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향로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로(기독교)는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향을 태우는 데 사용된다.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thuribl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thuribulum'을 거쳐 '향'을 의미하는 'thus'에서 파생되었다. 기독교에서는 로마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사용되며, 각 교파와 전례에 따라 사용 방식과 의미가 다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미사, 성체 강복, 성체 조배 등에서 사용되며, 성공회에서는 예배의 특정 시점에 사용된다. 동방 정교회는 예배, 기도, 장례 등에서 향을 자주 사용하며, 성령의 은총과 성인들의 기도를 상징한다. 향로는 금속 그릇에 숯과 향을 넣고 뚜껑을 덮어 사용하며, 흔들거나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2. 어원

''향로''는 고대 프랑스어 thurible|튀리블fro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thuribulum|투리불룸la에서 파생되었다. 라틴어 thuribulum|투리불룸la은 '향'을 의미하는 thus|투스la에서 파생되었다. Thus|투스la고대 그리스어 단어 θύος|thuos|티오스grc의 변형으로, 이는 "제물로 바치다"라는 의미의 θύειν|thuein|티에인grc에서 파생되었다.[1]

3. 기독교

장례식에서 두 명의 복사가 신자들을 향해 향로를 흔들고 있다.


로마 미사 경본의 1969년 개정판은 모든 미사에서 향 사용을 허용한다. 향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5]

  • 입당 행렬
  • 미사 시작 시 십자가와 제대에 분향
  • 복음 행렬과 선포
  • 빵과 성작을 제대에 놓은 후 예물, 십자가, 제대, 사제와 신자에게 분향
  • 축성 후 성체와 성작 거양 시


성체 강복과 성체 조배에서도 향이 사용되며, 성체성합이 아닌 성광에 노출될 경우 필수적이다.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가 제대를 축성할 때 제대에 향을 태우기도 한다.

로마 미사 전례서는 향로 사용 시 흔드는 횟수를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흔드는 횟수대상
세 번거룩한 성사, 십자가의 성 십자가 유물과 공적인 경배를 위해 노출된 주님의 형상, 미사 제사의 예물, 제대 십자가, 복음서, 파스카 초, 사제, 신자
두 번공적인 경배를 위해 노출된 성인들의 유물과 형상 (제대 분향 후, 예식 시작 시에만)
단일 흔들기제대



사제는 향로로 예물 위 십자가를 그리는 것으로 분향할 수 있다 (세 번 흔드는 대신).[6]

204x204px


향로 담당자의 책임은 다음과 같다.

  • 사제가 향을 넣고 십자 성호로 축복할 수 있도록 향로를 열어둠.
  • 행렬에서 향로 운반 (필요시 부드럽게 흔듦).
  • 사제나 부제가 필요할 때 향로 제시.
  • (부제가 없을 경우) 사제가 미사 예물에 분향 후 사제에게 분향.


과거 "배 보이", 현재 "향 그릇 운반자"는 향 그릇/용기를 운반하여 향 입자를 추가한다.[1]

1969년 이전 로마 미사 경본은 예물을 향로로 세 번 십자가를 긋고 세 번 원을 그리도록 지시했다 (처음 두 번은 반시계 방향, 마지막은 시계 방향).[7] 제대 분향은 성소 뒷벽 부착 제대는 29곳, 독립형 제대는 22곳에서 단일 흔들기로 지시했다.[1]

1960년 전례 규정집은 장엄 미사와 ''미사 칸타타''에서 향을 사용했지만, 저녁 미사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8]

암브로시아 예식에서 향로는 덮개가 없고, 분향 전 시계 방향으로 흔든다.[9]

성공회 교회에서 사용되는 향로, 뚜껑이 열려 있고 나무 받침대에 매달려 있다.


19세기 말 잉글랜드 성공회에서 향 사용이 중단되었고[10] 불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1][12] 오늘날 성공회에서 향 사용은 교회주의를 보여주는 지표이다.[13] 앵글로-가톨릭 교회는 많은 향을 사용하며, 일부 중간적 교회는 특별한 경우에 사용한다. 향과 종 사용은 "냄새와 종소리"라고 불린다.[14]

성공회에서 향 사용 지점은 다양하다.

  • 입례 행렬에 향을 사용하면 향로 담당자가 행렬을 이끌고, 주교나 사제가 입례문 직후 또는 ''영광송'' 동안 향을 뿌린다.[15][16][17]
  • 복음 봉독 시에도 향을 사용하며, 복음 선포 후 복음서는 왼쪽, 중앙, 오른쪽 순으로 향을 뿌린다.[18]


성공회가 한 지점에서만 향을 사용한다면 예물 봉헌 시이다.[19] 예물과 제단에 먼저 향을 뿌리고, 사제(세 번), 다른 성직자(복음 측 한 번, 서신 측 한 번), 성가대(양쪽 한 번 또는 세 번), 회중(복음 측 한 번, 서신 측 한 번, 중앙 한 번)에게 향을 뿌린다.[20][21]

향은 만도 노래 축제인 장엄한 저녁 기도 때도 사용된다.[22]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예식 동방 가톨릭 교회는 성찬례[1], 저녁 기도, 아침 기도, 예식서 등에서 향을 자주 사용한다. 장례와 추모 예배(파니히다) 동안 향로는 거의 끊임없이 흔들린다.

향은 성령의 성화 은총과 천국으로 올라가는 성인들의 기도를 상징한다. 향은 사제나 부제가 드리며, 교회 관리인(사제)와 부사제가 예배 중 향을 피우기도 한다.

향로(, ; 교회 슬라브어: Кадило, Кадильница)는 은, 황동, 금 도금 (동방 박사, 유향, 몰약을 향으로 바침)된 금속 그릇(받침대), 구멍 뚫린 뚜껑(십자가 얹힘), 세 개의 바깥쪽 사슬(삼위일체), 뚜껑 연결 네 번째 안쪽 사슬(하나님의 단일성)로 구성된다. 바깥쪽 사슬은 원추형 판에 부착, 안쪽 사슬은 구멍 통과 후 고리 부착 (뚜껑 개폐)한다. 그리스 및 일부 러시아 관습은 열두 종을 사슬에 부착 (열두 사도 가르침 상징).[1] 향로는 이콘이나 준보석으로 장식되기도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성소 갈고리에 건다.

향 피울 때 사제/부제는 원추형 판 아래 한 손(오른손)으로 잡고 흔든다. 두 번 수직, 세 번째 수평 흔들림으로 십자 성호를 그린다 (세 번 흔들림은 삼위일체 상징).

성전 (교회 건물) 분향 시, 사제/부제는 시계 방향으로 성상, 성찬대 (제단), 성소, 이코노스타시스, 성전 벽, 성직자, 신자 순으로 향 피운다. 대향(성전 전체, 모든 사람), 소향(일부, 사람)이 있다.

대향 시 향 피우는 성직자는 왼손에 촛불을 들기도 한다. 부활절 (부활절 일요일 시작 주간) 사제/부제는 모든 향에 부활절 촛불을 든다. 부활절 인사와 함께 회중에게 인사한다. 장례와 추모 예식에는 가 사용된다.

동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황제는 성탄절에 향을 드릴 수 있었지만, 다른 사제 직은 허용되지 않았다.

사제 없을 시 독서자/선임 평신도가 손잡이 향로(손잡이/가장자리 종)로 향 드릴 수 있다. 손 향로는 수도원에서 수도자가 행하는 특정 향에 사용된다.

성주간에는 사제/부제도 손 향로를 사용 (겸손, 애도 표시)한다.

신자들은 집에서 손 향로 사용 (아침/저녁 기도), 가장이 이콘과 가족 축복하기도 한다.

동방 정교회 향로, 금색에 사슬 4개와 종

4. 기타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중 "방앗간 주인의 이야기"에서 압솔론은 "Gooth with a sencer|향로의 중세 영어 철자enm on the haliday, / Sensynge the wyves of the parisshe faste; / And many a lovely look on hem he caste|enm"(3340–3342행)라고 언급된다.

참조

[1] 간행물 Holy Smoke: The Use of Incense in the Catholic Church https://www.scribd.c[...] Tixlini Scriptorium 2011
[2] 문서 Reference at Masonic Encyclopedia
[3] 서적 A Priest's Handbook - The Ceremonies of the Church Moorehouse Publishing
[4] 서적 Magick Samuel Weiser
[5] 웹사이트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276 http://www.liturgyof[...]
[6] 웹사이트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277 http://www.acbc.cath[...]
[7] 문서 Ritus servandus in celebratione Missae, VII, 10
[8] 문서 Code of Rubrics, 426 https://www.ceremoni[...]
[9] Youtube this video https://www.youtube.[...]
[10] 서적 The Parson's Handbook Mowbray
[11] 웹사이트 Incense in Church (The Anglican Catholic Church) http://www.anglicanc[...]
[12] 웹사이트 Illegal Ritual in the Church of England: Being a List of Unlawful Practices with Extracts from the Judgments Relating to Them (Church Association Tract 269), p. 6 http://archive.churc[...]
[13] 웹사이트 Anglicanism for Beginners: Thurible https://priestwife.c[...]
[14] 웹사이트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https://www.episcopa[...]
[15] 서적 The Bishop Is Coming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16] 웹사이트 Directions for the Use of Incense at High Celebration of the Holy Eucharist (Canterbury Project) http://anglicanhisto[...]
[17] 웹사이트 The Ministry of Thurifer (Cathedral Church of Saint Matthew) http://www.vgdd.org/[...]
[18] 문서 Marshall (2007), p. 57
[19] 문서 Marshall (2007), p. 41
[20] 문서 Marshall (2007), p. 62
[21] 웹사이트 Thurifer (Calvary Episcopal Church, Cleveland MS) http://calvaryclevel[...]
[22] 문서 Marshall (2007), p. 78
[23] 웹사이트 1.3 The Miller's Prologue and Tale https://chaucer.fas.[...] 2020-05-18
[24] 웹사이트 正教会にわくわくの好奇心をお持ちの方に http://www.orthodox-[...]
[25] 웹사이트 カトリックの祈り: 里山のフクロウ http://minoma.moe-ni[...]
[26] 웹사이트 三光教会(日本聖公会) - 三多摩の鐘 https://blog.goo.ne.[...]
[27] 웹사이트 正教の奉神礼 炉儀 http://www.orthodox-[...] 名古屋ハリストス正教会
[28] 웹사이트 炉儀 http://www.orthodox-[...] 名古屋ハリストス正教会
[29] 웹사이트 香炉・炉儀 http://www.orthodox-[...] 名古屋ハリストス正教会
[30] 웹사이트 24復活祭 http://www.orthodo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