바, 세르게이 베레즈노이, 타티아나 레가트, 바딤 디스니츠키 등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보스턴 발레단을 위해 세르게예프의 1992년 프로덕션을 재구성했다.[1] 약 1년 후,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ABT)는 보스턴 발레단의 이 《해적》 프로덕션을 임대하여 최종적으로 구매했다. ABT는 안무와 음악에 추가적인 수정을 가했으며, 이 버전은 DVD로도 출시되어 세르게예프 버전의 명맥을 잇게 되었다.[1]

3. 줄거리

영국의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이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1814년 장편 서사시 《해적》(Le Corsaire)을 원작으로 한다. 프랑스의 조제프 마질리에와 쥘-앙리 베르누아 드 생 조르주가 함께 대본을 썼고, 안무는 마질리에가 맡았다.[4] 1856년 1월 23일, 파리 오페라에서 초연되었으며, 주역인 메도라 역은 카롤리나 로자티, 콘라드 역은 도메니코 세가렐리가 연기했다.

현재 공연되는 《해적》은 초연 이후 마리우스 프티파와 표트르 구세프 등 여러 안무가에 의해 개정되면서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세부적인 줄거리와 등장인물, 결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래는 여러 버전의 내용을 종합한 일반적인 줄거리이다.

'''제1막'''

이오니아해 연안의 노예 시장에서 해적 두목 콘라드는 아름다운 그리스 소녀 메도라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메도라가 노예 상인 랑케뎀에 의해 부유한 세이드 파샤에게 팔려갈 위기에 처하자, 콘라드는 부하들과 함께 시장을 습격하여 메도라와 다른 노예 소녀들, 그리고 랑케뎀까지 납치해 해적의 은신처로 데려간다. 은신처에서 콘라드와 메도라는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지만, 콘라드에게 불만을 품은 부하 비르반토와 랑케뎀의 계략으로 콘라드는 수면제가 든 꽃향기를 맡고 잠든 사이 메도라는 다시 납치되어 세이드 파샤에게 보내진다.

'''제2막'''

세이드 파샤의 하렘으로 끌려온 메도라는 파샤의 총애를 받는 노예 굴나라와 친구가 된다. 메도라를 구하기 위해 콘라드와 부하들은 순례자로 변장하고 하렘에 잠입하지만, 정체가 발각되어 싸움 끝에 콘라드는 사로잡혀 사형 선고를 받는다.

'''제3막'''

파샤의 궁전에서 메도라는 콘라드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파샤의 청혼을 받아들이는 척하며 기지를 발휘한다. 굴나라의 도움으로 파샤를 속이고 콘라드와 함께 극적으로 탈출하여 해적선을 타고 바다로 나간다. 그러나 곧 거센 폭풍우를 만나 배는 난파된다.

'''결말'''

대부분의 현대 버전에서는 콘라드와 메도라가 폭풍우 속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아 해변에 도착하며 사랑의 승리를 확인하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하지만 초연 버전에서는 두 사람이 탄 배가 번개에 맞아 침몰하며 비극적인 결말을 맞기도 했다.

1955년 소련에서 제작된 구세프 버전은 프롤로그에서 해적선이 난파되는 장면으로 시작하며, 콘라드의 충실한 부하 '알리'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결말은 콘라드와 메도라가 난파 후 살아남는 것으로 묘사된다.

3. 1. 1막

제1막은 크게 두 개의 장면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장면은 아드리아노플 광장의 노예 시장이다. 이곳에서 해적 두목 콘라드는 후궁에 보내질 위기에 처한 아름다운 그리스 소녀 메도라를 발견하고 첫눈에 반한다. 부유한 세이드 파샤가 메도라를 사려 하자, 콘라드와 그의 부하들은 시장을 습격하여 메도라와 다른 노예 소녀들, 그리고 노예 상인 랑케뎀까지 납치하여 자신들의 은신처로 데려간다.

두 번째 장면은 보물로 가득한 해적의 지하 은신처이다. 콘라드는 메도라의 간청에 따라 사로잡힌 여성들을 풀어주기로 약속하며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부하 비르반토와 랑케뎀의 계략으로 수면제가 든 꽃향기를 맡고 깊은 잠에 빠지고, 그 틈을 타 메도라는 다시 납치되어 세이드 파샤에게 보내진다.

3. 1. 1. 항구 광장의 바자

제1막 - 노예 시장 무대 스케치 (1856년)


항구 광장의 바자에서는 노예 소녀들이 상품으로 팔리고 있다. 해적들이 그들의 지도자 콘라드와 함께 도착한다. 발코니에서 이 장면을 지켜보던 젊은 여성 메도라는 바자 주인이자 노예 상인 랑케뎀의 보호 아래 있다. 그녀는 꽃다발에 암호를 담아 콘라드에게 던진다. 이후 메도라와 랑케뎀이 광장으로 내려오자, 메도라와 콘라드는 서로에게 끌리는 눈빛을 주고받는다.

이때 노예 소녀들을 사려는 부유한 구매자인 세이드 파샤가 광장에 도착한다. 그는 메도라를 보고 첫눈에 반해 그녀를 사겠다고 제안한다. 랑케뎀은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세이드 파샤가 높은 가격을 부르자 결국 메도라를 팔기로 동의한다. 세이드 파샤는 메도라를 자신의 궁전으로 데려가라고 명령하고 자리를 떠난다. 콘라드는 메도라에게 자신과 해적들이 반드시 그녀를 구출하겠다고 약속한다. 잠시 후, 해적들은 노예 소녀들과 함께 춤을 추기 시작하고, 콘라드의 신호에 따라 소녀들과 메도라를 데리고 도망친다. 혼란 속에서 그들은 랑케뎀까지 납치한다.

3. 1. 2. 해적의 은신처

메도라는 콘라드에게 붙잡혀 온 여성 노예들을 풀어달라고 요구하고, 콘라드는 이를 받아들인다. 그러나 콘라드의 부하 중 한 명인 비르반토는 이 결정에 반대하며 콘라드에게 맞서 싸움을 걸지만, 결국 콘라드에게 제압당한다. 한편, 함께 납치되었던 랑케뎀은 탈출을 시도한다. 콘라드의 결정에 불만을 품은 다른 해적들은 랑케뎀을 설득하여, 그가 콘라드에게 수면제가 뿌려진 꽃을 건네도록 음모를 꾸민다.

저녁 식사 자리에서 메도라는 콘라드를 위해 춤을 춘다. 이때 랑케뎀은 메도라에게 수면제가 든 꽃을 건네며 콘라드에게 전해주라고 부탁한다. 메도라는 의심 없이 꽃을 콘라드에게 건네고, 콘라드는 꽃향기를 맡고 깊은 잠에 빠진다. 콘라드가 잠들자 해적들은 메도라를 에워싸고 위협한다. 메도라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비르반토의 팔을 단검으로 찌르지만, 결국 해적들에게 붙잡혀 기절하고 다시 납치당한다. 잠에서 깨어난 콘라드는 메도라가 사라진 것을 알고 그녀를 되찾기 위해 나선다.

3. 2. 2막

코스섬의 파시아 후궁을 배경으로 한다. 노예시장에서 메도라를 놓쳤던 파시아는 격노하지만, 메도라가 다시 잡혀오자 기분이 풀린다. 한편, 순례자 노인으로 변장한 해적 두목 콘라드는 파시아를 몰아내고 메도라와 재회한다. 그러나 결국 콘라드는 사로잡혀 사형 선고를 받는다.

3. 2. 1. 세이드 파샤 궁전의 하렘

술타나 줄리나는 오달리스크(하렘의 여성 첩)들에게 존경을 요구한다. 하지만 하렘 노예 굴나레와 친구들은 그녀를 조롱한다. 세이드 파샤가 등장하자, 굴나레는 춤으로 그를 유혹하고 그는 그녀에게 손수건을 건넨다. 굴나레는 손수건을 다른 여성들에게 돌리며 파샤를 비웃고, 이에 세이드 파샤는 분노한다. 그의 하렘 관리자는 소녀들의 춤 공연으로 파샤의 주의를 돌려 진정시키려 한다.

이때 노예 상인 랑케뎀이 도착하여 메도라를 세이드 파샤에게 팔아넘긴다. 메도라는 세이드 파샤에게 자유를 간청하며 랑케뎀에게 학대당했음을 호소하고, 굴나레는 그런 메도라를 위로한다. 세이드 파샤는 메도라에게 보석을 주며 회유하려 하지만, 메도라는 이를 거절한다.

해적들이 종교 순례자로 위장하고 하렘에 들어온다. 그들은 하렘의 여성들을 보고 당황한 척 연기한다. 세이드 파샤는 손님들을 위해 하렘의 여인들에게 춤을 추라고 명령한다. 순례자로 변장한 콘라드는 메도라를 알아본다. 곧이어 해적들은 변장을 벗어 던지고 단검으로 세이드 파샤를 위협하며 궁전을 약탈하기 시작한다.

굴나레가 비르반토에게 쫓겨 들어오고, 메도라는 비르반토가 자신을 납치했던 자임을 알아보고 콘라드에게 알린다. 메도라는 자신이 비르반토의 팔에 입힌 상처를 가리키며 이를 확인시킨다. 메도라는 콘라드가 비르반토를 죽이려는 것을 막고, 비르반토는 도망친다. 세이드 파샤의 경비병들이 들이닥쳐 해적들을 공격하고, 콘라드를 포함한 해적들을 사로잡는다. 세이드 파샤는 콘라드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3. 2. 2. 세이드 파샤의 궁전 사적실

터키의 세이드 파샤 총독은 노예시장에서 놓쳤던 메도라가 다시 잡혀오자 기뻐하며 노예 상인 랑케뎀에게서 그녀를 사들여 자신의 하렘으로 데려온다. 파샤는 먼저 굴나라의 춤을 보고 만족하지만, 다른 소녀들의 춤에는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랑케뎀이 메도라를 데려오자 파샤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즉시 매료된다.

파샤는 소녀들에게 의상을 갈아입도록 지시하고 잠시 잠이 든다. 그는 꿈속에서 화려하게 차려입은 소녀들이 화원에서 화환을 들고 춤추는 모습을 본다. 특히 굴나라와 메도라는 아름다운 춤을 선보이며 파샤를 즐겁게 한다. 잠에서 깨어난 파샤는 곧바로 연회를 시작한다.

이때 순례자로 변장한 해적 두목 콘라드와 그의 부하들이 나타난다. 그들은 기도를 올리는 척하며 기회를 엿보다가 정체를 드러내고, 메도라와 굴나라를 구출하려 시도한다. 혼란 속에서 노예 상인 랑케뎀은 해적들에게 붙잡혀 응징당한다. 그러나 콘라드는 결국 파샤에게 사로잡혀 사형을 선고받는다.

장면은 바다가 보이는 파샤의 방으로 바뀐다. 메도라는 콘라드의 처형을 막기 위해 파샤의 아내가 되겠다고 거짓으로 승낙한다. 그녀는 기지를 발휘하여 파샤를 교묘하게 속이고, 콘라드와 함께 창문을 통해 극적으로 탈출하여 해적선을 타고 도망친다.

3. 3. 3막

제3막의 무대 스케치(1856년)


3막은 세이드 파샤의 궁전 사적실에서 시작된다. 세이드 파샤는 메도라에게 청혼하지만 거절당한다. 콘라드가 처형될 위기에 처하자, 메도라는 파샤에게 그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간청한다. 파샤는 메도라가 자발적으로 자신에게 복종하는 것을 조건으로 이를 수락한다. 메도라가 고민하는 사이, 콘라드가 나타나고 메도라는 그를 구하기 위한 거래 내용을 알린다. 콘라드는 반대하며 함께 죽음을 맞이하자고 설득한다. 이때 파샤를 사랑하는 굴나르가 나타나 결혼식에서 메도라와 몰래 역할을 바꾸자는 계획을 제안한다.

파샤는 메도라가 승낙했다고 믿고 콘라드를 풀어준 뒤 결혼식을 명령한다. 결혼 행렬이 다가오고 베일에 싸인 신부(실제로는 굴나르)가 등장한다. 파샤는 신부의 손가락에 반지를 끼워주고 오달리스크들의 춤이 이어진다.

결혼식 후, 파샤는 메도라(실제로는 굴나르가 아닌 진짜 메도라)와 단둘이 남게 된다. 메도라는 춤을 추면서 파샤를 속여 그의 권총과 단검을 빼앗고, 장난치는 척하며 손수건으로 그의 손을 묶는다. 이때 콘라드가 방으로 들어와 파샤를 위협하고, 메도라와 함께 창문을 통해 궁전을 탈출한다. 뒤이어 굴나르가 들어와 파샤를 풀어주고 손가락의 반지를 보여주며 자신이 진짜 신부임을 밝힌다.[2]

3. 3. 1. 바다 위의 해적선

해적선 위, 처음에는 바다가 잔잔하다. 사슬에 묶여 있던 비르반토는 메도라의 간청으로 콘라드에 의해 풀려난다. 그러나 곧 폭풍이 몰아치고, 비르반토는 이 기회를 틈타 선원들 사이에서 불만을 조장하려 한다. 콘라드는 반란을 시도하는 비르반토를 바다에 던져버린다. 거센 폭풍 속에서 배는 결국 좌초되어 난파된다. 폭풍이 지나가고 바다가 다시 잔잔해진 후, 콘라드와 메도라는 함께 육지에 안전하게 도착한 모습으로 발견된다.[2]

4. 등장인물

발레 《해적》은 조지 고든 바이런의 동명 서사시를 바탕으로 하며,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극적인 이야기를 펼칩니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해적 두목 '''콘라드'''와 그가 사랑하는 그리스 소녀 '''메도라'''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메도라의 친구 '''굴나르''', 부유한 터키 총독 '''세이드 파샤''', 콘라드를 배신하는 부하 '''비르반토''', 노예 상인 '''랑케뎀''' 등이 극의 갈등과 재미를 더합니다.

1856년 파리 오페라 초연 당시, 메도라 역은 당대 최고의 수석 무용수였던 이탈리아 발레리나 카롤리나 로사티가 맡아 그녀의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습니다.[4] 콘라드 역은 뛰어난 마임 능력을 인정받았던 이탈리아의 도메니코 세가렐리가 맡았으며, 초기 버전에서는 춤 없이 마임 연기 중심으로 역할이 구성되었습니다. 콘라드 역할에 본격적인 춤이 포함된 것은 후대의 일입니다. 후대 버전에서는 콘라드의 충직한 노예 '''알리'''와 같은 새로운 인물이 추가되기도 했습니다.[2]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에서 다룹니다.

4. 1. 주요 인물


  • '''메도라''': 그리스 출신의 아름다운 노예 소녀. 아드리아노플 광장의 노예 시장에서 세이드 파샤에게 팔릴 뻔하지만, 해적 두목 콘라드에게 구출되어 그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콘라드의 부하 비르반토 등의 계략으로 다시 납치되어 세이드 파샤의 하렘으로 끌려간다. 콘라드를 구하기 위해 파샤와 결혼하는 척하며 기지를 발휘해 함께 탈출한다.
  • '''콘라드''': 해적단의 두목. 용감하고 정의로운 인물로 묘사된다. 노예 시장에서 메도라를 보고 첫눈에 반해 부하들과 함께 그녀를 구출한다. 메도라의 간청으로 사로잡힌 다른 여성 노예들도 풀어주려 하지만, 부하 비르반토의 배신과 랑케뎀의 계략으로 잠든 사이 메도라를 다시 빼앗긴다. 순례자로 변장하여 파샤의 궁전에 잠입해 메도라를 구하려다 사로잡혀 사형 선고를 받지만, 메도라와 굴나르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한다.
  • '''굴나르''': 메도라의 친구이자 세이드 파샤의 하렘에 있는 노예. 때로는 파샤를 조롱하기도 하지만 그의 총애를 받는다. 하렘으로 끌려온 메도라를 위로하고, 메도라와 콘라드가 탈출할 수 있도록 결혼식에서 메도라 대신 신부 역할을 하는 등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 '''세이드 파샤''': 부유하고 권력이 있는 터키총독. 노예 시장에서 메도라의 아름다움에 반해 큰 돈을 주고 사들여 자신의 하렘에 두려 한다. 메도라를 되찾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며, 콘라드를 사로잡은 뒤 메도라에게 자신과 결혼하면 콘라드를 살려주겠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메도라와 굴나르의 계략에 속아 넘어간다.
  • '''비르반토''': 콘라드의 부하 해적. 콘라드가 여성 노예들을 풀어주려는 것에 반발하며 그를 배신한다. 랑케뎀과 손잡고 콘라드를 잠들게 한 뒤 메도라를 납치하는 데 가담한다. 이후 메도라에 의해 정체가 발각되고, 최후에는 콘라드에 의해 바다에 던져진다.
  • '''랑케뎀''': 노예 상인. 처음에는 메도라의 보호자였으나, 세이드 파샤가 제시한 높은 가격에 그녀를 팔아넘긴다. 해적들에게 납치되었다가 풀려난 뒤, 비르반토 등과 공모하여 콘라드에게 수면제가 든 꽃을 건네 잠들게 하고 메도라가 다시 납치되도록 돕는다. 이후 메도라를 세이드 파샤에게 다시 넘긴다.
  • '''알리''': 콘라드의 충실한 노예. 이 역할은 표트르 구세프가 1955년 말리 극장 발레단을 위해 안무한 버전에서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이다. 소련 초기 프로덕션에서 '해적 파 드 되'에 등장했던 노예 역할에서 발전한 것으로, 특히 뛰어난 기량을 요구하는 춤으로 유명하다.[2]

5. 음악

이 작품의 음악은 복잡한 경위를 거쳤다.


  • 마리우스 프티파1858년에 이 작품의 공연을 맡았을 때, 체사레 푸니가 몇 곡을 새로 작곡하고 기존 음악도 수정했다.
  • 1867년에 파리에서 재공연되었을 때, 레오 들리브가 3막에 '꽃의 왈츠'[5]와 바리에이션 곡을 작곡했다.
  • 1868년에 프티파가 재공연했을 때, 들리브의 음악도 도입했다.
  • 1899년에는 리카르도 드리고, 레온 민쿠스의 곡이 추가되었다.
  • 이후 앙투안 시몽, 올덴부르크 공작 등의 곡이 더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조

[1] AV media Pas d'esclave – Ekaterina Klyavlina (Gulnare) + Yury Vybornov (Lankendem) https://www.youtube.[...] 2018-08-07
[2] 웹사이트 Le Corsaire https://2011.bolshoi[...] The Bolshoi Theater 2022-02-25
[3] 웹사이트 Prince Oldenberg – ABT http://www.abt.org/e[...]
[4] 서적 マジリエ版は第1幕が奴隷市場の場面から始まるなど、近年のものとは筋立てが異なる。マジリエ版の完訳は平林正司(訳)著 『十九世紀 フランス・バレエの台本』 2000年, ISBN 4-7664-0827-6, pp.184-193. を参照。
[5] 문서 『ナイラ・ワルツ』として現在でもよく演奏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