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제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제명은 1903년 대구에서 태어나 미국의 무디성경학교와 건음악학교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 서양음악계에 영향을 미친 음악가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활동을 했으며, 광복 후에는 한국민주당 소속으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을 지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2008년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에서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가곡 '고향생각', 오페라 '춘향전' 등이 있으며, 1960년 간경변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성고등학교 동문 - 권정호 (화가)
권정호는 한국 전쟁의 격동기를 겪으며 성장하여 계명대학교와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대구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개인의 내면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양식을 구축한 한국의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 미술 행정가이다. - 계성고등학교 동문 - 김종기 (1941년)
김종기는 신민당 정책위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민주정의당 정책위 부의장과 자유민주연합 부총재를 역임했으며, 4·19 혁명과 6·3 시위 당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지휘자 - 홍난파
홍난파는 <봉선화>, <고향의 봄> 등 다수의 가곡과 동요를 작곡하고 한국 최초의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으며, 수양동우회 사건 연루와 친일 행적으로 인해 논란이 된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소설가, 언론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지휘자 - 안익태
안익태는 대한민국의 작곡가이자 지휘자로, 애국가를 작곡하고 한국환상곡 등의 관현악곡을 남겼으나, 일제강점기 만주국 관련 음악 작곡으로 친일 논란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성악가 - 안성현
안성현은 일제강점기 나주 출신으로 도호 음악학교를 졸업한 작곡가이며, 대표작으로는 동요 〈엄마야 누나야〉와 가곡 〈부용산〉이 있고, 한국 전쟁 중 월북하여 북한 공훈예술가가 되었으나 남한에서는 그의 업적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고 있다.
| 현제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현제명 |
| 출생일 | 1902년 12월 8일 |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대구 중구 |
| 사망일 | 1960년 10월 16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
| 종교 | 개신교 |
| 가족 | 딸 현혜숙 사위 백순익 사돈 백낙준 사부인 최이권 작은사부인 최이순 |
| 국적 | 대한제국→대한민국 |
| 직업 | 피아노 연주가 바이올린 연주가 테너 성악가 가곡 작사가 가곡 작곡가 편곡가 오페라 연출가 교육인 대학 교수 |
| 활동 시기 | 1925년 ~ 1960년 |
| 추가 정보 | |
| 학력 | 평양숭실학교 미국 시카고 음악학교 미국 뉴욕 대학교 대학원 |
| 경력 | 연희전문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초대 학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 음악 박사 | 현제명 음악 박사 |
2. 생애
현제명은 1903년 대구 중구의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양음악을 접했다. 계성고등보통학교와 숭실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전주신흥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다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건음악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조선음악가협회를 결성,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일제강점기 말기 친일 행적은 그의 음악적 업적과 대비된다. 광복 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설립, 고려교향악단 창설 등 한국 음악계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을 지내다 1960년 간경변증으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초기 활동 (1903년 ~ 1926년)
1903년 대구 중구의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양음악에 익숙해질 수 있었다. 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평양의 숭실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23년 전주신흥학교에서 영어와 음악 교사로 부임하였다.[5]2. 2. 미국 유학과 귀국 (1926년 ~ 1930년대)
1926년 미국 시카고에 있는 무디성경학교(Moody Bible School)에 입학했다가, 건음악학교(The Gunn School of Music)[5]로 옮겨 음악 공부를 하고 석사학위를 취득했다.[6] 귀국 후에는 연희전문학교 교수를 지내면서 한국의 서양음악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30년 조선음악가협회를 결성하고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기도 했다.2. 3. 친일 활동 (1930년대 후반 ~ 1945년)
일제강점기 말기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결성된 조선문예회에 참여하여 친일 활동을 시작한 후 대동민우회,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 조선음악협회, 경성후생실내악단 등 친일 단체에 연이어 참가했다. 조선음악협회 음악회에서 친일적인 내용의 성악곡 〈후지산을 바라보며〉를 발표하고 대화숙 주최 ‘국민음악의 밤’과 같은 친일 행사에 참가해 독창을 하거나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전국 순회 가창지도대에 참가하는 등, 그의 친일 행적은 음악가들 가운데서 매우 뚜렷한 편이다.[5][6]2. 4. 광복 이후 활동과 사망 (1945년 ~ 1960년)
광복 후 한국민주당 소속 우익 음악인으로 활동하면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설치해 예술학부 초대 학장을 맡았다. 고려교향악단을 창설하고 지휘자로 활동했으며, 창작 오페라를 무대에 올려 오페라 연출자로도 족적을 남겼다.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을 지냈다.1960년 10월 16일 서울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간경변증으로 향년 5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 [6]
3. 학력
| 학교 | 내용 |
|---|---|
| 계성고등보통학교 | 수료 |
| 숭실고등보통학교 | 졸업 |
| 미국 무디 기독교음악대학교 | 1926년 졸업 |
| 미국 건 기독교음악대학교 음악대학원 | 1928년 졸업, 음악학 석사 |
| 미국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 1936년 졸업, 음악학 박사 |
| 서울대학교 | 명예 음악학 박사 |
3. 1. 정규 학력
- 경상북도 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 수료
- 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졸업
- 미국 시카고 무디 기독교음악대학교 졸업 (1926년)
- 미국 시카고 건 기독교음악대학교 음악대학원 졸업 (1928년, 음악학 석사)
- 미국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졸업 (1936년, 음악학 박사)
3. 2. 명예 박사 학위
- 서울대학교 명예 음악학 박사
4. 소속
한국음악가협회 이사장
5. 작품 활동
현제명은 가곡, 오페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대표적인 가곡으로는 고향생각, 그집앞, 나물 캐는 처녀, 희망의 나라로 등이 있으며, 오페라 춘향전과 왕자 호동을 작곡했다.[1][2] 고창고등학교 교가를 작사·작곡하고, 김천고등학교, 인하대학교, 경북대학교, 명지대학교 교가를 작곡하였다.[1][2][3][4][5]
5. 1. 가곡
- 고향생각 작사·작곡
- 그집앞 작곡
- 나물 캐는 처녀 작사·작곡
- 희망의 나라로 작사·작곡
5. 2. 오페라
5. 3. 기타
고창고등학교 교가를 작사·작곡하고, 김천고등학교, 인하대학교, 경북대학교, 명지대학교 교가를 작곡하였다.[1][2][3][4][5]6. 사후 평가
현제명은 친일파 708인 명단을 비롯한 여러 친일 관련 명단에 포함되었지만,[7] 2008년에는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한 인물로도 선정되었다.[8]
6. 1. 친일 행적 관련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5년 서울대학교 교내 단체가 발표한 ‘서울대학교 출신 친일인물 1차 12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7]6. 2. 대한민국 건국 기여 관련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을 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때 문화, 종교, 언론 부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8]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y of Seoul Gallery
http://www.useoul.ed[...]
[2]
웹사이트
(pdf) 동아일보
http://gonews.kinds.[...]
2012-11-28
[3]
기타
[4]
뉴스인용
현제명 음악박사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2008-06-11
[5]
웹사이트
The Glenn Dillard Gunn School of Music and Dramatic Art
https://www.encyclop[...]
[6]
뉴스
조선일보
1936-07-04
[7]
뉴스인용
서울대 일제청산위, 1차 친일인물 12명 발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5-28
[8]
뉴스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