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185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위는 1855년 경상북도 선산에서 출생하여, 일제강점기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분개하여 의병을 일으킨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고종의 밀서에 따라 의병을 해산하고 학문에 전념하다가, 관직에 등용되어 평리원 재판장 등을 역임했다. 한일의정서 체결에 저항하여 배일통문을 살포하고, 1907년 고종 퇴위와 군대 해산에 분노하여 다시 의병을 일으켜 13도 창의군에서 군사장으로 활약했다. 서울 진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1908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당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으며, 서울 왕산로와 구미 왕산허위선생기념공원에 그의 호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도 창의군 - 이인영 (1868년)
이인영은 1868년 출생하여 을미사변 이후 의병을 일으켰고, 13도 창의군 총대장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을 추서했다. - 13도 창의군 - 민긍호
민긍호는 대한제국 군인으로서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켜 항일 투쟁을 벌이다 일본군에 체포되어 순국한 의병장으로,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이 추서되었고 외손녀의 손자가 피겨 스케이팅 선수 데니스 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위정척사파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위정척사파 - 유인석 (1842년)
유인석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위정척사 사상에 기반하여 항일 의병 운동을 이끌었으며, 을사조약 체결 후 만주로 망명하여 한일 합방 반대 운동을 주도하다가 만주에서 생을 마감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한말 의병장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한말 의병장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허위 (1854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허위 |
한자 이름 | 許蔿 |
출생일 | 1854년 4월 1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선산군 |
사망일 | 1908년 9월 27일 |
사망지 | 대한제국 한성부 |
국적 | 조선→대한제국 |
본관 | 김해 |
경력 | |
주요 경력 | 원구단 참봉 성균관 박사 중추원 의관 평리원수반판사 평리원 재판장 의정부 참찬 비서원승 13도 창의군 군사장 |
독립운동 | |
관련 활동 | 독립운동 |
주요 활동 | 항일의병 을미의병 정미의병 |
상훈 | |
상훈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한국 이름 | |
한글 표기 | 허위 |
한자 표기 | 許蔿 |
개정 로마자 표기 | Heo W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ŏ Wi |
예일 표기 | He Wi |
2. 생애
허위는 1855년 경상북도 선산군 임은동에서 태어났다.[1] 1896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분개하여 의병을 일으켰고, 1899년부터 5년간 성균관 박사, 중추원 의관, 평리원 재판장 등을 역임했다.[1] 1904년 한일의정서 강제 체결에 반대하였고, 1905년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는 격문을 살포한 죄로 체포되었다가 풀려났다.[1]
1907년 고종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 이후 경기도 연천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13도 창의군 군사장을 맡아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이후에도 연합 의병을 이끌며 유격전을 벌이다 1908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3]
2. 1. 의병 활동 이전 (1855~1907)
1855년 4월 1일 경상북도 선산군 임은동에서 허조(許祚)의 넷째 아들로 출생하였다.[1]1896년 3월 일제에 의한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분개하여 김산(지금의 김산)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참모장으로 활동하며 성주, 충청도 진천 등지에서 활동하다 고종의 밀서에 따라 의병을 해산하고 청송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1]
1899년 3월 천거로 성균관 박사, 중추원 의관, 평리원 재판장, 의정부 참찬, 비서원 승을 역임하고 종2품 가선대부에 이르렀다.[1] 1904년 사법 기관인 평리원의 재판장 서리가 되었다. 이후 한일의정서 강제 체결에 이상천, 박규병 등과 함께 ‘배일통문’을 살포하며 반대했다.[1]
1905년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는 격문을 살포한 죄로 체포되어 4개월 간 구금되었다가 관직을 사임하고 김천 지례로 은거하였다.[1]
2. 2. 의병 활동 (1907~1908)
1907년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하고 군대가 해산되자, 허위는 경기도 연천에서 의병을 일으켰다.[3] 전국 각지의 의병부대들이 양주에 집결한다는 소식을 듣고 1만여 명의 의병들이 모여 13도 창의군을 결성하였다.[3]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허위는 군사장(경기대장 겸임)을 맡았다.[3]13도 창의군은 서울 일제통감부를 공격하기 위해 허위가 300여 명의 선발대를 지휘하여 서울 근교까지 진군하였으나, 본대 도착 지연과 일본군의 기습으로 연천으로 패퇴하였다.[3] 이때 부친상으로 귀향한 총대장 이인영이 허위에게 총대장 역할을 당부하였다.[3]
이후 허위는 조인환, 권준 등과 연합하여 임진강과 한탄강 유역에 재집결하고 연합 의병의 총대장이 되어 유격전을 벌였다.[3] 이때 총리대신 이완용은 사람을 보내 관찰사나 내부대신의 자리를 주겠다며 회유했으나, 허위는 굽히지 않고 이를 꾸짖어 돌려보냈다.[3] 이강년, 유인석, 박정빈 등과 함께 결사 항전을 주장한 강경파로 활동하며 한일 강제 병합을 추진 중이던 일본을 끈질기게 괴롭혔다.[3]
2. 3. 체포 및 순국 (1908)
1908년 5월 24일 연천에서 일본 헌병 부대의 기습을 받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경성감옥)에 투옥되었다. 같은 해 9월 27일 경성감옥에서 제1호 사형수로 교수형을 당해 순국하였다.3. 사후
1962년 대한민국 정부는 허위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1]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왕산로는 그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다.[2] 구미시에는 왕산허위선생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다.[3]
4. 가계
허위는 허조의 아들 4형제 중 막내였다. 맏형 허훈은 3천 두락의 전답을 팔아 허위의 항일 투쟁에 군자금을 댔고,[1] 셋째 형 허겸은 허위와 함께 의병 투쟁을 했다. 둘째 형 허신은 일찍 세상을 떠났다.
허위 집안은 일제의 국권 침탈 음모에 맞서 의병 투쟁으로 격렬히 저항했다. 허위 사후,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견디다 못한 허겸이 허위의 자녀들을 데리고 1912년 서간도로 망명했고, 사촌들도 뒤를 따랐다. 종질 허형식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독립운동에 나섰는데, 이로 인해 자손들이 해외에 뿔뿔이 흩어져 어려운 생활을 하게 되었다. 독립운동가의 자손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는 문제가 제기될 때 허위의 후손들 예가 종종 인용된다.[2][3][4][5]
4. 1. 세계(世系)
1세 염(琰) → 2세 군언(君彦) → 3세 자(資) → 4세 징(澂) → 5세 평(枰) → 6세 증(增) → 7세 언룡(彦龍) → 8세 을충(乙忠) → 9세 수(俢) → 10세 종의(宗義) → 11세 숙통(淑通) → 12세 인수(仁壽) → 13세 국정(國楨) → 14세 세절(世節) → 15세 경윤(景胤) → 16세 호(灝) → 17세 시흥(時興) → 18세 재(梓) → 19세 부(孚) → 20세 박(璞) → 21세 돈(暾) → 22세 운(亻雲) → 23세 조(祚) → 24세 위(蔿)4. 2.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증조부 | 허돈(許暾) | 1753년 ~ 1815년 | |
증조모 | 철성 이씨(鐵城李氏) | ||
조부 | 허운(許亻雲) | 1789년 ~ 1870년 | |
조모 | 청주 정씨(淸州鄭氏) | ||
아버지 | 허조(許祚) | 1817년 ~ 1881년 | |
어머니 | 진성 이씨(眞城李氏) | ||
형 | 허훈(許薰) | 1836년 ~ 1907년 | 의병운동 지원, 애국장(1990) |
형 | 허신(許藎) | 1843년 ~ 1870년 | |
형 | 허겸(許蒹) | 1851년 ~ 1940년 | 만주 망명, 부미단 초대단장, 애국장(1991) |
여동생 | 류도훈(柳道薰)에게 출가 | ||
여동생 | 장유원(張有遠)에게 출가 | ||
부인 | 순천 박씨(順天朴氏) | ||
장녀 | 이기영(李起永)에게 출가 | ||
차녀 | 장세철(張世喆)에게 출가 | ||
부인 | 평산 신씨(平山申氏) | ||
장남 | 허학(許壆) | 1887년 ~ 1941년 | 애국장(1991) |
며느리 | 순천 박씨(順天朴氏) | 1888년 ~ 1979년 | |
손녀 | 허경놈 | 1922년 ~ 1997년 | |
손녀 | 허로자 | 1927년 ~ 2021년 | |
차남 | 허영(許瑛) | 1890년 ~ 1966년 | 광복군 |
며느리 | 진주 강씨(晋州姜氏) | ||
손녀 | 허옥(許鈺) | 1915년 ~ | |
손녀 | 허노미(許路美) | 1918년 ~ | |
손자 | 허경성(許敬誠) | 1928년 ~ | |
손자 | 허순성(許順城) | 1929년 ~ | |
손녀 | 허순옥(許順玉) | 1932년 ~ | |
손자 | 허도성(許道城) | 1934년 ~ 2019년 | |
삼녀 | 허암(許巖) | 1893년 ~ 1976년 | |
삼남 | 허준(許埈) | 1895년 ~ 1956년 | 신흥무관학교 경리부장 |
며느리 | 밀양 손씨(密陽孫氏) | ||
손자 | 허광배(許光培) | 1921년 ~ 1957년 | |
손자 | 허웅배(許雄培) | 1929년 ~ 1997년 | |
손자 | 허환배(許煥培) | 1937년 ~ | |
사녀 | 허혜경(許惠景) | 1896년 ~ 1934년 | |
사남 | 허국(許國) | 1899년 ~ 1970년 | 광복군 |
며느리 | 이후석(李厚錫) | 석주 이상룡의 손녀 | |
손자 | 허일리야 | 1927년 ~ 1942년 | |
손녀 | 허슈라 | 1929년 ~ | |
손녀 | 허클라라 | 1931년 ~ | |
손자 | 허부로코피 | 1935년 ~ | |
손녀 | 허아니샤 | 1938년 ~ | |
손자 | 허데론 | 1940년 ~ 2006년 | |
손자 | 허게오르기 | 1944년 ~ | |
손자 | 허블라디슬라브 | 1951년 ~ | |
숙부 | 허희(許禧) | 1824년 ~ 1898년 | |
종형 | 허형(許蘅) | 1843년 ~ 1922년 | |
종제 | 허필(許苾) | 1855년 ~ 1932년 | 건국포장(2019) |
5. 대중 문화
참조
[1]
일반텍스트
[2]
뉴스
"'친일파 세상'이 싫어 고국을 떠났습니다" - [이메일 대담] 순국선열 왕산 허위선생 후손 재미동포 허도성씨
https://ohmynews.com[...]
오마이뉴스
2005-01-31
[3]
뉴스
구한말 의병장 ‘허위’ 재조명 EBS 다큐 ‘왕산가 사람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5-30
[4]
뉴스
“한국 한번 갈 수 없습니까?”- 우즈베크서 연금받으며 생활하는 ‘의병대장 허위’ 장손녀 로자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9-15
[5]
뉴스
비운의 독립군 후손 허로자씨, 추석 때 한국 온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