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향은 보스웰리아속 나무에서 채취하는 방향성 수지로, 젖을 의미하는 아랍어 "al-lubān"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이집트, 유대교, 기독교 등 종교 의식에서 신성한 향으로 사용되었으며, 동방 박사가 예수에게 바친 선물 중 하나로 묘사된다. 유향은 소말리아와 아라비아 반도에서 5,000년 이상 거래되었으며, 향료 무역로와 관련되어 레바논의 이름과 어원을 공유한다. 유향은 종류에 따라 성분과 향이 다르며, 향로, 향수, 천연 의약품, 에센셜 오일 제조에 사용된다. 최근 과도한 채취로 인해 유향 나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 - 모기향
모기향은 모기를 쫓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1886년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나선형, 매트형, 액상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피레트린, 알레트린 등의 살충 성분을 포함하며, 연기, 유해 물질, 화재 위험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향 - 몰약
몰약은 Commiphora 속 나무에서 채취하는 수지로, 고대부터 분향료, 향수,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성경에도 언급되고 현대에는 의약품, 향료 등으로 사용된다. - 감람나무과 - 유향나무
유향나무는 오만과 소말리아 등지에 서식하며 수지 생산으로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2~8m 크기의 낙엽수로, 종이 질감의 껍질과 겹잎이 특징이며, 특히 수지는 고품질로 평가받고 다양한 문화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감람나무과 - 감람나무속
감람나무속은 올리브나무를 포함하여 감람나무, 올리브나무, 올리브 등으로 불리는 식물과 열매를 아우르며, 온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식용, 올리브 오일 생산,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수지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수지 - 송진
송진은 여러 소나무에서 채취하는 수지 성분으로, 황색 또는 갈색을 띠는 투명한 고체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납땜 시 발생하는 연기나 로진 코팅 제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유향 | |
---|---|
기본 정보 | |
종류 | 방향성 수지 |
어원 | 프랑스어 franc encens (고귀한 향) |
학명 | 보스웰리아속 (Boswellia) 나무에서 채취 |
주요 생산지 | 오만 예멘 인도 소말리아 |
역사적 용도 | 종교 의식 향수 의약품 |
식물학적 정보 | |
속 | 보스웰리아속 (Boswellia) |
채취 방법 | 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어 수액을 채취, 굳혀서 얻음 |
구성 성분 | |
주요 성분 | 정유 수지 고무 |
효능 및 용도 | |
전통 의학 | 진통제, 소염제, 살균제 등으로 사용 |
현대 의학 | 항암 효과, 항염 효과 등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기타 용도 | 향수 원료 아로마테라피 종교 의식 (기독교, 이슬람교 등) |
주의사항 | |
과다 사용 |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
임산부 | 사용에 주의 |
2. 어원
'유향(乳香)'이라는 이름은 나무에서 채취한 수지가 우유처럼 하얀색을 띠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아랍어 명칭과도 관련이 있다. 아랍어 이름 اَللُّبَان|알-루반ar은 '젖' 또는 '우유'를 의미하는 لَبَن|라반ar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61]. 여기서 ال-|알-ar은 정관사이며, 정관사 없는 명사 형태는 لُبَان|루반ar이다. 이 아랍어 단어는 중세 라틴어 olibanum|올리바눔la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영어 명칭 frankincense|프랑킨센스영어는 '진짜 향' 또는 '고품질의 향'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표현 franc encensfro에서 유래했다[3][4][62]. 고대 프랑스어 형용사 francfro는 '고귀한', '진짜'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순수한'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단어가 궁극적으로 프랑크족의 이름에서 파생되었지만, 'frankincense'라는 단어 자체는 프랑크족을 직접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5].
신약성경의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유향을 λίβανος|리바노스grc 또는 λιβανωτός|리바노토스grc라고 불렀다. 이 단어는 레바논의 이름(Λίβανοςel)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이는 두 단어 모두 '하얗다'는 의미의 어근에서 파생되었거나, 향료 무역로가 레바논 산(그리스어: Λίβανος|리바노스grc)을 통과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7][6].
중세 라틴어 olibanum|올리바눔la은 그리스어 λίβανοςel나 라틴어 libanusla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단어 앞의 'o-'는 라틴어 oleumla(기름)이나 그리스어 또는 아랍어의 관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8].
그 외에도 유향은 다양한 언어로 불리는데, 예를 들어 페르시아어 کندر|콘도르fa, 시리아어 בוּסמִין|부스민syr, 히브리어 לבונה|르보나he, 벵골어 লোবান, ধুনো|로반, 두노bn, 소말리어 foox|폭스so, 튀르키예어 akgünlük|악귄뤽tr, 고전 라틴어 tūsla 등이 있다[9].
3. 역사
유향은 5,000년 이상 소말리아 반도와 아라비아 반도에서 거래되어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27] 기원전 40세기 무렵 이집트의 분묘에서 매장품으로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부터 이미 향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향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전통은 고대 유대인들에게도 이어져, 성경에는 신에게 바치는 향을 만드는 방법에 유향이 언급되어 있다.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의 저서 ''역사''에서 유향이 아라비아 남부의 나무에서 수확되며, 날개 달린 뱀[28]이 나무를 지키고 있어 스토랙스 발삼 연기로 쫓아낸다고 기록했다.[29][30] 대 플리니우스 역시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유향을 언급했다.[31][32] 로마 제국에서도 기독교 전파 이전에 유향이 사용되었다.
기독교 전통에서는 마태오 복음서에 기록된 대로, 베들레헴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났을 때 동방 박사가 바친 세 가지 선물(금, 유향, 몰약)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36][59]
고대 서아시아 및 지중해 주변 지역에서는 유향이 방충제, 종교 의식, 소염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수요가 높았다. 공급량이 부족할 때는 금과 같은 무게로 거래될 정도로 가격이 치솟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인도산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에서 추출된 유향(인디언 프랑킨센스)이 무역상을 통해 수입되기도 했는데, 마우리아 제국 시대(기원전 322년 - 기원전 185년)에 이미 인도에서 서아시아로 수출되었다는 기록과 전승이 남아있다. 인도에서도 유향은 오랜 역사를 가지며,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에 사용되었다.
고대 아라비아 남부는 유향의 주요 수출지였으며, 일부는 중국까지 거래되었다. 13세기 중국 송나라의 관리였던 자오루과는 그의 저서 제번지에서 유향(乳香|루샹zho 또는 薰陸香|쉰루샹zho)이 아라비아의 '말로바'(무르바트), '시헤'(시르), '누파'(도파르) 등 세 지역의 깊은 산속 나무에서 채취된다고 기록했다.[34] 그는 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온 수지가 굳으면 유향이 되며, 코끼리로 항구까지 옮겨져 배를 통해 산포치(삼불제)로 운송되기 때문에 산포치의 산물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설명했다.[35]
일본에는 10세기경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문헌의 훈향 처방에 유향이 등장한다.
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유향은 프랑크족 십자군[33]을 비롯한 서유럽인들이 비잔틴 제국을 방문하면서 서유럽에 다시 알려졌고, 이후 교회 예배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영어 이름 'frankincense'는 프랑크족 자체보다는 당시 서유럽으로 들어온 향의 높은 품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
16세기부터는 향수 제조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수증기 증류를 통해 얻은 정유나 용매 추출물(앱솔루트)이 활용되었다. 일본 정교회를 포함한 정교회에서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성찬 예식에서 향로에 유향을 피우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흔향로에도 사용된다.[60]
4. 종류 및 특징
유향 나무는 약 8~10년생이 되면 수지를 생산하기 시작한다.[10] 수액 채취는 1년에 2~3회 이루어지는데, 마지막 채취 시기에 얻는 수지가 향기로운 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디테르펜 함량이 가장 높아 최고 품질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수지가 높은 등급으로 평가받는다. 유향 나무는 오만, 예멘 등 아라비아 반도 남부,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케냐, 이집트 등 동아프리카, 그리고 인도[55] 등지에 자생한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수지가 분비되고, 이것이 공기와 만나 굳어진다. 1~2주에 걸쳐 유백색에서 주황색의 눈물 방울 모양 덩어리가 된 것을 채취한다. 수지의 성질은 나무의 종류나 산지에 따라 크게 다르다. 유향 나무는 재배가 어려워 자생지의 특산품이 되었으며, 한때는 같은 무게의 금과 거래될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다[56]. 과거에는 현재 오만에 속하는 아라비아 남부의 시슬에서 생산된 유향이 특히 유명했다[57]. 현재도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고품질 유향은 주로 오만에서 나온다. 오늘날 유향 생산량의 약 90%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 특히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 지역 사회에서 생산된다. 소말리아는 아기 예수에게 선물한 것으로 알려진 유향의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이다.[11]
주요 거래되는 유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학명 주요 서식지 비고 보스웰리아 프레레아나 소말리아 북부 보스웰리아 옥쿨타[12] 소말리아 오랫동안 보스웰리아 카르테리와 동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9년 연구 결과 에센셜 오일의 화학적 구성이 완전히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13] 보스웰리아 사크라 소말리아, 남아라비아 보스웰리아 바우-다지아나와 보스웰리아 카르테리는 이 종의 동의어이다.[15][16] 보스웰리아 세라타 인도 동의어: 보스웰리아 투리페라 보스웰리아 파피리페라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
유향에는 다양한 화학 화합물이 존재한다.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스웰리아 속 식물 중에서도 ''보스웰리아 사크라'', ''보스웰리아 세라타'', ''보스웰리아 파피리페라'' 세 종만이 상당한 양의 보스웰릭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5][26]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향 나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착취[17][18], 화재, 방목, 하늘소의 공격[19], 남획, 무분별한 개발, 유향 숲을 농경지로 전환하기 위한 개간[20] 등이 지목된다. 심하게 수지를 채취당한 나무는 씨앗 발아율이 16%에 불과한 반면, 채취하지 않은 나무의 씨앗은 80% 이상 발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에서는 향후 50년 안에 유향 나무 개체수가 약 90%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유향 생산의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58].
5. 생산
유향 나무는 약 8년에서 10년 정도 자라면 수지를 생산하기 시작한다.[10] 수액 채취는 1년에 2~3회 이루어지며, 마지막 채취 시기에 얻는 수지가 향기로운 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디테르펜 함량이 가장 높아 최상품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색의 수지가 품질이 좋다. 오늘날 생산되는 유향의 약 90%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 특히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 지역 사회에서 나온다. 소말리아는 아기 예수 탄생 설화에서 동방 박사가 선물했다고 전해지는 유향의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이다.[11]
유향 나무는 오만, 예멘 등 아라비아 반도 남부,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케냐, 이집트 등 동아프리카, 그리고 인도[55] 등지에 자생한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수지가 분비되고, 이것이 공기와 만나 1~2주에 걸쳐 유백색에서 주황색을 띤 눈물 방울 모양의 덩어리로 굳어진 것을 채취한다. 수지의 품질은 나무의 종류나 산지에 따라 크게 다르다. 유향 나무는 인공적인 재배가 어려워 자생지의 특산품이 되었으며, 과거에는 같은 무게의 금과 거래될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다.[56] 특히 현재 오만 영토인 아라비아 남부의 시슬(Shisr)에서 생산된 유향이 유명했다.[57]
주요 거래되는 유향 나무 종은 다음과 같다.
종명 | 주요 서식지 | 비고 |
---|---|---|
보스웰리아 프레레아나 | 소말리아 북부 | |
보스웰리아 옥쿨타[12] | 소말리아 | 오랫동안 보스웰리아 카르테리와 동일 종으로 취급되었으나, 2019년 연구 결과 에센셜 오일의 화학 성분이 완전히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13] |
보스웰리아 사크라 | 소말리아, 남아라비아 | 보스웰리아 바우-다지아나와 보스웰리아 카르테리는 이 종의 동의어이다.[15][16] |
보스웰리아 세라타 (동의어 보스웰리아 투리페라) | 인도 | |
보스웰리아 파피리페라 |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 |
소말리아에서는 바리와 사나그 지역에서 주로 유향을 수확한다. 주요 수확지는 에리 가보 북서쪽 산악 지대, 엘 아프웨인 구, 해안과 평행하게 뻗은 서쪽 절벽인 칼 마도우 산맥, 한타라와 하비노 고원을 포함하는 칼 미스케드, 유향 재배 절벽의 중간 부분, 그리고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카르카르 산 등이다.[37][18]
오만의 도파르주, 특히 살랄라 북쪽 지역에서도 유향 나무가 자생하며[38] 양질의 유향이 생산된다. 이곳에서 생산된 유향은 고대 해안 도시 숨후람(현재 코르 로리)[38]과 고대 항구 알-발리드에서 거래되었다.[39] 이 유적들을 포함한 지역은 2000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유향의 땅'으로 등재되었다.[39]
매년 수천 톤의 유향이 거래되어 향로에서 피우는 종교 의식용 향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향수, 천연 의약품, 에센셜 오일 제조에도 널리 쓰인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착취로 인해 유향 나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7][18] 심하게 수액을 채취당한 나무에서 나온 씨앗은 발아율이 16%에 불과한 반면, 채취하지 않은 나무의 씨앗은 80% 이상 발아한다. 또한 화재, 방목, 하늘소의 공격[19], 그리고 유향 숲을 농경지로 전환하기 위한 무분별한 개발[20] 등도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향후 50년 안에 유향 나무가 약 90% 감소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기도 한다.[58]
6. 생태적 상태 및 보존
199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주요 유향 나무 종 중 하나인 ''Boswellia sacra''가 "위협 근접" 상태라고 경고했다. 유향 나무는 CITES의 보호 대상은 아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Boswellia'' 속 전체가 보호 기준을 충족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유향 나무의 개체 수는 감소하고 있다. 2006년 와게닝겐 대학교 & 연구소의 한 생태학자는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에리트레아에서 ''Boswellia papyrifera'' 나무를 찾기 어려워졌다고 보고했다. 2019년 발표된 연구는 이 종이 향후 20년 안에 50%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주로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에서 발견되는 ''Boswellia papyrifera''는 전 세계 유향 생산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중요한 종이다.
이러한 감소의 주요 원인은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수확이다. 대부분의 ''Boswellia'' 속 나무는 빈곤과 분쟁에 시달리는 혹독하고 건조한 지역에서 자란다. 나무의 수지를 채취하고 판매하는 것은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몇 안 되는 수입원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경제적 필요에 의해 과도한 수확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2] 최근에는 화재, 하늘소에 의한 피해, 남획, 무분별한 개발, 농경지 전환 등도 유향 나무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향후 50년 안에 유향 나무가 약 90%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지속 불가능한 수준임을 시사한다.[58]
7. 이용
유향은 고대부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종교 의식 및 정화
- 고대 이집트: 기원전 40세기 무렵 분묘에서 매장품으로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미 태워서 향으로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향으로 사용되었으며[54], 미라화 과정에서 나트론과 함께 신체 내부를 정화하는 데 쓰였다.
- 유대교: 향 공물은 고대 히브리인의 희생 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43] 출애굽기 (30:34–38)는 유향을 다른 세 가지 방향성 향신료와 같은 양으로 섞어 가루로 만든 뒤, 광야 성막의 언약궤 앞에서 성스러운 제단에서 태우도록 규정했다. 이는 향기를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성한 공물로 여겨졌다. 학자들은 예레미야서 (6:20)에서 언급된 유향이 기원전 6세기 바빌론 유수 시대에 시바에서 수입된 것으로 본다.[44]
- 기독교: 신약 성경 마태복음 2장 11절에 따르면, 유향은 동방 박사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아기 예수에게 바친 세 가지 선물(금, 몰약과 함께) 중 하나였다.[59]
- 아브라함 계통 종교: 집이나 건물을 나쁜 기운으로부터 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퇴마 의식이나, 몸에 향 연기를 쐬어 축복하는 행위(예: 페르시아만 문화권의 bakhoor)가 포함된다.
- 정교회: 일본 정교회를 포함한 정교회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성찬 예식에서 향로에 유향을 자주 태우며, 흔향로에도 사용한다.[60]
의약품
- 페르시아 의학: 이란 전통 의학에서는 당뇨병, 위염, 위궤양 치료에 사용된다.[42]
- 중국 전통 의학: 乳香|rǔ xiāng중국어은 몰약(沒藥|mò yào중국어)과 함께 항균성이 있고 혈액 순환을 돕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소적으로 바르거나 경구로 복용하며, 외과 및 내과 치료에 모두 사용된다. 통증 완화, 어혈 제거, 혈액 순환 촉진, 난청, 뇌졸중, 턱 굳음, 여성의 생리 이상 치료에 쓰인다.
- 인도 아유르베다: 인도에서의 유향 역사도 오래되어 인도의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에 사용되었다.
향수 및 향료

유향의 에센셜 오일은 나무 수지를 증기 증류하여 생산한다. 오일의 화학 성분은 주로 모노테르펜(알파-피넨, 리모넨, 알파-투젠, 베타-피넨 등)과 세스퀴테르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케톤도 포함된다. 소량의 디테르페노이드 성분도 존재한다.[45][46][47][48] 일부 상업적 주장과 달리, 증기 증류된 유향 오일에는 분자량이 커서 휘발성이 낮은 보스웰산(트리테르페노이드)이 포함되지 않지만, 용매 추출물에는 존재할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은 희석하여 피부에 바르거나 향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49] 또한 식품 및 음료에 향료로 첨가되기도 한다.
향수 제조에는 16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시트러스 계열, 인센스풍, 오리엔탈 계열, 플로럴 계열 등 다양한 향수에 활용된다. 벤젠 등의 용매로 추출한 앱솔루트는 향의 정착제로 쓰인다.
아로마테라피 및 기타
- 아로마테라피: 아로마테라피에 정유가 사용되지만, 수지를 태울 때의 성분과는 다르므로 향으로서의 효능을 그대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정유는 강한 자극 작용이 있으며, 산지나 추출법에 따라 성분이 달라 효능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향을 즐기는 목적으로 정유를 마사지 등과 병용하면 아로마테라피에서의 이용도 유익할 수 있다. 정유의 향은 흥분 작용을, 수지를 태운 향은 이완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정유는 강력한 항균 활성을 가지지만, 항진균 작용은 매우 약하다.[54]
- 역사적 가치 및 무역: 고대 서아시아 및 지중해 주변 지역에서는 방충제, 종교 의식, 소염제로 사용되었던 점도 있어 수요가 높았으며, 공급량(수확량)이 부족할 때는 가격이 폭등하여 금과 같은 무게로 거래된 기록이 있다. 또한 서아시아 및 지중해 주변 지역에서 유향 가격이 폭등했을 때는 인도산 보스웰리아 세라타에서 추출된 유향(인디언 프랑킨센스)이 무역상인에 의해 수입되었다. 적어도 마우리아 제국 시대(기원전 322년 - 기원전 185년)에는 무역을 통해 인도에서 서아시아로 수출된 것으로 보이는 기록 및 민간 전승 사본이 몇 개 있다.
- 일본 전래: 일본에는 10세기 무렵 훈향 처방에 기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8. 한국과 유향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
8. 1. 불교와 유향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8. 2. 기타 종교
기원전 40세기 이집트의 분묘에서 매장품으로 유향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이미 태워서 향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향으로 사용되었다. 신에게 바치는 향이라는 점은 고대 유대인들에게도 계승되었으며, 성경에도 신에게 바치는 향의 조제법에 유향이 언급되어 있다.또한, 베들레헴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났을 때 동방 박사가 예수 그리스도에게 바친 선물 중에 유향, 몰약, 황금이 있었다.[59]
일본 정교회를 포함한 정교회에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성찬 예식에서 향로에 유향을 빈번히 태워 사용한다. 흔향로에도 유향이 사용된다.[60]
인도에서도 유향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인도의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에서 사용되었다.
9. 연구
유향에 대한 성분 분석 및 효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활성 성분 중 하나로 보스웰릭산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항염 및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향에는 다음과 같은 화학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분 | 함량 및 특징 | 화학식 | 출처 |
---|---|---|---|
산성 수지 | 6%, 알코올에 용해 | C20H32O4 | [21] |
검 | 30–36%, 아라비아 검과 유사 | [21] | |
3-아세틸-베타-보스웰릭산 | 보스웰리아 사크라에서 발견 | [22] | |
알파-보스웰릭산 | 보스웰리아 사크라에서 발견 | [22] | |
인센솔 아세테이트 | C21H34O3 | [23] | |
펠란드렌 | [21] | ||
올리바닉산 | [24] |
''보스웰리아'' 속의 여러 식물 중에서도 ''보스웰리아 사크라'', ''보스웰리아 세라타'', ''보스웰리아 파피리페라'' 종에서만 상당한 양의 보스웰릭산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5][26]
일부 제한적인 임상 연구에서는 특정 질병 상태에서 유향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미약한 증거를 제시하기도 했으나, 연구 결과의 일관성이 부족하고 연구의 질이 낮아 명확한 효과를 결론 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다.[40][41]
유향의 에센셜 오일은 나무 수지를 증기 증류하여 생산된다. 이 오일의 화학 성분은 주로 모노테르펜(알파-피넨, 리모넨, 알파-투젠, 베타-피넨 등), 세스퀴테르펜, 케톤(약 75%)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디테르페노이드 성분도 포함된다.[45][46][47][48] 일부 상업적 주장과는 달리, 증기 증류 방식으로 얻은 유향 오일에는 분자량이 커서 휘발성이 낮은 보스웰릭산(트리테르페노이드)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만, 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에는 보스웰릭산이 존재할 수 있다.[45]
에센셜 오일은 희석하여 피부에 바르거나 방향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49] 수증기 증류로 얻은 정유는 식품 및 음료의 향료로 첨가되기도 하며, 향수 제조에도 널리 이용된다. 특히 시트러스 계열, 인센스풍, 오리엔탈 계열, 플로럴 계열 등 다양한 타입의 향수에 활용된다. 벤젠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앱솔루트(absolute)는 향의 지속성을 높이는 정착제로 많은 향수에 사용된다. 유향이 수천 년간 종교 의식에 사용되어 온 점을 고려할 때, 향으로 피웠을 때의 방향 성분은 이완이나 명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54]
아로마테라피에서도 정유가 사용되지만, 이는 수지를 태웠을 때 발생하는 성분과는 다르므로, 수지를 태웠을 때의 향 효능을 그대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정유는 강한 자극 작용을 가질 수 있으며, 산지나 추출 방법에 따라 성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효능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향을 즐기는 목적으로 정유를 마사지 등과 병행한다면 아로마테라피 측면에서 유익할 수 있다. 정유의 향은 흥분 작용을, 수지를 태운 향은 이완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유는 강력한 항균 활성을 보이지만, 진균(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작용은 매우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OLIBANUM
https://www.merriam-[...]
2023-12-03
[2]
뉴스
Frankincense trees—of biblical lore—are being tapped out for essential oil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9-12-13
[3]
웹사이트
Frankincense (n.)
https://www.etymonli[...]
2023-11-26
[4]
백과사전
Frankincens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33
[5]
웹사이트
Frank
https://www.etymonli[...]
2023-11-26
[6]
백과사전
lĭbănus
https://www.perseus.[...]
1879
[7]
서적
Israel and Hella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5
[8]
백과사전
Olibanu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13
[9]
백과사전
tūs
https://www.perseus.[...]
1879
[10]
웹사이트
Omani World Heritage Sites
https://web.archive.[...]
www.omanwhs.gov.om
2009-01-14
[11]
웹사이트
The Gift of Frankincense
https://www.halotrus[...]
The Halo Trust Organisation
2024-11-28
[12]
웹사이트
Boswellia occulta Thulin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07-16
[13]
간행물
Organic Certification is Not Enough: The Case of the Methoxydecane Frankincense
MDPI
2019-04
[14]
간행물
On the Genus Boswellia, with Descriptions and Figures of three new Species
https://babel.hathit[...]
1870
[15]
웹사이트
Boswellia carteri Birdw..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07-16
[16]
간행물
The Frankincense Trees (Boswellia spp., Burseraceae) of Northern Somalia and Southern Arabia
https://www.jstor.or[...]
1987
[17]
뉴스
Could This Be the End of Frankincens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9-07-05
[18]
뉴스
World's last wild frankincense forests are under threat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016-12-25
[19]
웹사이트
Christmas Staple Frankincense 'Doomed,' Ecologists Warn
http://www.foxnews.c[...]
LiveScience
2011-12-21
[20]
간행물
Manage or convert Boswellia woodlands? Can frankincense production payoff?
2013-02
[21]
웹사이트
Olibanum.—Frankincense.
http://www.henriette[...]
www.henriettes-herb.com
2009-01-14
[22]
웹사이트
Farmacy Query
https://web.archive.[...]
www.ars-grin.gov
2009-01-14
[23]
웹사이트
Incensole acetate
http://webbook.nist.[...]
[24]
간행물
The (+)-cis- and (+)-trans-Olibanic Acids: Key Odorants of Frankincense
2016-10
[25]
학위논문
Chemotaxonomic investigations on resins of the frankincense species Boswellia papyrifera, Boswellia serrata and Boswellia sacra, respectively, Boswellia carterii :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y chromatographic and spectroscopic methodology
https://publikatione[...]
Saarland University
2012-11-09
[26]
학위논문
Phytochemical Investigations on Boswellia Species
https://ediss.sub.un[...]
Universität Hamburg
2005-03-18
[27]
서적
A Modern Chinese Journey to the West: Economic Globalis]ation And Dualism
Nova Science Publishers
2006
[28]
문서
ὄφιες ὑπόπτεροι
[29]
위키문헌
The History of Herodotus
1904
[30]
위키문헌
Ιστορίαι (Ηροδότου)
1920
[31]
백과사전
THE TREES THAT BEAR FRANKINCENSE
[32]
위키문헌
Naturalis Historia
[33]
간행물
Holy Smoke in Medieval Funerary Rites: Chemical Fingerprints of Frankincense in Southern Belgian Incense Burners
2014-11-12
[34]
서적
Aspects of the Maritime Silk Road: From the Persian Gulf to the East China Se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5]
서적
Aspects of the Maritime Silk Road: From the Persian Gulf to the East China Se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6]
웹사이트
Biblical Magi
https://www.nga.gov/[...]
National Gallery of Art
2024-02-20
[37]
서적
Rebuilding Somalia: Issues and possibilities for Puntland
https://archive.org/[...]
HAAN
2001
[38]
논문
The Frankincense tree (Boswellia sacra, Burseraceae) from Oman: ITS and ISSR analyses of genetic diversity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10-03-18
[39]
웹사이트
Land of Frankincense
https://whc.unesco.o[...]
2024-06-11
[40]
논문
Frankincense: systematic review
2008-12
[41]
웹사이트
Frankincense, Indian; ''Boswellia serrata'', Roxb.
https://www.drugs.co[...]
Drugs.com
2024-08-16
[42]
논문
The Effects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of Diabetic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43]
문서
"The Jewish Encyclopedia, vol. VI, Funk and Wagnalls Company: New York 1904, p. 568"
[44]
서적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to the Present; Compiled from Original Authors and Illustrated with Maps, Cuts, Notes, Chronological and other Tables (part i)
https://archive.org/[...]
1734–1747
[45]
논문
A Fresh Look at the Constituents of Indian Olibanum Oil
[46]
논문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Olibanum from Various Countries
[47]
논문
A verticillane-type diterpene from Boswellia carterii essential oil.
2001-09
[48]
논문
Analysis of frankincense from various Boswellia specie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human drug metabolising cytochrome P450 enzym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fter automated on-line extraction
2006-04
[49]
웹사이트
Health Benefits of Frankincense Essential Oil
https://www.webmd.co[...]
2022-11-15
[50]
웹사이트
乳香の故郷
https://web.archive.[...]
[51]
Kotobank
[52]
웹사이트
かたち-聖器物や祭服: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ニュウコウ・乳香中医生薬解説
http://www.sm-sun.co[...]
[54]
서적
アロマセラピーサイエンス 科学的アプローチによる医療従事者のためのアロマセラピー
フレグランスジャーナル社
2011-05
[55]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Encyclopædia Britannica, Volume XI Slice I - Franciscans to French Language.
https://www.gutenber[...]
2023-10-23
[56]
논문
乳香とオマーン その歴史、文化、観光について
https://kuins.repo.n[...]
[57]
논문
乳香のはなし
https://www.jccme.or[...]
2020-01
[58]
웹사이트
Christmas Staple Frankincense 'Doomed,' Ecologists Warn
https://www.foxnews.[...]
2015-03-25
[59]
웹사이트
歳時記12乳香と没薬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Mt. Sinai Incense & Charcoal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اللبان شجرة صلبة ومؤرخة فكراً وروحاً
https://www.albayan.[...]
2017-09-10
[62]
웹사이트
frankincense
https://www.etymon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