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중원》은 2010년에 방영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조선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백정 출신 황정, 역관의 딸 유석란, 양반 백도양을 중심으로, 신분 갈등, 의학적 갈등, 멜로, 정치적 갈등이 전개된다. 드라마는 서양 의술의 도입, 질병과 치료 등을 보여주며, 역사 인식 제고, 신분 제도 비판, 여성 역할 조명 등의 사회문화적 의의를 가진다. 《제중원》은 역사 왜곡 논란과 드라마적 허용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최고 시청률은 22회에서 기록된 17.3%(TNmS 전국 기준)이며, SBS 연기대상에서 한혜진이 프로듀서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기원 시나리오 작품 - 하얀거탑 (2007년 드라마)
2007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하얀거탑》은 이기원 작가, 안판석 PD, 김명민, 이선균, 차인표 등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하여 명인대학교병원을 배경으로 의사들의 권력과 амбиции를 다룬 이야기로, 김명민과 이선균이 MBC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며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이기원 시나리오 작품 - 스포트라이트 (드라마)
스포트라이트는 2008년 문화방송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기자들의 고충과 사회 부조리를 다루며 신창원 사건, 삼성 비자금 의혹 등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 SBS의 의학 드라마 - 낭만닥터 김사부 3
낭만닥터 김사부 3는 2023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돌담병원을 배경으로 한석규, 안효섭, 이성경 등이 출연하여 의료 현장의 이야기를 그리며, 권역외상센터 설립과 새로운 인물들의 등장,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이전 시즌의 감동과 재미를 이어가며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부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 SBS의 의학 드라마 - 카인과 아벨 (2009년 드라마)
2009년 소지섭, 신현준, 한지민, 채정안 주연의 SBS 드라마 《카인과 아벨》은 카인과 아벨 이야기에서 착안하여 형제간의 갈등과 화해, 병원 내 권력 다툼, 엇갈린 운명 속 사랑과 질투, 용서를 그린 메디컬 드라마이다. - 김종학 프로덕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추적자 THE CHASER
《추적자 THE CHASER》는 딸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대통령 후보에게 복수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 김종학 프로덕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신화 (2001년 드라마)
《신화》는 2001년 방영된 대한민국의 드라마로, 이레 전자 산업 대표 정문식의 성공 신화를 모티브로 김지수, 김태우, 박정철 등이 출연했다.
제중원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제중원 제중원 더 호스피털 |
장르 | 의학 드라마 시대극 |
극본 | 이기원 |
연출 | 홍창욱 |
출연 | 박용우 한혜진 연정훈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에피소드 수 | 36 |
총괄 프로듀서 | 김영섭 |
실행 시간 | 60분 |
제작사 | 김종학 프로덕션 마이 네임 이즈 엔터테인먼트 |
방송 채널 | 서울방송 |
처음 방송 | 2010년 1월 4일 |
마지막 방송 | 2010년 5월 4일 |
외부 링크 | |
공식 홈페이지 | <제중원> 공식 홈페이지 |
전 회차 무료 보기 | <제중원> 전 회차 무료보기 |
추가 정보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방송 시간 |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5분 |
방송 기간 | 2010년 1월 4일 ~ 2010년 5월 4일 |
방송 횟수 | 36부작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2. 역사적 배경
2. 1. 개화기 조선의 상황
2. 2. 제중원의 설립과 의의
2. 3. 실존 인물과 허구 인물
호러스 뉴턴 알렌은 조선에 대해 이중적 행태를 보인 인물이라서 묘사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3. 등장 인물
- 황정(黃正)(박서양 모델) - 박용우 (아역 : 차재돌)
: 원래 이름은 소근개('근수가 적게 나가는 개'라는 뜻)였다. 백정이지만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 백도양에 의해 친구의 시체를 해부하게 되어 쫓기게 된다. 쫓기던 도중에 양반 행세를 하기 위해 훔친 호패에 쓰여 있던 이름인 '황정(黃丁)'을 사용하게 된다. 훗날, 고종이 이름을 직접 내려주어 '黄正'으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6] 그는 처음에는 병원 부지기였지만, 그 후 학생이 되었다. 그는 결국 조선 최초의 외과 의사이자 최고의 의사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계속 의사로 활동한다.[7]
- 유석란(柳惜瀾) - 한혜진 (아역 : 함재은)
: 역관 유희서의 외동딸로 영어에 능통하다. 아버지가 역관이어서 서양 문물을 일찍 접하였다. 총에 맞아 중태에 빠진 황정을 집으로 데려와 알렌에게 치료를 받게 해준다. 황정이 서양 의술을 공부하여 의사가 되도록 도와주고, 훗날 본인도 산부인과 의사가 된다. 릴리아스 호튼의 지도를 받아, 석란은 조선 최초의 서양 의학 여성 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한다.
: 서양 의술을 배우고 싶어 일본인 의사 와타나베에게 접근한다. 어릴 때부터 석란과 알고 지내던 사이이다. 정포교로 하여금 소근개에게 사체를 해부하도록 시킨다. 사체 해부를 숨기기 위해 소근개를 없애려고 한다. 소근개는 도양을 알아보지만, 도양은 소근개=황정임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황정이 수술을 잘못했기 때문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하며 황정에게 안 좋은 감정을 품는다. 백도양은 양반 가문의 밝고 야심찬 인물로, 법무 대신의 외아들이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공무원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고, 그는 왕립 학당에서 수석을 차지했다. 하지만 도양은 서양 의학에 매료되어, 몰래 모든 의학 서적을 읽었다. 그는 부러운 사회적 지위를 포기하고 제중원에서 의학을 공부하며, 황정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된다.
- 호튼 - 캐서린 베일리
- 황정부(마당개) - 장항선 : 황정의 아버지이다. 처음에는 "개똥이"라고 불렸다.[6] 백정 가문에서 태어났다. 백정은 시체 처리인, 사형 집행인과 함께 조선에서 가장 낮은 신분으로 여겨졌으며, 백정은 성씨를 가질 수 없었다.[6]
- 임조시(林造時) - 차화연 : 황정의 어머니다. 낮은 신분 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 이곽(李癨) - 정석용
- 백태현(백도양의 부친 형조판서, 병조판서) - 서인석 : 백도양의 아버지이자 법무 대신이다. 아들 백도양이 공무원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다.
- 윤제욱(백도양의 친구) - 윤기원 : 백도양의 친구이다.
- 정포교 - 원기준
- 유희서(역관) - 김갑수 : 유석란의 아버지. 궁정 통역관이자 상인이다.
- 석란 모 - 금보라 : 유석란의 어머니이다.
- 막생(幕生) - 서혜린
- 칠복(七伏) - 김규진
- 몽총(夢寵) - 도기석
- 박소사(朴小使) - 유혜정
- 미령(美伶) - 김태희
- 낭랑(朗浪) - 신지수
- 고장근(高長根) - 송영규
- 제중원 의생 - 김민찬
- 고종 - 최종환
- 김옥균 - 유태웅 †‡
- 와타나베(渡辺俊介) 병원장 - 강남길
- 김돈[하세가와(長谷川)] - 윤서현
- 주조선 일본공사 다케조에(1대) - 정규수
- 나오코(小林直子) : 백도양의 연인 - 최자혜
- 사토(佐藤) : 백도양의 동경제국대학 의학부 동기 - 요시무라 켄이치
- 낭인 - 이철민
- 정명준
- 전진기 - 스기무라
- 오지헌 - 일본 군인
3. 1. 주요 인물
- 황정(黃正)(박서양 모델) - 박용우 (아역 : 차재돌)
: 원래 이름은 소근개('근수가 적게 나가는 개'라는 뜻)였다. 백정이지만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다. 백도양에 의해 친구의 시체를 해부하게 되어 쫓기게 된다. 쫓기던 도중에 양반 행세를 하기 위해 훔친 호패에 쓰여 있던 이름인 '황정(黃丁)'을 사용하게 된다. 훗날, 고종이 이름을 직접 내려주어 '黄正'으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6] 그는 처음에는 병원 부지기였지만, 그 후 학생이 되었다. 그는 결국 조선 최초의 외과 의사이자 최고의 의사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계속 의사로 활동한다.[7]
- 유석란(柳惜瀾) - 한혜진 (아역 : 함재은)
: 역관 유희서의 외동딸로 영어에 능통하다. 아버지가 역관이어서 서양 문물을 일찍 접하였다. 총에 맞아 중태에 빠진 황정을 집으로 데려와 알렌에게 치료를 받게 해준다. 황정이 서양 의술을 공부하여 의사가 되도록 도와주고, 훗날 본인도 산부인과 의사가 된다. 릴리아스 호튼의 지도를 받아, 석란은 조선 최초의 서양 의학 여성 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한다.
: 서양 의술을 배우고 싶어 일본인 의사 와타나베에게 접근한다. 어릴 때부터 석란과 알고 지내던 사이이다. 정포교로 하여금 소근개에게 사체를 해부하도록 시킨다. 사체 해부를 숨기기 위해 소근개를 없애려고 한다. 소근개는 도양을 알아보지만, 도양은 소근개=황정임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황정이 수술을 잘못했기 때문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하며 황정에게 안 좋은 감정을 품는다. 백도양은 양반 가문의 밝고 야심찬 인물로, 법무 대신의 외아들이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공무원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고, 그는 왕립 학당에서 수석을 차지했다. 하지만 도양은 서양 의학에 매료되어, 몰래 모든 의학 서적을 읽었다. 그는 부러운 사회적 지위를 포기하고 제중원에서 의학을 공부하며, 황정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된다.
3. 1. 1. 황정 (박서양 모델)
제중원 드라마에서 백정 출신인 황정은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선 최초의 외과 의사가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황정의 의학적 열정과 인간적인 면모가 조명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과 과정 또한 그려진다.3. 1. 2. 유석란
유석란은 역관의 딸이자 신여성으로, 서양 의술을 배우고 조선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는 인물이다. 주체적인 삶과 사랑을 추구하며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3. 1. 3. 백도양 (서재필 모델)
백도양은 양반 자제로, 서양 의술에 대한 열정을 품고 제중원에 합류하는 인물이다. 황정과의 경쟁과 협력 관계를 통해 드라마의 긴장감을 높인다.3. 2. 주변 인물
- 황정부(마당개) - 장항선 : 황정의 아버지이다. 처음에는 "개똥이"라고 불렸다.[6] 백정 가문에서 태어났다. 백정은 시체 처리인, 사형 집행인과 함께 조선에서 가장 낮은 신분으로 여겨졌으며, 백정은 성씨를 가질 수 없었다.[6]
- 임조시(林造時) - 차화연 : 황정의 어머니다. 낮은 신분 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 이곽(李癨) - 정석용
- 백태현(백도양의 부친 형조판서, 병조판서) - 서인석 : 백도양의 아버지이자 법무 대신이다. 아들 백도양이 공무원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다.
- 백규현(백도양의 숙부 제중원 주사) - 이효정 : 백도양의 숙부이다.
- 오충환(백도양 윤제욱의 스승 제중원 주사) - 권해효 : 백도양과 윤제욱의 스승이다.
- 윤제욱(백도양의 친구) - 윤기원 : 백도양의 친구이다.
- 정포교 - 원기준
- 유희서(역관) - 김갑수 : 유석란의 아버지. 궁정 통역관이자 상인이다.
- 석란 모 - 금보라 : 유석란의 어머니이다.
- 막생(幕生) - 서혜린
- 칠복(七伏) - 김규진
- 한승연(유석란의 친구) - 오유나
3. 2. 1. 제중원 인물
- 알렌 - 션 리차드[10]
- 헤론 - 리키 김[11] †‡
- 에비슨 - 파비앙 코르비노
- 호튼 - 캐서린 베일리
- 몽총(夢寵) - 도기석
- 박소사(朴小使) - 유혜정
- 미령(美伶) - 김태희
- 낭랑(朗浪) - 신지수
- 고장근(高長根) - 송영규
- 제중원 의생 - 김민찬
3. 2. 2. 조선 왕실 인물
3. 2. 3. 그 외 인물
4. 주요 사건 및 갈등
4. 1. 신분 갈등
4. 2. 의학적 갈등
4. 3. 멜로 갈등
4. 4. 정치적 갈등
5. 드라마 속 의학
5. 1. 서양 의술의 도입
5. 2. 질병과 치료
6. 사회문화적 의의
6. 1. 역사 인식 제고
6. 2. 신분 제도 비판
6. 3. 여성 역할 조명
7. 비판 및 논란
7. 1. 역사 왜곡 논란
호러스 뉴턴 알렌은 조선에 대해 이중적 행태를 보인 인물이라서 묘사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7. 2. 드라마적 허용과 한계
호러스 뉴턴 알렌은 조선에 대해 이중적 행태를 보인 인물이라서 드라마에서의 묘사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8. 수상 및 시청률
드라마 《제중원》의 시청률은 TNmS와 AGB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14][15] 2010년 1월 4일 첫 방송 시청률은 TNmS 기준 14.9%(전국), 15.2%(수도권), AGB 기준 15.1%(전국), 17.0%(수도권)를 기록했다. 최고 시청률은 3월 16일에 기록된 22회로, TNmS 기준 17.3%(전국), 16.6%(수도권), AGB 기준 16.5%(전국), 17.5%(수도권)였다. 반면, 최저 시청률은 4월 27일에 방영된 34회로, TNmS 기준 8.4%(전국), 7.7%(수도권), AGB 기준 9.9%(전국), 10.6%(수도권)를 기록했다. 5월3일 35회는 AGB닐슨 기준 9.3%(전국), 10.1%(수도권) 이었다. 평균 시청률은 TNmS 기준 13.3%(전국), 13.0%(수도권), AGB 기준 13.5%(전국), 14.1%(수도권)이다.
2010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4] | AGB 시청률[15]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1월 4일 | 14.9% | 15.2% | 15.1% | 17.0% |
제2회 | 1월 5일 | 15.8% | 16.4% | 14.6% | 15.4% |
제3회 | 1월 11일 | 12.5% | 12.9% | 13.1% | 13.7% |
제4회 | 1월 12일 | 14.4% | 14.8% | 14.8% | 15.5% |
제5회 | 1월 18일 | 14.5% | 14.5% | 14.2% | 14.5% |
제6회 | 1월 19일 | 15.5% | 15.5% | 14.5% | 14.6% |
제7회 | 1월 25일 | 13.7% | 13.6% | 13.6% | 14.0% |
제8회 | 1월 26일 | 14.0% | 13.2% | 14.7% | 14.7% |
제9회 | 2월 1일 | 15.2% | 15.2% | 15.9% | 16.4% |
제10회 | 2월 2일 | 15.8% | 15.5% | 15.5% | 16.5% |
제11회 | 2월 8일 | 13.5% | 12.6% | 13.9% | 14.4% |
제12회 | 2월 9일 | 13.9% | 13.3% | 14.5% | 15.4% |
제13회 | 2월 15일 | 12.1% | 11.8% | 13.1% | 14.1% |
제14회 | 2월 16일 | 14.9% | 15.0% | 14.3% | 15.2% |
제15회 | 2월 22일 | 13.2% | 14.0% | 12.8% | 13.3% |
제16회 | 2월 23일 | 14.3% | 14.0% | 13.5% | 14.4% |
제17회 | 3월 1일 | 13.3% | 12.8% | 13.3% | 14.1% |
제18회 | 3월 2일 | 14.4% | 14.5% | 14.2% | 14.8% |
제19회 | 3월 8일 | 12.9% | 12.6% | 14.4% | 14.5% |
제20회 | 3월 9일 | 13.4% | 12.8% | 14.4% | 15.4% |
제21회 | 3월 15일 | 15.8% | 15.4% | 15.5% | 15.8% |
제22회 | 3월 16일 | 17.3% | 16.6% | 16.5% | 17.5% |
제23회 | 3월 22일 | 13.2% | 12.2% | 14.0% | 14.9% |
제24회 | 3월 23일 | 15.3% | 14.7% | 16.0% | 16.7% |
제25회 | 3월 29일 | 14.6% | 13.8% | 13.7% | 14.3% |
제26회 | 3월 30일 | 13.8% | 13.0% | 13.9% | 14.3% |
제27회 | 4월 5일 | 13.3% | 12.7% | 14.0% | 14.9% |
제28회 | 4월 6일 | 12.6% | 11.9% | 12.7% | 12.9% |
제29회 | 4월 12일 | 10.8% | 10.4% | 11.5% | 11.9% |
제30회 | 4월 13일 | 11.8% | 11.7% | 11.7% | 12.0% |
제31회 | 4월 19일 | 11.9% | 11.6% | 11.2% | 11.6% |
제32회 | 4월 20일 | 10.7% | 10.2% | 12.1% | 12.4% |
제33회 | 4월 26일 | 9.6% | 8.9% | 10.3% | 10.5% |
제34회 | 4월 27일 | 8.4% | 7.7% | 9.9% | 10.6% |
제35회 | 5월 3일 | 8.8% | 8.0% | 9.3% | 10.1% |
제36회 | 5월 4일 | 10.2% | 9.9% | 9.9% | 10.5% |
평균 시청률 | 13.3% | 13.0% | 13.5% | 14.1% | |
한편, 동시간대 경쟁 드라마로는 KBS 2TV의 《공부의 신》, 《부자의 탄생》, MBC의 《파스타》, 《동이》 등이 있었다.
2010년 SBS 연기대상에서 한혜진은 프로듀서상을 수상했다.
9.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drama concocts formula for success
https://koreajoongan[...]
2010-01-14
[2]
웹사이트
Six dramas revamping 2010 lineup
https://www.koreaher[...]
2010-01-04
[3]
웹사이트
Korean networks serve up a smorgasbord of dramas
https://koreajoongan[...]
2010-01-07
[4]
웹사이트
Actors save lives on set of TV series ''Jejungwon''
https://www.asiae.co[...]
2010-01-06
[5]
웹사이트
TV Dramas to Look Forward to in 2010
https://www.koreatim[...]
2009-12-29
[6]
웹사이트
Jejoongwon (Part 1): The history
https://thundie.word[...]
2010-05-26
[7]
웹사이트
A tribute to Jejoongwon
https://blue1004.wor[...]
2011-03-15
[8]
웹사이트
Han Hye-jin Embraces Challenge of Historical Role
https://www.chosun.c[...]
2010-02-06
[9]
웹사이트
Heroines Line Up for Dramas in 2010
https://www.koreatim[...]
2010-01-05
[10]
웹사이트
New faces to widen the scope of Hallyu dramas
http://www.korea.net[...]
2010-03-18
[11]
웹사이트
Korean-American Actor Ricky Kim Follows His Heart
https://www.koreatim[...]
2010-04-13
[12]
웹사이트
ซีรีส์ช่อง3เก่า เจจุงวอน ตำนานแพทย์แห่งโชซอน (รีรัน)
http://www.thaitv3.c[...]
2015-11-14
[13]
뉴스
‘별을 따다줘’, ‘천사의 유혹’ 후속 편성..‘제중원’ 10시대 월화극 컴백
https://entertain.v.[...]
뉴스엔
2009-11-23
[14]
웹사이트
TNmS 홈페이지
http://www.tnms.tv/
[15]
웹인용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